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421B1 - 카세트 메모리의 데이타 서입 및 독출 제어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카세트 메모리의 데이타 서입 및 독출 제어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421B1
KR880000421B1 KR1019810003369A KR810003369A KR880000421B1 KR 880000421 B1 KR880000421 B1 KR 880000421B1 KR 1019810003369 A KR1019810003369 A KR 1019810003369A KR 810003369 A KR810003369 A KR 810003369A KR 880000421 B1 KR880000421 B1 KR 880000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assette memory
memory
cassett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3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8288A (ko
Inventor
료이찌로 노자와
노부유끼 끼야
Original Assignee
후지쓰후아낙크 가부시끼가이샤
이나바 세이우에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쓰후아낙크 가부시끼가이샤, 이나바 세이우에몽 filed Critical 후지쓰후아낙크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30008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8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1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record carriers
    • G05B19/16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record carriers using magnetic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9/00Digital stores in which the information is moved stepwise, e.g. shift registers
    • G11C19/02Digital stores in which the information is moved stepwise, e.g. shift registers using magnetic elements
    • G11C19/08Digital stores in which the information is moved stepwise, e.g. shift registers using magnetic elements using thin films in plane structur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9/00Digital stores in which the information is moved stepwise, e.g. shift registers
    • G11C19/02Digital stores in which the information is moved stepwise, e.g. shift registers using magnetic elements
    • G11C19/08Digital stores in which the information is moved stepwise, e.g. shift registers using magnetic elements using thin films in plane structure
    • G11C19/0875Organisation of a plurality of magnetic shift regis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umerical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세트 메모리의 데이타 서입 및 독출 제어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메이지·마이너 루우프로 구성된 자기 버블 메모리의 정보 독출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라 카세트 메모리의 데이타 서입과 독출 동작을 제어하는 서입 독출 제어장치의 블럭도.
제3도는 데이타의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라 데이타의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
본 발명은 카세트 메모리의 데이타 서입과 독출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버블 카세트 메모리와 관련된 수치제어 데이타를 서입 및 독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부분 프로그램(part program)을 기억하기 위한 내부 기억장치를 갖는 수치제어 장치에서, 부분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서입하고 메모리에 기억된 정보를 보존하기 위해 기억 매체로서 종이 테이프를 사용하는것이 종래의 실시예였다. 테이프 판독기와 테이프 천공기는 수치제어 장치에 접속되며 테이프 판독기는 테이프 천공기에 의하여 데이타를 테이프에서 내부 메모리로 전송한다. 종이 테이프는 비교적 수명이 짧기 때문에 종이 테이프 기억 매체에 의한 이런 형의 시스템은 충분히 만족할만한 것이 못되며, 다루기도 어렵고 판독 착오가 가끔 일어나기 때문에 신뢰도가 떨어진다.
최근 자기 버블과 반도체 등에 의한 형의 카세트 메모리가 기억 매체로 개발되어 구형의 테이프를 대체하고 있다. 또 기억 매체로 그런 카세트 메모리를 사용하는 수치제어 시스템이 발표되어 실용화 되고 있다. 그러한 형으로 반도체 카세트 메모리를 이용하는 수치제어 시스템의예는 미국 특허 번호 4, 229, 804에 발표되었다.
카세트 메모리는 충분히 효과적인 방법으로 이용될 수 없다는 것이 카세트 메모리 기억 매체를 갖는 종래의 수치제어 시스템에서 당연한 단점이다. 예를들어 가공 작업을 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의 데이타를 카세트 메모리의 여백에 기억시키려 할때, 여백이 전체 프로그램을 기억하는데 불충분한 크기를 갖는 경우 가공프로그램은 독자적인 또는 새로운 카세트 메모리에 기억되어야 하고, 상기 메모리의 여백에 어떤 것도 서입되지 못한다. 그러므로 카세트 메모리는 여백이 다 소모되어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없고 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상기의 관점에서 볼때 한개의 가공 프로그램을 전체로 기억시킬 수 없다 하더라도 여백을 다 소모하지 않는 카세트 메모리의 독출과 서입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및장치가 필요하다. 즉 데이타를 상기 여백으로 서입함으로써 카세트 메모리를 전체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상기 설명한 방법 및 장치를 종래의 기술은 아직 보유하고 있지 않다.
