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331Y1 - 유모차를 겸한 자동 그네 - Google Patents

유모차를 겸한 자동 그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331Y1
KR880000331Y1 KR2019850000074U KR850000074U KR880000331Y1 KR 880000331 Y1 KR880000331 Y1 KR 880000331Y1 KR 2019850000074 U KR2019850000074 U KR 2019850000074U KR 850000074 U KR850000074 U KR 850000074U KR 880000331 Y1 KR880000331 Y1 KR 8800003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seat
permanent magnet
electromagnet
sepa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00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9532U (ko
Inventor
김한덕
전응환
Original Assignee
전응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응환 filed Critical 전응환
Priority to KR20198500000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0331Y1/ko
Publication of KR8600095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95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3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3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9/00Swings
    • A63G9/16Driving mechanisms, such as ropes, gear, belt, motor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모차를 겸한 자동 그네
제1도는 본고안의 전체 구성을 예시한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고안을 그네로 사용할 때의 예시 사시도.
제3도는 본고안을 그네로 사용한 때의 예시 측면도.
제4도는 본고안을 유모차로 사용한 때의 예시 사시도.
제5도는 본고안 중 그네 진동을 위한 전기적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그네지주대 2 : 좌대
3 : 흔들이봉 4 : 전기제어박스
5 : 영구자석 6 : 전자석갑체
7 : 베어링 8 : 걸이밴드
9 : 좌대걸이편 10 : 걸이돌기
11 : 걸이홈 12 : 결착봉
13, 13 : 걸고리 14, 14' : 결착고리
15 : 바퀴축 16 : 나사공
17 : 양산손잡이대 18 : 벨로우즈관
19 : 나사축 20 : 양산
21 : 타이머
본고안은 유모차를 겸한 자동 그네에 관한 것으로, 그네의 진동은 영구자석과 전자석을 좌대의 양측에 설치하여 진동되게 하고, 그네의 좌대를 분리한 다음 하단에 바퀴를 조립하여 유모차로도 사용할 수 있게한 것이다.
종래에도 영구자석과 전자석을 이용한 자동 그네가 있었으나, 이는 자석을 좌대 저면에 장치하였으므로 유아가 방뇨시 전자석 장치내에 수분이 침투되어 누전현상이 일어나는 결점이 있었고, 교류를 직류로 정류한 다음 전자석에 전류가 공급되게한 것이어서 전자석을 통전시킬 때 스위치 접점에서 스파크 현상이 크게 일어나 소음이 일어나고 접점 소손이 많은 결점이 있었으며, 스위치의 접점구조는 이동되고 있는 영구 자석의 흡인력으로 접전되게 한 것이어서 좌판의 진동폭에 따라 영구자석이 스위치편을 흡인하는 시간차이가 생기기 때문에 스위치 동작이 분명하지 못한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에서는 이상과 같은 종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영구자석과 전자석을 좌대 양측에 설치하고 전자석 스위치는 좌대괘지봉이 흔들릴 때 교류상태에서 접전간을 동작시켜 통전되게한 후 직류로 정류하여 전자석에 공급되도록 하므로서 스위치동작이 분명하면서 소음이나 접점소손을 방지하고 좌대의 진동이 원활하도록 하며 좌대는 좌대지지봉과 분리한 다음 좌대지각에 전, 후방바퀴를 결착하여 유모차로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그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네지주에(1)에 그네가 되는 좌대(2)를 흔들이봉(3)에 매달어 영구자석과 전자석을 이용하여 진동되는 그네에 있어서 그네지주대(1)의 상단에 전기 제어박스(4)를 설치하고, 영구자석(5)은 좌대(2) 양측에 착설하며, 전자석 갑체(6)은 영구자석(5)과 근접 대치되게 그네지주대(1) 양쪽 내측에 착설하고, 흔들이봉 (3)은 그네지주대(1)와를 베어링(7)을 개입하여 걸이밴드(8)로 매어달리게 하여 진동이 유연하도록 한다.
