KR880001488B1 - 원심펌프 - Google Patents

원심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488B1
KR880001488B1 KR8203904A KR820003904A KR880001488B1 KR 880001488 B1 KR880001488 B1 KR 880001488B1 KR 8203904 A KR8203904 A KR 8203904A KR 820003904 A KR820003904 A KR 820003904A KR 880001488 B1 KR880001488 B1 KR 880001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pump runner
casing
runner
volut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3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1306A (ko
Inventor
세이지 야나기사와
마사오 요시다
다쓰야 이시가끼
히데끼 시노즈까
긴야 모리오까
Original Assignee
미다 가쓰시게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611515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88000148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미다 가쓰시게,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미다 가쓰시게
Publication of KR840001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5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04D29/428Discharge tong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원심펌프
제 1 도는 본원 발명의 하나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단면도.
제 3 도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제 4 도, 제 5 도는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제 6 도는 편향벽의 상세를 설명하는 도면.
제 7 도는 펌프러너에서 토출되는 유속(流束)의 속도분포를 나타낸는 도면.
제 8 도는 볼류트실내의 물의 흐름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
제 9 도는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제10도부터 제14도는 각기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제15도는 더욱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
제16도는 제15도의 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17도는 볼류트실과 펌프러너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의 일부.
제18도는 케이싱 부분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본원 발명은 펌프 성능을 향상시키는 위해 개량된 구조의 원심(遠心)펌프에 관한 것이다.
펌프러너의 토출구를 덮는 볼류트실을 구비한 원심핌프에 있어서는 이 펌프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펌프러터 및 케이싱의 형상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종래부터 볼류트실의 입구 근방의 폭이 펌프러너의 토출구의폭에 비해 클 경우는 펌프러너의 토출구에서 일단 볼류트실내에 펌프러너의 토출구에서 토출된 물의 일부가 볼류트실의 내벽을 따라서 펌프러너의 흡입구측으로 되돌아가기 쉽게 되며, 이 펌프러너의 토출구측에서 펌프러너의 흡입구측으로 돌아가는 흐름이 펌프성능을 저하시켜 버린다고 생각되어 왔다. 그래서 이 되돌아오는 흐름을 방지하기 위해, 볼류트실의 입구 근방의 폭을 펌프러너의 토출구폭에 가깝게 하여, 이 부분의 유로저항을 증가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형상에 의해서도 펌프성능을 향상시킬 수는 없었다. 그 원인으로서, 볼류트실의 입구 근방의 폭을 좁게 했기 때문에, 펌프러너의 토출구 부근에서 볼류트실의 내벽을 따라서 펌프러너의 토출구 부근에서 볼류트실의 내벽을 따라서 펌프러너의 토출구측으로 되돌아가는 유속(流束)에 펌프러너로 부터의 토출류(吐出流)와 대향하는 속도성분이 많이 발생하고, 이 유속이 펌프러너로부터의 토출류 L의 유출을 저해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펌프러너의 앞면 슈라우드 또는 후면 슈라우드와 이들과 대면하는 케이싱 또는 케이싱커버의 내벽과의 간극을 작게 해서, 펌프러너의 토출구로부터 이것의 흡입구측으로 되돌아가는 흐름을 감소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있다. 그러나 이 구조에 의하면 되돌아가는 흐름을 저감시킬 수는 있지만, 반대로 펌프러너의 원판 마찰이 증가해 버리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펌프 성능을 개선할 수 없다. 또 펌프러너는 펌프의 운전에 따라서 축방향으로 슬라이드하므로, 이 구조에서는 펌프러너의 앞면 슈라우드 또는 휴면 슈라우드와 이들과 대면하는 케이싱 또는 케이싱 커버의 내벽과의 간극의 관리가 매우 어려워지며, 최악의 경우는 펌프러너가 케이싱 또는 케이싱커버의 내벽에 닿을 염려도 있다.