자기 테이프가 콤퓨터 시스템에서 기억 매체로 사용될 때, 복수개의 화일이 한개의 자기 테이프릴 즉, 소위 한개의 볼륨을 구성하는 한개의 자기 테이프(야마다 마사유끼의 1980년 7월 25일 발행의 "화일 편집개론(Introduction to File Compilation)"의 페이지 9~11)에 기억될 수 있는 화일 편집 방법이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개의 볼륨이 여백을 갖고 있지만 화일은 전체로 여백에 서입될 수 없을 때, 데이타는 거기에 기억될 수 없으며, 여백도 다 소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타 서입 및 독출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구비하여 메모리의 이용을 효과적으로 하며, 특히 전체의 가공 프로그램이 여백 부분에 기억될 수 없는 때라도 카세트 메모리의 여백부분의 소모를 피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데이타를 기억하는 여백이 이미 카세트 메모리에서 이용될 수 없을때, 램프등의 수단에 의해, 카세트 메모리에 과부하를 걸지 않고 더 이상의 데이타를 서입하기 위한 새로운 카세트메모리로 교체하도록 조작자에게 알리는, 데이타의 서입 및 독출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카세트 메모리에서 여백이 이미 사용될 수 없을 때 쉽게 검출할 수 있는 데이타 서입 및 독출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카세트 메모리로부터 데이타를 독출할 때 최종 데이타의 독출을 쉽게 검출하고, 이 때 카세트 메모리의 교환을 지시할 수 있는 데이타의 서입 및 독출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그 방법 및 장치가 버블 카세트 메모리에 응용하는데 가장 적합한 데이타 서입 및 독출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이점은 첨부 도면과 함께 취해진 하기 설명에서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제1도의 자기 버블 메모리에 관련해서 설명될 것이다. 버블 메모리는 공지된 것으로 후지쓰리미티드에 의해 출판된 1979년도 책자 "Fujitsu Bubble Memory Technical Information"에 발표되었다. 제1도에서 m1, m2, m3… mN은 전부 N개인 마이너 루프의 번호를 나타낸다. 각 마이너 루프는 2M비트의 버블 도메인 전송 트랙을 갖는 폐루프이다. 예를들면 T바아 패턴의 연속적인 루프이다. BG는 버블 메모리 발생기, BE는 버블 흡수기, MLR은 판독 전용의 메이저 라인이며 MLW는 서입 전용의 메이저 라인이다. 마이너루프 m1, m2… mN의 일단은 메이저 라인 MLR, MLW와 접하고 있으며, 전송 지령이 트랜스퍼 TFR에 의해 내려지면, 즉시 독출 전용의 메이저 라인 MLR의 전송 영역에 있는 마이너 루프의 비트 위치에 있는 버블 도메인(원으로 표시됨)이 메이저 라인 MLR에 전송된다. 한편 전송 지령이 트랜스퍼 TFW에 의해 발해지면, 서입 전용 라인 MLW로 서입된 버블 도메인(원으로 다시 표시됨)은 메이저 라인 MLW에 인접한 영역의 마이너 루프 m1, m2… mN에 전송된다.
독출 동작의 처리는 하기와 같이 일어난다. N비트로 이루어진 한 액세스 단위의 기억정보를 독출할 때 마이너 루프m1, m2… mN의 N개의 버블 도메인이 전송 지령에 응답하여 독출전용의 메이저 라인 MLR에 병렬로 전송된다. 제1도의 자기 버블 메모리에서, 한 액세스 단위의 기억정보는, 각 마이너 루프mi(i=1, 2, … N)에 기억된 2M비트의 정보를 b(i, 1), b(i, 2)…b(i, 2M-1), b(i, 2M)라고 할 때, b(1, j), b(2, j),… b(N, j)(j=1, 2, …, 2M)로 이루어지는 N비트 정보를 의미하게 된다.
독출 전용의 메이저 라인 MLR에 전송된 버블 도메인은 한 비트씩 차례로 독출 전용의 메이저 라인MLR내에서 쉬프트되어 직렬 데이타를 출력한다. 따라서 예를들어 자기저항 효과형의 버블 검출기 BD가 독출 전용의 메이저 라인 MLR의 출력단에 제공되면, 출력 데이타는 버블 도메인의 유무를 검출함으로써 독출될 수 있다. 독출 동작에 있어서는, 마이너 루프 m1, m2,…mN중의 한개의 액세스 단위의 버블 도메인이 소실되는 파괴 독출과 소실되지 않는 비파괴 독출이 있는데, 보통은 비파괴 독출이 행해진다.
그러므로 상기 설명에 따라 기억된 정보는 독출 전용 메이저 라인 MLR에 의해 판독되며, 데이타는 서입 전용 메이저 라인 MLW에 의해 마이너 루프로 서입된다. 버블 도메인은 각 마이너 루프 mi중을 화살표 방향으로 쉬프트하여, 한개의 액세스 단위의 정보가 독출전용 메이저 라인 MLR, 혹은 서입 전용 메이저 라인 MLW에 도달했을 때 독출 혹은 서입된다. 따라서 버블 메모리로부터 데이타를 독출할 때 독출될 데이타를 기억하는 마이너 루프 mi의 비트 위치는 독출전용 메이저 라인 MLR과 마이너 루프 사이의 트랜스퍼 위치에 있어야 하며, 데이타를 버블 메모리로 서입할때는 새 정보가 서입될 마이너 루프 mi의 비트 위치는 서입 전용 메이저 라인 MLW와 마이너 루프 mi사이의 트랜스퍼 위치에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제2도~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2도는 서입 독출 제어장치의 블럭도이며, 제3도는 데이타의 구성을 보인 것이며, 제4도는 한개의 데이타 화일이 두개의 카세트 메모리로 기억될 경우 데이타의 구성도이다.
