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838B1 - 절환기구 - Google Patents

절환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838B1
KR880000838B1 KR8204716A KR820004716A KR880000838B1 KR 880000838 B1 KR880000838 B1 KR 880000838B1 KR 8204716 A KR8204716 A KR 8204716A KR 820004716 A KR820004716 A KR 820004716A KR 880000838 B1 KR880000838 B1 KR 880000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yoke portion
cam
magnetic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4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2134A (ko
Inventor
겐지 오하라
요시노리 야마모또
마사오 리
히사노리 와따나베
야스오 오사다
Original Assignee
오오가노리오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오가노리오,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오오가노리오
Publication of KR840002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1883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for record carriers inside contain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10Manually-operated control; Solenoid-operated control

Landscapes

  • Electromagnet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절환기구
도면은 본 발명을 테이프 레코더의 모드 절환기구에 적용한 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서,
제1도는 정지모드의 평면도.
제2도는 FWD모드의 절환동작을 설명하는 평면도.
제3도 및 제4도는 전자 프렌저의 스윗칭 효과를 설명하는 평면도.
제5도는 요오크의 변형예를 보이는 평면도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결치기어 4 : 마그넷트
5 : 캠 6 : 구동기어
10 : 전자석 11 : 요오크
15 : 여자용 코일 18 : 헤드기판
22 : 절환레버 26 : 로크레버
32 : 가동철심
이 발명은 예를들어 테이프 레코더나 VTR과 같은 기록재싱 장치에 있어서의 모오드 절환기구에 적용하는데 최적한 것으로서, 특히 결치거어와 이 결치거어에 일체로 설치된 마그넷 및 캠과 상기 결치거어에 대향하여 설치된 구동기어와 상기 마그넷트와 대향하는 요오크부에 여자용 코일이 권회된 전자석을 가지며 상기 코일의 통전시에 상기 마그넷트에 작용하는 인력 혹은 척력에 의하여 상기 결치기어가 구동기어와 교합하여 회전구동되며 상기 캠과 계합하는 절환레버가 변위되어 피제어부재를 비동작 위치로부터 동작위치에 왕동되도록 되어진 절환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 종류의 절환기구에서는 피제어 부재를 동작위치에 로크하기 위해 통상 기계적인 로크 기구를 따로 쓰고 있으며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있다. 또 그로크 해제도 전기적으로 행하여지기 때문에 부재중 녹음을 행하는 경우의 리셋트에도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과 같은 결함을 시정 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리셋트도 용이한 것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테이프 레코더의 모드 절환기구에 적용한 실시예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1도에 있어서(1)은 결치기어이며 주면의 일부에 절결(2)를 가지며 회전축(3)으로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또 이 결치기어(1)에는 S극과 N극이 거의 180°로 대향되어서 착자된 마그넷트(4) 및 거의 선형을 이루는 캠(5)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6)은 결치기어(1)에 대향하여 설치된 구동기어이며 구동축(7)로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도면 밖의 구동모터로 회전 구동되도록 조성되어 있다. (10)은 전자프렌저(전자석)로서 이 요크(11)은 그중 ㄷ자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제1의 자료를 형성하는 제1의 요크부(12)와 그 제1의 자료와 비교해서 자기저항이 높은 제2의 자료를 형성하는 제2의 요크부(13)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또 제1의 자료와 비교하여 제2의 자료의 자기저항을 높게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들면 제1의 요크부(12)와 제2의 요크부(13)의 소재를 변화시키든가 혹은 전단 면적을 변화시키든가 하는 방법이 있다. 