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614B1 - 프레스 가공 재료의 송급방법 - Google Patents

프레스 가공 재료의 송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614B1
KR880000614B1 KR1019840001184A KR840001184A KR880000614B1 KR 880000614 B1 KR880000614 B1 KR 880000614B1 KR 1019840001184 A KR1019840001184 A KR 1019840001184A KR 840001184 A KR840001184 A KR 840001184A KR 880000614 B1 KR880000614 B1 KR 880000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press
carrying
processing material
r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1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7987A (ko
Inventor
마사루 오리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오리이
마사루 오리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오리이, 마사루 오리이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오리이
Publication of KR840007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7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05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specially adapted for multi-stage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0Feeding material to 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프레스 가공 재료의 송급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프레스기와 송급장치의 1예를 나타낸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프레스기와 송급장치의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나타낸 송급장치의 동력 전달 기구의 정면으로 본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에 나타낸 송급장치의 동력 전달 기구의 측면으로 부터 본 단면도.
제5도는 제3도에 나타낸 송급장치의 동력 전달기구의 상방으로 부터 본 단면도.
제6도는 제1도, 제2도에 나타낸 반출 아암과 반입 아암의 요동용 구동 계통을 나타낸 평면도.
제7도는 제6도에 나타낸 반출 아암과 반입 아암의 상하 이동용 구동 계통을 나타낸 정면도.
제8(a)도~제11(a)도, 제11(b)도는 각각 가공 재료의 송급 타이밍을 나타낸 평면도와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프레스기 3, 4 : 송급장치
5 : 상금형 6 : 하금형
24', 25 : 반입 아암 26 : 반출 아암
36~44 : 흡착컵 45~53 : 핑거
54, 57' : 가공 재료 81, 82 : 요동용 캠
85, 86 : 상하 이동용 캠
본 발명은 2차 가공 재료를 프레스기에 공급하고, 또는 프레스기로 부터 반출하는 송급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운전 속도가 빠른 프레스기에의 프레스 가공 재료의 송급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프레스 가공 재료의 송급방법에 있어서는 프레스기에 장착된 금형상의 가공 후의 가공 재료가 반출 아암에 의하여 반출된 후에 가공 전의 가공 재료가 반입 아암에 의하여 전기 프레스기의 금형상에 반입되고 프레스 가공 후에 다시 반출되는 순서로 가공 재료가 송급되어 프레스 공정이 진행 되었었다. 또 금형상의 가공후의 가공 재료와 가공전의 가공 재료를 교대할 때 가공후의 가공 재료를 상하로 행정 동작하는 상금형의 행정 영역밖으로 반출 시키고 나서 전기 가공전의 가공 재료를 반입하여 금형에 장전하도록 하였었다.
따라서, 가공 재료의 교대에 시간이 걸렸으며, 또 그러므로 프레스기의 운전을 감속 또는 일시 정지하지 않으면 안되며, 가공 재료를 빨리 송급하여 생산성을 더욱 향상 시킬 수가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가공 재료의 송급 시간을 가급적으로 단축하여 고속 연속 운전의 프레스기에 추종시킬 수가 있는 프레스 가공 재료의 송급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반출 아암의 요동 높이를 반입 아암의 요동 높이 보다 높이 설정하여 반출 아암의 반출 개시측의 요동 사점에서 반출 아암의 상방향에의 이동을 개시시킨 직후에 반입 아암을 반입 종료측의 요동 사점까지 요동 시켜서 반출 아암에 의하여 반출되는 가공후의 가공 재료와 반입 아암에 의하여 반입되는 가공전의 가공 재료가 프레스기의 하금형의 상방에서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겹치도록 반출 아암과 반입 아암과의 동작의 타이밍을 설정함으로써 가공 재료의 반출과 공급이 단시간에 행해질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에 본 발명을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프레스기와 송급 장치의 1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제2도는 그 평면도이다.제1, 2도에 있어서, 프레기(1), (2)와, 송급 장치(3), (4)는 교대로 인접하여 배치되며, 도면 정면에서 보아 좌측으로 부터 우측에의 일련의 프레스 공정이 진행된다.
프레스기(1), (2)에는 상금형(5)과 하금형(6)(프레스기(2)에 대하여는 도시하지 않음)이 각각 세트되고, 송급장치(3), (4)의 전면에는 상방 베어링(7), (8) 하방 베어링(9), (10)과 벨트 컨베이어(11), (12)가 각각 배설된다.
