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678B1 - 교류 전압에 응답하는 직류 제어 전압 발생 스위칭 장치 - Google Patents

교류 전압에 응답하는 직류 제어 전압 발생 스위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678B1
KR880000678B1 KR8202489A KR820002489A KR880000678B1 KR 880000678 B1 KR880000678 B1 KR 880000678B1 KR 8202489 A KR8202489 A KR 8202489A KR 820002489 A KR820002489 A KR 820002489A KR 880000678 B1 KR880000678 B1 KR 880000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ontrol voltage
switching device
operating state
storage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2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1023A (ko
Inventor
프뢴즈케 율겐
Original Assignee
플로렌쯔 뮐러-마헨스·로베르트 아인젤
텔레풍켄 페른제 운트 룬트풍크 게엠바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플로렌쯔 뮐러-마헨스·로베르트 아인젤, 텔레풍켄 페른제 운트 룬트풍크 게엠바아 filed Critical 플로렌쯔 뮐러-마헨스·로베르트 아인젤
Publication of KR840001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2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for providing a predistortion of the signal in the transmitter and corresponding correction in the receiver, e.g. for improving the signal/noise ratio
    • H04B1/64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7/00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 H03G7/002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in untuned or low-frequency amplifiers, e.g. audio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Tone Control, Compression And Expansion, Limiting Amplitude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 Reduction Or Emphasis Of Bandwidth Of Sign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교류 전압에 응답하는 직류 제어 전압 발생 스위칭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교류 전압에 응답하여 직류 제어 전압을 발생시키는 스위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압신기(Compander) 시스템내에서 제어 전압 발생 수단으로서 그러한 스위칭 장치를 사용한 것이 DE-PS 28 50 736호에 발표되어 있다.
압축(Compression)의 경우 교류 전압 출력신호가 제어전압 발생장치의 입력으로 인가되고, 신장(expansion)의 경우에는 사용 신호 경로내에 있으면서 전자적으로 이득(gain)이 제어되는 증폭기의 교류 전압 입력신호가 또 하나의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증폭기를 거쳐 제어전압 발생장치의 입력으로 인가된다. 제어 전압 발생 장치의 직류 전압 출력신호는 사용신호의 경로내에 있는 증폭기의 제어 입력으로 뿐만 아니라 또 다른 증폭기의 제어 입력으로 인가된다. 제어 전압 발생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즉, 임계치(thres houl value)를 넘어서면 제어 전압 발생장치의 입력에 인가되는 교류 전압에 응답하여 급격히 증가하는 직류 전압을 발생시키고, 그 직류 전압은 제어 전압 발생장치 입력의 교류 전압이 다시 상기 임계치 이하로 감소할때까지 사용 신호 경로내의 증폭기 이득을 변화시킨다.
따라서, 사용 신호의 값이 넓은 범위 내에서 갑자기 변할 경우에는 사용 신호 경로내에 있는 증폭기의 투과율(transmission factor)의 신속한 변화가 특히 중요하다. 그렇지 못하다면, 신호가 작은 값에서 큰 값으로 상승할 경우 오버스윙(overswing)의 위험이 야기되며 그에 따라 전송 채널의 과부하를 초래하게 된다. 신호가 반대로 하강할 경우에는 역방향 제어에 필요한 시간동안 부스럭하는 소리가 들리게 된다.
사용 신호 경로내에 배치된 증폭기의 투과율을 제어하는 제어전압 발생장치는 따라서 사용 신호의 순시치(instantaneous value)에 신속히 응답하는 직류 제어 전압을 공급한다. 신호가 크게 상승할 경우 유효한 비교적 짧은 충방전 시정수가 제어 전압 발생장치의 저장 커패시터로 사용된다. 그러한 짧은 시정수는 충방전 전류원을 적당히 설계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신호 레벨의 변화가 작거나 느릴 경우에는, 충방전 시정수가 비교적 길 것이 요구된다. 그렇지 못하면 직류 제어전압이 사용 신호 주파수의 타임 코오스를 따라 가게 될 것이다. 그런 방식의 동작은 잡음율을 높이게 된다.