그래서 제1의 요크부(12)와 제2의 요크부(13)과의 공통부분(14)에 여과용 코일(15)가 권회되어 있다. 제1의 요크부(12)의 양단(12a) (12b)가 마그넷트(4)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16)은 안정용 철심이며 제1의 요크부(12)의 양단(12a) (12b)의 거의 중간 상당 위치에서 마그넷트(4)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18)은 피제어 부재의 일예인 헤드기판이며 그 상부에는 자기헤드(19)와 핀치롤러(도시하지 않음)등이 취부되어 있다. 이 헤드기판(18)은 화살표 a 및 b 방향으로 왕복동 자재하게 구성되고 있으며 복동용 스프링(20)에 의해서 화살표 b 방향으로 복동부세 되어있다. (22)은 절환레버이며 지점축(23)으로 요동자재하게 지지되고 있다. 그래서 절환레버(22)의 일단(22a)는 캠(5)에 계합되며 타단(22b)는 헤드기판(18)에 일체로 설치된 계합부(24)에 계합되어 있다. (26)은 로크레버이며 지점축(27)에 요동자재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래서 이 로크레버(26)은 스프링(28)에 의해서 화살표 C 방향으로 회동 부세되어 있어서 여기에 설치된 핀(29)를 헤드기판(18)에 설치된 규제부(30)에 당접되어 그 화살표 C 방향의 회동이 규제되고 있다. (32)는 로크베러(26)의 선단에 핀(33)으로서 지지된 가동철심이며 이 가동철심(32)는 제2의 요크부(13)의 양단(13a) (13b)에 대하여 밀착 및 이간 자재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 가동철심(32)가 제2의 요크부(13)의 양단(13a)(13b) 사이에 밀착되면 제2의 요크부(13)에 형성되고 있는 제2의 자료는 제1의 요크부(12)에 형성되어 있는 제1의 자료에 비교해서 자기 저항의 낮은 폐회로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모드 절환기구에 의한 모드 절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테이프 레코더가 STOP 모드에 있어서 전원이 공급되어 있지않은 상태에서는 모터에 의한 구동기어(6)의 구동이 정지되어 있다. 그래서 이 상태에서는 제1도에 보이는 바와같이 결치기어(1)이 절결(2)에 의하여 구동기어(6)에 대향해서 이들은 비교합 상태로 되어있으나 이 상태는 마그넷트(4)의 S극이 안정용 설침(16)에 흡인되는 것에 의하여 안정되어 있다. 즉 이 상태에 있어서 결치기어(1)은 자기력에 의하여 안정(자기적 로크)되어 있으며 기계적으로 안정시키는 것에 비하여 구조가 극히 간단히 되어 있다.
또 이상태에서는 마드넷트(4)의 S극과 N극과의 자료가 제1의 요크부(12)의 양단(12a) (12b)사이를 연결하는 방향에 대하여 거의 직교된 방향에서 안정되고 있어서 이들 S극과 N극과의 극성은 상기양단(12a) (12b)에 대하여 각각 가장멀게 이간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마그넷트(4)의 S극과 N극과의 자극에 의한 제1의 요크부(12)의 양단(12a) (12b)의 자화력은 자장 약한 상태로 되어 있다.
다음에 테프레코더의 전원 스위치가 온 되어서 전원이 공급되며 제1도와 같은 모터에 의해 구동기어(6)이 화살표 d방향으로 회전구동 된다. 다음에 이 상태에서 테프레코더의 FWD 버튼이 눌러지면, 제3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코일(15)에 소정의 전류가 통전되어서 제1의 요크부(12)의 양단에 (12a) (12b)에 N극과 S극과의 자극이 나타난다.
이때에 먼저 상술한 바와같이 제1의 요크부(12)에 의하여 형성되고 있는 제1의 자료에 비교하여 제2의 요크부(13)에 의하여 형성되고 있는 제2의 자료의 자기 저항이 높은 관계에서 제2의 자료에는 자속의 흐름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제3도의 보이는 바와같이 주로 제1의 자료에 자속
Figure kpo00001
1이 흘러서 제1의 요크부(12)의 양단(12a) (12b) 에 N극과 S극과의 자극이 나타난다.