우선 제2도를 참조하면, 수치 제어장치(11), 제1도의 메이저·마이너 루프 구성을 갖는 자기 버블 메모리를 구비한 카세트 메모리(12)와, 데이타를 카세트 메모리(12)로 서입 및 독출하며 수치 제어장치(11)와 카세트 메모리 사이의 데이타의 전송을 제어하는 서입 독출 제어장치 (13)가 주어지고 있다. 버퍼 메모리(14)는 일련의 가공 데이타 즉 가공 프로그램(한개의 화일이라 함)을 일시적으로 기억하며, 그 데이타는 수치 제어장치(11)에 의해 연속적으로 출력된다. 제3도에서 MDi(i=1, 2, …)로 표시된 가공 데이타의 한개의 화일은 스타트 바이트, 다수의 가공 프로그램 바이트, 그리고 엔드 바이트로 구성된다. 데이타의 한개의 블럭은 후술하는 바와같이 1개의 바이트로 구성된다. 15는 서입제어 회로, 16은 독출 제어회로를 나타낸다. (1-1)바이트의 용량을 갖는 바이트 계수기(17)은 수치 제어장치(11)로부터 전송된 가공 데이타를 한바이트마다 카운트업한다. 이와함께 그 계수기 내용이 영이 아닐때 신호 *ZR="1"을 출력한다. 계수기(18)는 바이트 계수기(17)의 출력인 오버플로우 펄스 OVF1을 계수하는데, 바이트 계수기(17)의 출력 *ZR="0"이면 계수기(18)의 계수값 N이 한 화일의 블럭수를 나타내고, *ZR="1"이면 (N+1)이 한화일의 블럭수를 나타낸다. 이는 하기에서 좀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19는 제어 바이트 발생회로인데, 한 화일의 가공 데이타 MDi를 (1-1) 바이트씩의 다수의 블럭으로 각각 분할할때, 제어 바이트 발생회로(19)는 제3도에 보인 바와같이 각 블럭의 개시 또는 선두에 한개의 제어 바이트 CB를 삽입하고, 1개의 블럭을 1바이트로하여 카세트 메모리(12)에 기억한다. 이 제어 바이트 CB는 제3도에 보인 b1~b8의 8개의 비트로 구성된다. 한개의 화일에서, 선두 블럭 BH의 제어 바이트의 8번째 비트 b8에는 "1"이 기억되며, 최종 블럭 BE의 제어 바이트의 5번째 비트 b5에는 "1"이 기억되고, 중간 블럭 BI의 제어 바이트의 7번째 비트 b7에는 "1"이 기억된다. 카세트 메모리(12)에는 다수의 화일 Fi(i=1, 2, …)가 기억되지만 최종화일 Fn이후에는 데이타 엔드 블럭 DEB가 카세트 메모리에 서입된다. 데이타 엔드 블럭 DEB의 제어 바이트 CD의 첫번째 비트 b1에는 "1"이 서입된다. 또한 카세트 메모리(12)에 1바이트의 블럭형태로 각각 일련의 가공 데이타를 기억하는 과정에 있어서, 카세트 메모리에 단 한 블럭의 여백이 남아 있을 때에는 제4도에 보인 바와같이 상기 블럭의 제어 바이트의 6번째 비트 b6에 "1"이 서입된다. 그러므로 블럭이 화일의 선두에 있으면 블럭의 제어 바이트의 8번째 비트 b8에 "1"이 서입되고, 블럭이 화일의 최종 블럭이면 제어 바이트의 5번째 비트 b5에는 "1"이 서입되며, 블럭이 중간 블럭이면 7번째 비트 b7에 "1"이 서입되고 블럭이 데이타 엔드 블럭이면 첫번째 비트 bi에 "1"이 서입되며, 카세트 메모리(12)의 최후의 1블럭메모리 영역에 기억될 블럭이라면 6번째 비트 b6에 "1"이 서입된다.
20은 디코우더로서 버퍼 메모리(14)에서 독출된 데이타가 스타트 데이타 START이면 데이타 스타트 신호 ST="1"을 발생하고, 엔드 데이타 END이면 데이타 엔드 신호 ED="1"을 발생하며, 또 스타트 데이타도 엔드 데이타도 아니면 가공 데이타 신호 MDS(="1")를 출력한다. 제어회로(21)은 카세트 메모리서입 독출 제어장치(13)의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회로이며, 22는 엔드 게이트, 23은 데이타 합성회로로서 버퍼 메모리(14)의 독출 가공 데이타와 제어 바이트 발생회로(19)의 출력인 제어 데이타를 합성하여 라인L21을 통해 카세트 메모리(12)의 버블 발생기(BG)에 이 합성 데이타를 입력한다. 1바이트의 용량을 갖는 바이트 계수기(24)는 합성회로(23)에서 1바이트의 데이타가 출력될 때마다 +1카운트업 한다. 25는 바이트 계수기(24)에서 발생하는 오버플로우 펄스 OVF2를 계수하고 1화일의 블럭수를 지시하는 계수기이며, 용량이 1인 바이트 계수기(26)는 카세트 메모리(12)의 버블 검출(BD)기에서 라인 L22을 통해 독출된 데이타를 1바이트씩 계수하고, 그 내용이 영이면 영신호 ZRO(="1")를 출력한다. 27은 NOT게이트이며, 28은 영신호 ZRO="1"이면 개방되는 게이트 회로로서, 제어 데이타를 출력한다. 29는, 후술할 화일 검색완료를 지시하는 일치신호 CIN="1"이고 동시에 영신호 ZRO="0"이면 개방되는 게이트 회로이며, 가공데이타(제어 데이타를 제외)를 출력한다. 게이트 회로(28)의 출력단에 접속된 판별회로(30)는 제어 바이트의 제8번째 비트 b8이 "1"이면 라인 L31에 "1"을 출력하고, 제1비트 b1이 "1"이면 라인 L32에 "1"을 출력하며, 제6번째 비트 b6이 "1"이면 라인 L33에 "1"을 출력한다. 