송급장치(3), (4)의 상방 베어링(7), (8)과 하방 베어링(9), (10)의 사이에는 설정된 각도 내에서 좌우 교대로 회전되는 회전축(13), (14), (15), (16)과 설정된 거리내를 상하로 이동되는 지점축(17), (18), (19)이 각각 지지된다. 각 회전축(13), (14), (15), (16)에는 레버(20), (21), (22), (23)가 각각의 회전축(13), (14), (15), (16)과 일체로 형성된다. 지점축(17), (19)에는 반입 아암(24), (25)이, 또 지점축(18)에는 반출 아암(26)이 각각의 지점축(17), (18), (19)을 중심으로 수평 방향으로 요동되며 그리고 지점축(17), (18), (19)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도 이동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반입 아암(24)과 반출 아암(26)의 각각의 구동 계통에 대하여는 제6도, 제7도에 의하여 뒤에 설명한다.
반입 아암(24, 25)와 반출 아암(26)의 요동단(27, 28, 29)에는 각각 지지 부재(30, 31, 32)을 통하여 핑거 홀더(33, 34, 35)가 장착되며, 각 핑거 홀더(33, 34, 35)에는 흡착 컵(36~44)를 갖는 핑거(45~53)가 각각 고정된다. 흡착 컵(36~44)은 진공 절환식의 것이나, 전자 절환식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2점 쇄선으로 나타낸 54, 55, 56, 57은 가공 재료이다.
가공 재료(57)은 상기의 흡착컵(42, 43, 44), 핑거(51, 52, 53)와 핑거 홀더(35)에 의하여 구성되는 반입 아암(25)의 유지 수단에 의하여 유지되며, 반입 아암(25)의 동작에 의하여 벨트 컨베이어(12)로 부터 프레스기(2)의 하금형(도시하지 않음)에 공급되며, 가공 재료(56)는 벨트 컨베이어(12)에 의하여 가공 재료(57)의 위치에 보내진다.
가공 재료(55)는 흡착컵(39, 40, 41), 핑거(48, 49, 50)와 핑거 홀더(34)에 의하여 구성되는 반출 아암(26)의 유지 수단에 의하여 유지되며, 반출 아암(26)의 동작에 의하여 프레스기(1)의 하금형(6)의 위로부터 반출되며, 벨트 컨베이어(12)의 가공 재료(56)의 위치에 반출된다. 그리하여 가공 재료(54)는 흡착 컵(36, 37, 38), 핑거(45, 46, 47)와 핑거 홀더(33)에 의하여 구성되는 반입 아암(24)의 유지 수단에 의하여 유지되며, 반입 아암(24)의 동작에 의하여 벨트 컨베이더(11)로 부터 프레스기(1)의 하금형(6)의 위에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송급 장치(3), (4)에 의하여 가공 재료(54~57)의 송급이 행해진다.
제3도는 제1도, 제2도에 나타낸 송급장치(4)의 동력 전달 기구의 정면으로 부터 본 단면도. 제4도는 측면으로 본 단면도. 제5도는 상방으로 부터 본 단면도이다. 제1, 2도와 같은 부분으로 같은 부호로 나타낸다. 제3, 4, 5도에 있어서, 프레스기(1)의 상부 프레임(58)의 전면에는 프레스기(1)의 동력원에 의하여 프레스기(1)와 연동되는 출력축(59)이 돌출하여 기어 풀리(60)와 일체로 회전된다.
프레스기(1)와 일체로 형성되는 사이드 프레임(61)에는 수평 방향으로 뻗어 베어링(62), (63)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중간 샤프트(64)와 하방향으로 뻗어 베어링(65)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다른 중간 샤프트(66)가 수용된다. 중간 샤프트(64)의 양단에는 기어 풀리(67)와 베벨 기어(68)가 고착되어 기어 풀리(67)와 출력축(59)의 기어 풀리(60)와는 타이밍 베트(69)에 의하여 연결되며 베벨 기어(68)는 중간 샤프트(66)의 상반단에 고착되는 베벨 기어(70)와 연결된다. 71은 타이밍 벨트(69)의 타이트너(tightener)이다.