이 스위칭 장치는 픽업 속도가 4.75cm/Sec 이상인 것에 대해서는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다. 테이프 속도가 감소된 경우 시정수가 짧은 압신기를 사용하여 신호를 받을때 특히 드롭아웃, 테이프 운동변화, 테이프와 헤드 접촉변화, 과도조정, 동적 오자(dymamic error) 등 동에 의해 질적 손실이 생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테이프 속도가 감소된 경우 상기 오차들의 영향을 받기 쉬운 채널에 있어서 바람직하지 목한 임의의 시정수전환을 줄이려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따른 회로에 의해 성취되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작 속도가 느릴 경우 압신기 시스템은 전송 채널의 변동하는 특성에 적응할 수 있다. 이것은 속도 선택스위치와 함께 압신기 파라미터를 전환 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테이프 속도가 4.75cm/Sec에 대해서는 시정수 전환을 위한 설비가 있으나, 테이프 속도가 2.4cm/Sec 인 경우에는 비교적 긴 시정수만 설정된다. 테이프 속도가 2.4cm/Sec 인 경우 비교적 긴 시정수를 제공함으로써 좋은 질의 재생이 이루어진다.
시정수 전환은 신호 레벨 변화에 응답하여 압축기에 의해 제어된다. 예를들어 주파수 응답에서의 레벨 오차 같은 것이 전송채널에 발생하면 신호 처리를 위해 압축기가 이끌어낸 제어전압을 신장기가 대칭적 방식으로 발생시킬 수 없다. 제어 신호원이 전송을 하지 않을 것이므로 신장기내에 제어 전압을 발생시켜주는 임의의 레벨이 빠질 것이다. 그러면 바람직스럽지 못한 임의의 시정수 전환이 일어나며 그에 따라 가청의 동적 오차가 생기게 되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것들이 줄어들게 된다.
이하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제1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의 구성이 도시 되어 있다. 거기에는 교류전압(UNF) 입력단자와 제어신호(UST) 출력 단자가 있다. 단자 (1)의 입력은 분압기(3)(4)를 통해 다알링턴 회로로 결선되어 있는 트랜지스터(5)(6)의 베이스를 제어한다. 트랜지스터(6)의 에미터는 기준 전위에 인가되어 있다. 트랜지스터(5)(6)의 콜렉터는 전류원(7)의 제1단자와 커패시터(11), 트랜지스터(8)의 콜렉터, 다이오드 체인(18)-(22) 및 트랜지스터(17)의 베이스에 연결되어 있다. 커패시터(11)과 다이오드 체인(18)-(22)의 제2단자 및 트랜지스터(8)의 에미터는 기준 전위로 인가되어 있다. 트랜지스터(8)의 베이스는 저항(9)를 거쳐 스위치(10)의 중간 접점에 연결되어 있다. 스위치(10)의 스위치 접점은 한쪽으로 기준 전위에 다른 쪽으로는 구동전압(UB)에 연결되어 있다. 트랜지스터(17)은 트랜지스터(24)와 함께 차동증폭기를 형성하고 있다. 트랜지스터(17)(24)의 두에미터는 함께 연결되어 전류원(23)의 제1단자로 연결 되어있다. 전류원(23)의 제2단자는 기준 전위로 연결되어 있다. 트랜지스터(24)의 콜렉터는 구동전압(UB)와 연결되어 있다. 트랜지스터(24)의 베이스는 다이오드 체인(26)-(28) 및 전류원(25)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다. 다이오드 체인(26)-(28)의 제2단자는 기준 전위로 연결되어 있다. 트랜지스터(17)의 콜렉터는 트랜지스터(15)의 베이스와 연결되어 있고, 저항(16)을 거쳐 구동전압(UB)에 연결되어 있다. 트랜스터(15)의 에미터는 마찬가지로 구동전압(UB)로 인가되어 있다. 또한 저항(13)의 한 단자가 구동전압(UB)로 인가되어 있고 제2단자는 커패시터(12)와 저항(14) 및 출력단자(2)의 접합점에 연결되어 있다. 커패시터(12)의 제2단자는 기준 전위로 인가되어 있다. 저항(14)의 제2단자는 트랜지스터(15)의 콜렉터와 연결되어 있다.
