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463B1 - 각피(角皮)제거용 줄 - Google Patents

각피(角皮)제거용 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463B1
KR880000463B1 KR1019830000064A KR830000064A KR880000463B1 KR 880000463 B1 KR880000463 B1 KR 880000463B1 KR 1019830000064 A KR1019830000064 A KR 1019830000064A KR 830000064 A KR830000064 A KR 830000064A KR 880000463 B1 KR880000463 B1 KR 880000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file
plate
edges
ras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0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3023A (ko
Inventor
길하우스 하인츠
Original Assignee
크레도 스탈바렌파브리크 구스타브 크라하트
게르트 크라하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레도 스탈바렌파브리크 구스타브 크라하트, 게르트 크라하트 filed Critical 크레도 스탈바렌파브리크 구스타브 크라하트
Publication of KR840003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3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4Chiropodists' instruments, e.g. pedic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2Skin grafting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illing, Broaching, Filing, Reaming, And Other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각피(角皮)제거용 줄
제1도는 본 발명에의한 각피용 줄의 사시도.
제2도는 줄 두부의 저면도.
제3도는 줄 두부 평면도.
제4도는 줄 두부의 단면도이며,
제5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줄판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손잡이 2 : 줄두부
4 : 저면 5 : 연부
6 : 단턱 7 : 플렌지
8,9 : 돌출단부 10 : 만곡연부
11 : 줄판 12 : 만곡연부
13 : 홈 14 : 보강리브
본 발명은 손잡이와 손잡이에 부착된 두부 및 두부에 복착되는 줄판으로 구성된 각피제거용 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각피제거용 줄은 DE-GM 19 85 681에서 공지 되었다. 여기에서 공지된 줄은 줄의 두부가 얇은 물질로 만들어진 반원형 단면의 판으로 되어있고 줄판은 그 반원판 위에서 슬라이드 되게 되었다. 이러한 줄에서는 그 줄판이 줄의 손잡이를 앞으로 밀고 또 뒤로 끌어 당기는 작업 방향하고 일치하는 손잡이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게 되었다.
공지의 줄에서는 손잡이를 뒤로 당길때 줄판이 반원형 단면의 지지판으로부터 벗겨지므로 각피를 긁어 낼때는 줄판을 앞으로 밀어야 하였고 앞으로 밀때는 줄판이 반원형판에 걸려 빠지지 않도록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결점을 해소하고 각피제거용 줄이 어떠한 작업 방향에 대하여도 제한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주요한 점은 각피제거용 줄을 앞으로 밀거나 뒤로 끌어당기는 경우에도 줄판이 줄 두부로부터 떨어져 나가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 외에도 작업 방향을 좌우로 하였을때에도 보다 쉽게 작업할 수 있어야 할 뿐아니라 사용중 마손 또는 훼손된 줄 판을 쉽게 분리할 수 있어야 하고 또 수리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구나 줄 판의 구멍을 통하여 이면으로 빠져나가는 각피 부분을 손잡이 또는 두부와 줄판 사이의 틈에서 압축되지 않으면서 일부도 밖으로 나가지 않고 그 내부에 수장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줄 두부의 작업면 양측에 돌출된 연부를 형성하고 작업면의 반대측 두부이면의 양측에 플렌지를 돌설하여 그 외측단에 홈을 형성하고 두부의 선후단부에 돌출단부를 형성하여 줄판의 내향만곡부의 연부에 외향 연부를 형성하므로서 달성된다.
본 발명에의한 각피 제거용 줄은 손잡이 끝에 부착되고 저면에 작업면이 형성된 줄 두부와 손잡이에 평행한 줄두부의 양측 연부에 감착되는 만곡 연부를 갖는 줄판으로 구성된 각피 제거용 줄에 있어서, 줄 두부의 양측 연부에 돌출 연부를 돌출 되게 형성하고 작업면 반대측의 두부 표면에 플렌지를 돌출 형성하여 플렌지 외측에 단턱이 형성되게 하고 두부위 선후 단부에 전기한 돌출 연부 및 플렌지와 연결되는 돌출단부를 형성하며 줄판의 내향 만곡부의 양측연부에 외향 연부를 연설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각피제거용 줄에 의하면, 줄 두부의 양단에 있는 돌출단부로인해서 줄판이 손잡이의 길이 방향으로 더 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된다. 따라서, 각피제거용 줄은밀거나 당길때에도 줄판이 줄 두부로부터 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양측 연부를 두껍게 형성하여 줄판의 만곡연부를 밀착되게 형성하였으므로 좌우측으로 미는 경우에도 줄판이 두부로부터 떨어지지 않게 된다. 더구나 줄판의 만곡 연부와 접촉하는 줄 두부의 측연부 플렌지에 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줄 판을 한 손가락으로 누르면 줄판이 줄 두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된다. 이러한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는 줄판을 탄력성이 있는 얇은 강철판으로 만들어야 한다. 줄판의 연부가 플렌지에 밀착되게 하면 줄판이 줄 두부위에 정확하게 자리 잡게되며, 그렇게 되면 줄의 움직임도 정확하게 이루어 지게되어 예기치 않았던 줄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오같이 줄 두부와 줄 판 사이가 결합되어 있으면 줄이 길이 방향에 대하여 가로 질러 움직일때에도 줄판의 연부가 두부의 측면에서 벗어지지 않게된다.
줄 두부는 그 측연부가 두껍고 둥글게 되어 있어서 줄판을 쉽게 벗겨 낼수 있다. 그리고 줄판을 누를 수 있도록 형성된 홈에서 줄판을 누르면 줄판이 쉽게 벗겨진다.
줄판은 탄력성이 충분한 통상의 강철판으로 만들어지는 반면에, 줄 두부는 합성수지 판이 이용되는바, 합성수지판은 휘지 않도록 여러개의 보강부를 갖고 있다.
즉 두껍게 만들어진 양측 모서리와 플렌지가 적당한 강화작용을 하게되므로 줄 두부의 나머지 부분을 보다 얇게 할 수 있다.
줄 두부를 형성하고 있는 합성수지 판은 가운데에 하나의 보강 리브를 갖고 있는바 이 리브는 줄판의 중앙을 받쳐주고 있다. 따라서 줄판이 씌워져 있을 때는 줄 판과 줄 두부 사이에 리브에 의하여 분할된 2개의 공간이 만들어진다.
이와같은 구성에의하면 줄 두부를 전체적으로 볼때 비교적 가볍게 할 수 있을뿐 아니라 줄 판을 통과하는 각피 부분을 받아 들이는 공간이 만들어 지게 되어 공지의 각피 제거용줄의 줄두부와 줄판사이에서, 나타나던 각피입자의 압축이 나타나지 않는다.
줄 두부와 손잡이는 알체로되게 합성수지로 제조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되면 줄 두부와 손잡이 사이에 만들어진 돌출부를 직접 손잡이의 구성 부분으로 만드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의하면 합성수지로된 줄 두부(2)에 손에 쉽게 잡을수 있도록 된 손잡이(1)가 줄두부(2)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었다.
줄두부(2)의 하부작업면(4)은 줄판(11)에의하여 복착되도록 되어 있는바, 줄판(11)은 내향 만곡된 연부(10)가 단턱(6)에 끼워져서 플렌지(7)에 접촉하게 되었다. 그리고 외향만곡부(12)는 두부의 측면으로 약간 돌출되게 되었다. 줄두부(2)의 선단에는 줄판(11)이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막기 위한 제1돌출단부(8)가 형성되었고 후단에는 제2의 돌출단부(9)가 형성되었다 돌출단부(9)는 줄판(11)이 손잡이(1)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2개의 돌출단부(8)(9)의 간격은 줄판(11)의 길이와 같다. 그리고 두부(2)의 저면 중앙에는 리브(14)가 형성되어 있어서 줄판(11)의 중앙을 접촉하면서 지지하게 되었다. 줄판(11)은 그 연부(10)가 두부(2)의 양측연부(5)에 밀착된다.
그리고 두부(2)의 플렌지(7)에는 두부(2)로부터 줄판(11)을 분리할때 손가락의 끝을 집어넣게 된 홈(13)이 형성되어 있어서, 홈(13)에서 줄판(11)의 연부를 밀면 줄 판이 줄 두부(2)의 상면(3)으로부터 제쳐지고 더 밀면 두부로 부터 완전히 떨어지게 된다.