이와 같이 종래부터 여러 가지의 펌프구조가 제안되어 있지만, 어떤 것은 펌프구조를 바꾸므로서 새로운 손실이 발생하며, 또 어떤것은 각 구성부품의 가공 또는 조립을 매우 어렵게 하고 있다.
그래서, 본원 발명은 간단한 개량으로 펌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원심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원 발명은 볼류트실의 내벽을 따라서 펌프러너의 토출구측으로 되돌아가는 유속이 펌프러너에서 토출되는 유속을 저해하지 않도록 이 되돌아가는 유속을 펌프러너로부터의 토출류와 대향하는 속도성분이 생기지 않도록 편향하는 편향벽을 볼류트실의 입구 근방에 설치하는 것이다.
다음에 제 1 도에 나타낸 본원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리고 제 2 도는 제 1 도에 나타낸 요부를 확대해서 나타낸 것이다. 즉 (1)은 회전축 (2)에 부착된 펌프러너, (3)은 펌프러너(1)의 앞면 슈라우드(4) 및 토출구(5)를 덮는 주물체의 펌프케이싱이며, 펌프러너(1) 둘레에 볼류트실 (6)을 형성한다. 또, 펌프케이싱(3)은 펌프러너(1)를 결합하기 위하여 펌프러너(1)의 후면 슈라우드(7)측을 개방하여 개구부(8)을 형성하고 있다. (9)은 펌프케이싱(3)의 개구부 (8)를 막는 주물제의 케이싱 커버이다. (11)은 케이싱(3)의 볼류트실(6)의 입구근방의 내벽에서 각기 펌프러너(1)의 토출구(5)측에 연장해서 설치한 편향벽이며, 이 편향벽(11)은 펌프러너(1)의 앞면 슈라우드(4) 및 후면 슈라우드(7)의 토출측 끝면(12) 부근까지 각기 환상으로 돌출되어 있다.즉, 이 편향벽(11)의 펌프러너(1) 측의 면(11a)은 펌프러너(1)의 앞면 슈라우드(4) 및 후면 슈라우드(7)의 각각의 토출측 끝면(12)과 약간의 간극을 두고 펌프러너(1)의 토출구(5)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편향벽(11)의 볼류트실(6)측의 면(11b)은 펌프러너(1)의 토출구(5)측을 향해서, 이 면(11b)이 펌프러너(1)에서 토출되는 유속 L의 흐름방향에 대해서 대략 직각이 되도록 연장되어 있다. 즉, 원심펌프에서는 펌프러너(1)의 토출구(5)에서 토출되는 유속 L의 토출방향이 펌프러너(1)의 회전축(2)에 대해서 대략 직각이 되므로, 편향벽(11)의 볼류트실(6)측의 면(11b)은 회전축(2)을 중심으로 이 회전축(2)과 평행인 원통형의 면이 된다.