송급 장치(4)에는 베어링(72, 73)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종캠축(74)과 베어링(75), (76)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횡캠축(77)이 장착된다. 종캠축(74)의 상방단은 커플링(78)을 통하여 중간 샤프트(66)와 접속되며 하방단에는 횡캠축(77)의 내방단에 고착되는 베벨 기어(79)와, 연결되는 베벨 기어(80)가 고착된다. 종캠축(74)에는 2개의 요동용 캠(81, 82)이 형성되며, 각각의 외주곡면은 2점 쇄선으로 나타낸 캠 로울러(83, 84)와 접촉한다. 캠 로울러(83)는 반입 아암(24)을 요동 시키는 구동 계통에 속하며, 캠 로울러(84)는 반출 아암(26)을 요동 시키는 구동 계통에 소속한다.
또 횡캠축(77)에는 2개의 상하 이동용 캠(85, 86)이 형성되며, 각각의 외주곡면은 2점 쇄선으로 나타낸 캠 로울러(87, 88)와 접촉한다. 캠 로울러(87)는 반입 아암(24)를 상하 이동 시키는 구동 계통에 속하며 캠 로울러(88)는 반출 아암(26)을 상하 이동 시키는 구동 계통에 속한다. 제6도는 제1도, 제2도에 나타낸 반입 아암(24)과 반출 아암(26)을 각각 요동 시키는 구동 계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1도~제5도와 같은 부분은 같은 부호로 나타낸다.
먼저 반입 아암(24)을 요동시키는 구동 계통에 대하여 설명한다.
핀(89)을 지점으로 하여 송급 장치(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90)의 일방에는 요동용 캠(81)과 접촉하는 캠 로울러(83)가 장착되며, 타방에는 링크(91, 92)의 일단이 각각 연결된다. 링크(91)의 타단은 송급 장치(4)의 상방 베어링(8)과 하방 베어링(10)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그리고 회전축(15)과 일체로 형성되는 레버(22)의 일단과 연결되며 링크(92)의 타단은 에어 시린더(93)와 연결된다. 에어 시린더(93)는 그 일단을 송급 장치(4)에 고정되며, 요동용 캠(81)에 의하여 구동되는 레버(9)를 복귀시키는 방향으로 부세한다.
레버(22)의 타단은 송급장치(3)의 상방 베어링(7)과 하방 베어링(9)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그리고 회전축(13)과 일체로 형성되는 레버(20)의 일단과는 링크(94)에 의하여 연결되며, 레버(20)의 타단은 링크(95)에 의하여 반입 아암(24)과 연결된다.
이상 설명한 각부의 연결에 의하여 반입 아암(24)의 요동용의 구동 계통이 구성되며 요동용 캠(81)의 회전에 의하여 구동되며, 그리고 에어 시린더(93)에 의하여 복귀되는 레버(90)의 연속동작은 반입 아암(24)에 전달되며, 반입 아암(24)은 지점축(17)을 중심으로 하여 점선(24')의 위치까지의 각도를 화살표(96)로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로 요동된다.
다음에 반출 아암(26)을 요동 시키는 구동 계통에 대하여 설명한다.
핀(97)을 지점으로하여 송급 장치(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98)의 일방에는 요동용 캠(82)과 접촉하는 캠 로울러(84)가 장착되며, 타방에는 링크(99), (100)의 일단이 각각 연결된다. 링크(99)의 타단은 송급 장치(4)의 상방 베어링(8)과 하방 베어링(10)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그리고 회전축(14)과 일체로 형성되는 레버(21)의 일단은 연결되며, 링크(100)의 타단은 에어 시린더(101)과 연결된다. 에어 시린더(101)는 그 일단을 송급장치(4)에 고정되며, 요동용 캠(82)에 의하여 구동되는 레버(98)를 복귀시키는 방향으로 부세한다. 레버(21)의 타단과 반출 아암(26)은 링크(102)에 의하여 연결된다.
상기의 각 연결에 의하여 반출 아암(26)의 요동용의 구동 계통이 구성되며, 요동용 캠(82)의 회전에 의하여 구동되며, 그리고 에어 시린더(101)에 의하여 복귀되는 레버(98)의 연속 동작은 반출 아암(26)에 전달되며, 반출 아암(26)은 지점축(18)을 중심으로 하여 점선(26')의 위치까지의 각도를 화살표(103)로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로 요동된다.
