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761B1 - 이소부티르알데히드로부터 메타크릴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소부티르알데히드로부터 메타크릴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761B1
KR880000761B1 KR8200897A KR820000897A KR880000761B1 KR 880000761 B1 KR880000761 B1 KR 880000761B1 KR 8200897 A KR8200897 A KR 8200897A KR 820000897 A KR820000897 A KR 820000897A KR 880000761 B1 KR880000761 B1 KR 880000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alyst
isobutyraldehyde
methacrylic acid
composition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0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8972A (ko
Inventor
에리크 페더센 스밴드
프랑크 와그너 루이스
파파리조스 크리스토스
Original Assignee
랠리 윌리암 에반스
더 스탠다드 오일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랠리 윌리암 에반스, 더 스탠다드 오일 캄파니 filed Critical 랠리 윌리암 에반스
Publication of KR830008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8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7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7/00Unsaturated 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002Mixed oxides other than spinels, e.g. perovski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7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 B01J23/76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combined with metals, oxides or hydroxides provided for in groups B01J23/02 - B01J23/36
    • B01J23/84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combined with metals, oxides or hydroxides provided for in groups B01J23/02 - B01J23/36 with arsenic, antimony, bismuth, vanadium, niobium, tantalum, polonium, chromium, molybdenum, tungsten, manganese, technetium or rhenium
    • B01J23/85Chromium, molybdenum or tungsten
    • B01J23/88Molybdenum
    • B01J23/887Molybdenum containing in addition other metals, oxides or hydroxides provided for in groups B01J23/02 - B01J23/36
    • B01J23/8877Vanadium, tantalum, niobium or polo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7/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r compounds of halogens, sulfur, selenium, tellurium, phosphorus or nitrogen; Catalysts comprising carbon compounds
    • B01J27/14Phosphorus; Compounds thereof
    • B01J27/186Phosphorus; Compounds thereof with arsenic, antimony, bismuth, vanadium, niobium, tantalum, polonium, chromium, molybdenum, tungsten, manganese, technetium or rhenium
    • B01J27/195Phosphorus; Compounds thereof with arsenic, antimony, bismuth, vanadium, niobium, tantalum, polonium, chromium, molybdenum, tungsten, manganese, technetium or rhenium with vanadium, niobium or tantalum
    • B01J27/198Vanadium
    • B01J27/199Vanadium with chromium, molybdenum, tungsten or pol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 C07C51/16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by oxidation
    • C07C51/21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by oxidation with molecular oxygen
    • C07C51/23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by oxidation with molecular oxygen of oxygen-containing groups to carboxyl groups
    • C07C51/235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by oxidation with molecular oxygen of oxygen-containing groups to carboxyl groups of —CHO groups or primary alcohol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523/00Constitutive chemical elements of heterogeneous catalys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Catalysts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이소부티르알데히드로부터 메타크릴산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촉매작용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한편으로는 이소부티르알데히드를 메타크릴산으로 산화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산화반응용 촉매로서 여러가지 산화 조성물을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이소부티르알데히드를 메타크릴산으로 산화시키는 방법은 공지되어 있다. 마쓰모도(MATSUMOTO)등의 독일연방공화국 특허원 제 3,001,911호에는 하기 일반식을 갖는 촉매로서 헤테로풀리산 또는 헤테로폴리산과 이의 염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증기상에서의 산화반응이 기술되어있다.
MO V P X Y O (Ⅱ)
상기식에서,
X는 구리, 주석, 토륨등을 포함하는 다수개의 다른 원소중의 어느 하나이고 Y(임의적이다)는 칼륨, 루비듐, 세슘, 탈륨중의 하나이다.
