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0535B1 - 어린이용 침대의 요동장치 - Google Patents

어린이용 침대의 요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0535B1
KR840000535B1 KR8203602A KR820003602A KR840000535B1 KR 840000535 B1 KR840000535 B1 KR 840000535B1 KR 8203602 A KR8203602 A KR 8203602A KR 820003602 A KR820003602 A KR 820003602A KR 840000535 B1 KR840000535 B1 KR 840000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attached
bed
electromagnets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3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수련
김진수
Original Assignee
정수련
김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수련, 김진수 filed Critical 정수련
Priority to KR8203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05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0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53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어린이용 침대의 요동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부 분리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요부 발췌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요부 박동 상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침대관의 작동 상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전자석과 자극전환용 스위치의 전기회로도.
본 발명은 전원을 공급하면 침대판이 자동적으로 가운데를 중심으로 양측이 고대로 상하 요동되도록 한 어린이용 침대의 요동장치에 대한 것이다.
종래에는 모우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침대판이 요동되도록 한 것이 있었으나, 이는 작동시 소음이 많이 발생됨은 물론 사용시 충격이 가해지거나 몸무게가 무거운 어린이일 경우에는 기어가 쉬 파손되거나 마모되며, 구조가 복잡하고 고장이 빈번한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침대판 저면 양측에 동일극이 저부로 노출되게 강력한 영구자석을 부착하고 이에 대향지게 받침틀 상면에 전자석을 착설하여 이들의 자력에 의해 침대판의 야측이 교대로 요동되게 하되 반정도의 물을 충전시킨 관을 착설한 자주변환용 스위치를 설치하여 양측 전자석의 극성이 고대로 변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 것으로 첨부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직립각도 조절을 할 수 있는 동판(2)이 착설된 침대(1)의 저판(1')과 받침틀(3)의 중심부를 축(4)으로 유착하되, 저판(1')의 저면 중간 부분에는 양면이 경사진 대판(5) 양측에 동일자극이 저부로 노출되게 영구자석(6)(6')을 부착하고, 아에 대향지게 받침틀(3)의 상면 중간부분의 대판(5') 양측에는 전자석(7)(7')을 입설하며, 반정도의 물이 충전된 관(8)이 관착되고 양측면에는 상하단부(9)(9')가 격리된 통전판(10)(10')을 부착한 작동관(11)을 양측면 중간에 부착된 절연판(12)으로 저지판(13)(13')에 각기 유착하고 양측에 접점편(14)(14')을 절곡언설한 전자석(7)(7')의 자극전환용 스위치(15)을 대판(5')의 일측방에 설치하며, 그 양단하부에는 선단에 접점판(16)(16')이 격리되게 부착되고 스프링(17)(17')으로 탄력설치된 승강탄발편(18)(18')이 유착된 고정편(19)(19')을 착설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20"은 정류기가 내장된 전원공급기이며, "21"은 작동관 양측단부의 승강폭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판용 작동간이다.
이와같이 된 본 발명은 고정편(19)에 탄력설치한 탄발편(18)의 선단에 접점판(16)(16')을 격리되게 부착함에 있어 각기 극성을 달리하고, 또 타측 탄발편(18') 선단에 부착한 접점판중 서로 마주보게 되는 점점판과도 극성을 달리되게 전선을 연결하여 서로 같은 극성의 전선끼리 접속하여 전원 공급기(20)의 출력측에 연결하며, 작동관(11)의 양측면에 부착한 통전판(10)(10')의 양측 접점편(14)(14')에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권선방향을 달리하여 대판(5)에 입설된 전자석(7)(7')을 병렬로 접속하는 것으로 그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공급기(20)에 코드를 연결하면 공급선 AC전원은 정류기에 의해 DC 전원으로 변환되어 탄발된(18)(18') 선단에 격리되게 부착된 접점판(16)(16')에 공급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스위치(15)의 작동관(11)이 제4도 및 제5도 (가)와 같이 고정편(19)측으로 기울어져 상하단부(9)(9')가 격리되게 부착된 통전판(10)의 하단부(9')가 탄발편(18) 양측의 접점판(16)(16')에 각기 접속된 상태라면 접점판(16)의 극성은 (+)로, 접점판(16')의 극성은 (-)로 되며 통전판(10)은 접점판(16)과 동일극성(+)이 되고 통전판(10')은 접점판(16')과 동일극성(-)이 되어 통전판(10)에 접속된 접점편(14)에는 (+)극성이, 통전판(10')에 접속된 접점편(14')에는 (-)극성의 전류가 각기 통전된다.
그런데 전자석 (7)(7')은 서로 권선방향을 달리하였으므로 전자석(7)의 상단 자극은 (N)로 되고 전자석 (7')의 상단자극은 (S)으로 되어 전자석(7)과 영구자석(6)은 동일자극(N)이 대향하게 되고 전자석(7')과 영구자석(6')은 각기 다른 자극 (S), (N)이 대향하게 되어 전자석(7)과 영구자석(6)은 서로 밀며, 전자석(7')과 영구자석(6')은 서로 당기데 되므로 결국 저판(1')이 제5도 (가)와 같은 상태에서 (다)와 같이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진다.
이때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저판(1')의 저면에 의해 눌려서 작동관(11)도 제4도의 가상선과 같이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지는데 탄발편(18)에는 스피링(17)이 설치되어 있어 선단부가 최대한으로 상승되면서 접점판(16)(16')이 통전판(10)(10')에 rul속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승되다가, 작동관(11)에 관착된 관(8)이 수평상태를 지나 반대방향쪽으로 약간 기울어지게 되면 관(8)내에 반정도 충전된 물이 기울어지는 쪽으로 물리게 되므로 그 중량에 의해 작동관(11)이 순간적으로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어 탄발편(18) 상단의 접점판(16)(16')은 최로로 상승된 상승된 상태에서 통전판(10)(10')과 격리되고 반대로 탄발편(18') 선단의 접점판(16)(16')이 통전판(10)(10') 하단부(9')에 각기 접속된다.
이와 같이 통전판(10)(10')이 탄발편(18')의 접점판(16)(16')에 각기 접속되면 이번에는 접점판(16)의 극성은 (-)로 접점판(16')의 극성은 (+)로 되므로 통전판(10)의 극성은 (-)가 되고, 통전판의 극성은 (+)가 되어 이에 따라 전자석(7)의 상단 자극은 다시 제5도 (다)와 같이 (S)가 되고 전자석(7')의 상단 자극은 (N)가 되므로 저판(1')은 제5도 (다)의 상태에서 다시 (가)의 상태로 기울러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작동관(11)의 작동으로 전자석(7)(7')의 자극을 순간적으로 전환시켜 주므로 자력에 의해 침대 (1)의 저판(1')의 양측이 가운데를 중심으로 고대로 승강되어 침대(1)가 요동이 되는 것이며 또 이를 위해 스위치(15)를 구성함에 있어 작동관(11)에 관(8)을 관착하되 이에 물을 반정도로 충전시키므로써 관(8)이 수평상태에서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순간 충전된 물리 기울어지는 쪽으로 물리게 됨에 따라 작동관(11)이 순간적으로 일측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어 통전판(10)(10')에 접속되는 접점판(16)(16')의 단락상태가 순간적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또 탄발편(18)(18')은 각기 스프링(17)(17')으 탄력 설치하여 접점판원(16)(16')이 상승을 최대한으로 하였기 때문에 사용중 전자석(7)(7')에 전원이 단락되지 않도록 하여 침대 (1)의 요동상태가 일시적으로 정지되는 일이 없도록 하였으며, 사용시 침대(1)의 요동상태를 빠르게 하거나 느리게 할 경우에는 스위치(15)의 작동관(11) 양단이 승강되는 한게를 작동간(21)를 상하향시켜 작동관(11)의 양단부가 승강되는 폭을 조절하여 주면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된 본 발명은 전자석 (7)(7')과 영구자석(6)(6')의 자력을 이용하여 침대(1)가 요동되도록 하므로 사용시 소음이 전혀 없으며, 또 종래와 같이 동력사용시의 충격력 등 기계적 무리가 없이 수명이 길며 구조가 간단하고, 작동이 정확하며, 장기간 s사용할 수 있고 염가로 공급할 수 있는 등의 잇점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침대의 저판(1')과 받침틀(3)의 중심부를 축(4)으로 유착하여 침대를 요동되게 한 것에 있어서, 저판(1')의 저면에 부착된 양면이 경사진 대판(5)에 동일자극이 하부로 노출되게 영구자석(6)(6')을 부착하고, 이에 대향하여 받침틀(3)의 상면에 부착된 대판(5')에는 권선방향을 달리하여 병렬 접속한 전자석(7)(7')을 입설하고, 반정도의 물이 충전된 관(8)이 관착되고 양측면에는 상하단부가 격리된 통전판(10)(10')을 부착한 작동관(11)을 저지판(13)에 유착하고 양측에 접점편(14)을 절곡연설한 전자석(7)(7')의 자극전환용 스위치(15)를 대판(5)의 일측방 받침틀(3)에 설치하며, 그 양단 하부에는 선단에 접점판(16)(16')이 격리되게 부착되고 스프링으로 탄력설치된 승강탄발편(18)(18') 착설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용 침대의 요동장치.
KR8203602A 1982-08-11 1982-08-11 어린이용 침대의 요동장치 KR840000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8203602A KR840000535B1 (ko) 1982-08-11 1982-08-11 어린이용 침대의 요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8203602A KR840000535B1 (ko) 1982-08-11 1982-08-11 어린이용 침대의 요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535B1 true KR840000535B1 (ko) 1984-04-20