그리고 일단을 하방 베어링(9)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타단을 지지 부재(30)의 내단부(104)와 연결되는 평행 링크(105)가 반입 아암(24)에 평행하여 조립되며, 반입 아암(24)의 지점축(17)과 지지 부재(30)를 반입 아암(24)의 요동단(27)에 연결하는 핀(106)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을 1변으로 한다. 1점 쇄선으로 나타낸 평행 4변형(107)이 형성되므로, 핑거 홀더(33)는 반입 아암(24)의 요동 중 회전되지 않고 가공 재료(54)를 평행으로 송급할 수가 있다. 108은 반출 아암(26)에 조립되어 상기와 같은 작용을 행하는 평행 링크이다.
제7도는 제6도에 나타낸 반입 아암(24)과 반출 아암(26)을 각각 상하 이동시키는 구동 계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1도~제6도와 같은 부분은 같은 부호로 나타낸다.
먼저, 반입 아암(24)을 상하 이동 시키는 구동 계통에 대하여 설명한다.
레버(109)의 일단은 지점핀(110)에 의하여 송급 장치(4)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타단에는 링크(111, 112)의 일단이 각각 연결된다. 레버(109)의 약 중앙에는 상하 이동용 캠(85)과 접촉되는 캠 로울러(87)가 장착된다.
링크(111)의 타단은 지점핀(113)에 의하여 송급 장치(4)의 하방 베어링(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레버(114)의 일단과 연결되며 링크(112)의 타단은 에어 시린더(115)와 연결된다. 에어 시린더(115)는 그 일단을 송급 장치(4)에 고정되며, 상하 이동용 캠(85)에 의하여 구동되는 레버(109)를 복귀시키는 방향으로 부세한다.
레버(114)의 타단은 핀(116)의 의하여 송급장치(3)의 하방 베어링(9)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레버(117)의 일단과는 링크(118)에 의하여 연결된다. 레버(117)의 타단은 송급장치(3)의 상방 베어링(7)과 하방 베어링(9)에 의하여 지지되며, 그리고 반입 아암(24)과 일체로 상하로 이동되는 지점축(17)의 하단에 형성되는 연결부(119)와 연결된다.
이상 설명한 각부의 연결에 의하여 반입 아암(24)의 상하 이동용의 구동 계통이 구성되며, 상하 이동용 캠(85)의 회전에 의하여 구동되며, 에어 시린더(115)에 의하여 복귀되는 레버(109)의 연속 동작은 반입 아암(24)에 전달되며 반입 아암(24)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다음에 반출 아암(26)을 상하 이동시키는 구동 계통에 대하여 설명한다.
레버(120)의 일단은 지점핀(121)에 의하여 송급장치(4)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타단에는 링크(122), (123)의 일단이 각각 연결된다. 레버(120)의 대략 중앙에는 상하 이동용 캠(86)과 접촉하는 캠 로울러(88)가 장착된다. 캠 로울러(88)는 캠 로울러(87)와 동축상에 위치하므로 도시되지 않는다. 링크(122)의 타단은 지점핀(124)에 의하여 송급장치(4)의 하방 베어링(10)애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레버(125)의 일단은 연결되며, 링크(123)의 타단은 에어 시린더(126)와 연결된다. 에어 시린더(126)는 그 일단을 송급장치(4)에 고정되며 상하 이동용 캠(86)에 의하여 구동되는 레버(120)를 복귀시키는 방향으로 부세한다.
레버(125)의 타단과 핀(127)에 의하여 송급장치(4)의 하방 베어링(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레버(128)의 일단과는 링크(129)에 의하여 연결된다. 레버(128)의 타단은 송급장치(4)의 상방 베어링(8)과 하방 베어링(10)에 의하여 반출 아암(26)과 일체로 상하 이동하도록 지지된 지점축(18)의 하단에 형성되는 연결부(130)와 연결된다.
상기의 각 연결에 의하여 반출 아암(26)의 상하 이동용의 구동 계통이 구성되며, 상하 이동용 캠(86)의 회전에 의하여 구동되며, 그리고 에어 시린더(126)에 의하여 복귀되는 레버(120)의 연속 동작은 반출 아암(26)에 전달되며, 반출 아암(26)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프레스기(1)가 운전되면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동 계통을 통하여 요동용 캠(81), (82)에 의하여 결정되는 타이밍과, 상하 이동용 캠(85, 86)에 의하여 결정되는 타이밍에 의하여 반출 아암(24)과 반입 아암(26)이 각각 수평 방향과 상하 방향으로 요동 또는 이동되며 가공 재료(54), (55)의 송급이 행해진다.