흔들이봉(3) 하단에는 “⊥”형으로 교차되게 좌대(2)가 걸려있도록 하는 좌대걸이편(9)을 착설하고, 좌대(2)의 후방지각(2b)과 등판골격(2c) 양측에 걸이돌기 (10)를 설치하여 좌대걸이편(9) 양측의 걸이홈(11)에 상부로부터 끼워져 좌대(2)가 걸려있도록 구성하며, 흔들이봉(3) 하단과 좌대(2)에 착설된 결착봉(12)에는 상대적으로 걸고리(13)와 결착고리 (14)를 착설하여 좌대(2)를 흔들이봉(3)과 분리 결착할 수 있게한다.
좌대(2)의 전, 후방지각(2a)(2b)과 이에 끼워지는 바퀴축(15)에는 상대적으로 결착고리(14'), 걸고리 (13')를 착설하여 분리결착이 되도록 하며, 팔걸이(2d) 상면에는 나사공(16)을 설치하고, 이에 양산손잡이대(17)에 벨로우즈관(18)이 부착된 하단 나사축(19)을 끼워 양산(20)을 착탈할 수 있게 구성한다.
본고안 실시에 있어서 전기제어박스(4)와 영구자석(5) 및 전자석(6)의 전기적인 구성은 도면 제 5도의 예시와 같이 구성하여, 타이머(21)에 의해 진동시간을 설정하고 전원스위치(SW)를 ON시키면 전자석(6)은 영구자석(5)과 동극성을 띄울 때 반발력으로 진동이 되도록 한다.
즉, 전기적인 구성은 타이머(21)에 전원이 연결되고, 이 전원에 전원스위치( SW)가 연결되고, 이에 다이오드(D1)가 연결되어 주전자석 (K1)의 일측탭에 연결되어 있다.
다시 다이오드(D1)의 캐소우드측에 평활콘덴서(C1)가 연결되어 접지전원선이 연결된 보조전자석(L2)의 타측탭에 연결된다. 주전자석(L1)의 두 탭 사이에는 다이오드(D2)가 연결되고, 주전자석(L1)의 타측탭에는 사이리스터(SCR1)의 노우드가 연결되고, 캐소우드는 보조전자석(L2)의 타측탭에 연결되며, 게이트에는 다이오드(D4)가 연결되어 보조전자석(L2)의 일측탭에 연결되고, 캐소우드와 게이트 사이에는 다이오드(D3)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사이리스터(SCR1)의 노우드와 캐소우드 사이에는 직렬연결의 저항(R2)와 콘덴서(C2)가 연결되어 있고, 이들에 대하여 네온램프(N)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본고안의 사용은 좌대(2)를 흔들이봉(3) 하단에 혼들이봉(3)을 끼운 다음 걸고리(17a)와 결착고리(18a)를 채워 좌대(2)를 그네지지대(1)에 괘지시킨 상태에서 그네로 사용하게 된다.
그네를 진동시킬 때는 타이머(21)에 의해 진동시간을 선정되어 전원이 공급되고 전자석갑체(6)내의 주전자석(L1)은 영구자석(5)과 동극성을 띄울 때 서로 반발력하여 진동이 되도록 되어 있다.
즉, 좌대(2)를 일단 앞으로 밀거나 뒤로 미는 순간 좌대(2) 좌, 우측에 설치된 영구자석(5)의 자장이 전자석갑체(5)내에 설치되는 보조전자석(L2)에 기전력을 주어 그 신호가 사이리스터(SCR)의 게이트에 트리거신호가 되어 사이리스터(SCR)가 턴-온 됨으로써 주전자석(L1)이 자화되나 영구자석(5)과는 동극으로 자화되도록 되어 있어서 강력하게 영구자석(5)을 반발토록 하여 영구자석(5)을 고정한 좌대(2)를 밀게된다. 이때 사이리스터(SCR)와 병렬로 연결된 저항(R2)과 콘덴서(C2)의 시정수에 따라 콘덴서 (C2)는 충전되고, 사이리스터(SCR)는 턴-오프 된다. 이와같은 시정수가 지나면 이번에는 콘덴서(C2)에 충전되었던 전하가 방전함으로써 이번에는 영구자석(5)과의 반대의 극성으로 주전자석(L1)에 흘러 영구자석(5)을 흡인하게 되고, 콘덴서(C2)의 방전이 끝남과 동시에 흡인되는 영구자석(4)의 자장에 의해 보조전자석(L2) 에는 다시 기전력이 발생되어 사이리스터(SCR)를 턴-온 시켜 주전자석(L1)을 영구자석(5)과 반대극성으로 여자시켜 반발시켜 연속 반복되게 동작되어 결국 좌대 (2)는 타이머의 시정수 만큼 시이소가 계속되다 끝난다. 또 이때 다이오드(D2,D3,D4)는 전류를 일방향으로만 흐르도록 해주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좌대(2)가 중심의 어느 한쪽에 반대쪽으로 이동하는 순간에 통전되어주전자석(L1)이 자화되었을 때 영구자석(5)을 용이하게 밀어내는 효과가 양호하게 되며, 주전자석(L1)에 공급되는 전류는 일단 반파 정류되어 되는 것이어서 자화에 의한 소음이나 접점소손이 적게 되면 전자석(L1,L2)을 수장한 전자석갑체(6)가 좌대 (2)의 좌, 우 측면에 설치되어 있어 좌대(2)를 진동시키는 힘의 균형이 맞아 좌대 (2)의 진폭을 크고 용이하게 진동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 유모차로 사용시에는 흔들이봉(3)과 결착봉(12)이 분리되도록 걸고리 (17a )과 결착고리(18a)를 풀어 좌대를 들어내어 분리한 다음 좌대(2)의 전, 후방지각 (2a )(2b)에 전, 후방 바퀴축(15)을 각각 끼우고 그 삽입부에 상대적으로 설치된 걸고리 (13')와 결착고리(14')를 걸어 결착시켜 유모차로 사용하게 된다.
유모차로 사용도중 햇빛이 있는 곳에서는 좌대(2)의 팔걸이(2d)에 설치된 나사공(16)에 양산(20)의 손잡이대에(17) 연설된 벨로우즈관(18) 하단 나사측(19)을 끼워 양산(20)을 햇빛이 비치는 쪽으로 기울여 차광하게 된다.
본고안은 이와같은 작용이므로 종래의 영구자석의 흡인력으로 접전되는 자동그네에 비하여 스위치를 기계적으로 접전되게한 것이어서 전자석의 동작이 분명하고 전자석을 좌대의 양측에 설치하므로서 진동이 양호하며, 좌대를 분리하고 전, 후방 차륜을 결착케 할 수도 있으므로 유모차로 겸용할 수 있으며, 유모차에 벨로우즈관이 착설된 양산을 착용하여 차광의 효과도 갖게 된다.