트랜지스터(5)(6) 및 분압기(3)(4)는 커패시터(11)에 대해 병렬인 방전 통로로서 동작하는 임계치 스위치를 구성한다. 장치(3)-(6)의 임계치보다 더 큰 신호가 입력단자(1)에 인가되면, 커패시터(11)은 다알링턴회로(5)(6)을 거쳐 약 하나의 다이오드 전압에 해당하는 잔류치(residual value)로 매우 빨리 방전된다. 그 결과, 트랜지스터(24)의 베이스 전압은 트랜지스터(17)의 베이스 전압보다 약 두 다이오드 전압만큼 더 높다. 따라서 트랜지스터(17)이 차단되고, 그 콜렉터 전류(I17)이 0으로 되며 트랜지스터(15)이 콜렉터 전류 (I15)도 역시 0이 된다. 그 결과 커패시터(12)의 충전을 위해서는 저항(13)을 통한 충전 전류만 유효하게 된다. 커패시터(12)와 저항(13)의 곱에 의해 비교적 긴 시정수가 주어진다.
테이프 속도가 4.75cm/Sec인 경우, 트랜지스터(8)의 베이스는 저항(9)와 스위치(10)을 거쳐 기준 전위로 인가된다. 트랜지스터(8)이 차단된다. 입력단자(1)에서의 신호가 장치(3)-(6)의 임계 전압 이하로 떨어지면 다알링턴 신호가 차단된다. 커패시터(11)의 전압은 전류원(7)에 의해 상승되어 하나의 다이오드 전압으로 부터 다섯 다이오드(18)-(22)에 의해 제한되는 값까지 선형적으로 증가한다. 커패시터(11) 및 그와 함께 트랜지스터(17)의 베이스가 트랜지스터(24)의 베이스 전압고 같은 세 다이오드 전압에 도달하기 까지 경과되는 시간이 스위칭의 지연 시간에 해당된다. 상기 전압에 도달하고 나면, 트랜지스터(17)이 전류원(23)으로 부터 매우 신속히 전류(I23)을 받아들인다. 따라서 트랜지스터(15)에 대한 베이스 전류는 저항(16)을 통해 흐르며 트랜지스터(15)가 도통된다. 그에 따라 저항(14)가 저항(13)과 병렬로 된다. 이제, 저항(13) 및 (14)의 병렬 조합과 커패시터(12)의 곱에 의해 비교적 짧은 시정수가 주어지게 되는 것이다.
2.4cm/Sec의 테이프 속도가 선택되면, 스위치(10)이 전환된다. 그러면 트랜지스터(8)의 베이스는 구동 전압(UB)로 인가된다. 트랜지스터(8)은 도통되는 것이다. 이제 입력단자(1)에서의 신호가 장치(3)-(6)의 임계치 이하로 떨어지면 다알링턴 회로(5)(6)이 차단되는 반면, 커패시터(11)은 트랜지스터(8)을 거쳐 여전히 기준전 위에 연결되어 있게 된다.
이 동작상태에서는, 커패시커(12)와 저항(13)의 곱에 의해 주어지는 비교적 긴 시정수만 유효하게 된다.
시정수의 전환은 4.75cm/Sec의 테이프 속도에서만 일어나는데, 이 속도는 카세트 장치에 있어서 일반적인 것이다. 테이프 속도가 감소된 경우 즉 2.4cm/Sec의 경우에는 단 하나의 시정수만으로 동작한다. 압축기나 신장기의 동작에 있어서 상이한 동작양식이 발생되도록 장치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녹음시의 오차는 원하지 않는 시정수 전환을 초래하지 않게 된다. 추가의 스위치를 피하기 위하여, 시정수 전환을 못하게 하는 장치가 속도 선택스위치와 결합되는 것이 좋다.