다음에 이때에 제1도의 상태에 있어서 가령 마그넷트(4)의 S극과 N극과의 자극에 의한 제1의 요크부(12)의 양단(12a) (12b)의 자화력이 강하고 그의 양단(12a) (12b)가 S'극과 N'극으로 강하게 자화되어 있다면 상기 자속
Figure kpo00002
1에 의하여 그 양단(12a)(12b)에 상기와 같이 N극과 S을 나타내기 위하여는 그 자화되고 있는 S'극과 N'극을 각각 N극과 S극으로 반전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그래서 이를 위하여는 그 반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자속
Figure kpo00003
1의 자속밀도를 크게 하도록 코일(15)에 큰 전류를 흘릴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마그넷트(4)의 S극과 N극과의 자극에 의한 제1의 요크부(12)의 양단(12a) (12b)의 자화력은 대단히 약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코일(15)에 극히 적은 전류를 흘리는 것만으로서 제1의 요크부(12)의 양단(12a) (12b)에는 N극과 S극과의 자극이 확실히 나타난다. 따라서 코일(15)에 흐르는 전류는 극히 적은 것으로 충분하며 생전력 효과가 대단히 크다.
다음에 제1의 요크부(12)의 양단(12a) (12b)에 N극과 S극의 자극이 나타나면 그 자극과 마그넷트(4)의 S극 및 N극의 자극의 사이에 흡인 및 반발력이 생겨서 결치기어(1)에는 화살표 e방향의 회전력, 즉 기계적 트리거가 발생하고 그 결치기어(1)은 바로 구동기어(6)에 교합된다. 그래서 이후 결치기어(1)은 구동기어(6)에 의하여 연달아서 화살표 e방향으로 회전구동되어서 제1도와 같은 절결(2)가 다시 구동기어(6)에 대향되어서 비교합 상태로 될때까지 1회전 구동된다. 다음에 이때에 결치기어(1)의 화살표 e방향에로의 회전에 수반하여 제2도에 보이는 바와 같은 캠(5)가 동 방향으로 회전되어서 그 캠(5)에 의한 절환레버(22)가 활살표 f방향으로 요동되어 헤드기판(18)이 스프링(20)에 대항하여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제1도의 비동작위치로부터 제2도의 동작위치에 왕동된다. 또 헤드기판(18)이 동작 위치에 왕동되는 것에 의하여 자기헤드(19)가 테이프에 접촉되며 펀치 롤러가 캡스턴(어느것도 도시하지 않음)에 압착되어서 FWD모드로 절환된다. 다음에 이때에 헤드기판(18)의 왕동에 수반하여 로크레버(26)이 스프링(28)에 의하여 화살표 C방향으로 회동되어서 가동철심(32)가 비보유 위치로부터 제2도의 보유위치에 왕동된다. 그래서 헤드기관(18)이 왕동위치에 왕동된때에 가동철심(32)가 제2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2의 요크부(13)의 양단(13a) (13b)사이에 밀착된다. 그래서 가동철심(32)가 제2의 요크부(13)의 양단(13a) (13b)사이에 착칙되면 제4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그 제2의 요크부(13)에 의한 제2의 자료는 제1의 요크부(12)에 의한 제1의 자료에 비교하여 자기저항이 낮은 폐자로 에로 절환된다. 이 결과 자속의 흐름이 제1의 자로로부터 제2의 자로에 절환되어서 이제까지 제1의 자로에 흐르고 있던 자속
Figure kpo00004
1이 거의 흐르지 않게되고 제4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주로 제2의 자로에 자속
Figure kpo00005
2가 흐르도록되어서 자기적인 스위성 효과가 발생한다.