Claims (2)

  1. 그네지지대 (1)에 흔들이봉(3)으로 괘지된 좌대(2)를 영구자석과 전자석으로 진동되게한 것에 있어서 흔들이봉(3)은 그네지지대(1)에 베어링(7)과 걸이밴드(8)로 결착하고 좌대(2) 양측면에 영구자석(5)을 착설하고, 영구자석(5) 상대측 그네지지대 (1)에는 전자석(L1)(L3)를 수장한 전자삭갑체(6)를 착설하며, 좌대(2)는 흔들이봉 (3) 하단의 좌대걸이편(9)과 분리하여 분리된 결착봉(12)에 걸려 있거나 분리되게 하고, 전, 후방지각(2a)(2b)에는 바퀴축(15)을 끼워 상대적으로 설치한 걸고리(13')와 결착고리(14)로 분리 결합되게 하여서된 유모차를 겸한 자동 그네.
  2.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좌대(2)의 영구자석(5)과 전자석(L1)(L2)과의 전기적 회로는 타이머 (21)에 의해 전류공급 시간이 선정되며, 좌대(2) 진동시 영구자석(5)의 자장이 보조전자석(L2)을 여자시켜 사이리스터(SCR)를 턴-온 되게 사이리스터 (SCR )의 캐소드-게이트 사이에 보조전자석(L2)을 연결시켜 되는유모차를 겸한 자동 그네.
KR2019850000074U 1985-01-08 1985-01-08 유모차를 겸한 자동 그네 KR8800003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0074U KR880000331Y1 (ko) 1985-01-08 1985-01-08 유모차를 겸한 자동 그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0074U KR880000331Y1 (ko) 1985-01-08 1985-01-08 유모차를 겸한 자동 그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9532U KR860009532U (ko) 1986-08-11
KR880000331Y1 true KR880000331Y1 (ko) 1988-03-10

Family

ID=19239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0074U KR880000331Y1 (ko) 1985-01-08 1985-01-08 유모차를 겸한 자동 그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033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9532U (ko) 1986-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25639A (en) High intensity lamp with magnetic suction-cup supporting means
US4491317A (en) Electrically powered swing for infant
KR20050071879A (ko) 자동 스윙 가능한 스윙기구
GB2153241A (en) Magnetically movable model toy
KR880000331Y1 (ko) 유모차를 겸한 자동 그네
EP1174168B1 (en) Jellyfish type underwater swimming toy
JPH0772812A (ja) 自己起動する揺動装置及びその太陽電池利用回路と電源回路
JPS6417291A (en)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US20040185746A1 (en) Wobbling toy
US1925350A (en) Electric vibrator
US2781462A (en) Oscillating motor
US4414775A (en) Magnetic kinetic amusement device
KR840000535B1 (ko) 어린이용 침대의 요동장치
JPS6467055A (en) Telephone set
CN2341503Y (zh) 防摔盖的陶瓷壶
KR890000911Y1 (ko) 스윙아트 (Swing Art) 의 램프 점멸구조
US2890355A (en) Magnetic display motor
JPS5576769A (en) Progressive electric driven unit
JPS6229035Y2 (ko)
CN108443753B (zh) 一种游艺台灯
JPS5568858A (en) Direct current motor
JP2513069Y2 (ja) 走行玩具
KR200351030Y1 (ko) 자동 스윙 가능한 스윙기구
JPS5251760A (en) Electric vacuum cleaner
JPH04371105A (ja) 電磁揺動式ゆりか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