이와같이 구성하여, 원심펌프의 운전을 시작하면, 펌프러너(1)의 흡입구(10)에서 빨아들인 물은 펌프러너(1)의 토출구(5)에서 볼류트실(6)내에 토출된다. 볼류트실(6)의 내벽을 따라서 볼류트실(6)의 입구 근방을 향해서 흐르는 유속 ℓ로 된다. 이 볼류트실(6)에 토출된 물은 볼류트실(6)내에서 방향이 바뀌어, 일부의 물을 볼류트실(6)의 내벽을 따라서 흐르기 시작한 유속 ℓ은 볼류트실(6)의 내벽에 이어지는 편향벽(11)의 면(11b)을 따라서 방향이 바뀌어 유속 m으로 되어서 펌프러너(1)의 토출구(5)측을 향해서 내보내진다. 이 유속 m은 편향벽(11)의 면(11b)을 따라서 펌프러너(1)의 토출구(5)에서 토출되는 유속 L에 대해서 대략 직각으로 교차한 다음, 펌프러너(1)의 토출구(5)에서 토출되는 유속 L이 유속 m에 비해 절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이 유속 L과 함께 다시 볼류트실(6)내로 송출된다. 이때, 유속 m은 유속 L의 토출방향과 대향하는 속도성분(도면중 n 방향)을 갖지 않기 때문에, 유속 L의 토출을 저해하지 않는다. 따라서, 펌프러너(1)의 토출구(5)에서 토출되는 L과 볼류트실(6)의 내벽을 따라서 되돌아가는 유속 ℓ이 직접 정면에서 교차하는 일이 없어지며, 이것에 의한 소용돌이 손실(t1損失)의 발생이 없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한 원심펌프에서는 볼류트실(6)의 내벽을 따라서 되돌아오는 유속 ℓ이 펌프러너(1)에서 토출되는 유속 L의 유출을 저해하는 일이 없어진다. 또, 편향벽(11)의 펌프러너(1)의 측의 면(11a)과 펌프러너(1)의 토출측 끝면(12)과의 간극을 작게 취하고, 이 부분의 유로저항을 크게 취해, 펌프러너(1)의 흡입구(10)측으로 되돌아오는 순환류 0을 제한하면, 펌프러너(1)의 원판마찰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편향벽(11)은 펌프러너(1)의 토출측 끝면(12)의 외측에서 회전축(2)에 대해 대략 평행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펌프러너(1)가 이것의 운전에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펌프러너(1)의 이동에 관계없이 같은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손실(소용돌이 손실, 원판 마찰손실 등)이 감소됨으로써, 원심펌프의 토출압력 및 유량이 증가하고, 축동력이 감소해서 펌프효율이 향상되는 것이다.
제 3 도에 나타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실시예는 볼류트실의 내벽을 따라서 펌프러너의 투출구에 되돌아가는 유속을 펌프러너에서 토출하는 유속과 대항하는 속도성분이 생기지 않도록 편향하는 편향벽을 케이싱커버에서 펌프러너의 토출구측으로 연장해서 설치한 것이다.
이것을 상세히 설명하면, (13)은 케이싱커버(9)에서 펌프러너(1)의 토출구(5)측으로 연장된 편향벽이며, 이편향벽(13)은 이미 설명한 편향벽(11)과 같이 펌프러너(1)의 후면 슈라우드(7)의 토출측 끝면과 약간의 간극을 두고 환상으로 배치된다. 또, 편향벽(11)의 볼류트실(6)측의 면은 케이싱(3)의 내면과 이어지며, 더구나 볼류트실(6)의 내벽을 따라서 펌프러너(1)의 토출구(5)측에 되돌아가는 유속 m을 펌프러너(1)에서 토출되는 유속 L과 대향하는 속도성분이 생기지 않도록 연장면이 펌프러너(1)에서 토출되는 유속 L의 유출방향과 대략직각이 되도록 구성한다. 이와같이 한쪽의 편향벽(13)을 케이싱 커버(9)측에 설치하면, 케이싱(3)만을 보았을 경우, 케이싱(3)의 볼류트실(6)의 입구 근방의 폭 W을 크게 취할 수 있다. 케이싱(3)을 주물로 구성할 경우는 볼류트실(6)의 입구 근방의 폭 W을 주소후의 주물용 모래를 제거하는 면에서 되도록 넓게 취하는 것이필요해 지기 때문에, 이와 같은 구조를 취하면 케이싱(3)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즉, 케이싱(3)의 주조후의 주물용 모래의 제거가 양호해지므로, 볼류트실(6)내의 주물표면이 거칠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런면에서도 펌프성능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구조의 원심 펌프에 있어서는, 펌프러너(1)의 토출구(5)와 편향벽(11),(13)의 위치관계가 중요한 문제로 되지만, 다음과 같이 각 부재를 가공, 조립함으로써 이것을 해결할 수 있다. 즉, 주물케이싱(3)의 편향벽(11)의 끝면(11c)을 가공한 다음, 이 면(11c)을 기준으로 하여 케이싱(3)의 수전면(水栓面) (3a)의 가공을 한다. 다음에 케이싱 커버(9)의 수전면(9a) 및 편향벽(13)의 끝면(13c)을 가공한다. 이와 같이 가공하면, 각 부재를 소정의 치수관계로 완성할 수 있다. 또한 조립시에 있어서는 케이싱 커버(9)에 펌프러너(1)를 결합하고,펌프러너(1)와 편향벽(13)의 위치관계를 확인한 다음, 케이싱커버(9)에 케이싱(3)을 부착한다.이와같이 하면 원심펌프의 품질관리를 간단한 순서로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구조를 취하면 토출구(5)의 폭이 다른 펌프러너(1)을 결합할 경우에도 케이싱 커버(9)의 가공치수를 바꾸는 것만으로 어느 정도 대응할 수 있으며, 부품의 공용화를 진행시킬 수 있다.
