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385B1 - 필라멘트 웨브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필라멘트 웨브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385B1
KR880000385B1 KR8205832A KR820005832A KR880000385B1 KR 880000385 B1 KR880000385 B1 KR 880000385B1 KR 8205832 A KR8205832 A KR 8205832A KR 820005832 A KR820005832 A KR 820005832A KR 880000385 B1 KR880000385 B1 KR 880000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ament
band
connecting member
filaments
we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5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2925A (ko
Inventor
포트 리차드
Original Assignee
아에로텍스 호크래이스퉁스파서 지엠비에이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에로텍스 호크래이스퉁스파서 지엠비에이취 filed Critical 아에로텍스 호크래이스퉁스파서 지엠비에이취
Priority to KR8205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0385B1/ko
Publication of KR840002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 D04H3/0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in rectilinear paths, e.g. crossing at right ang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filaments or yarns secured together by chemical or thermo-activatable bonding agents, e.g. adhesives, applied or incorporated in liquid or solid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필라멘트 웨브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장치의 개략도.
제2도는 동 장치의 일부를 상세히 보인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 장치의 부분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와 유사하나 수정형태를 보인 부분평면도.
제5도는 제3도와 유사하나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부분 평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수직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급장치 2, 3, 4 : 전개장치
8, 9 : 이송벨트공급로울러 10, 11 : 니프 로울러
12, 13 : 권상로울러 17 : 스프랜드
25 : 밴드 26 : 필라멘트웨브
27, 28 : 이송밸트 31 : 노즐
34 : 절단장치 40 : 연결부재
111 : 가공단
본 발명은 필라멘트 웨브(filamentary web), 즉 섬유가 아닌 필라멘트로 구성된 부직웨브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이러한 필라멘트 웨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필라멘트 웨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즉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단섬유로 구성된 직조웨브가 아닌 필라멘트로구성된 부직 필라멘트 웨브는 그 자체가 이미 공지된 것이다. 예를 들어 독일출원공고 DE-OS 2, 320, 133에는 이러한 형태의 웨브가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웨브와 관련된 종래기술에는 여러가지 결정을 갖는다. 기본 웨브구조는 종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고강도 필라멘트에 의하여 구성되며, 이 웨브가 결합구조물로서 사용되기 위하여 이들 필라멘트가 이들 연장의 횡방향으로 상호 연결되어야 한다. 이는 필라멘트의 일축 또는 양측 표면에 합성수지재의 횡방향 연장사가 제공되므로서 수행되며, 이들 합성수지사가 필라멘트에 결합되도록 가열 용착된다. 이러한 구조가 갖는 한 문제점은 연결사를 용융온도로 필히 가열하여야 하는 점이다. 이러한 필수적인 가열은 연결될 필라멘트의 강도와 성질에 악영향을 미치게 하는 경향이 있다.
다른 문제점은 연결사를 가열하는 방법에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일측 또는 양측이 가열되는 두개의 용융판의 도움으로 수행된다. 실제로 이들 두 용융판이 사용되는 경우 필라멘트에 연결사가 불연속적으로 고정된다. 이는 단위시간단 생산성이 비교적 낮으므로 만족스럽지 못한 것이다. 만약 단일 용융판이 사용된다면 연속공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어떻게 1초의 몇 분의 1내에 연결사를 용융온도까지 신속히 가열하여야 하는가 하는 문제점이 일어난다. 또한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필라멘트에 대하여 연결사의 위치를 정확히 배치하여야 하는 점이 크게 요구되는 바, 필라멘트에 대한 이들 연결사의 연결신뢰 가능성이 희박하다.
상기 언급된 독일출원공고에서와 같이 언급된 다른 종래 기술로서 위사를 피복치 않거나 또는 편복된 카본 필라멘트로 구성하고 경사를 천연 또는 합성섬유로 구성한 직조웨브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제안이 갖는 한 문제점은 최종 제품이 상기 언급된 것보다 강하지 못한 점이다. 다른 문제점으로서는 비용이 많이 드는 점이 지적된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가장 큰 결점은 평면을 갖는 웨브를 제조할 수 없는 점이다. 상기 언급된 일반적인 종류의 웨브는 예를 들어 에어로 글라이더, 스피이드 보우트 및 헬리콥터 로타와 같은 얇은 벽을 갖는 구조물에 보강재로서 종종 사용되곤 하나 이는 사용이 불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종래기술의 결점을 해결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기술의 결점을 갖지 않는 필라멘트 웨브를 제조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우수한 제품, 즉 종래의 결점을 갖지않는 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연결사에 열을 가하지 아니하고 필라멘트를 가열하는 언급된 종류의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필라멘트에 연결사를 정확히 배치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부수적인 목적으로는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고 이후 나타나는 다른 목적들까지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특징은 카본, 아라마이드, 폴리에스티 또는 초자를 기초로 한 필라멘트로부터 필라멘트웨브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다.
