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624Y1 - 재봉기의 천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재봉기의 천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624Y1
KR880000624Y1 KR2019850011084U KR850011084U KR880000624Y1 KR 880000624 Y1 KR880000624 Y1 KR 880000624Y1 KR 2019850011084 U KR2019850011084 U KR 2019850011084U KR 850011084 U KR850011084 U KR 850011084U KR 880000624 Y1 KR880000624 Y1 KR 8800006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machine
cloth
light emitting
output
light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10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3918U (ko
Inventor
이영배
Original Assignee
대우중공업주식회사
이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중공업주식회사, 이경훈 filed Critical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500110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0624Y1/ko
Publication of KR8700039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39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6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6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22Devices for stopping drive when sewing tools have reached a predetermin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재봉기의 천 감지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천 감지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일 실시예로서, 제1(a)도는 본 고안의 요부 사시도, 제1(b)도는 좌측면도, 제1(c)도는 수광부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평면도를 나타낸다.
제2도는 본 고안의 감지 장치와 결합된 센서 구동회로 및 신호 처리 회로의 불록 다이어그램.
제3도는 제2도의 각부 동작 파형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재봉기 헤드 3 : 발광부
4 : 침판 4 : 통공
5 : 수광부 10 : 센서 구동회로
30 : 마이크로 컴퓨터
본 고안은 재봉기의 천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천의 두께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재봉을 시작하게하거나 멈추개 한기 위한 공업용 재봉기의 천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공업용 재봉기의으 구동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정침식으로서 일정한 침수를 설정하여 설정된 침수만 재봉기를 구동 또는 정지 시키는 방식이 있었으나 천의 길이가 항상 일정하지 못하기 때문에 오차가 있어 침수 설정에 어려움이 많고, 천을 감지 하더라도 실크류와 같은 너무 얇은 천은 감지가 되지 않아 재봉이 끝날 지점에서도 재봉질이 계속되어 감지 장치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었다.
예를들어, 와이셔츠의 옷주머니늘 재봉하루때, 작업자는 다만 눈짐작으로 재봉을 하게 되고 만일, 재봉실이 주머니 밖으로 나가면 박은 실을 다시 튿어내고 재봉질을 해야하는 작업상 불편함이 있고, 실크류와 같은 얇은 기본천은 재봉실을 틀어낼 때 천이 손상되어 원단 전체를 불량처분해야 하는 경제적 손실이 있었다.
더우기 , 근래 실크류와 같은 천이나 고품질, 고 신뢰성의 봉제품을 요구하는 경항이 증대되고 있으므로 종래와 같은 재봉기의 천 감지 장치로서는 위와 같은 요구를 충족시킬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재봉기의 헤드 좌측 하단에 발광부를 설치하고, 또 이에 대향하여 침판에 형성된 통고 하부에 수광부를 설치하여 천의 두께를 감지하게 하고, 이 감지된 신호 출력을 콘트롤 회로에서 처리하여 기본천보다 더 두꺼운 부분에서 기본천 두께로 변화할 때 조정 침수만큼 더 재봉하고 나서 재봉기 구동을 자동으로 정지 시키게 한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재봉기의 천 감지 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일시시예로서, 통상의 재봉기에 있어서 헤드(1)의 좌측 하단에 링크(2)를 게재하여 발광부(3)를설치하고, 또한, 이 발광부(3)와 수직선상에 일치하도록 재봉기 침판(4)에 통공(4')을 형성하고, 이 통공 하부에 수광부(5)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부호(6)(7)은 재봉기의 침과 노루발을 나타내며, 노루발(7)의 하부의 침판(4)에는 침(6)과 대향한 침구(8)와 톱니(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수광부(5)는 제1(b)도 및 제1(c)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침판(4)의 침구(8)와 일정 간격을 가지고 떨어져 형성된 통공(4') 하부에 취부되어 발광부(3)에서 방출되는 광출력 L을 받아 들이게 된다.
제1(b)도에서 A는 기본천(얇은천)을 나타내고, B는 재봉되어질 두꺼운 부분의 천을 표시한 것이다.