다음에 제 4 도, 제 5 도에 나타낸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실시예는 볼류트실의 내벽을 따라서 펌프러너의 토추구로 되돌아가는 유속을 펌프러너의 토출류와 대향하는 속도성분이 생기지 않도록 편향하는 원형관 형상의 편향벽을 볼류트실의 입구 근방에서 설치한 것이다. 먼저 제 4 도에 나타낸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것은 펌프러너(1)를 볼류트실(6)을 구비한 케이싱(3), 앞면 슈라우드(4)측을 막는 케이싱 커버(16),후면 슈라우드(7)측을 막는 케이싱 커버(9)에 의해서 덮도록 구성한 것이다. (14),(15)는 각기 원형관형으로 구성한 편향벽이며, 이 각 편향벽(14),(15)은 원통부(14a),(15a)와 돌출부 (14b),(15b)로 이루어진다. 평향벽(14)은 이것의 원통부(14a)를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3)과 케이싱 커버(16)에 의해서 그 사이에 끼워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편향벽(15)은 이것의 원통부(15a)를 케이싱(3)과 케이싱커버 (9)에 의해서 그 사이에 끼워 고정된다. 이미 설명한 실시예와 같이 편향벽(14),(15)의 돌출부(14b),(15b)는 원심펌프를 조립했을때, 펌프러너(1)의 토출측 끝면에 배치되도록 적당한 치수를 선정하는 것이다. 물론, 이 돌출부(14b),(15b)의 볼류트실(6)측의 면은 케이싱(3)의 내벽과 이어지며, 펌프러너(1)에서 토출되는 유속에 대해 대략 직각으로 교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즉, 통상의 원심펌프에서는 펌프러너(1)로 부터의 물의 토출방향은 회전축(2)에 대해 대략 직각이 되므로, 편향벽(14),(15)의 볼류트실(6)측의 돌출부(14b),(15b)의 면은 회전축(2)에 대해서 대략 평행으로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편향벽(14),(15)을 별도의 부재로 하면, 편향벽(14),(15)이 마멸했을 경우, 이것을 간단히 교환할 수 있다.
또, 제 5 도에 나타낸 것은 제 4 도에서 설명한 케이싱(3)과 케이싱 커버(16)를 별체로 하지 않고 일체로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제 4 도, 제 5 도에 나타낸 편향벽(14),(15)은 제 6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상의 소재를 소정 길이로 자른 것에서 깎아내어 제작할 수 있으며, 이 경우는 소정 길이로 자른 부재의 일부를 절결함으로써, 이것을 압축한 상태로 케이싱(3)의 홈(3d)내 또는 케이싱(3)과 케이싱 커버(9),(16)와의 사이에 구성한 홈(9d),(16d)내에 배치하고, 이 편향벽(14),(15)의 스프링 백을 이용하여 각 홈(3d),(9d) 또는 (16d)내에 장치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제6도에 있어서, (14d),(15d)는 일부를 절결한 편향벽(14),(15)를 자연상태로 방치했을때 절결에 의해 개구 개방된 개구 개방 부분을 나타낸다.