그리고 가공 재료(56)는 벨트 컨베이어(12)에 의하여 우측으로 이동되며 가공 재료(57)는 프레스기(2)의 송급장치(도시하지 않음)가 갖는 구동 계통에 의하여 구동되는 반입 아암(25)에 의하여 벨트컨 베이어(12)로 부터 프레스기(2)에 공급된다.
제8도, 제9도, 제10도, 제11도는 각각 프레스기(1)의 평면도(a)와, 정면도(b)로써 되며, 본 발명에 의하여 송급되는 가공 재료(54, 55)의 송급 타이밍을 설명한 것이다.
제8도에 있어서, 프레스기(1)의 의하여 가공 재료(55)의 프레스 가공이 종료하면 상급형(5)로 화살표(133)의 방향으로 상승 공정을 개시한다. 벨트 컨베이어(11) 상의 가공 재료(54)는 반입 아암(24)의 반입 개시측의 요동 사점(제6도 실선 위치)에서, 반입 아암(24)의 유지수단(131)에 의하여 유지된다. 반출 아암(26)의 유지수단(132)은 하금형(6)상의 가공 재료(55)에 가까운 낮은 위치로 부터 반출 개시측의 요동사점(제6도 실선 위치)을 향하여 화살표(134)의 방향으로 요동된다.
제9도에 있어서, 프레스기(1)의 상금형(5)이 상사점으로 행정하여 가공 재료(55)가 반출 아암(26)의 유지 수단(132)에 의하여 유지되며 화살표(135)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방으로 이동되면, 반입 아암(24)의 유지 수단(131)에 의하여 유지되는 가공 재료(54)는 즉시 가공 재료(55) 보다 낮은 위치에서 부터 화살표(136)의 방향으로 요동되어 하금형(6)의 위에 보내진다.
제10도에 있어서, 상금형(5)이 다음 공정을 위한 화살표(137)로 나타낸 하강 행정을 개시하면 가공 재료(55)는 반출 아암(26)의 유지 수단(132)에 의하여 상방으로 이동된 높은 위치로 부터 화살표(138)로 나타낸 바와 같이 우방향으로 요동되어 상금형(5)의 하강 행정의 영역밖으로 반출된다. 반입 아암(24)이 반입 종료측 요동사점(제6도 점선 위치)까지 요동함으로써 하금형(6)의 위에 반입된 가공 재료(54)는 반입 아암(24)의 하방에의 약간의 이동에 의하여 화살표(139)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하강되며, 하금형(6) 상의 프레스 위치에 장전된다.
제11도에 있어서, 반출 종료측의 요동사점(제6도 점선 위치)까지 요동된 반출 아암(26)은 반출 동작을 완료하고, 반출 아암(26)의 지지 수단(132)에 의하여 유지된 가공 재료(55)는 벨트 컨베이어(12)에 운반되어 다음 공정으로 보내진다. 하금형(6)의 위에 가공 재료(54)의 장전을 완료한 반입 아암(24)의 유지 수단(131)은 낮은 위치로 부터 화살표(140)로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으로 요동되어, 상금형(5)의 하강 행정의 영역밖으로 반출된다. 상금형(5)는 화살표(141)로 나타낸 하강 행정을 계속하며, 가공 재료(54)에 대하여 프레스 가공을 행한다.
이상 제8도~제11도에 의하여, 설명한 동작을 1사이클로하여 순차로 프레스 공정이 진행된다. 그리하여 가공 재료(55)가 하금형(6)의 위로부터 약간 상방으로 이동된 직후에 가공 재료(54)가 전기 하금형(6)의 위에 공급되므로, 가공 재료(54)와 가공 재료(55)가 각각의 이동 공간의 일부에서 겹침에도 불구하고, 상호 방해되지 않으며, 그리고 상금형(5)의 상승과 하강의 1행정 시간내에서 가공재료(54, 55)의 교대가 가능하며 상금형(5)의 하강 행정을 감속 또는 일시 정지시킬 필요가 없다.
제1도~제7도에 나타낸 장치에 있어서, 반입 아암(24, 25)과 반출 아암(26)은 각각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구동 계통에 의하여 요동 또는 상하 이동되도록 하였으나, 유압식 구동 계통에 의한 것, 또한 서어브 모우터등이 사용되는 전기식의 구동 계통에 의하여도 같이 동작 시킬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반출 아암의 요동 높이를 반입 아암의 요동 높이보다 높게 설정하고, 반출 아암의 반출 개시측요동 사점에서 반출 아암의 상방향에의 이동을 개시 시킨 직후에 반입 아암을 반입 종료측의 요동 사점까지 요동 시켜서, 반출 아암에 의하여 반출되는 가공후의 가공 재료와, 반입 아암에 의하여 반입되는 가공 전의 가공 재료가 프레스기의 하금형의 상방에서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겹치도록 반출 아암과 반입 아암의 동작의 타이밍을 설정 하였으므로 가공 재료의 송급시간을 단축하며 고속 연속 운전의 프레스기에 추종하며 가공 재료의 급송을 행할 수가 있다.