이와같이 설치된 발광부(3) 및 수광부(5)는제2도에 간략히 나타낸 바와같이 센서구동 회로 및 신호처리회로에 연결되어 재봉기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즉, 발광부(3)에는 LED(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발광 소자가 내설되어 있고 수광부(5)에는 포토 트랜지스터와 같은 수광소자가 내설된 것으로, 제2도에 센서 구동회로(10)는 전원에 연결된 펄스 발생부(11)가 발광부(3)에 연결되고, 두께 조정부(12)가 수광부(5)에 연결된 것이다.
펄스 발생부(11)로 부터 출력되는 일정 주기의 펄스 전압에 의해 발광부(3)의 발광소자는 상기 펄스 출력에 대응한 일정 주기의 펄스 형태로 된 광출력을 발생한다.
따라서, 재봉하고자 하는 두꺼운 천 부분을 통해 수광부(5)의 수광소자는 발광부(3)의 광출력을 받아 감지하고, 이 수광소자의 출력펄스 신호를 상기 두꺼운 천에 대응된 천 두께 조정부(12)에서 설정되는 일정 전압위에 실어서 검출부(21)을 입력시키고, 검출부(21)에서는 상기 펄스 발생부(11)에서 출력되는 일정 주기만의 펄스만을 통과하게 하여 발광부(3)의 광출력을 검출하고, 이 검출된 펄스 전압은 파형 평활부(22)에 공급되어 일정한 DC 전압으로 변환된다.
이 전압과 비교기(23)의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비교기(23)의 출력신호는 카운터부(24)와 분리기(26)로 각각 입력되고, 분리기(26)는 카운터부(24)의 출력신호를 함께 수신하여 그 논리 출력을 명령기(27)로 입력시킨다.
명령기(27)는 분리기(26)로 부터의 입력신호와 폐달부(28)로 부터의 입력 신호을 받아 게이크 출력 신호를 마이크로 컴퓨터(30)의 입력단에 공급하고 이 출력신호를 인식한 마이크로 컴퓨터(30)는 내장된 마이크로 프로그램에 의해 재봉기의 모터 구동 회로를 제어하여 재봉기의 구동을 계속 전진시키게 한다.
여기서, 재봉질이 두꺼운 천 부분에서 얇은천 부분으로 바뀔때 천 감지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를 참조하면, 발광부(3)의 일정한 펄스 형태의 광출력(a)이 두꺼운 천 부분을 관통하여 수광부(5)에 입력되면 수광부(5)의 천두께 조정부(12)에서 설정된 두께 설정 전압에 대응한 수광부(5)의 기준 펄스 출력전압(b)이 두꺼운 천에서 기본선(얇은천)으로 변화할 때 얇아진 천을 통해 발광부(3)의 광출력이 더 많이 흡수되므로 제3(b)도와 같이 얇아진 곳에서 수광부(5)의 펄스 출력 전압이 더 높아진다.
이 감지된 출력 신호는 검출부(21)를 거쳐 파형평활부(22)에서 제3(c)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얇아진 만큼 더 큰 DC 전압으로 되고, 이 전압신호는 비교기(23)를 거쳐 카운터부(24)에 입력된다.
카운터부(24)는 비교기(23)의 출력신호를 받아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침수 설정에 따른 카운터 출력을 발생한다. 즉, 카운터부(24)의 침수는 제1도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침구(8)와 수광부의 위치가 떨어져 있기 때문에 재봉기 침과 수광부 사이의 거리를 땀수폭으로 나누어 수광부(5)에서 감지한후에 계속되는 침수를 얼마로 할 것인가를 미리 설정하여 재봉기 침과 수광부의 위치를 일치 시키게 한 것이다.
여기서, 재봉기 침과 수광부 사이의 거리가 20㎜라 하고 재봉기 침의 땀수폭이 4㎜라 할때 사용자는 카운터부(24)의 침수를 5로 조정하여 사용한다.
이때, 비교기(23)에서 분리기(26)로 공급되는 신호는 출력되지 않고 카운터부(24)에서 제3(e)도와 같이 분리기(26)로 출력되는 신호를 설정 침수만큼 지연시킨후 출력신호(e)를 중지 시킨다.
분리기(26)에서는 비교기(23)와 카운터부(24)의 출력 신호를 받아서 제3(f)도에서와 같은 정지 명령신호를 출력시키고, 아울러 제어기(25)이 신호를 보낸다.