Claims (6)

  1. 손잡이끝에 형성된 하부 작업면을 갖는 줄 두부와 줄 두부의 양측연부에 감착되도록 된 양측 만곡연부를 갖는 줄판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두부(2)의 작업면(4)양측에 연부(5)를 형성하고 작업면의 반대측 저면(3)양측에 플렌지(7)를 돌설하여 그 외측단에 단턱(6)을 형성하고 두부(2)의 선후단부에 돌출단부(8)(9)를 형성하며 줄판(11)의 내향 만곡부(10)의 단부에 외향 연부(12)를 형성하면서 된 각피 제거용 줄.
  2. 청구범위 제1항에서, 작업면(4)양측에 형성된 돌출연부(5)의 외주면이 둥그렇게 형성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줄.
  3. 청구범위 제1항에서, 일축 플렌지(7)에 홈(13)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줄.
  4. 청구범위 제1항에서 줄두부(2)가 합성수지판으로 형성되었고 양측연부(5), 플렌지(7)및 중앙 보강 리브(14)로 보강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줄.
  5. 청구범위 제4항에서, 줄 두부(2)의 두께가 플렌지(7)과 양측연부(5) 및 보강 리브(14)의 외주면사이의 두께에 의하여 한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줄.
  6.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줄두부(2)와 손잡이(1)가 일체로 되게 합성수지로 형성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줄.
KR1019830000064A 1982-04-02 1983-01-10 각피(角皮)제거용 줄 KR8800004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3212274A DE3212274C2 (de) 1982-04-02 1982-04-02 Hornhautraspel
DEP3212274.8 1982-04-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3023A KR840003023A (ko) 1984-08-13
KR880000463B1 true KR880000463B1 (ko) 1988-04-07