이 펌프러너(1)에서 토출되는 유속 L의 속도 분포는 제 7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면 슈라우드(7)측에 치우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이와같은 펌프러너(1)를 결합한 원심펌프를 운전하면 제 8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펌프러너(1)의 후면 슈라우드(7)측에서 토출된 강한 유속 L1이 볼류트실(6)내에서 방향을 바꾸었을 때, 이 유속 L1의 2차 흐름에 의해 펌프러너(1)의 앞면 슈라우드(4)측에서 토출된 약한 유속 L2의 유출을 방해해 버려 혼합손실이 생기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제9도에 나타낸 실시예는 볼류트실(6)내에서 생기는 2차 흐름을 저감하고, 혼합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해, 케이싱(3)의 볼류트실(6)을 펌프러너(1)로 부터 토출유속(流束)이 작은 앞면 슈라우드(4)측에 범위를 넓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이미 설명한 실시예와 같이 볼류트실(6)의 입구 근방에는 편향벽(11)을 설치하고, 볼류트실(6)의 내벽을 따라서 펌프러너(1)의 토출구로 되돌아가는 유속 m을 펌프러너(1)에서 토출되는 유속L과 대향하는 속도성분이 생기지 않도록 편향해 가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 원심펌프의 운전을 시작하면 펌프러너(1)의 후면 슈라우드(7)측에서 토출된 유속이 큰 유속 L1은 펌프러너(1)의 앞면 슈라우드(4)측으로 넓힌 볼류트실(6)의 안쪽을 향해서 유도된다. 이 유속 L1은 볼류트실 (6)내에서 압력을 회복해서 속도를 늦추기 때문에, 펌프러너(1)의 앞면 슈라우드(4)측에서 토출되는 유속이 작은 유속 L₂의 유출을 저해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이 구조에 의하면 유속이 큰 유속 L₁과 작은 유속 L₂이 정면에서 충돌하는 일이 없어지며, 이것에 의해 볼류트실(6)내의 혼합손실이 감소되어 펌프성능을 향상시킨다. 편향벽(11)을 설치한 것에 의한 효과는 이미 설명한 실시예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설명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볼류트실의 입구 근방의 전후면 슈라우드의 끝면과 대향하도록 두개의 편향벽을 설치했지만, 이 편향벽은 앞면 슈라우드 또는 후면 슈라우드의 어느 한쪽의 끝면과 대향하도록 볼류트실의 입구 근방의 어느 한쪽에만 설치할 수도 있다. 또 실시예에 있어서는 편향벽의 앞끝(펌프러너의 토출구측 끝면)을 펌프러너의 토출구측으로 향하게 하여 이 토출구와 대면하기 직전까지 연장하도록 구성했지만, 이 편향벽의 끝면간의 폭을 펌프러너의 토출구의 폭보다 넓어지도록 편향벽의 형상을 선택해도 되는 것이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편향벽의 볼류트실의 면을 회전축과 대략 평행의 원통 형상의 면으로 했지만, 이것은 평향벽의 앞끝부가 볼류트실의 중심축을 향해서 약간 경사지도록 구성해도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10도부터 제14도에 나타낸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즉, 제10도, 제11도는 편향벽(11)상호의 폭W을 펌프러너(1)의 토출구의 폭보다 넓고 펌프러너(1)의 두께보다 작게 한 것, 제12도는 케이싱(3)측의 편향복(11)을 펌프러너(1)의 앞면 슈라우드(4)의 토출측 끝면(12)의 연장면과 대략 같은 면에 설치한 것, 제13도는 편향벽(11)을 앞면 슈라우드측에만 설치한 것, 제14도는 편향벽(11)을 전후면의 슈라우드(4),(7)의 토출측 끝면 (12)의 연장면 부근을 따라서 연장하여 전후면의 슈라우드(4),(7)을 향해서 설치한 것이다.