제어기(25)에서는 사용자가 재봉기 구동용 페달을 아무리 밟고 있어도 정지 명령 신호를 명령기(27)로 공급할 수 있게 만든다. 분리기(26)로 부터 공급된 정지 명령신호(f)는 명령기(27)를 통해 계속 마이크로 컴퓨터(30)의 입력단에 공급되고 마이크로 컴퓨터(30)는 이 정지 명령신호(g)를 인식하여 모터구동 회로에 제3(h)도와 같은 정지 신호를 전송하여 재봉기가 더 이상 구동하지 않게 만든다.
여기서, 상기 분리기(26), 제어기(25) 및 명령기(27)는 통상의 낸드(NAND) 게이트 회로로 구성되고, 각각의 입력신호에 대응한 논리 레벨을 출력시킨다.
한편, 천의 두께가 다시 두꺼워 졌을 때, 즉, 사용자가 다시 재봉할 곳으로 침을 맞추어 놓았을 때는 재봉기의 후속 동작이 가능케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재봉기의 침 전방에 발광부 및 수광부를 설치하고 이에 연결된 센서구동회로 및 제어회로의 동작으로 기본천보다 더 두꺼운 부분에서 기본천 두께로 얇아질 때 조정 침수 만큼 더 재봉하고 나서 자동으로 재봉기 구동이 정지되게 하여 봉제품의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봉제품의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실용상 지대한 장점이 있다.

Claims (1)

  1. 통상의 재봉기에 있어서, 헤드(1)의 좌측 하단에 링크(2)를 게재하여 발광부(3)를 설치하고, 이 발광부(3)와 수직선상에 일치되도록 재봉기의 침판(4)에 통공(4')를 형성하고 이 통공(4') 하부에 수광부(5)를 설치하여서 되고, 상기 발광부(3)(5)가 센서 구동회로(10) 및 신호처리회로에 연결되어 재봉기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천 감지 장치.
KR2019850011084U 1985-08-29 1985-08-29 재봉기의 천 감지장치 KR8800006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1084U KR880000624Y1 (ko) 1985-08-29 1985-08-29 재봉기의 천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1084U KR880000624Y1 (ko) 1985-08-29 1985-08-29 재봉기의 천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3918U KR870003918U (ko) 1987-03-30
KR880000624Y1 true KR880000624Y1 (ko) 1988-03-14

Family

ID=19245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1084U KR880000624Y1 (ko) 1985-08-29 1985-08-29 재봉기의 천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062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3918U (ko) 1987-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91215A (en) Self compensating optoelectronic ply and edge detector for sewing machine
JPS61257675A (ja) 布縁倣い縫ミシン
KR880000624Y1 (ko) 재봉기의 천 감지장치
US6213039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thread breakage in sewing machine
US4735161A (en) Sewing machine thread breakage detector
JP2857880B2 (ja) ミシンにおける下糸検知装置
JPH03191986A (ja) ミシン
JPS62120880A (ja) ミシンの布送り装置
JPS6268482A (ja) 布縁倣い縫ミシン
CN109267252A (zh) 一种缝纫机上用于连续缝制的剪线装置及方法
JP3754523B2 (ja) かがり縫いミシン
CN113914021B (zh) 一种缝纫机中的送领装置及其控制方法
TW264516B (ko)
TR199700199A2 (xx) Mekikli tipte bir nak�� makinesinde d���m olu�turmaya mahsus y�ntem ve bu y�ntemi icra etmeye mahsus tertibat.
JPH0796094A (ja) ミシンの糸案内装置
KR960002618Y1 (ko) 모자 구성부재의 아이릿(eyelet) 재봉기에 있어 소재이송장치
JPH0231112Y2 (ko)
JPH0339184Y2 (ko)
JPS63109895A (ja) ミシンの自動切断装置
JPH0534633Y2 (ko)
JP2569551B2 (ja) ミシンの制御装置
JPS6026787Y2 (ja) オ−バロツクミシンにおける糸調子切換装置
JP2854879B2 (ja) ミシンの上糸供給装置
CN114606664A (zh) 一种缝纫机传动机构的故障预警方法
JPH03292994A (ja) ミシンの下糸終端検知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