판별회로(30)는 게이트 회로(28)를 통하여 입력된 제어 데이타를 검사하여, 화일의 선두 블럭 BH(제3도)가 독출되면 라인 L31에 화일 선두신호 FHS(="1")를 출력하고, 데이타 엔드 블럭 DEB가 독출되면 라인 L32에 데이타 엔드 블럭신호DBES(="1")를 출력하며, 카세트 메모리(12)의 최후의 1블럭 기억 영역에 기억된 블럭이 독출되면 최종블럭 신호 LBS(="1")를 출력한다. 31은 원하는 화일의 위치(선두 화일로부터 몇번째의 화일인가를 의미한다. 즉 선두 화일에서 두번째, 세번째……)를 기억하기 위한 지령 화일 위치 레지스터이다. 예를들면 수치 제어장치(11)에서 제 i번째의 화일을 꺼내라는 화일 검색 지령을 출력하면 수치 i가 지령 화일 위치레지스터(31)에 기억된다. 또한 직전에 입출력된 Fi의 다음의 화일 Fi+1의 선두 부분을 검색하라는 화일검색 지령이 출력되면, 제어회로(21)는 직전에 입출력된 화일위치 i에 1을 합산하고 그 연사 결과(i+1)가 지령 화일 위치 레지스터(31)에 기억된다. 현재 화일 위치 레지스터(32)는 라인 L31에 "1"이 출력될 때마다 +1 카운트업하고 현재 독출된 화일의 위치를 기억한다. 비교회로(33)은 지령 화일 위치와 현재 화일 위치가 일치할 때 일치신호 CIN="1"을 제어회로(21)과 게이트 회로(29)에 출력한다. 비교회로(34)는 계수기(18, 25)의 내용을 비교하고 내용이 일치하면 일치신호 LBL을 출력한다.
용량 M을 갖는 블럭 계수기(35)는 현재 데이타를 서입시킨 카세트 메모리(12)의 기억 영역이 선두에서 몇번째의 블럭인가를 지시한다. 즉 데이타 엔드 블럭 DEB가 검색되면 블럭계수기(35)는 게이트 회로(28)에서 제어 데이타가 출력될때마다 +1카운트업 하고 수치 제어장치에서의 데이타가 카세트 메모리(12)로 서입될때 블럭 계수기는 1블럭이 서입될 때마다(오버플로우 펄스 OVF2가 발생될 때마다) +1만큼씩 증가된다. 데이타 엔드 블럭 DEB가 검색될 때까지 계수된 제어 데이타항의 수는 카세트 메모리로 이미 서입된 총 블럭의 수를 나타내며, 결국 블럭 계수기(35)의 내용은 현재 독출 서입된 카세트 메모리(12)의 위치가 선두에서 몇번째의 블럭 위치에 있는가를 지시한다. 36은 오아(OR)게이트이다.
비교회로(37)는 블럭 계수기(35)의 내용을 값 M-1과 비교하고(여기서 M은 카세트 메모리(12)에 기억될 수 있는 총 블럭의 수이다), M-1과 계수기 내용이 일치하면 일치신호 BCI를 출력한다. 38은 플립플롭을 나타낸다. 데이타 서입 과정중 카세트 메모리(12)에 여백의 1블럭이 남아 있으면 비교회로(37)는 일치 신호 BCI를 발생하고, 이 일치 신호에 의하여 플립플롭(38)은 세트된다. 39는 다른 플립플롭이며 독출중 카세트 메모리(12)에서 최종 블록 LMB(제4도)가 독출되면, 판별회로(30)는 최종 블럭신호 LBS를 출력하고 플립플롭(39)을 세트한다. 40과 41은 각각 드라이버를 나타내고 42와 43은 램프, 44는 리세트버튼을 나타낸다.
다음에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1화일의 가공 데이타 MD1(제3도)이 수치 제어장치(11)에서 출력되어 카세트 메모리(12)에 기억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수치 제어장치(11)에서 새화일 서입 지령이 제어회로(21)에 보내지면, 제어회로(21)는 라인 L12를 통하여 카세트 메모리(12)에 판독지령을 보내므로, 카세트 메모리(12)의 선두에서 순차로 데이타를 라인 L22를 통해 독출한다. 바이트 계수기(26)의 내용은 블럭의 최초의 바이트(제어 바이트)를 독출할때만 영이되기 때문에(ZRO="1"), 제어 데이타는 게이트 회로(28)를 통하여 판별회로(30)에 입력된다. 판별회로(30)는 독출된 데이타의 1바이트마다 입력된 제어 데이타의 제1비트 b1이 "1"인가 아닌가를 판별한다. 즉 판별회로(30)는 입력된 제어 데이타가 데이타 엔드 블럭 DEB에 속하는가를 판별한다. 제어 데이타가 제1비트에서 "1"임을 알게되면 판별회로(30)는 데이타 블럭 엔드신호 DBES(논리 "1")를 라인 L32를 통해 제어회로(21)에 입력한다. 이 신호 DBES에 의해 제어회로(21)는 즉시 데이타 독출을 정지한다. 이상에 의해 새 가공 데이타 MD1을 서입하는 카세트 메모리의 작성 과정이 완료된다. 즉 상기 과정에 따라, 새 정보가 서입되는 마아너루프의 비트 위치가 트랜스퍼 위치에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처리와 병행하여 혹은 그전에 수치 제어장치(11)에서 출력된 1개의 화일의 가공 데이타는 버퍼 메모리(14)에 기억된다. 또한 가공 데이타 MD1이 제어회로(21)를 통해 한 바이트씩 연속적으로 출력되면 서입 제어회로(15)에 의해 버퍼 메모리(14)에 데이타가 기억된다. 이와 병행하여 바이트 계수기(17)는 1바이트의 가공 데이타(스타트 데이타와 엔드 데이타는 제외)가 라인 L11에 출력될 때마다 1만큼 카운트업되고, (1-1) 바이트의 가공데이타의 발생에 의해 오버플로우 펄스 OVF1을 출력한다. 또 계수기(18)는 이 오버플로우 펄스OVF1을 계수하고 1화일의 블럭수를 지시한다. 즉 ; 엔드 바이트가 발생하는 시점에 있어서 바이트 계수기(17)의 내용이 영 (*ZR="0")이 되면 계수기(18)의 계수값 N이 1화일의 총 불럭수가 되며, *ZR="1"이면 (N+1)이 1화일의 총 블럭수가 된다.
