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127B1 -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127B1
KR880000127B1 KR1019830005066A KR830005066A KR880000127B1 KR 880000127 B1 KR880000127 B1 KR 880000127B1 KR 1019830005066 A KR1019830005066 A KR 1019830005066A KR 830005066 A KR830005066 A KR 830005066A KR 880000127 B1 KR880000127 B1 KR 880000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electrode
electrostatic precipitator
main body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5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1027A (ko
Inventor
나오유끼 오이에
히로 미찌 고야마
다까후미 다께가와
Original Assignee
산요덴끼 가부시기가이샤
이노우에 가오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끼 가부시기가이샤, 이노우에 가오루 filed Critical 산요덴끼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1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03C3/1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characterised by separation of ionising and collect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72Emergency contro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19Post-treatment of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03C3/1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characterised by the additional use of mechanical effects, e.g. gravity
    • B03C3/155Filt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공기청정기
제1도는 - 제27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으로서,
제1도는 정면사시도.
제2도는 배면사시도.
제3도는 윗케이스에서 흡입그릴을 분해시켜 놓은 상태의 사시도.
제4도는 전기 집진장치를 분해시켜 놓은 상태의 사시도.
제5도는 제1망상 전극판을 분리시켜 놓은 상태의 사시도.
제6도는 흡입그릴을 발췌하여 분해한 사시도.
제7도는 단락편, 안전스위치 부분의 평면도.
제8도는 제7도의 VIII-VIII 단면도.
제9도는 제8도의 IX-IX 단면도.
제10도는 제8도의 X-X 단면도.
제11도는 아랫케이스의 평단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XII-XII 단면도.
제13도는 제11도의 XIII-XIII 단면도.
제14도는 제11도의 XIV-XIV 단면도.
제15도는 이온 발생 장치를 발췌한 사시도.
제16도는 제15도에 나타낸 이온 발생 장치의 분해사시도.
제17도는 스위치의 조작부를 발췌한 단면도.
제18도는 제17도의 XVIII-XVIII 단면도.
제19도는 제17도의 XIX-XIX 단면도.
제20도는 이온발생장치의 조작상태를 표시하는 단면도.
제21도는 제20도의 침상이온화 전극부를 발췌한 확대도.
제22도는 이온발생 장치의 단면사시도.
제23도는 제22도에서 이온 대향 전극의 발췌사시도.
제24도는 이온발생 장치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표시하는 단면도.
제25도는 제24도에 의하여 표시한 이온발생 장치의 특성도.
제26도는 전기집진 장치를 블록으로 결합시킨 회로도.
제27도는 제26도에서 전동기와 전기집진기 및 이온발생 장치와 결합되는 고전압 발생장치의 회로도.
제28도 -제3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으로서,
제28도는 사시도.
제29도는 아랫케이스의 평단면도.
제30도는 제29도의 XXX-XXX 단면도.
제31도는 제29도에서 방향장치를 발췌한 평면도.
제32도는 이온발생 장치의 사시도.
제33도는 이온발생 장치의 조작상태를 표시하는 단면도.
제34도는 제33도에서 침상이온화 전극부를 발췌한 확대도.
제35도 - 제38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으로서,
제35도는 이온발생 장치의 단면사시도.
제36도는 이온화 대향전극의 발췌 사시도.
제37도는 이온발생 장치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표시하는 단면도.
제38도는 제37도에 의하여 표시한 이온발생 장치의 특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기청정기 2 : 윗케이스
3 : 아랫케이스 4 : 본체
5 : 취출구 6 : 취출그릴
7 : 흡입구 8 : 전기집진장치
9 : 송풍장치 10 : 이온발생장치
11 : 고전압발생장 12 : 방향장치
13 : 조작부 14 : 취부부
15 : 통풍부 20 : 회전축
21 : 전동기 22 : 송풍날개
23 : 윗케이싱 24 : 아랫케이싱
25 : 흡기구 26 : 지지부
27 : 양각돌기부 28 : 나사
29 : 취부판 30 : 연설부
31 : 전기코오드 보호유지부 32 : 전기코오드
33 : 정류회로 34 : 이차측권선
35 : 고정자권선 36 : 중간조속탭
37 : 스위치 38 : 안전스위치
39 : 승압트랜스 40 : 변환회로
41 : 배압회로 42 : 수납부
43 : 착탈자재의 개체 44 : 방향개구