다음에 제15도부터 제18도에 나타낸 더욱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미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작용을 하는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3b),(3c)(3e)는 각기 케이싱(3)과 일체로 주조에 의해 구성한 베이스, 흡입 프랜지, 토출플랜지이다. 이 양 플랜지(3c),(3e)의 제15도의 뒷면쪽에는 케이지용의 부착공(17) 및 물 도입구용의 부착공(18)을 형성한다. 또, 제18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케이싱 (3)내의 볼류트실(6)의 최하부 부조에서 볼류트실(6)소용돌이가 시작되는 쪽(제15도의 뒷면쪽)을 향해서 드레인용의 구멍(19)을 형성한다. (20)은 토출플랜지(3e)의 축방향을 행해서 열린 케이지용의 부착공이다. (21)은 케이싱(3)에 고정된 라아너링, (22)는 케이싱(3)의 수전면(3a)과 케이싱(3)의 케이싱커버(9)의 수전면(9a)사이에 끼운 0링이다.(23)은 베어링 상자이며,한쪽끝을 케이싱커버(9)에 맞닿게 하고,중앙부에 주 베어링(24)을 구비하고 다른 끝부에 부베어링(25)을 구비한 브래킷(26)을 부착한다. 이 베어링상자(23)는 볼트(27)에 의해케이싱커버(9)를 사이에 끼우고 케이싱(3)에 부착 시킨다. 베어링상자(23)의 중앙부의 주 베어링(24)에서 케이싱(3)측에는 간막이벽(28)을 설치한다. 또 주 베어링(24)의 아우터레이스와 베어링상자(23)의 내벽면과의 사이에는 일부에 통풍로(30)가 열린다. (29)는 간막이벽(28)의 외측의 회전축(2)상에 부착된 슬링거이다. (31)은 볼트이며 부 베어링(25)의 아우터레이스를 지지하는 브래킷(26)을 베어링상자(23)의 끝부에 부착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에서도 명백한 바와 같이 주 베어링(24)은 부 베어링(25)보다도 직경이 크고 용량이 큰 것을 사용하고 있다. 또,브래킷(26)을 부착하기 위한 수전면(26a) 또는 베어링상자(23)의 내벽직경은 주 베어링(24)의 외경보다 크게 선택된다 (23a)는 베어링상자(23)에 뚫은 개구부이다. (32)는 축의 밀봉을 위한 4각패킹, (33)은 이 4각패킹을 수납하기위해 케이싱커버(9)의 중앙에 뚫은 원통형의 공동(空洞), (34)는 4각패킹(32)을 공동(33)내에 배치하기 위한 패킹누르개, (35)는 패킹누르개를 케이싱커버(9)측에 압착해서 고정하기 위하여 케이싱 커버(9)와 나사맞춤되는 볼트이다. (37)는 펌프러너(1)를 회전축(2)의 축끝에 부착하기 위한 너트이며, 워셔(36)를 끼고 축끝에 설치한 도시생략의 나사부와 나사맞춤된다. (38)은 베어링상자(23)의 하부에 부착된 보조다리이다. (39)는 공동(33)내의 4각패킹(32)에 케이싱(3) 내의 압력수를 공급하고, 케이싱커버(9)의 축관통부를 밀봉하여, 4각패킹의 윤활을 하기 위한 압력수 도입관이다.