다른 특허문헌으로는 일본국 특허 제3,082,715호, 일본국 특허원 제124,210/78호 및 제149,611/75호, 제14,285/72호, 제12,011/75호, 제28,001/71호, 제124,211/78호 및 제078,112/48호 및 미합중국 특허 제4,146,574호가 있다. 이들 특허의 대부분은 이소부티르알데히드로 부터 메타크릴산의 제조에 관한 것이며, 약간은 이들보다 우수한 것이다. 인용 참증 문헌중에서 독일연방공화국 특허원 제3,001,911호 및 일본국 특허원 제124,210/78호, 제149,611/75호 및 제124,211/78호만이 주요 생성물로서 메타크릴산을 개시하고 있으며, 독일연방공화국 특허원만이 수율 60% 이상으로 생성되는 메타크릴산의 적어도 한예를 개시하고 있다. 이와같이, 본 기술분야는 새롭고 보다 효율적인 방법이 개발되어야 할 여지가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이소부티르알데히드로는 하기 일반식을 갖는 촉매량의 조성물의 존재하에 산화상태에서 기체상 이소부티르알데히드를 산소분자와 접촉시킴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메타크릴산으로 산화된다.
Mo12P0.1-3Cu0.01-2V0.01-3Mo0.1-3M'0.01-2Ox
상기식에서, M는 K, Rb, Cs및 T1중의 적어도 하나이고, M'는 Be, Mg, Ca, Sr, Ba, Nb및 Sb중의 적어도 하나이며, X는 존재하는 다른 원소중의 원자가 조건을 만족시키는 양의 수이다. 이 방법은 비교적 소량의 산화 탄소 부산물을 사용하여 이소부티르알데히드를 선택성이 양호한 메탈크릴산으로 잘 전환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촉매 :
일반식(1)로 부터 알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된 촉매 조성물은 적어도 7개 원소 물질, 예를 들면, 몰리브덴, 인, 구리, 바나듐, 및 알카리금속 또는 탈륨(M), 적어도 하나의 금속 M', 및 산소를 모두 균등량 함유하는 물질이다. 바람직하게는 일반식(Ⅰ)에서 인의 아래에 쓴 숫자는 약 0.8내지 1.5, 구리의 경우는 약 0.2내지 0.8 바나듐의 경우는 약 0.2내지 0.8, M의 경우는 약 1내지 3, M'의 경우는 0.1내지 1.5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바람직한 촉매는 M이 칼륨, 루비듐, 세슘중의 적어도 하나이고, M'가 안티몬, 바륨,니오븀중의 적어도 하나인 촉매이다. 이들 바람직한 촉매, 특히 M가 칼륨 또는 세슘인 촉매는 놀라울정도로 우수한 이소부티르알데히드 전환율 및 메타크릴산 선택도를 나타낸다.
일반식(Ⅰ)에서 보여준 바와 같이, 특정의 성분은 두개 이상 성분의 결합물일 수 있으며, 예를들면, M'는 바륨과 니오븀의 결합물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아래에 쓴 숫자는 원자들의 합(예를들어, M'의 경우, 바륨과 니오븀의 합이 약 0.01 내지 2범위의 수이다)이다. 일반적으로 M 및 M'는 각각의 하나의 원소만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특히 바람직한 촉매 조성물은 M이 칼륨 또는 세슘이고, M'가 안티몬, 바륨 및/또는 니오븀이며 M의 아래에 쓴 숫자는 적어도 1인 산화 조성물이다.