요약컨대 이러한 방법은 상호 물리적으로 연결되지 아니하고 일정한 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필라멘트로 구성된 체장한 밴드를 형성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 밴드는 가공단을 거쳐 전진하며 일련의 체장한 연결부재가 동일 가공단으로 이송된다. 이들 연결부재는 실형태, 스트립형태 또는 유사한 형태이며 이들 연장방향이 필라멘트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향하게 되어 있다. 가공단에서, 연결부재는 이송되어 접촉 압력하에 필라멘트에 결합되어 필라멘트와 상호 연결되며 필라멘트가 모두 일정한 방향으로 향하는 단일 필라멘트 웨브를 형성하도록 모두 결합한다.
단일 방향성의 부직 필라멘트 웨브는 종래기술의 직조 웨브에 비하여 매우 유리하다. 예를 들어 카본 필라멘트의 경우 본 발명에 따라서 제조된 웨브의 제로-축에서 인장강도 및 탄성계수는 직조 웨브보다도 약 30% 및 40% 이상 높다. 이러한 이유는 종래 연결사가 상하로 교차된 종래 기술의 직조 웨브가 이들 웨브의 물리적인 강도를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언급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언급된 형태의 필라멘트 웨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역시 요약컨대, 이러한 장치는 연결되지 않은 다수의 체장한 필라멘트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스트랜드를 공급하기 위한 수단과, 이들 필라멘트를 필라멘트가 연결되지 아니하고 연속되나 상호 단일방향으로 향하는 체장한 밴드의 형태로 형성하는 수단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형성된 밴드를 가공단을 통하여 전진시키기 위한 수단과, 체장한 연결부재를 가공단으로 이송하여 이 가공단에 도착시 연결부재가 밴드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게 하는 수단이 제공된다. 끝으로 연결부재를 접촉 압력하에 필라멘트에 이송하고 이 필라멘트에 연결부재를 고정한 다음 필라멘트가 단일방향으로 향하는 단일 필라멘트 웨브로 함께 형성토록 필라멘트를 결합시키는 부가적인 수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필라멘트의 연결부재사이의 접촉면이 이동하거나 변경되는 종래의 위험없이 단일방향으로 배향된 필라멘트에 일련의 연결부재를 연속되게 공급하며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환언하자면 필라멘트에 대하여 연결부재를 예정된 정확한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결합체가 함유되어 있거나 함유되어 있지 않은 얇은 연결부재가 웨브의 표면에, 특히 웨브의 필라멘트 표면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고 단일방향으로 배향된 필라멘트에 결합하여 단일 필라멘트 웨브를 구성한다. 필라멘트에 연결부재가 도포되거나 고정되거나간에 웨브에 부정적인 결과를 갖지 않는다. 부수적으로 필라멘트는 연결부재가 필라멘트에 결합될 때에 적어도 약간의 인장력을 갖는다.