이와 같은 구조의 것은 다음의 순서에 의해 조립된다. 먼저 회전축(2)에 주 베어링(24) 및 부 베어링(25)이 압입되어 부착된다. 다음에 베어링상자(23)를 회전축(2)에 주 베어링(24), 부 베어링(25)의 순으로 삽입되도록 하고, 그 다음에 브래킷(26)을 부착볼트(31)에 의해 베어링 상자(23)에 고정시킨다. 다음에 슬링거(29),패킹누르게(34), 4각패킹(32)을 회전축(2)에 삽입하고 나서 케이싱커버(9)를 회전축(2)상에 배치한다. 또한 축끝에 펌프러너(1)를 부착하여 너트(37)를 조인다. 이 다음 케이싱(3)을 케이싱커버(9)에 맞닿게하여 배치하고, 케이싱커버(9)를 케이싱(3)과 베어링상자(23)의 사이에 두고 볼트(27)에 의해 케이싱(3)과 베어링 상자(23)을 고정한다. 마지막으로 각종 볼트(27) 또는 너트 등을 조여 원심펌프를 완성한다.
이와같이 구성함 원심펌프에서는 케이싱(3)에 설치하는 부착공(17),(18) 드레인용의 구멍(19)을 각기 같은 방향을 향해서 설치 하므로써 이들 가공이 간단해 졌다. 또 부착구멍(20)로 흡입플랜지(3c)와 동일한 방향으로 개구하도록 형성하였으므로 가공이 간단해진다. 또 주 베어링(24)과 부 베어링(25)에 직경의 차이를 두고, 소경쪽의 부 베어링(25)을 브래킷(26)을 통해서 받도록 했기 때문에 베어링상자(23)의조립이 매우 용이해진다. 다음에 도시생략한 회전축(2)의 축끝(2a)에 축조인트를 부착하고, 이 축조인트를 통해서 모터를 연결하여 원심 펌프의 운전을 시작하면, 슬링거(29)의 작용에 의해 주 베어링(24)의 아우터로 터측의 통풍로(30)을 통해서 흡입된 공기는 간막이 벽(28)의 축관통부를 지나 이것의 벽면을 따라서 토출된다. 따라서 이것에 의해 주 베어링(24)의 냉각이 행해진다. 또, 드레인용의 구멍(19)은 볼류트실(6)의 소용돌이가 시작되는 쪽을 향해서 뚫었기 때문에, 이 구멍(19)에 펌프러너(1)의 토출구(5)에서 토출된 압력수가 직접 들어가 볼류트실(6)내의 유속이 흩어지지 않게 되므로 펌프운전시의 손실을 작게 하게 된다.
또한 제17도에 의해서 설명을 가하면,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볼류트실의 입구의 폭 W을 펌프러너(1)의 두께W2보다 작고 토출구(5)의 폭 W1보다 커지도록 선택하고 있다. 즉 볼류트실(6)의 입구측의 연장면이 펌프러너(1)의 전후면의 슈라우두(4),(7)의 토출측 끝면(12)과 대면하도록 구성한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전후면의 슈라우드(4),(7)의 토출측 끝면(12)을 이미 설명한 실시예와 같이 평향벽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볼류트실(6)의 벽면을 따라서 흐르는 유속 ℓ은 도면중 m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펌프러너(1)의 토출측 끝면(12)에 유도되어, 여기서 각기 편향되어서 다시 유속 L과 함께 볼류트실(6)내에 토출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실시예에 있어서는 펌프러너(1)가 원심펌프의 운전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하므로, 항상 볼류트실(6)의 내벽의 연장면이 토출측 끝면(12)에 있는 것이 요망된다. 또, 실시예에 있어서는 펌프러너(1)의 토출측 끝면(12)과 케이싱(3) 사이의 갭 G은 펌프러너(1)의 직경이 40~50㎜전후의 것에서 0.5~4.0㎜정도로 선정하고 있다. 또 실시예에서는 케이싱 커버(9)를 케이싱(3)과 베어링상자(23)의 사이에 끼워 고정했지만, 이것은 베어링상자(23)에 케이싱 커버(9)를 고정하고, 이 케이싱커버(9)에 케이싱(3)을 순차 고정시키도록 해도 되는 것이다.