여기에서 사용된 촉매의 정확한 구조 또는 원소배열은 공지되어 있지는 않았지만, 금속 및 인 성분은 이들의 산호물, 산 또는 산화물 또는 옥시산 착물의 형태로 존재한다. 그러나, 일반식(Ⅰ)의 조성물은 이들 성분의 물리적인 혼합물이 아니라 촉매 조성물로 알려져 있으며, 개개이 성분들은 화학적 및/또는 물리적으로 서로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촉매 조성물은 지지 또는 지지되지 않은 100%활성 형태 또는 희석 형태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적당한 지지물질은 실리카, 티타니아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실리콘 카바이드, 보론, 여러가지 인산염 등을 포함하는데, 작은 표면적(약1㎡/g)의 알루미나가 바람직한 지지물질이다. 지지체를 사용하는 경우, 촉매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지지체와 촉매 조성물의 결합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적어도 약 10중량%의 량으로 존재하고 바람직하게는 30중량%의 량으로 존재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촉매 조성물은 여러가지 다른 방법중의 어느하나로 제조할 수 있는데, 여기서 사용된 특수한 방법은 편리상의 문제이다. 대표적으로, 촉매는 수성 혼합물중에 적합한 비율로 적당한 촉매성분을 혼합하고 혼합물의 pH를 약 4내지 7로 조절하고, 생성된 수성 슬러리를 건조시킨 다음 생성물을 소성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촉매 성분은 제조도중 어떠한 단계에서도 첨가할 수 있으나, 인(일반적으로, 인산의 형태)을 첨가하기 전에 금속성분을 혼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서 사용된 성분은 산화물, 할라이드, 질산염, 아세테이트 또는 첨가된 특수한 금속 또는 원소의 다른염일 수 있으며, 금속 성분의 수용성염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지지물을 사용할 경우, 지지물을 함유하는 물질은 다른 성분과 함께 촉매중에 혼입될 수 있거나 촉매 조성물은 지지체 코어상에/또는 내로 피복 및/또는 함침될 수 있다. 촉매성분을 결합시켜 수성 슬러리를 형성시킨후, 슬러리를 건조시키고, 수득된 건조 고체를 공기, 질소, 산화질소, 또는 이들 가스중 2개 이상의 혼합물의 존재하에 소성을 수행하기에 충분한 온도에서 가열한다. 이러한 소성(calcination)은 촉매반응기 밖에서 실시하거나 동일반응계내에서 활성화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제조방법은 당해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이소부티르알데히드의 산화 :
일반식(Ⅰ)의 조성물은 이소부티르알데히드를 메타크릴산으로 산화시키는데 아주 효과적인 촉매이다. 이들 촉매 조성물은 이러한 산화용 촉매로서 알려진 촉매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된다. 반응은 일반적으로 상승온도에서 촉매량의 촉매 존재하에 가스상 이소부티르알데히드를 산호분자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공지 방법의 예로서는 약 250내지 약 400℃, 바람직하게는 약 270° 내지 약 360℃,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00 내지 약 350℃의 온도에서 스팀의 존재하에 가스상 이소부티르알데히드를 산소분자와 접촉시키는 방법이 있다. 반응물의 비는 광범위하게 변위할수 있으며, 이때 산소분자 대 이소부티르 알데히드의 몰비 약 1 : 5가 대표적이다. 또한 스팀의 양은 반응에서 발생되는 소량으로부터 이소부티르알데히드의 몰당 스팀 20몰 이상까지 광범위하게 변할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소부티르알데히드의 몰당 스팀 약 1내지 10몰이 반응공급물중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특정실시 태양에서, 다른 가스(주로 질소, 산소, 이산화탄소 및 일산화탄소)는 스팀과 함께 또는 스팀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산소분자는 공기처럼 가장 편리하게 첨가된다.
산호반응은 대기압, 초대기압 또는 아대기압을 사용하여 어떠한 종류의 반응기, 예를들어 고정상, 유동상 또는 트랜스터-라인(transfer-line)으로 수행할 수 있다. 촉매상에서 반응물의 접촉시간은 수분의 1초 내지 20초 이상으로 변할수 있으며, 정확한 시간은 다른 반응조건, 예를들면 촉매조성물, 공급조성물, 온도, 압력, 반응기 형태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다음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양태이 예이다. 별도 언급이 없는 한 모든 부와 %는 중량부 및 중량%이며 다음 용어는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된다.
IBA=이소부티르알데히드
MMA=메탈크릴산
MA=메타크로레인
VVH-1=시간당 촉매의 용적당 IBA의 용적
실시예의 촉매에서 산소밑에 쓴 숫자 “X”는 촉매의 다른 원소의 원자비 및 원자가이다.