상기 언급된 바를 달리 표현한다면, 본 발명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방된 필라멘트의 스트랜드(각 스트랜드는 다수의 필라멘트로 구성된다)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보빈으로부터 공급되도록 제안한다. 각 스트랜드는 가공단을 향하는 중에 횡방향으로 전개되어 상호 연결되지 않는, 즉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장력하에 이동하는 다수의 단일방향으로 배향된 필라멘트로 구성된 평면상 밴드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될 때에만 밴드가 가공단에 이르고 연결부재와 필라멘트가 접촉하여 단일 특성의 필라멘트 웨브로 결합된다. 이는 밴드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밴드화되는 필라멘트가 전혀 연결되지 아니하여 밴드가 점착성을 가지지 않게 하고, 장력하에 안내되므로 밴드는 본 발명의 목적, 즉 필라멘트 웨브를 연속구성한다는 목적을 위하여 충분히 안정화되는 것이다. 물론, 연결부재가 공급되었을 때에 최종 웨브의 횡방향 안정성을 자동적으로 이루어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연결부재는 비록 밴드의 양면에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기는 하나 밴드의 일측면에만 공급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필라멘트로의 연결부재 공급은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종래기술과 같은 용착 또는 교직에 의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을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조방된 필라멘트의 스트랜드(17)가 적당한 공급장치(1), 예를 들어 보빈 래크(babbin rack) 또는 시어프레임(shear frame)으로부터 다수 공급되고 있음을 보이고 있다. 예를 들어 이들 다수의 스트랜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16)으로부터 인출된다. 스트랜드(17)를 구성하는 필라멘트는 카본 필라멘트이거나 아라마이드, 폴리에스터 또는 초자섬유를 기초로 한 필라멘트이다. 이 실시형태의 설명을 위하여 필라멘트는 카본 필라멘트이고 각 스트랜드(17)는 약 12,000본의 카본 필라멘트로 구성된 것으로 가정되었다.
공급장치(1)로부터 공급된 스트랜드(17)는 안내공 또는 종래기술로부터 알려진 유사장치를 통과하여 조합된다. 그리고 이 필라멘트 " 로우프"는 제1도의 실시형태에서 요구된 전개효과를 갖는 톱니(19)를 구비한 빗형의 부재로 도시된 제1전개장치(2)를 통과한다. 다른 장치, 이러한 전개 효과를 가지며 그 자체 공지된 다른 장치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에서 스트랜드(17)와 안내공(18)을 통과하는 이들로부터 형성된 "로우프"는 가연(可撚)되지 않는다. 만약 이들이 가연되면 요구된 전개효과를 가질 수 없거나 불가능한 것이다.
제1전개장치(2)를 통과한 후 각 스트랜드(17)는 그 필라멘트수가 감소된다. 안내공(18)을 통하여 통과하여 형성된 조합은 스트랜드(17)의 성질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즉, 상기 언급된 " 로우트"는 실제로 안내공(18)을 통하여 밀집되게 통과된 스트랜드(17)의조합한 것이다. 따라서 이들 스트랜드(17)이 제1전개장치(2)를 통과할 때 각 스트랜드는 전개하여 두 부분으로 나뉘어지는 것이다. 나뉘어진 각 부분은 지역(20)으로 진입하며 이 때 이들은 약 6, 000본의 필라멘트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반으로 나뉘어진 스트랜드는 제2전개장치 (3)를 통과하며 다시 이들은 또 반으로 나뉘어지고 측방향으로 전개되며 지역(21)에서는 1/4 스트랜드(공급장치(1)로부터 인출된 본래의 스트랜드에 비하여)의 필라멘트수는 약 3, 000이다. 또 다른 전개장치(4)를 통과한 후 다시 반으로 나뉘어지며 다시 이 스트랜드의 필라멘트수는 약 1, 500으로 감소된다. 상기 언급된 수는 설명을 위하여 설정된 것으로 어떠한 제한을 두는 것이 아니다.
지역(22)에 이르렀을 때에 필라멘트는 요구된 범위까지 전개된다. 만약 필요하다면 최종지역(본문에서는 지역(22)에 해당하는 지역)에 특별이 미분된 단일방향성 필라멘트 밴드를 얻기 위하여 매우 미세한 필라멘트 스트랜드로 시작될 수 있다.
지역(22)로부터 필라멘트는 수집로울러(5)를 통과한다. 이 수집로울러(5)는 그 주면에 필라멘트의 단일 방향성 배향을 용이하게 하고 확실하게 할 수 있도록 일련의 근접된 주면 방향요구(도시하지 않았음)가 배하여져 있다. 지역(23)에 이른 후에 필라멘트는 단일방향으로 평행하게 배향되어 아직은 필라멘트가 횡방향으로 연결되지 않아 횡방향으로 안정되지 않은 평면상 밴드(25)를 형성한다.