45 : 셔터체 46 : 조작꼭지
47 : 연동간 48 : 유착부
49 : 방향제 50 : 제1망상 전극판
51 : 급전편 52 : 취부양각돌기부
53 : 제2망상 전극판 54 : 단락편
54 : 취부판 56 : 고정부
57 : 지지부 58 : 나사
59 : 리부 60 : 추지부
61 : 돌부 62 : 계지유지부
63 : 절연판 64 : 스프링
70 : 통기필터 71 : 탈취필터
72 : 흡입그릴 73 : 주연부
74 : 계지부 75 : 나사
76 : 조작돌부 77 : 계지부
78 : 계지부 79 : 계합부
80 : 계합부 81 : 파지부
82 : 재치피부 83 : 수부
84 : 계지부 85 : 나사
86 : 양각돌기부 87 : 단부
88 : 홍통부 89 : 삽통부
90 : 보호유지부 91 : 압압돌부
92 : 삽통부 93 : 삽통부
94 : 방지돌 100 : 이온 대향전극
101 : 침상이온의 전극 102 : 후랜지부
103 : 원주체 104 : 원통구멍
105 : 축수공 106 : 축수홈
107 : 추축 108 : 조작체
109 : 판상요입부 110 : 꼭지
111 : 양각돌부 112 : 나사
113 : 취부부재 114 : 위치결정핀
115 : 감합공 116 : 단자편
117 : 위치결정부 118 : 놓침부
119 : 나사 120 : 급전부
120a : 칸막이판 121 : 절결상삽통부
122 : 이온발생 규재부재 123 : 나사
A : 공기류 L : 캡길이
d : 침상이온화 전극의 최대삽입길이 D1: 침상이온화 전극이동거리
D2: 침상이온화 전극의 규제부재 거리
본 발명은 전동기와 고전압 발생장치 및 이온발생 장치등의 결합부와 전기집진 장치를 착탈자재토록 결합하여 공기속에 떠돌아 다니는 티끌과 먼지 등을 포집하는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본체 내부의 정비 정검과 청소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에 목적이 있는 것이다.
종래에 환기장치, 공기조화기에 사용되는 그물, 섬유, 활성탄 등의 휠터에 진애를 걸어서 포집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이들은 연기와 같은 작은 립자를 포집할 수는 없었으며, 본 발명은 그 점을 개량한 것으로서 티끌과 먼지(진애)를 강제적으로 흡착하는 방법을 차량용 공기청정기로서 채용되고 있는 정전기 집진방식이 있었으나, 이는 코로나 방전에서 흡입되어 공기에 함유되는 진애를 대전시킨 후에 대전시킨 금속다공체 휠터에서 포집하는 것이므로 휠터로서 도전체를 사용하게 되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지 않으면 안되게 되어 발포금 속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발포금속에 형성된 세공속에 부착된 진애는 세정으로 인하여 다소간 떨어진다고는 하지만 완전하지 못함을 물론 사용이 불편한 결점이 있으며, 또한 일렉트렉트 섬유층의 휠터를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는 휠터가 전기분극을 보호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고전압 장치가 필요없는 반면, 휠터를 세정해서 재사욜할 수 없는 것이었다.
상기한 집진방식의 결점을 개량한 집진 방식으로서 일본 실용공개공보 소 47-26039호 공보, 특허공개공보 소 51-41709호 공보등에 기재된 정전섬유층 집진휠터 방식이었다.
이 방식은 유전재료로 형성된 섬유층 휠터를 고전압믈 인가한 전극간에 협지하므로서 전기 섬유층 휠터에 유전분극을 발생시켜서 진애를 흡착하는 것이고 휠터를 세탁기등으로 빨수가 있고 반복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진애가 부착되더라도 고전압을 인가하고 집진 포집성능의 저하가 적은 이점은 있었으나, 정전섬유층 집진휠터 방식을 사용한 공기청정기에 있어서는 그 구조가 통풍로의 도중에 휠터를 설치한 것이고 휠터의 제거에 있어서는 구조적으로 반드시 취출용문을 별도로 설치하여 주어야 되며, 정비점검에 있어서 공기청정기를 분해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휠터를 쉽게 떼어낼 수가 있고, 공기청정기 본체내부의 정비점검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고전압 발생장치, 송풍장치등을 내장하고 흡입구와 취출구를 형성한 본체와 전기흡입구를 피복하는 전기집진 장치를 착탈자재하게 구성하여 당해 전기 집진장치가 공기청정기의 측벽을 겸함으로서 전기집진 장치의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며, 전기집진 장치를 떼어냄으로서 본체내부를 간편하게 정비점검할 수 있는 구성의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첨부도면의 제1도 - 제27도에 표시하는 제1실시예와 제28도 - 제34도에 표시하는 제2실시예 및 제 35도 - 제38도에 표시하는 제3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공기청정기(1) 상하로 분할 형성된 윗케이스(2)와 아랫케이스(3)로 구성되는 본쳬(4)와 당해 본체(4)의 전면에 형성된 취출구(5)에 장착되는 취출그릴(6)과 전기본체(4)의 상면으로 부터 후면에 걸쳐서 형성된 흡입구(7)에 장착되는 전기집진장치(8)과 전기본체(5)안에 형성되는 송풍장치(9)와 당해 송풍장치(9)의 취출통풍로 안에 형성되는 이온발생장치(10)과 전지집진장치(8') 및 이온 발생장치(10)에 고전압을 급전하는 고전압 발생 장치(11)와 전기본체(4)안에 형성되는 방향장치(12)와 전기송풍장치(9)와 고전압 발생장치(11)와 이온 발생장치(10)와 방향장치(12)의 제어를 조직부(13)으로서 구성되며, 취출그릴(6)은 중앙부에 조작부(13)의 취부부(14)를 형성하고 양측부에 격자상 통풍부(15)를 형성하고 있으며, 취출그릴(6)은 윗케이스(2)와 아랫케이스(3)에 형성한 지지부에서 계지됨과 동시에 전기 윗케이스(2)와 아랫케이스(3)으로 협입되어 나사로서 결착고정하였다.