Claims (1)

  1. 반출 아암의 요동과 상하 이동에 의하여 가공 후의 가공 재료를 프레스기의 하금형으로 부터 반출하고, 반입 아암의 요동과 상하 이동에 의하여 가공 전의 가공 재료를 전공정으로 부터 전기 프레스기에 공급하는 프레스 가공 재료의 송급방법에 있어서, 반출 아암의 요동 높이를 반입 아암의 요동 높이보다 높게 설정하고 반출 아암의 반출 개치측의 요동 사점에서 반출 아암의 상방향에의 이동을 개시 시킨 직후에 반입 아암을 반입 종료측의 요동 사점까지 요동 시켜서 반출 아암에 의하여 반출되는 가공후의 가공 재료와, 반입 아암에 의하여 반입되는 가공전의 가공 재료가 프레스기의 하금형의 상방에서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겹치도록 반출 아암과 반입 아암과의 동작의 타이밍을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가공 재료의 송급방법.
KR1019840001184A 1983-03-17 1984-03-09 프레스 가공 재료의 송급방법 KR8800006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43130 1983-03-17
JP58043130A JPS59169633A (ja) 1983-03-17 1983-03-17 プレス加工材料の送給方法
JP43130 1983-03-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7987A KR840007987A (ko) 1984-12-12
KR880000614B1 true KR880000614B1 (ko) 1988-04-18

Family

ID=12655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1184A KR880000614B1 (ko) 1983-03-17 1984-03-09 프레스 가공 재료의 송급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9169633A (ko)
KR (1) KR8800006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475B1 (ko) * 2012-04-27 2013-03-12 한재형 대형 프레스 소재 이송장치
KR101286754B1 (ko) * 2012-04-27 2013-07-16 한재형 대형 프레스 소재 이송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81230A (ja) * 1985-10-07 1987-04-14 Orii:Kk プレス加工用ワ−クの送給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475B1 (ko) * 2012-04-27 2013-03-12 한재형 대형 프레스 소재 이송장치
KR101286754B1 (ko) * 2012-04-27 2013-07-16 한재형 대형 프레스 소재 이송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9169633A (ja) 1984-09-25
JPS6353897B2 (ko) 1988-10-26
KR840007987A (ko) 1984-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1562B1 (ko) 압착기에 사용되는 재료의 운송장치
US4361413A (en) Work feed apparatus in a press
JPS59191528A (ja) 加工装置のワ−ク搬送装置
KR880000614B1 (ko) 프레스 가공 재료의 송급방법
CN210498603U (zh) 一种等离子切割机用输送装置
JPH0116217B2 (ko)
KR870000177B1 (ko) 피가공물의 자동이송 장치
CN203482837U (zh) 自动豆棒卷制机卷辊运输装置
CN208949139U (zh) 一种玻璃切割掰片系统
KR880000615B1 (ko) 프레스 가공 재료의 송급 장치
CN100453250C (zh) 全自动球面滚子超精机
CN216183878U (zh) 穿戴类压膜翻转喷码机
EP0123398B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workpieces into and out of a press or other workstation
KR0128005B1 (ko) 자동단조기에 있어서의 소재이송장치
CN104129156B (zh) 一种高效的牙排装置及其工作方法
CN210172392U (zh) 一种送料机
US1938725A (en) Cutting and creasing machine
US1891195A (en) Can feeding machine
CN111571161A (zh) 一种工件连续压装装置的使用方法
CN213864307U (zh) 一种用于将传送带上产品快速分料的分料机构
CN211464677U (zh) 一种线材快速横向裁断机
CN114833653B (zh) 能够同时适应内外圈磨削的上料设备
CN219708210U (zh) 一种布料机的非接触式定位装置
KR100331620B1 (ko) 프레스 성형용 패널의 공정간 자동 이송 투입장치
CN218694373U (zh) 一种斜面圆柱管专用切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3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