1화일의 총 가공 데이타가 버퍼 메모리에 기억되면 이후 판독 제어회로(16)의 제어에 의하여 가공 데이타가 순차로 1바이트씩 버퍼메모리(14)에서 독출됨과 동시에 디코우더(20)에 입력된다. 최초의 데이타가 스타트 데이타 START이기 때문에 디코우더(20)으로부터의 데이타 스타트 신호 ST는 논리 "1"이 되며 그 반면 가공 데이타 신호 MDS와 데이타 앤드 신호 ED는 모두 논리 "0"이 된다. 그 결과 앤드 게이트(22)는 폐쇄되어 스타트 데이타 START는 데이타 합성회로(23)에 출력될 수 없다. 한편 데이타 스타트신호 ST는"1"이기 때문에 제어 바이트 발생회로 (19)는 제8번째 비트가 "1"로 서입되는 제어 데이타를 발생하고, 합성회로(24)와 라인 L21을 통하여 카세트 메모리(12)의 버블 발생기(BG)에 제어 데이타를 입력하며, 그 데이타는 상기의 트랜스퍼 위치에 있는 마이너, 루프의 비트 위치로부터 카세트 메모리로 순차로 서입된다. 그런데 스타트 데이타 이후의 데이타는 가공 데이타이므로 디코우더(20)의 가공 데이타 신호 MDS는 "1"이 되며 엔드 데이타 END가 출력될때까지 "1"이 된다. 그 결과 (1-1)바이트의 가공 데티아가 앤드 게이트(22), 데이타 합성회로(23) 및 라인 L21을 통해 카세트 메모리(12)에 기억된다. 즉 가공 데이타의 선두 블럭 BH가 카세트 메모리에 서입된다. 결국 1블럭의 크기를 버블 메모리의 1액세스 단위라고 하면, 그 1블럭의 데이타가 한번에 카세트 메모리로 서입되는 셈이 된다.
바이트 계수기(24)는 1바이트의 데이타가 데이타 합성회로(23)에 의해 출력될 때마다 1만큼씩 카운트업된다. 따라서, 데이타 합성회로(23)가 1바이트 가공 데이타와 (1-1)바이트 가공데이타를 출력하면 즉 데이타 합성회로(23)이 바이트(1블럭)의 데이타를 출력하면, 바이트 계수기(24)는 오버플로우 펄스 OVF2를 발생한다. 이에 의하여 계수기(25)는 1만큼 카운트업 됨과 함께, 독출 제어회로(16)은 버퍼 메모리(14)에서의 데이타의 독출을 일시적으로 정지한다. 한편 오버플로우 펄스 OVF2의 발생에 의하여 제어 바이트발생회로(19)는 제7비트 b7에 "1"을 서입시킨 제어 데이타를 출력하고, 합성회로(23) 및 라인 L21을 통해 카세트 메모리(12)에 입력하여 기억한다. 독출 제어회로(16)는 그후 다시 버퍼 메모리(14)로부터의 (1-1)바이트의 가공 데이타를 다시 독출하고, 앤드 게이트(22), 데이타 합성회로(23)와 라인 L21을 통해 카세트 메모리에 입력하여 기억한다. 즉 제2블럭의 데이타가 카세트 메모리에 서입된다. 그후 상기 방법으로 제7번째 비트에 "1"을 서입시킨 제어 데이타가 (1-1)바이트의 가공 데이타마다 카세트 메모리(12)에 서입되며 3번째 블럭의 기억을 행한다.
상기 동작이 반복되고 순차의 블럭의 가공 데이타가 서입된다. 그러면 1화일의 최종 블럭 BE(제3도)의 직전의 블럭이 카세트 메모리(12)에 서입된 시점에서 계수기(25)의 계수값은 N이 된다. 또한 이 경우 총 블럭의 수는 N+1, 바이트 계수기(17)의 내용이 영이 아니기 때문에 (*ZR="1") 계수기(18)의 계수값은 N이 된다. 따라서 최종블럭 BE의 직전의 블럭이 카세트 메모리(12)에 서입되는 시점에서, 계수기(18, 25)의 내용은 모두 N이 되고 비교회로(34)는 일치신호LBL(="1")을 출력한다. 이에 의하여 제어바이트 발생회로(19)는 제5비트 b5에 "1"을 서입시킨 제어 데이타를 발생하고, 이 데이타는 데이타 합성회로(23)과 라인L21을 통해 카세트 메모리(12)에 기억된다. 최종블럭의 BE의 가공 데이타가 앤드 게이트(22), 데이타 합성회로(23)와 라인 L21을 통해 카세트 메모리(12)에 기억된다.