Family

ID=19225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3602A KR840000535B1 (ko) 1982-08-11 1982-08-11 어린이용 침대의 요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053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83136A (en) Automatic swing operated by electricity
EP0377472A3 (en) Miniature vehicle with magnetic enhancement of traction
RU96105825A (ru) Демпферная обмотка лифтового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я
CN212411418U (zh) 一种磁吸牛顿摆
KR840000535B1 (ko) 어린이용 침대의 요동장치
CN215423748U (zh) 一种无轨悬浮往复摇摆架
CN206482356U (zh) 婴儿摇床
CN217327578U (zh) 一种新型冲牙器水泵
CN205753928U (zh) 一种微型发电设备
US2781462A (en) Oscillating motor
CN211914678U (zh) 一种光伏板清扫装置磁悬浮滑槽结构
JPS5828466Y2 (ja) 往復駆動装置
CN85202268U (zh) 电磁驱动器
CN110571882A (zh) 一种便于调节的智能充电桩
CN113305076A (zh) 一种节能型智慧广告屏幕清洁装置
JPS5775559A (en) Pendulum type polarized generator using water surface water power as driving source
CN218568241U (zh) 一种氚动力模型摆件
CN221054833U (zh) 一种台灯
CN214279824U (zh) 一种永磁驱动机构
CN112865608B (zh) 一种基于海尔贝克阵列的磁悬浮装置
CN2261867Y (zh) 自动消闲秋千
CN216690667U (zh) 一种新型稳定耐磨电磁锁
CN215305217U (zh) 一种降低底部驱动结构厚度的磁力搅拌杯
JPS6412172B2 (ko)
CN212917831U (zh) 一种电机生产用切割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