Family

ID=6160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0064A KR880000463B1 (ko) 1982-04-02 1983-01-10 각피(角皮)제거용 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JP (1) JPS58177229A (ko)
KR (1) KR880000463B1 (ko)
CH (1) CH660675A5 (ko)
DE (1) DE3212274C2 (ko)
FR (1) FR2524277B1 (ko)
GB (1) GB2117635B (ko)
HK (1) HK72986A (ko)
IT (1) IT11618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944Y2 (ko) * 1986-05-27 1991-03-12
DE3639953A1 (de) * 1986-11-22 1988-05-26 Wilkinson Sword Gmbh Hornhautreibe
DE3740902A1 (de) * 1987-12-03 1988-12-22 Ursel Schlicksupp Rotierende hornhauthohlzylinderraspel mit absaugoeffnungen und einer darueber angeordneten, dazugehoerigen durchsichtigen staubschutzvorrichtung
ES1041724Y (es) * 1999-01-13 1999-11-16 Gombau Amado Pascual Dispositivo para el cuidado y tratamiento de callos y duricias.
SE521259C2 (sv) * 2002-03-07 2003-10-14 Anne-Mari Edman Hjälpmedel för fotvård
DE202017100947U1 (de) 2017-02-21 2017-03-03 "Credo" Stahlwarenfarbik Gustav Kracht GmbH & Co. KG Klingenblatt und Vorrichtung mit Klingenblatt zur abtragenden Behandlung von Hornhau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509860U (de) * 1975-07-24 Buechel R Hornhauthobel
FR1200089A (fr) * 1956-08-23 1959-12-17 Instrument perfectionné, en forme de petite râpe, pour la réduction de cors, durillons et autres excroissances de la peau, en particulier aux pieds
CH386055A (de) * 1960-02-27 1964-12-31 Schloemann Ag Verfahren zum Stranggiessen von Metallen in Durchlaufkokillen
DE1985681U (de) * 1968-01-17 1968-05-22 Credo Stahlwaren Kracht Hornhauthobel.
DE6750793U (de) * 1968-08-03 1969-01-16 Garmeister W Huehneraugen-minischneiden-klinge
US4215473A (en) * 1978-12-21 1980-08-05 The Stanley Works Cutting and abrading hand t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H660675A5 (de) 1987-06-15
IT8320394A0 (it) 1983-03-31
KR840003023A (ko) 1984-08-13
GB2117635B (en) 1986-03-05
FR2524277A1 (fr) 1983-10-07
GB2117635A (en) 1983-10-19
FR2524277B1 (fr) 1987-04-10
IT1161812B (it) 1987-03-18
JPS58177229A (ja) 1983-10-17
DE3212274C2 (de) 1984-09-13
DE3212274A1 (de) 1983-10-13
HK72986A (en) 1986-10-03
JPH0240452B2 (ko) 1990-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37207A (en) Callous-removing skin-file
US5050305A (en) Hair trimmer with comb attachment
US5655743A (en) Keyboard tray
DE59008293D1 (de) Nassrasierapparat.
US4625616A (en) Thumb pick
KR880000463B1 (ko) 각피(角皮)제거용 줄
US2646985A (en) Finger grip insert for bowling balls
US4221084A (en) Abrasive tool
WO2021177525A1 (ko) 손톱깎이
US4241624A (en) Edge sharpener
US4028771A (en) Thin flat eraser and holder
RU2234409C2 (ru) Ручка для инструмента
KR200429467Y1 (ko) 도배용 칼
JP6623931B2 (ja) 切断用定規
KR101915762B1 (ko) 면도날 교체식 면도기
FR2294725A1 (fr) Poignee de baton, notamment de baton de ski
US2898914A (en) Foot raspers for removing callosities
US20220211157A1 (en) Hair comb structure
JPH0413119Y2 (ko)
JPS6314771Y2 (ko)
KR200225029Y1 (ko) 손톱깎이
JP3004128U (ja) 事務用ナイフが付設された鋏
US2719344A (en) Safety diaper pin
KR960010339Y1 (ko) 발바닥 군살 제거기
JPS623201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21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