Claims (8)

  1. 제1충전 회로(7)(11)에 의해 충전되고 제1방전 회로(3-6), (11)에 의해 방전되는 제1의 저장 커패시터(11)와, 제2충전 회로(12-15)에 의해 충전되고 제2방전회로(2)(12)에 의해 방전되는 제2의 저장 커패시터(12)를 구비하고, 제2충전 회로(12-15)가 제1의 저장커패시터(11)의 전압이 미리 지정된 임계치를 초과함에 따라 작용하는 제어 가능한 전류 통로(14), (15)를 포함하는 특히 동적 압축 또는 신장을 목적으로 교류 전압에 응답하여 직류 제어전압을 발생시키는 스위칭 장치에 있어서, 제1의 동작상태에서 제2충전 전류회로(12-15)의 콘덕턴스는 제1의 저장 커패시터(11)의 제1의 전압이 임계치 이하일때 제2의 값을 가지며, 상기 제1저장 커패시터(11)의 제1전압이 임계치 이상일 때 제2의 값을 가지고, 제2의 동작상태에서 제2충전 전류회로(12-15)의 콘덕턴스가 교류전압과 무관한 값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전압에 응답하는 직류제어 전압발생 스위칭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3의 동작상태에서 상기 제1의 저장 커패시터(11)가 제3방전 전류회로(8-11)을 통해 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 전압에 응답하는 직류 제어전압 발생 스위칭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제3의 동작상태에서는 제3방전 전류회로(8-11)내에서 전환되는 스위치(1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전압에 응답하는 직류제어 전압발생 스위칭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제3의 동작상태는 자기 테이프장치의 테이프 속도와 연관되어 있으며, 그 속도는 제1의 동작상태의 경우 선택된 테이프 속도보다 느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전압에 응답하는 직류 제어전압 발생 스위칭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동작상태의 전환이 테이프 속도 선택 스위치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전압에 응답하는 직류제어 전압발생 스위칭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제1의 저장 커패시터(11)는 그 베이스에 구동전압이 인가되면 도통 상태로 되는 트랜지스터(8)와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전압에 응답하는 직류제어 전압발생 스위칭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동작상태가 조작선택 스위치에 의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전압에 응답하는 직류제어 전압발생 스위칭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동작상태가 특정한 전송 채널에 해당하는 분리조작선택 스위치에 의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 전압에 응답하는 직류제어 전압발생 스위칭 장치.
KR8202489A 1981-06-05 1982-06-03 교류 전압에 응답하는 직류 제어 전압 발생 스위칭 장치 KR8800006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3122383.4 1981-06-05
DEP3122384.4 1981-06-05
DE19813122383 DE3122383A1 (de) 1981-06-05 1981-06-05 Schaltung zur erzeugung einer von einer wechselspannung abhaengigen steuergleichspann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023A KR840001023A (ko) 1984-03-26
KR880000678B1 true KR880000678B1 (ko) 1988-04-20

Family

ID=6134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2489A KR880000678B1 (ko) 1981-06-05 1982-06-03 교류 전압에 응답하는 직류 제어 전압 발생 스위칭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S585039A (ko)
KR (1) KR880000678B1 (ko)
DE (1) DE3122383A1 (ko)
GB (1) GB21022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05938A1 (de) * 1983-02-21 1984-08-23 Telefunken Fernseh Und Rundfunk Gmbh, 3000 Hannover Schaltungsanordnung zur erzeugung einer von einer wechselspannung abhaengigen steuergleichspann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85039A (ja) 1983-01-12
GB2102256A (en) 1983-01-26
GB2102256B (en) 1985-04-24
DE3122383A1 (de) 1982-12-23
KR840001023A (ko) 198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18662A (en) Circuit arrangement for optional dynamic compression or expansion
KR880000678B1 (ko) 교류 전압에 응답하는 직류 제어 전압 발생 스위칭 장치
US4322636A (en) Circuit system for the generation of a direct control voltage dependent upon an alternating voltage
EP0026541B1 (en) Voltage stabiliser suitable for a telephone set
US6211730B1 (en) Pre-amplifier circuit
JPS6048605A (ja) ミュ−ティング回路
JPS5915337A (ja) 伸長回路
JPS6339162B2 (ko)
KR890002538B1 (ko) 교류전압에 따라 직류제어 전압을 발생하는 회로
US4591733A (en) Circuit arrangement for generating a control voltage which is dependent upon an alternating voltage
US3531596A (en) Treble and bass control circuit
JPH0621723A (ja) ミューティング制御回路
JPS6339164B2 (ko)
US5043676A (en) Automatic level control circuit
JPH0519323B2 (ko)
JP3283284B2 (ja) 再生音量自動補正回路
JPS6339124B2 (ko)
JPH0158886B2 (ko)
KR880004359Y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모드 자동절환신호 발생회로
US4090146A (en) Clipping indicator circuit for transistor amplifier
US4349787A (en) Compressor
US4428009A (en) Superminiature tape recorder
JPS6122345Y2 (ko)
JPS5989016A (ja) ミユ−テイング回路
GB2059227A (en) A complementary characteristics switching circu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