촉매제조
다음 실시예에서 사용된 촉매는 증류수에 암모늄 헵타몰리브데이트를 교반하며 용해시키고, 생성된 용액을 30°내지 35℃로 가열하여 제조한다. 용액을 계속적으로 교반하고 이의 온도를 유지시키면서 알칼리금속 수산화물 및 M'의 수산화물을 첨가한다. 15분후, 구리아세테이트와 암모늄 메타바나데이트의 수용액을 연속적으로 첨가하고 진한 염산 5ml를 첨가한다. 그후 이 혼합물을 70℃로 가열하고, 약 2시간동안 이 온도에서 교반 시킨다. 실온으로 냉각시킨후 인산을 첨가하고 암모늄 수산화물을 사용하여 혼합물 pH를 약 5.6으로 조절한다. 이 혼합물을 가열판상에서 교반하여 건조 증발시키고 생성된 고체를 110℃에서 철야 건조시킨다. 고체 물질을 스크린하고 50메쉬체(미국표준)를 통과한 미세한 분말을 사용하여 지지물을 피복시킨다. 이 분말을 1/8 in Alundum(R)구(알루미나지지체)상에 피복시켜 분말피복물(촉매)이 피복된 구의 약 35중량%가 되도록 한다. 물을 습윤제로서 Alundum(R)의 약 4중량%량으로 사용한다.
대조실시예에 사용된 촉매는 어떤 원소를 조성물에 첨가하거나 제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거의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다.
제조방법과 조건
반응은 슈트케이스 쟈켈 히타(suitcase jacket heater)가 부착되고 20CC하향 고정상 반응기 내에서 수행된다. 모든 실시예은 같은 방법으로 수행된다. 110℃오븐에서 철야 건조시킨후, 첫번째로 촉매를 340℃에서 2시간동안 노출시킨 다음 370℃에서 기류로 한시간동안 노출시킨다. 두번째로 반응기의 온도를 약 320℃로 감소시키고 촉매를 공급물(충진가스)에 노출시킨다. 단시간 안정화시킨후, 반응 진행의 모니터링을 장시간에 걸쳐 시작한다. 오프-개스(off-gas)유출물을 소우프-필름 미터(soap-film 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오프-개스 조성물은 carleⅢ 개스 크러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각 시료의 모든 스크러버 액체(scrbber liquid)를 증류수를 사용하여 약 200g으로 희석시킨다. 일정량의 발레르산을 희석용액의 10% 분취 액중에 내부 표준품으로서 사용한다. 이어서 1마이크로리터 시료는 플레임 이온화 검사기(flame ionization detector)와 FF폴리에스테르 컬럼 60/80체가 부착된 Hewlett-Packard Model 5710 A 개스 크로마토그래피에서 분석한다. 여러 산 중에서의 스플릿(split)은 개스 크로마토그래피 분석기로부터 측정된다. 이들 실험의 공정조건과 결과는 표 1에 수록되어 있다.
[표 1]
이소부티르알데히드 산화I
Figure kpo00001
1. 모든 시료 및 대조실시예에 대기압이 사용되고, IBA의 전환은 필수적으로 100%이며 VVH-1은 약 33이고 접촉시간 2.35 내지 2.40(예외 : 실시예 1은 2.28, 실시예 12는 1.58, C-1은 2.20)이다.
2. 충진개스(IBA/공기/H2O/N2)도입부터 시료 추출까지 측정된 시간
3. 반응기내에 실제온도는 작은 발열반응에도 기인한다.
4. PPC(Per Pass Conversion)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실시예 1내지 4는 M성분의 정의에서만 다른 여러가지 촉매사용을 나타낸다. 이것은 특히 우수한 결과를 입증하는 실시예 1및 3의 촉매를 사용하여 PPC의 MMA로의 우수한 결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C-1 및 C-2는 M성분이 없는 촉매(C-1) 및 M성분으로서 나트륨을 함유한 촉매(C-2)의 결과를 보여주는 대조 실시예이다. 데이타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내지 4의 PPC는 일반적으로 실시예 C-1보다 우수하며 C-2보다는 더욱 우수하다(실시예 4와 C-1간의 PPC차이는 온도차에 기인된다고 믿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높은 PPC를 가져온다). 상기 데이타에서는 나타나지 않지만 M성분을 함유하는 촉매는 M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촉매보다 긴 수명을 가지고 있다.