밴드(25)는 횡방향으로의 점착성과 안정성을 가지지 않으므로 밴드를 정확히 조절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배드의 필라멘트의 장력을 유지하므로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밴드(25)는 그 주면에 단면이 작은 일련의 축방향으로 연속된 요구가 형성되어 있는 장력 로울러(6)를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이 로울러(6)는 화살표(A)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필라멘트에 가하여지는 장력의 크기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요구된 위치(그 자체 공지된 것임)에서 멈추게 할 수 있다. 이 로울러(6)으로부터 밴드(25)는 지역(24)을 통하여 이로부터 안내로울러(7)를 지나 가공단(111)으로 이동한다.
제1도에서, 이 가공단(111)은 밴드(25)가 지나는 진로의 양측에 배설된 한쌍의 니프 로울러(nip roller)(10)(11)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설명을 보다 간명하게 하기 위하여 로울러(10)(11)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설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완성된 필라멘트 웨브(26)도 동일한 방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간격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다.
밴드(25)는 수직 또는 n의 수직방향으로 로울러(10)(11)의 니프사이로 진입된다. 이들 로울러의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정상적인 회전방향으로 회동구동되며 그들의 주면에는 천연 또는 합성고무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탄성재질로 피복되어 있다.
횡방향 연결부재(40)가 가공단(111)에서 밴드(25)의 필라멘트에 공급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이들은 가공단으로 이송되어야 하며, 제1도에서, 이러한 연결부재의 이송은 이송벨트(27)(28)(밴드(25)의 일측면에만 연결부재가 공급되는 경우 하나의 벨트만이 필요하다)에 의하여 수행된다. 이들 벨트(27)(28)은 가공단(111)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공급로울러(8)(9)로부터 공급되고 이들은 가공단(111)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권상(捲上)로울러(12)(13)에 연속적으로 권상된다.
공급로울로부터 권상로울러로 이동되는 동안 각 벨트(27)(28)는 로울러(10)(11)의 니프를 통과하고 밴드(25)는 니프를 통하여 통과하는 동안 이들 벨트사이에 놓이게 된다. 니프에서 밴드(25)에 면하는 벨트(27)(28)의 표면에는 연결부재(40)가 실려 있다. 이들 연결부재는 각 벨트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고, 외측을 향하여, 즉 밴드(25)측을 향하여 접착면을 갖는다. 연결부재(40)는 각 벨트의 운동진로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즉 밴드(25)를 형성하는 필라멘트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밴드(25)와 결합하여 로울러(10)(11)의 니프를 진입할 때에 벨트(27)(28)는 밴드(25)에 대하여 압압되어 연결부재(40)는 그들의 각 벨트로부터 밴드측으로 압력하에 이송되고 이들은 밴드를 형성하는 필라멘트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연장 배설된다. 환언하건데 연결부재(40)가 효과적으로 밴드(25)에 걸치게 되는 것이다.
연결부재(40)는 분리가능하게 벨트(27)(28)에 공급되어 있으며 그 후 벨트는 필요한 경우 건조단계를 거쳐 권상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이들은 로울러(8)(9)에 감겨져 있으며 유사한 로울러에 이미 감겨져 있는 수도 있다. 그러나 또한 연결부재(40)는 다른 방법으로 벨트(27)(28)에 공급될 수도 있다.
제1도에서 보인 것은 각 로울러(8)(9)의 축방향 전후로 이동 가능하고 벨트(27)(28)상에 접착조성물의 가능 흐름 또는 실의 형태로 접착조성물을 배출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노즐에 의하여 이동하는 벨트상에 직접 도포 형성할 수 있음을 보이고 있다. 이 조성물은 고온 용융 접착제일 수도 있으며 또한 벨트상에 도포된 접착제는 로울러(10)(11)의 니프에 이르기전에 냉각되어 연결부재(40)가 냉각된 상태로 밴드(25)의 필라멘트에 도포된다. 이들 필라멘트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하는 위험(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연결부재를 가열하므로서 나타나는 위험)이 제거된다.
연결부재(40)가 니프에서 밴드(25)의 필라멘트에 옮겨지므로 벨트(27)(28)는 니프의 하류축 단부를 떠날 때에는 이러한 연결부재가 실려 있지 않게 된다. 그리고 이들 벨트는 지역(29)(30)를 통하여 권상 로울러(12)(13)에 권상된다. 이들 벨트는 폐기되거나 벨트의 재질에 따라서 한번 또는 그 이상 재사용될 수 있다.