이상에 의하여 자속
Figure kpo00006
1에 의한 결치기어(1)의 회전 부세력은 거의 소멸하고 결치기어(1)은 제1도의 비교합상태에서 마그넷트(4)의 S극과 안정용 철심(16)에 의한 흡입력에 의하여 다시 안정하는 한편 자속
Figure kpo00007
2에 의해 가동철심(32)는 제2의 요크부(13)에 흡착되어서 그 보유 위치에서 보유된다. 또 이때 제2의 자로는 이미 페자료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코일(15)에 흐르는 전류가 극히 적어도 가동철심(32)는 제2의 요크부(13)에 강하게 흡착되어서 그 보유 위치에서 강고하게 유지(자기적 로코)된다. 즉 이때 제2의 자료를 흐르는 자속
Figure kpo00008
2의 흡립력에 의하여 가동철심(32)를 요크부(13)에 흡인하여 밀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강한 흡인력이 필요하므로 이 자속
Figure kpo00009
의 자속밀도를 크게 하기 위하여 코일(15)에 큰 전류를 흘릴 필요가 있으나 가동철심(32)는 헤드기판(18)의 왕동에 운동된 로크레버(26)에 의해서 기계적으로 왕동되어서 제2의 요크부(13)의 양단(13a) (13b)에 밀착되는 구조에 있으므로 자속
Figure kpo00010
2에 의한 상기 흡입력은 전혀 불필요하며 코일(15)에는 극히 적은 전류를 흘리면 좋다. 또 최초코일(15)에 큰 전류를 흘려서 자속
Figure kpo00011
2에 의한 흡인력에 의하여 가동철심(32)를 제2의 요크부(13)에 흡인하여 밀착하고 다음에 이후에 코일(15)에 흐르는 전류를 작게하는 것도 생각되나 이 경우는 회로의 절환(스위칭 동작)이 필요하게 되며 구조가 대단히 복잡하게되나 이 모드 절환기구근 그 필요가 전혀없다.
그래서 가동철심(32)가 유지 위치에서 보유(자기적 로크)되는 것에 의하여 로크레버(26)을 거쳐서 헤드기판(18)이 동작위치에 로크된다. 이상에 의하여 FWD 모드에의 절환을 위한 일련의 동작이 완료되나 STOP 버튼이 눌려지면 코일(15)에의 통전이 절단되고 제2의 요크부(13)에 의한 가동철심(32)의 흡착이 해제되는 것에 의하여 헤드기판(18)이 스프링(20)에 의하여 비동작 위치에 복동됨과 동시에 헤드기판(18)에 의해 규제부(30), 핀(29)를 거쳐서 로크레버(26)도 스프링(28)에 대항하여 비보유 위치에 복동된다.
그런데 이상 기술한 모드 절환기구에 의하면 헤드기판(18)의 동작위치에서의 로크를 전기적으로 행하고 있으므로 전원을 절단함에 의하여 바로 그 로크를 해제할 수가 있다. 따라서 부재중 녹음을 행하는 경우의 리셋트 동작등이 대단히 용이한 등 부재중 녹음용에 최적의 것이다. 다음에 제5도는 변형예를 보인것으로서 상기 제1의 요크부(12)의 양단 (12a) (12b)가 상기 마그넷트(4)의 회전 중심에 향하도록 거의 八자상으로 굴곡시키고 또 이들의 양단(12a) (12b)가운데 어느 것이든 일방만 [예하면(12a)]를 마그넷트(4)에 근접시켜서 배치시킨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상기 결치기어(1)이 절결(2)에 의하여 상기 구동구어(6)에 대향한 비교합 상태에 있어서 마그넷트(4)의 예를 들면 N극이 제1의 요크부(12)의 예를 들면 일방끝(12a)에 흡인되어서 안정되는 것으로 되며, 안정용 철심(16)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 기타의 동작을 제1도의 것과 똑같은 모양이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FWD-STOP의 모드절화 기구에 관해 기술했으나 상기 캠(5)에 계합되는 절환레버(22)를 각종 절환 기구의 피제어 부재에 연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FF, REW, REC, AMS, 리버스 포오스 등의 각종모드 절환기구에 적용가능하다. 또 이 모드 절환 기구나 스위칭형 전자 프렌저(10)은 기록 재생장치 이외에도 가능하다.