엔드 데이타 END가 버퍼 메모리(14)에서 독출되면 디코우더(20)는 엔드 데이타신호 ED="1"을 출력한다. 이 신호에 의하여 앤드 게이트(22)는 폐쇄되고 제어 바이트 발생회로(19)는 제1비트 b1에 "1"을 서입시킨 제어 데이타를 발생하며 이 데이타는 카세트 메모리(13)에 기억된다(데이타 엔드 블럭 DEB의서입).
그러므로 상기 일련의 동작에 따라 1화일의 가공 데이타는 각 블럭으로 분할되고 1바이트의 제어 데이타를 가공 데이타가 카세트 메모리(12)에 기억되기 전에 각 블럭의 선두에 삽입된다. 또한 데이타 엔드블럭 DEB는 최신의 화일이 기억된 후 카세트 메모리에 서입된다. 다음 화일이 카세트 메모리에 서입되면 데이타 엔드 블럭이 기억되어야 할 위치에서 그 다음의 화일이 기억되며 이와같이 하여 다시 데이타엔드 블럭이 기억된다.
1화일의 가공 데이타가 카세트 메모리(12)에서 어떻게 독출되어 수치 제어장치에 전달되는 가를 설명한다.
수치 제어장치(11)가 화일 위치 i를 가진 화일을 꺼내라는 검색 지령이 내려지면, 지령화일 위치 i는 제어회로(21)의 제어하에 지령화일 위치 레지스터(31)에 세트된다.
이와 병행하여 제어회로(21)는 라인 L12로 카세트 메모리(12)에 출력되는 독출 지령을 출력하여, 데이타가 카세트 메모리의 선두부터 판독된다. 즉 데이타는 선두 화일부터 순차로 판독된다. 바이트 계수기(26)의 내용은 영(영신호 ZRO="1")이기 때문에, 최초 바이트의 블럭이 독출되면, 제어 데이타만이 게이트회로(28)를 통해 판별회로(30)에 입력된다. 판별회로(30)는 제8비트 b8에 "1"이 서입된 제어 데이타가 인가될 때마다, 라인 L31에 "1"을 출력하고, 화일 현재위치 레지스터(32)의 내용을 +1 카운트업한다. 이후 마찬가지로 선두 블럭의 제어 데이타가 독출될 때마다 라인 L31에 "1"이 나타나고 화일 현재 위치 레지스터(32)의 내용은 +1 카운트업된다.
한편 비교회로(22)는 지령 화일 위치 i와 화일 현재위치를 비교하고 일치되면 일치신호 CIN을 제어회로(21)에 출력한다. 이 일치신호 CIN에 의하여 제어회로(21)는 즉시 데이타의 독출을 정지한다(지령화일의 검색 종료). 이상에 의하여 데이타를 독출하고자 하는 화일의 선두를 서어치하는 처리가 종료한다.
상기 과정에 따라, 독출된 데이타를 기억하는 마이너 루프의 비트 위치는 트랜스퍼 위치에 있게 된다.
1 화일의 가공 데이타는 카세트 메모리(12)에서 라인 L22를 통하여, 제1화일의 1바이트 제어 데이타와(1-1) 바이트의 가공 데이타의 제1블럭, 1바이트의 제어 데이타와(1-1) 바이트의 가공 데이타의 제2블럭의 순서로 독출한다.
제어 데이타의 독출시 바이트 계수기(26)의 내용이 영(ZRO="1") 되므로 게이트 29는 폐쇄되고 가공데이타는 수치 제어회로에 출력될 수 없다. 한편(1-1) 바이트의 가공 데이타가 판독될 때 바이트 계수기(26)의 내용은 1~(1-1)에 있으므로 ZRO="0"이 되며, 게이트 회로(29)는 개방되고 일치신호 CIN="1"을 발생한다. 이로 인해 가공 데이타는 라인 L41과 제어회로(21)를 통해 수치 제어장치(11)에 전송된다. 그러므로 카세트 메모리(12)에서 독출된 데이타는 가공 데이타를 제거하여 수치제어장치(11)에 전송된다.
데이타는 상기 방법으로 카세트 메모리(12)로 서입 및 독출된다. 서입 동작 과정중 화일이 메모리에 전부 기억되기 전에 카세트 메모리(12)의 용량이 다 차는 경우가 있다. 그런 경우 데이타가 메모리에 어떻게 서입될 수 있는가를 설명한다.
데이타가 카세트 메모리(12)에 서입될 때 블럭 계수기(35)이 내용은 이미 메모리로 서입된 총 블럭의 수를 나타낸다. 즉 데이타 서입 동작에 앞서 행해지는 준비과정(데이타 엔드 블럭 DEB의 검색)에서 블럭계수기(35)의 내용은 1 바이트의 제어 데이타가 게이트 회로(28)에 도달할 때마다 +1 카운트업 된다. 또한 데이타가 수치 제어장치(11)에서 카세트 메모리(12)로 서입될 때, 블럭 계수기(35)의 내용은 1 블럭의 데이타가 서입될 때마다, 즉 오버플로우 펄스 OVF2가 발생될 때마다 +1만큼 카운트업된다.