로울러(10)(11)의 니프에서 연결부재(40)가 도포된 밴드(25)의 필라멘트는 이제 횡방향으로 안정화 되었다. 환언컨데, 밴드(25)는 최종적으로 요구된 제품인 단일 필라멘트 웨브(26)로 전환된 것이다. 이 웨브(26)는 건조단(33)(상세한 구조는 공지되어 있음)을 통과하여 로울러(14)를 돌아 권상로울러(15)로 전진한다. 만약 필요하다면 웨브(26)는 둘 또는 그 이상의 좁고 평행한 스트립의 형태로 절단하기 위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절단장치(단 하나의 절단인(34)만을 예시하였음)가 로울러(15)와 결합될 수 있다. 절단장치(34)는 예를 들어 회전 절단인의 형태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일 수 있으며, 웨브(26)의 전폭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탄성을 위하여 웨브(26)는 제1도에서 니프로울러와 건조단(33)의 중간지역에서 연결부재(40)가 공급될 수 있도록 도시되어 있다. 이들 연결부재와 이들사이에 개재되는 필라멘트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하여 필라멘트는 중앙평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연결부재(40)는 그 양측면의 평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비록 이들 평면들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상호 접촉되어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환언컨데, 로울러(12)(13)의 니프로 부터 상측방향(제1도에서)으로 연속하여 필라멘트와 연결부재(40) 사이에는 간격이 없으며 연결부재는 필라멘트에 직접 접촉하여 웨브(26)의 횡방향으로 접착되어 있다.
연결부재(40)는 웨브 필라멘트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될 필요가 없으며 어떠한 방향적인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도의 실시형태에서, 운반벨트(27a)는 가공단(하나의 로울러(10)만을 도시하였음)에서 로울러의 니프를 통하여 공급로울러(8a)로부터 권상 로울러(12a)로 이동되는 것을 보이고 있다. 여기에서 연결부재(40a)는 장치의 전가공폭을 통하여 로울러(8a)의 축방향 전후로 이동하여 고온 용융 접착물(이는 공지된 것임)의 형태인 연결부재(40)를 도포케하는 노즐(31)(하나만 도시하였음)에 의하여 파행형으로 벨트(27a)에 도포되어 있다. 벨트(27a)의 부분(27a')에는 연결부재(40)가 도시되어 있지 않는데 이는 제2도에서 이 부분이 이미 로울러(10)(11)의 니프를 통과하여 연결부재가 니프에서 밴드(25)의 필라멘트로 옮겨졌기 때문이다. 제3도는 벨트(27)(28)의 한 평면을 보인 것으로 연결부재가 파행형으로 도포된 것으로 보인 것이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여결부재(40)는 각 벨트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만 연장될 필요가 없다(역시 완성된 웨브(26)의 연장방향에 대하여도 수직이 되지 않는다). 이들은 제4도의 실시형태에서 보인바와 같이 경사지게 될 수도 있다. 만약 이들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노즐(31)(제1도-제3도에서와 같이)에 의하여 도포되는 경우 이러한 경사도포는 노즐을 벨트(27)(28)의 이동속도보다 느리게 로울러(8) 또는(8a)의 축방향 전후로 이동시켜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수정될 수 있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연결부재(40)가 각 벨트에 도포되는것(그리고 이들이 로울러(10)(11)의 니프를 지날 때에 필라멘트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도록)과 가공단(111)의 니프에서 필라멘트에 옮겨지는 것이다. 또 달리 중요한 것은 밴드(25)가 가공단(111)에서 횡방향으로 안정화되는 것이며(필라멘트가 웨브(26)로 전환되도록 횡방향으로 연결되므로서), 여기에서 연결부재(40)는 압력하에 필라멘트에 연결된다.
제5도 및 제6도는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제6도에서, 밴드(25)는 좌측으로부터 우측방향으로 장치에 진입되게 도시되어 있다. 이는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은 빗과 같은 형태의 전개장치(4)(제1도 참조)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후, 밴드(25)는 두개의 방향전환로울러(35)(36)을 돌아 다른 전개 및 두께 감소장치(40)를 통과한다. 여기에서 이 장치(40)는 두개의 결합된 로울러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밴드(25)는 가공단(111)의 로울러(10)(11)의 니프로 진입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있어서, 이들 압력 로울러의 하나는 적극적으로 회전 구동케되어 있다. 즉 로울러(10)가 도시된 모우터(110)에 연결되어 있다. 아울러 로울러(10)는 로울러(11)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되어 있는 실린더-피스턴 장치(30)에 연결된다(역시 공지되어 있음).