이 발명은 상술과 같이 결치기어와, 이 결치기어에 일체로 설치된 마그넷트 및 캠 부재와 상기 결치거어에 대향하여 설치된 구동기어와 상기 마드넷트와 대향하는 요크부에 여자용 코일이 권회된 전자석을 가지며 상기 코일의 통전시에 상기 마그넷에 작용하는 흡인력 혹은 반발력에 의하여 상기 결치기어가 구동기어와 교합하여 회전구동되며 상기 캠 부재와 계합하는 절환 레버가 변위되어서 피제어부재를 비작동위치로부터 작동위치에 왕동되도록된 절환 기구에 있어서 상기 피제어 부재를 비작동위치에 복동 부세하는 부세수단과, 상기 피제어 부재의 비동작위치로부터 동작위치에의 왕동에 의하여 비보유위치로부터 보유위치에 왕동시키는 가동 철심을 가지며, 상기 가동철심은 상기 보유위치에서 상기 요크부의 일부에 당점한 상태에서 상기 코일의 통전에 의하여 흡착보유되어서, 상기 피레어 부재를 상기 부세 수단에 대항하여 동작위치에 보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절환기구이다.
따라서 이 발명에 의하면 결치기어를 구동기어에 교합시키기 위한 기계적 트리거 발생수단과, 피제어 부재를 동작위치에서 로크하기 위한 로크 수단과의 2개의 기능을 전자식에 가지게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서 구조가 대단히 간단한 것이다. 더욱이 피제어 부재를 동작위치에서 전기적으로 로크할 수가 있으므로 전원을 절단하는 것만으로 상기 로크를 해제하여 바로 리셋트 상태에 복귀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부재중 녹음에 최적한 것이 얻어진다.

Claims (1)

  1. 결치(決齒)기어와 결치기어에 일체로 설치된 마그넷트 및 캠과 상기 결치기어에 대향해서 설치된 구동기어와, 상기 마그넷과 대향하는 요오크부에 여자용 코일이 권회된 전자석을 가지며, 상기 코일의 통전시에 상기 마그넷트에 작용하는 흡인력 혹은 반발력에 의해서 상기 결치기어가 구동기어와 교합하여 회전구동되고 상기 캠과 계합하는 절환 레버가 변위되어 피제어 부재를 비동작위치로 부터 동작위치에 왕동시키도록 되어진 절환기구에 있어서, 상기 피제어 부재를 비동작위치에 복동 부세하는 부세수단과 상기 피제어 부재의 비동작위치로부터 동작위치에의 왕동에 의하여 비보유위치로부터 보유위치에 왕동시키는 가동철심을 가지며 상기 가동철심은 상기 보유위치에서 상기 요오크부의 일부에 당접한 상태에서 상기 코일의 통전에 의해 흡착보유되어서 상기 피제어 부재를 상기 부세수단에 대항해서 동작위치에 보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절환기구.
KR8204716A 1981-10-21 1982-10-20 절환기구 KR8800008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68075 1981-10-21
JP56-168075 1981-10-21
JP56168075A JPS5870448A (ja) 1981-10-21 1981-10-21 切換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134A KR840002134A (ko) 1984-06-11
KR880000838B1 true KR880000838B1 (ko) 1988-05-14

Family

ID=15861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4716A KR880000838B1 (ko) 1981-10-21 1982-10-20 절환기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568989A (ko)
JP (1) JPS5870448A (ko)
KR (1) KR880000838B1 (ko)
AT (1) AT376317B (ko)
CA (1) CA1203021A (ko)
DE (1) DE3238715A1 (ko)
FR (1) FR2514928B1 (ko)
GB (1) GB2108751B (ko)
NL (1) NL19099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1458A (ja) * 1982-02-15 1983-08-22 Toshiba Corp テ−プレコ−ダの駆動機構
JPS58171748A (ja) * 1982-03-31 1983-10-08 Sony Corp テ−プレコ−ダのモ−ド切換機構
JPS6044235U (ja) * 1983-08-30 1985-03-28 株式会社ゼロエンジニアリング カム作動機構
DE3401691C1 (de) * 1984-01-19 1985-03-14 Philips Patentverwaltung Gmbh, 2000 Hamburg Schaltmechanismus fuer das Laufwerk eines Magnetbandkassettengeraetes
US4717983A (en) * 1984-04-06 1988-01-05 Clarion Co., Ltd Device for operating a plunger in a tape player
NL8402145A (nl) * 1984-07-06 1986-02-03 Philips Nv Magneetbandcassetteapparaat met een servoorgaan.