비교회로(37)는 항상 블럭 계수기(35)의 내용과(M-1)값(M은 카세트 메모리(12)에 기억될 수 있는 블럭의 총수)을 비교하여, 계수 내용과(M-1)이 일치하면 일치신호 BCI를 발생한다. 즉 카세트 메모리(12)의 기억 영역의 나머지 부분이 1 블럭과 일치하면 일치신호 BCI가 출력된다. 일치신호 BCI에 의하여 제어 바이트 발생회로(19)는 제어 바이트의 6번째 비트 b6에 "1"이 서입된 제어 데이타를 발생한다. 이데이타는 데이타 합성회로(23)와 라인 L21을 통하여 카세트 메모리(12)에 입력되고, 카세트 메모리의 최종블럭 기억 영역에 서입된다. (1-1) 바이트의 가공 데이타는 버퍼 메모리(14)에서 독출되고 앤드 게이트(22), 데이타 합성회로(23)와 라인 L21을 통해 송출되어 카세트 메모리의 상기 최종 블럭 기억 영역에 기억된다. 이때 바이트 계수기(24)는 오버플로우 펄스 OVF2를 발생하기 때문에 블럭 계수기(35)의 내용은 영으로 회복되고 플립플롭(38)은 세트되며 플립플롭은 드라이버(40)를 통해 램프 드라이브신호 LDS(="1")을 출력한다. 카세트 메모리(12)를 하우징하는 케이스에 장착된 카세트 교환 지시 램프는 드라이브신호 LDS에 의하여 점등된다. 점등된 램프를 보고 조작자가 카세트를 새로 교체하게 한다. 조작자가 새 카세트로 교체하고 리세트 버튼 44를 누르면 플립플롭(38)은 리세트되고 램프(42)는 소등되며 램프 드라이브신호 LDS는 "0"이 된다. 나머지 데이타의 서입 과정이 새 카세트 메모리의 선두로 부터 시작될 수있다.
한편 카세트 메모리(12)의 데이타 독출에서 제6비트 b6에 "1"이 서입된 제어 데이타(제어 데이타의 제6비트에 "1"이 설정되어 있으면 다음 카세트로 쉬프트 하라는 의미이다)가 판별회로(30)에 의하여 검출되면, 이 판별회로(30)는 라인 L33에 신호 LBS(="1")을 출력한다. 이 신호 LBS가 발생하고 바이트 계수기(26)의 영신호 ZRO가 "1"이 되면(제어 데이타에 속하는 최종 블럭 LMB(제4도)가 독출되면) 제어회로(21)는 카세트 메모리(12)에서 데이타의 독출을 정지한다. 동시에 플립플롭(39)은 세트되고 램프 드라이브신호 LDS'는 드라이버(41)를 통해 출력된다. 드라이브 신호는 카세트 메모리 교환 지시 램프(43)를 점등하여 조작자가 그 다음의 카세트로 교체하게 한다.
조작자가 카세트를 교체하고 리세트 버튼(44)를 누르면 플립플롭(39)은 리세트되며 램프(43)는 소등된다. 제어회로(21)는 새 카세트 메모리의 선두로부터 독출을 시작한다. 상술한 두개의 램프(42, 43)들이 사용되는 대신 한개의 램프만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세트 메모리의 전 영역에 데이타를 기억할수 있도록 메모리의 효과적 이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 1 카세트에 들어갈 수 없는 데이타가 메모리 제어장치측에서 처리될 수 있으므로 NC측에서의 처리는 간단해지고, 다른 I/O장치(테이프 판독기와 테이프 천공기등)와 동일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외부에 제공된 램프는 카세트 메모리가 데이타 서입 또는 독출 동작중 교환되어야 할 때 지시하도록 점등되므로 조작자의 작업이 용이해진다.
상기 설명된 실시에에서,수치 제어장치에서 카세트 메모리까지 전송된 데이타는 일시적으로 버퍼 메모리에 기억된다. 이것은 반드시 필연적인 것은 아니며, 카세트 메모리로 데이타가 직접 입력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있을 수 있음은 명백하기 때문에,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한정된 것 이외의 특수한 실시예에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정정) 수치 제어장치와 카세트 메모리, 그리고 수치 제어장치와 카세트 메모리 사이에 설치되어 수체 제어 데이타를 카세트 메모리로 서입하며 수치 제어 데이타를 카세트 메모리에서 독출하는 서입 독출제어장치를 내장한 수치 제어 시스템의, 카세트 메모리의 데이타 서입 및 독출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데이타를 카세트 메모리로 서입하는 동작에서 한개의 화일을 소정수의 바이트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블럭으로 분할하는 과정이 행해지며, 한 화일이 수치 제어장치에서 카세트 메모리로 서입된 데이타의 한 입력단위로 구성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블럭의 각각의 선두에 제어 바이트를 부가하는 단계, 카세트 메모리의 나머지 기억 영역의 양이 데이타의 한 블럭의 양이 되는가를 검출하는 단계, 카세트 메모리의 나머지 기억 영역의 양이 데이타의 한 블럭의 양이 되는가를 검출하는 단계, 카세트 메모리의 나머지 기억양이 한 블럭의 양에 상당한 때에는 카세트 메모리에 기억된 최후의 제어 바이트에 다음의 카세트 메모리로 이전하는 것을 지시하는 부호를 서입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메모리의 데이타 서입 및 독출 제어방법.