밴드(25)가 로울러(10)(11)의 니프를 향하여 이동하는 평면의 양측에는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벨트(27)(28)를 공급하는 공급 로울러(8)(9)가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벨트(27)(28)는 실제로 각각 세부분으로 나누어져 구성되어 있으며, 각 벨트는 양단의 종방향 변부에 좁은 스트립을 재가한 넓은 테이프로 구성된다. 이는 제5도에 예시되어 있으며, 벨트(27)에 대하여 테이프에는 부호(27')가, 스트립에는 부호(27")(27"')가 표시되어 있다. 연결부재(40)은 제4도에서 파행형으로 연장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5도 및 제6도에서도 테이프(27')의 표면에 파행형으로 연장되고 스트립(27")과 (27"')를 연장한다. 이 연결부재(40)는 접착 스트립 또는 접착사일 수도 있으며 이와 유사한 것일 수도 있다.
각 벨트(27)(28)가 방향전환봉 또는 로울러(37)(38)에 이르렀을 때에 이 스트립(예를 들어 27"와 27"')은 그 테이프(예를 들어 27')로부터 분리한다. 각 테이프는 이동하여 권상로울러(112)에 권상된다. 다만 스트립(27")(27"')과 이에 연결된 연결부재(40)가 로울러(10)(11)의 니프로 진입될 뿐이다. 니프에서 로울러(10)(11)에 가하여진 압력이 연결부재(40)를 밴드(25)의 필라멘트에 압압하여 접착되게 한다.
니프의 하류측에서, 스트립은 절단인(39)(하나만을 도시하였음)에 의하여 연결부재(40)로부터 절단되어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되는 권상로울러(212)에 권상된다. 이 스트립은 밴드(25)의 양측에 위치하므로 즉 밴드(25)의 폭보다 넓으므로 벨트(27)(28)의 스트립은 모두 로울러(212)상에 권상된다. 그러나 필요하다면 다른 로울러(212)를 웨브(26)이 이동하는 평면의 타측에 배설하여 각 벨트의 스트립을 별도의 로울러(212)에 권상시킬 수 있다. 완성된 필라멘트 웨브는 전진하여 구동 로울러(15)에 권상된다. 필요하다면 중간분리스트립(도시하지 않았음)가 상호 개별적인 웨브롤을 분리하도록 웨브(26)과 함께 권상될 수 있다.
각 벨트(27) 또는(28)가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제5도 참조) 세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는 경우 벨트의 테이프부분(27')은 이에 부과된 비접착성을 갖도록 처리되거나 코팅된 비접착성의 표면을 갖는 종이 또는 적당한 포일재질일 수 있다. 스트립(27")(27"')는 폴리에스터 또는 폴리에스터 플이이스일 수 있으며 스테이프가 접촉되는 표면에는 아크릴 베이스 또는 이와 유사한 영구접착형의 접착물이 도포된다. 각 테이프부분(즉, 그 비접착면)으로부터 스트립과 연결부재(40)의 균일한 분리를 위하여 니프에서 밴드(25)의 필라멘트에 접촉하는 연결부재(40)의 표면(물론 연결부재 자체는 접착 특성을 갖는다)에 동일한 접착물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와 같이 테이프부분(27')는 표면에 대하여 비접착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연결부재(40)는 밴드(25)의 필라멘트에만 접착될 수 있는 접착력만을 가지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스트립(27")(27"')와 이에 연결된 연결부재(40)는 부재(37)(38)에서 테이프부분으로부터 분리된 후 로울러(10)(11)의 니프로 이동한다.