실시예 5내지 8은 촉매 수행성에 대한 M성분 농도의 효과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M의 하부 첨가수는 약 1.5가 가장 바람직하다(실시예 7 및 실시예 3은 동등하다).
실시예 9내지 13은 M'성분 정의와 다른 촉매의 사용을 나타낸다. 예외적으로 양호한 수행성을 나타내는 Sb 및 Nb/Ba를 함유하는 촉매를 갖는 실시예 9내지 13은 매우 우수한 성능을 나타낸다.
[실시예 14]
본 발명에 사용된 촉매 수행성에 대한 온도의 효과를 나타내기 위하여, 하기 실험식의 촉매를 갖는 실시예 1 내지 13및 C-1 및 C-2의 방법을 반복한다.
Mo12P1.33Cs1.5Cu0.25V0.25Ba0.1Ox
단시간 안정화시킨후 촉매를 하기 조건하에 약 308 내지 314℃의 온도에서 약 22시간동안 충진개스에 노출 시킨다 :
IBA/공기/H2O/N2(몰) -1 : 10.1 : 7.5 : 1.55
VVH-1-33.3
압력 -대기압
약 22시간후, 쟈켓의 온도는 점차적으로 약 270℃로 내려가고, 이어서 단계에 따라 약 350℃의 최대 온도로 천천히 상승된다. 결과는 표Ⅱ에 수록되어 있다.
[표 2]
이소부티르알데히드 산화에 대한 온도의 효과
Figure kpo00005
* 전환 IBA=100% : MMA 및 MA수율은 표1에서처럼 계산된다.
표Ⅱ에 데이타에서 알수 있듯이, 300℃이하의 공정온도가 MA의 제조에 적합하지만 특수한 촉매 및 일정조건에 대해 340℃이상의 공정온도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더구나, 온도가 높을 수록 더 많은 폐기가스(CO+CO2)가 생성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지만, 이들 실시예는 단지 예시할 목적으로 기술한 것이며 당해 기술분야의 전문가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변화 및 개량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식 할 것이다.

Claims (10)

  1. 가스상 이소부티르알데히드를 다음 일반식을 갖는 촉매량의 조성물의 존재하에 산화상태에서 산소분자와 접촉시킴을 포함하여 이소부티르알데히드의 산화에 의해 메타아클릴산을 제조하는 방법.
    Mo12P0.1-3Cu0.01-2V0.01-3M0.1-3M0.1-3M'0.01-2Ox (Ⅰ)
    상기식에서,
    M는 K, Rb, Cs 및 T1중의 적어도 하나이고, M'는 Mg, Ca, Sr, Ba, Nb 및 Sb중의 적어도 하나이며, X는 존재하는 다른 원소의 원자가 요건을 만족시키는 양의 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M이 K, Rb 또는 Cs인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M'가 Sb, Ba 및 Nb중의 적어도 하나인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일반식(Ⅰ)에서 인의 아래에 쓴 숫자는 약 0.8내지 1.5, 구리의 경우는 약 0.2 내지 0.8, 바나듐의 경우는 약 0.2 내지 0.8, M의 경우는 약 1 내지 3, M'의 경우는 약 0.1 내지 1.5인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일반식(Ⅰ)의 조성물을 지지체와 함께 사용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접촉을 약 250°내지 약 400℃에서 수행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접촉을 약 300°내지 약 350℃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스팀의 존재하에 수행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O2분자 대 이소부티르알데히드의 몰비가 약 1 내지 5인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지지체가 낮은 표면적을 갖는 알루미나인 방법.