  2.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카세트 메모리의 나머지 기억 영역의 양이 영이면 카세트 메모리가 교체되어야 하는 것을 외부에 지시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메모리의 서입 및 독출 제어방법.
  3. (정정)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의 한개의 입력 단위가 한개의 수치 제어 프로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메모리의 서입 및 독출 제어방법.
  4. (정정)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카세트 메모리로부터 데이타를 독출하는 동작에서, 상기 그 다음의 카세트 메모리로 이전하라는 지시를 하는 부호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부호가 검출되면 카세트메모리를 교환할 것을 외부에 지시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메모리의 서입 및 독출 제어방법.
  5. (정정)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수치 제어 데이타가 한 블럭 단위로 카세트 메모리에 서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메모리의 서입 및 독출 제어방법.
  6. (정정) 수치 제어장치와 카세트 메모리 사이에 설치되어, 수치 제어 데이타를 카세트 메모리로 서입하고 수치 제어 데이타를 카세트 메모리에서 독출하는 데이타 서입 독출 제어장치에 있어서, 수치 제어장치에서 카세트 메모리로 서입된 한 입력장치의 데이타를 각각 소정수의 바이트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블럭으로 분할하는 수단과, 제어 바이트를 상기 복수개의 블럭의 각각의 선두에 부가하는 수단과, 카세트 메모리의 나머지 기억 영역의 양이 데이타의 한 블럭과 일치하는가를 판별하는 수단과, 최종 블럭의 제어바이트에 그 다음의 카세트 메모리로의 이전을 지시하는 부호를 서입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의 서입 및 독출 제어장치.
  7. (정정) 제6항에 있어서, 카세트 메모리의 나머지 기억 영역의 양이 영이라는 사실을 검출하면 램프를 점등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의 서입 및 독출 제어장치.
  8. (정정)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카세트 메모리로부터 데이타를 독출할 때 다음의 카세트 메모리로 이전을 지시하는 부호를 검출하는 수단과, 카세트 메모리가 상기 부호의 검출에 의하어 교체되어야할 것을 외부에 지시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서입 및 독출 제어장치.
  9. (정정)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카세트 메모리가 버블 카세트 메모리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의 서입 및 독출 제어장치.
KR1019810003369A 1980-09-25 1981-09-10 카세트 메모리의 데이타 서입 및 독출 제어방법 및 장치 KR8800004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3305 1980-09-25
JP55133305A JPS5757308A (en) 1980-09-25 1980-09-25 Data storage system of cassette memory
JP80-133305 1980-09-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8288A KR830008288A (ko) 1983-11-18
KR880000421B1 true KR880000421B1 (ko) 1988-03-22

Family

ID=15101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3369A KR880000421B1 (ko) 1980-09-25 1981-09-10 카세트 메모리의 데이타 서입 및 독출 제어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049112B1 (ko)
JP (1) JPS5757308A (ko)
KR (1) KR880000421B1 (ko)
DE (1) DE3175962D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8695A (en) * 1973-01-29 1979-02-06 Lanier Business Products, Inc. Cassette central dictation system
US4229804A (en) * 1976-06-28 1980-10-21 Fujitsu Fanuc Limited Numerical control unit having a cassette type memo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049112B1 (en) 1987-03-04
KR830008288A (ko) 1983-11-18
JPS6211727B2 (ko) 1987-03-14
EP0049112A3 (en) 1984-01-11
JPS5757308A (en) 1982-04-06
EP0049112A2 (en) 1982-04-07
DE3175962D1 (en) 1987-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05952A (en) Apparatus for detecting faulty sectors and for allocating replacement sectors in a magnetic disc memory
EP1031980B1 (en) Recording method, managing method, and recording apparatus
EP0127732B1 (en) Information recording system
EP0907142B1 (en) Memory card apparatus
US6161195A (en) EEPROM memory card device having defect relieving means
US4157586A (en) Technique for performing partial stores in store-thru memory configuration
DE3069673D1 (en) Method of rewriting data in a magnetic bubble memory having a major-minor loop organisation
JPH06195258A (ja) 半導体記憶装置
US4932014A (en) Data recording and reading system
KR880002574B1 (ko) 버블 카세트 메모리의 화일 소거장치
KR880000421B1 (ko) 카세트 메모리의 데이타 서입 및 독출 제어방법 및 장치
JPS6330655B2 (ko)
US5315447A (en) Disk control method of format write operation using data distance on a track
US4868737A (en) Method and arrangement in which capacity of a related storage medium is checked when buffering data
KR880000208B1 (ko) 버블 카세트 메모리의 제어방법 및 장치
JP3117244B2 (ja) Eepromの制御装置
US4658376A (en) Magnetic bubble file system
JPS5927034B2 (ja) バブルカセットメモリにおけるファイルの頭出し装置
JPS6017129B2 (ja) バブルカセットメモリにおけるファイル書き込み方式
JPS61115126A (ja) 磁気デイスク装置
JPS6153797B2 (ko)
JPS59112481A (ja) 磁気バブルメモリ装置
JPS59221810A (ja) 磁気記憶装置における交代セクタ−装置
EP0058726A1 (en) Bubble-cassette memory control method and device
JPS6050672A (ja) 回転形記憶装置の読取り制御方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