테이프부분이 분리되어 구조적인 안정성이 감소되었음에도 니프로 스트립과 연결부재(40)를 안내함에 있어서 아무 문제점이 없음이 경험되었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40)는 각 벨트에 도포된 고온용융 접착성의 실 또는 스트립의 형태이다. 또한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밴드(25)의 (보강) 필라멘트에는 종래기술과 같이 열이 가하여지지 않는다. 그러나 이들 두 관점은 처음 언급한 바와 같이 모순된 것은 아니다. 고온 용융 접착물은 도포전에 가열되는 액화된 점성(페이스트형)의 물질이다. 따라서, 이는 벨트(27)(28)에 고온상태로 접촉된다. 그러나 각 벨트에 도포시에는 즉각 냉각되는 실 또는 좁은 스트립형태로 도포되어 즉시 로울러(10)(11)의 니프에 이르며(밴드(25)의 필라멘트와 접촉하여), 연결부재(40)는 냉각되어 필라멘트에 어떠한 위험이나 다른 영향을 미치게 하지 않는다.
다른 분석없이 이상 언급된 바로서 본 발명의 요지가 충분히 드러날 것이므로 종래 기술의 견해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대한 발명공헌의 일반적이고 특수한 관점의 본질적인 특성으로 명료하게 구성된 특징을 생략함이 없이 현행지식의 응용으로 여러가지 수정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적용이야말로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내에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Claims (19)

  1. 카본, 아라마이드, 폴리에스터 또는 초자를 기초로 한 필라멘트로부터 필라멘트 웨브를 제조함에 있어서, 연결되지 않은 다수의 단일방향성 필라멘트로 구성된 체장된 밴드를 형성하는 단계, 밴드를 가공단을 통하여 전진시키는 단계, 밴드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된 체장한 연결부재가 배설된 이송체를 통하여 연결부재를 상기 가공단으로 이송하는 단계와, 가공단에서 접촉압력을 가하여 이송체부터 밴드로 연결부재를 전달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단일 펠라멘트 웨브를 형성토록 연결부재가 필라멘트에 횡방향으로 연결되고 필라멘트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멘트 웨브의 제조방법.
  2.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전달하는 단계가 이송체로부터 상기 연결부재를 밴드로 연속전달되게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바의 방법.
  3.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전달하는 단계가 밴드에 연결부재를 접착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바의 방법.
  4.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이송체가 이송벨트이고 상기 가공단에서 연결부재를 전달하는 단계전에 벨트에 연결부재를 도포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바의 방법.
  5.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체장한 밴드 형성단계가 적어도 하나의 공급장치로부터 가연되지 않고 조방된 적어도 하나의 필라멘트를 연속적으로 전진케하는 단계와 상기 체장한 밴드를 형성하도록 필라멘트를 횡방향으로 전개하는 단계로 구성된 바의 방법.
  6. 청구범위 5항에 있어서, 상기 조방된 필라멘트는 두께와 폭을 가지며, 전개단계가 상기 폭이 증가하는 동안 상기 두께를 감소되게 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바의 방법.
  7.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필라멘트를 웨브를 권상단으로 보내는 단계와, 좁은 스트립의 웨브를 형성토록 상기 권상단에서 웨브를 절단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방법.
  8. 카본, 아라마이드, 폴리에스터, 초자를 기초로 한 섬유로부터 필라멘트 웨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연결되지 않는 다수의 필라멘트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스트랜드를 공급하기 위한 제1수단, 상기 스트랜드의 필라멘트로부터 필라멘트가 상호 연결되지 아니하고 단일방향을 갖는 체장한 밴드를 형성하기 위해 제2수단, 이와 같이 형성된 밴드를 가공단을 통하여 전진시키기 위한 제3수단, 상기 가공단으로 체장한 연결부재를 이송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연결부재가 밴드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연장부재를 지지하는 이송체를 포함하는 제4수단과, 상기 가공단에서 접촉압력을 가하는 중에 이송체로부터 밴드로 연결된 상태에서 연결부재를 전달하는 제5수단으로 구성되어, 연결부재가 상기 방향으로 필라멘트에 연결되고 단일 필라멘트 웨브를 형성토록 필라멘트와 결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멘트 웨브의 제조 장치.
  9. 청구범위 8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가 평면을 가지며, 상기 제4수단이 상기 평면의 적어도 일측부에 각각 상기 가공단의 상류측과 하류측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체 공급 로울러와 적어도 이송체 권상로울러로 구성된 바의 장치.
  10. 청구범위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이 상기 제1수단과 상기 가공단의 중간에 위치하는 스트랜드전개장치로 구성된 바의 장치.