NL8402637A (nl) * 1984-08-30 1986-03-17 Philips Nv Magneetbandcassetteapparaat met een servoinrichting.
DE3714702A1 (de) * 1987-05-02 1988-11-17 Philips Patentverwaltung Vorrichtung zum verstellen eines funktionsteiles in einem elektrischen geraet
KR100467417B1 (ko) * 2002-08-09 2005-01-24 송유철 윤활유 자동 주유장치
JP7288415B2 (ja) 2020-03-23 2023-06-07 株式会社東芝 電力増幅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6263A (en) * 1974-10-29 1976-08-24 Technical Incorporated Operating system in a magnetic tape reproducer and recorder
DE2832753A1 (de) * 1977-07-29 1979-02-08 Hauser Raimund Einrichtung zur anhaltung, fixierung o.dgl. bewegter bauteile
JPS5443704A (en) * 1977-09-14 1979-04-06 Sony Corp Operation change-over device
JPS5923238Y2 (ja) * 1978-10-25 1984-07-11 ソニー株式会社 操作切換装置
JPS606025B2 (ja) * 1979-05-21 1985-02-15 ソニー株式会社 切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514928A1 (fr) 1983-04-22
NL8204078A (nl) 1983-05-16
CA1203021A (en) 1986-04-08
KR840002134A (ko) 1984-06-11
GB2108751B (en) 1985-04-03
FR2514928B1 (fr) 1986-04-11
DE3238715A1 (de) 1983-04-28
NL190998B (nl) 1994-07-01
DE3238715C2 (ko) 1991-10-17
JPS6360453B2 (ko) 1988-11-24
ATA386582A (de) 1984-03-15
NL190998C (nl) 1994-12-01
JPS5870448A (ja) 1983-04-26
AT376317B (de) 1984-11-12
GB2108751A (en) 1983-05-18
US4568989A (en) 1986-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0838B1 (ko) 절환기구
US6836201B1 (en) Electrically driven bistable mechanical actuator
US4868695A (en) Head/arm lock mechanism for a disk drive
KR840004283A (ko) 테이프 레코더의 모드 절환기구
US4286244A (en) Electromagnetic actuator for a latch relay
US8851768B1 (en) Shutter with power-free blade return
US4313142A (en) Mode changing apparatus for a tape recorder
US4433273A (en) Camera motor belt drive system
US9281733B2 (en) Shutter with bistable actuator having power-free magnetic blade return
JP3099207B2 (ja) 電磁弁
JPS5868912A (ja) スイツチング型電磁プランジヤ
JPS632145A (ja) テ−プレコ−ダにおける動作切換機構
JPS6230187Y2 (ko)
JP3269705B2 (ja) 揺動型アクチュエータ
JPH0467477A (ja) 磁気ディスク装置のキャリッジロック機構
JPS63206153A (ja) リニアパルスモ−タ
JPH0446359Y2 (ko)
JPH0317335Y2 (ko)
JP2584887Y2 (ja) カメラ用シャッタ装置
JPS6213319Y2 (ko)
JP3965231B2 (ja) カメラ用シャッタ装置
JPH0343682Y2 (ko)
JPH02150002A (ja) 電磁作動器及びヨーク
JPH0412785Y2 (ko)
JPH057713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