KR8200897A 1981-03-02 1982-03-02 이소부티르알데히드로부터 메타크릴산의 제조방법 KR8800007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39756 1981-03-02
US06/239,756 US4358610A (en) 1981-03-02 1981-03-02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methacrylic acid from isobutyraldehy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8972A KR830008972A (ko) 1983-12-16
KR880000761B1 true KR880000761B1 (ko) 1988-05-06

Family

ID=22903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0897A KR880000761B1 (ko) 1981-03-02 1982-03-02 이소부티르알데히드로부터 메타크릴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358610A (ko)
EP (1) EP0060066B1 (ko)
JP (1) JPS57144238A (ko)
KR (1) KR880000761B1 (ko)
CA (1) CA1167866A (ko)
DE (1) DE3265141D1 (ko)
ES (1) ES83026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8029A (en) * 1982-09-13 1985-12-10 The Standard Oil Company Antimony-containing C4 oxidation catalysts
US5198579A (en) * 1990-11-14 1993-03-30 Mitsui Toatsu Chemicals, Inc. Catalyst for oxidizing methacrolein and method for preparing methacrylic acid
US6534435B1 (en) * 2001-09-26 2003-03-18 Council Of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Process for in situ synthesis of supported heteropoly acids and salts thereof
US8178718B2 (en) * 2007-02-05 2012-05-15 Saudi Basic Industries Corporation Catalyst for oxidation of saturated and unsaturated aldehydes to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ethod of making and method of using thereof
CN111939952B (zh) * 2020-08-21 2022-04-19 中国科学院兰州化学物理研究所 一种多级孔催化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5244A (en) * 1973-11-22 1978-02-21 Nippon Zeon Co. Ltd. Process for preparing methacrylic acid
JPS52138499A (en) * 1976-05-17 1977-11-18 Mitsubishi Chem Ind Ltd Production of heteropolyacid
DE2962547D1 (en) * 1978-05-31 1982-06-03 Nippon Kayaku Kk A process for producing methacrolein and methacrylic acid
JPS552619A (en) * 1978-06-21 1980-01-10 Nippon Kayaku Co Ltd Preparation of methacrylic acid and catalyst
YU41495B (en) 1979-01-23 1987-08-31 Nippon Kayaku Kk Process for obtaining methacrolein and methacrylic acid
JPS578015A (en) * 1980-06-12 1982-01-16 Hanazono Kogu Kk Automatic cut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060066A1 (en) 1982-09-15
EP0060066B1 (en) 1985-08-07
ES509383A0 (es) 1983-01-16
JPH0349898B2 (ko) 1991-07-31
DE3265141D1 (en) 1985-09-12
ES8302621A1 (es) 1983-01-16
US4358610A (en) 1982-11-09
KR830008972A (ko) 1983-12-16
JPS57144238A (en) 1982-09-06
CA1167866A (en) 1984-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751311A3 (ru) Катализатор дл окислени метакролеина до метакриловой кислоты
KR840000986B1 (ko) 메타크롤레인 산화용 촉매 조성물
US4051180A (en) Preparation of acrylic acid and methacrylic acid
KR840000412B1 (ko) 개량된 안티몬-기본 산화 촉매 조성물
KR930008085B1 (ko) 메타크릴산 제조용 촉매의 제조방법
KR0144645B1 (ko) 메타크릴산 제조용 촉매
EP0027351A1 (en) Oxidation catalyst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methacrolein by vapour phase oxidation
US4558029A (en) Antimony-containing C4 oxidation catalysts
EP0127942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crylonitrile or methacrylonitrile
JPS5827255B2 (ja) 不飽和脂肪酸の製造方法
US4440948A (en) Process for preparing methacrylic acid
KR840000985B1 (ko) 비스무스―함유 메타크롤레인 산화용 촉매조성물
US4307247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unsaturated acids and esters
US4017547A (en) Oxidation of p-xylene to terephthalaldehyde
AU612368B2 (en) Organic acids from alkanols
KR880000761B1 (ko) 이소부티르알데히드로부터 메타크릴산의 제조방법
US4113768A (en) Preparation of acrylic or methacrylic acid from acrolein or methacrolein
US4446328A (en) Process for producing methacrolein
US4347163A (en) Te-containing methacrolein oxidation catalysts and their use
US4314075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olefinic acids and esters
EP0337028B1 (en) Ammoxidation of paraffins and catalysts therefor
US4338463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unsaturated acids and esters
EP0102688A1 (en) Catalysts, their preparation and use in vapour phase oxidation of unsaturated aldehydes
US4408071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carboxylic acids
US4374293A (en) Indene production from aromatic olefi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