  11. 청구범위 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랜드전개장치가 요구된 폭의 체장한 밴드가 형성될 때까지 폭이 증가되도록 연속되게 스트랜드를 전개하는 다수의 구성부분으로 구성된 바의 장치.
  12. 청구범위 9항에 있어서, 상기 제3수단이 필라멘트웨브를 권상하기 위한 권상로울러로 구성되고 웨브를 여러부분으로 절단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된 바의 장치.
  13. 청구범위 9항에 있어서, 상기 제4수단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이송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송체에 상기 연결부재를 도포도록 작동하는 노즐수단으로 구성되는 장치.
  14. 청구범위 8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가 평면을 가지며, 상기 제4수단이 상기 평면의 양측에 각각 상기 가공단 상류측과 하류측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체공급로울러와 적어도 하나의 이송체 권상로울러로 구성된 바의 장치.
  15. 청구범위 1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체가 상기 일측부에 위치하고 각 이송체 공급로울러로부터 이와 결합된 이송체 권상 로울러로 연장된 두부분을 가지며, 각 부분은 이 부분이 이 이송체 공급로울러로부터 가공단으로, 그리고 가공단으로부터 이송체 권상로울러로 이동할 때에 상기 평면을 포함하는 진로에서 비교적 예각으로 이동되는 바의 장치.
  16. 청구범위 8항에 있어서, 상기 제5수단이 한쌍의 니프로울러의 구성된 바의 장치.
  17. 청구범위 9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체가 표면을 갖는 테이프로 구성되고 한쌍의 횡방향으로 간격을 둔 스트립이 상기 표면에 분리가능하게 착설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표면에 중첩되어 상기 스트립에 고정된 바의 장치.
  18. 청구범위 17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이 비접착성 표면이고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스트립이 중첩된 표면을 가지며 밴드의 상기 필라멘트와 접착 가능한 접착들이 도포되어 있는바의 장치.
  19. 청구범위 18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물이 상기 필라멘트에 접착 가능하나 상기 표면과는 접착되지 아니하는 영구 접착성의 접착물인 바의 장치.
KR8205832A 1982-12-28 1982-12-28 필라멘트 웨브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880000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8205832A KR880000385B1 (ko) 1982-12-28 1982-12-28 필라멘트 웨브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8205832A KR880000385B1 (ko) 1982-12-28 1982-12-28 필라멘트 웨브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925A KR840002925A (ko) 1984-07-21
KR880000385B1 true KR880000385B1 (ko) 1988-03-20

Family

ID=19226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5832A KR880000385B1 (ko) 1982-12-28 1982-12-28 필라멘트 웨브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038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925A (ko) 1984-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35433B (zh) 纤维强化树脂片材的制造方法
US4452837A (en) Web reinforced with string-type adhesiv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6425969B1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transverse web
JP2020186511A (ja) 炭素繊維束の分繊方法およびシートモールディングコンパウンドの製造方法
JP7310985B2 (ja) 繊維強化樹脂成形材料の製造方法
JP2014513638A5 (ja) ポリマー含浸繊維帯材の形態をした複合繊維材料の製造装置
KR960040652A (ko) 적층시트의 제조방법
US295481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nd applying strand reinforcement and product produced thereby
US450716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filamentary web
CN110139742B (zh) 纤维材料的赋形装置和纤维材料的赋形方法
JP6409969B2 (ja) シートモールディングコンパウンドの製造方法及びシートモールディングコンパウンドの製造装置
US20010039700A1 (en) Fabric and a process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fabric
US295481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inforcing sheet material
US4256522A (en) Fabrics
KR880000385B1 (ko) 필라멘트 웨브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CA1210314A (en)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reinforcing non-woven fabrics for composites
US344402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oss-laying fibrous material
JP6116241B2 (ja) 伸縮性シート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2015218417A (ja) 開繊繊維束の目止め処理装置、目止め処理方法及び目止め処理された開繊繊維束
JPH0146627B2 (ko)
JP6876267B2 (ja) 繊維束の分割方法、長尺の繊維束、及び繊維強化樹脂材料の製造方法
US20090000725A1 (en) Method For Bonding A Dry Fiber Strip To A Dry Fiber Strand
JP2007216432A (ja) 一方向強化繊維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7222108A (ja) 繊維強化樹脂材料の製造方法
JP2020090608A (ja) シートモールディングコンパウンド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