Claims (1)

  1. 펌프러너(1)의 개구가 디퓨저를 통하지 않고, 직접 볼류트실(6)에 면하고 있는 원심 펌프에 있어서, 볼류트실(6)의 내벽에 따라서 펌프러너(1)의 토출구(5)로 되돌아가는 유속(流束)을 펌프러너(1)로부터의 토출류와 대향하는 속도성분이 생기지 않도록 편향하는 편향벽(11,12,13,14,15)이 설치되어 있고, 이 편향벽(11,12,13,14,15)은 펌프러너(1)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형의 외측 주면(周面)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펌프.
KR8203904A 1981-11-16 1982-08-30 원심펌프 KR8800014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6182261A JPS5885398A (ja) 1981-11-16 1981-11-16 うず巻ポンプ
JP81-182261 1981-1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306A KR840001306A (ko) 1984-04-30
KR880001488B1 true KR880001488B1 (ko) 1988-08-13

Family

ID=16115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3904A KR880001488B1 (ko) 1981-11-16 1982-08-30 원심펌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079433B1 (ko)
JP (1) JPS5885398A (ko)
KR (1) KR880001488B1 (ko)
DE (1) DE3277927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47398U (ko) * 1985-03-06 1986-09-11
GB2226364B (en) * 1988-12-24 1992-10-28 Skf Gmbh Liquid pump
IT222167Z2 (it) * 1990-10-02 1995-01-24 Zanussi Elettrodomestici Lavastoviglie con pompa centrifuga di circolazione
JP4959424B2 (ja) * 2007-05-31 2012-06-20 勇 青谷 ポンプ装置
JP6671048B2 (ja) * 2015-11-12 2020-03-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ポンプ
KR101893847B1 (ko) * 2016-11-11 2018-08-31 명화공업주식회사 워터펌프
KR102159625B1 (ko) * 2020-01-20 2020-09-25 (주)신한펌프테크 트윈캡형 펌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460397A (fr) * 1965-02-13 1966-11-25 Pompe centrifuge à prise automatique fonctionnant suivant le principe du lavage des cellules du rotor
JPS4513966Y1 (ko) * 1967-06-24 1970-06-1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885398A (ja) 1983-05-21
DE3277927D1 (en) 1988-02-11
EP0079433A1 (en) 1983-05-25
EP0079433B1 (en) 1988-01-07
KR840001306A (ko) 198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7271B1 (ko) 캔드모터펌프
US532048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axial thrust in centrifugal pumps
US3664758A (en) Axial thrust balancing mechanism for motor driven pump
US3881840A (en) Centrifugal pump for processing liquids containing abrasive constituents, more particularly, a sand pump or a waste-water pumper
US4416583A (en) Centrifugal vapor compressor
JPH0735087A (ja) キャンドモータ及び該キャンドモータを用いたポンプ
JPH0658114B2 (ja) 水封型真空ポンプ
KR880001488B1 (ko) 원심펌프
CA2150293C (en) Centrifugal pump
CA1217173A (en) Liquid ring vacuum pump for gaseous media
KR100426146B1 (ko) 전주류형펌프군과그제조방법
KR19990013566A (ko) 혼합류 액체 링 펌프
JPS626119B2 (ko)
US5451147A (en) Turbo vacuum pump
US4131386A (en) Sealing system for centrifugal pump
EP0029895B1 (en) Improved case construction for multi-stage pump
WO2020134511A1 (zh) 压缩机
JPS61190191A (ja) 車両用電動式燃料ポンプ
JPH074380A (ja) 全周流型キャンドモータポンプ
JPH0344236B2 (ko)
JPS63266199A (ja) 遠心形流体機械
JP2519466Y2 (ja) ガスシール型モータポンプ
JPH071037B2 (ja) 吸込側自吸式形の立軸ポンプ
JP2019056344A (ja) 遠心ポンプ
JPH0128237B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