상기의 윗케이스(2)와 아랫케이스(3) 및 취출그릴(6)은 절연재료인 합성수지로 형성하였다.
제11도에 도시한 송풍장치(9)는 양단에 회전축(20)을 돌출시킨 전동기(21)과 회전축(20)에 장착되는 송풍날개(22)와 윗케이스(2)의 아랫케이스(3)에 분할 형성되는 윗케이싱(23)과 아랫케이싱(24)으로 구성하였으며, 송풍날개(22)는 시록코팬을 사용하고 있지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축류팬이나 탄젠샬팬등의 여러가지를 생각할 수도 있는 것이다.
제12도와 제14도에 도시한 윗케이싱(23) 아랫케이싱(24)는 송풍날개(22)에 맞춰서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시록코팬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양측면에 흡기구(25)를 형설한 대체로 달팽이 모양으로 형성하며 제20도에 도시한 아랫케이스(3)와 아랫케이싱(24) 사이에는 전동기(21)의 일측부를 끼워맞추고 보호유지하는 지지부(26)을 형성하되 당해 지지부(26)의 근방에는 나사(28)로서 취부판(29)를 고정시킨 복수의 양각돌기부(27)을 돌설하였다.
제5도에 도시한 당해 취부판(29)는 양각돌기부(27)에 고정됨으로서 전동기(21)의 타측부를 압압 보호유지하고, 지지부(26)과 함께 전기 전동기(21)을 아랫케이스(3)에 고정하였다.
취부판(29)는 일측부에 연설부(30)를 가지는 대체로 T자 모양으로 형성하여 연설부(30)에 의하여 형성되는 삭설부를 보호유지부(31)로 하여 전동기(21)와 조작부(13)등에 배선되는 전기코오드(32)를 지지토록 하므로서, 전기 윗케이스(2) 및 아랫케이스(3)에 설치되는 전기코오드의 보호 유지 상태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전동기(21)는 유동전동기, 동기전동기, 정류자전동기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외취형(
Figure kpo00001
取型) 유도전동기를 사용하였으며, 또한 공기청정기(1)로서의 전기회로를 간략화 하기 위해서 도면 제27도에 의해 설명하면, 고전압 발생장치(11)에의 공급정류회로(33)의 트랜스 이차측권선(34)를 전동기(21)의 고정자에 감아끼우고 전동기(21)의 고정자권선(35)를 트랜스 일차측권선에 겸용하도록 하여 고정자권선(35) 로부터는 중간접속탭(36)을 끌어내어 조작부(13)의 스위치(37)에 전동기(21)의 탭을 접속하므로서 당해 전동기(21)의 정지 상태나 조속운전 및 고속운전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전동기(21)과 스위치(37)의 회로 중에는 직렬로 안전스위치(38)을 접속하여 전기집진장치(8)의 착탈로 절입되며 일반적으로 마이크로 스위치를 사용하였다.
고전압 발생장치(11)은 공급정류회로(33)과 승압트랜스(39)의 일차측권선에 접속되는 안정화 직교 변환회로(40)과 승압틀랜스(39)의 이차측 권선에 접속되는 배압회로(41)로 구성되며, 전기 전동기(21)의 원전절환으로 공급저류회로(33)에 발생하는 전압에 변화가 생기지만 안정화 직교 변화회로(40)에 의해서 전압변화를 보정하는 것으로 배압회로(41)에서 출력되는 전압은 안정화 되는 것이며, 당해 배압회로(41)에서 출력되는 고전압은 전기집진장치(8)과 이혼발생장치(10)에 공급되는 것이다.
제14도에 도시한 방향장치(12)는 아랫케이스(3)에 형성되고 하면에 개구한 수납부(42)와 개구를 폐쇠하는 착탈자재의 개체(43)과 수납부(42)의 본체 내면측에 형성한 방향 개구(44)와 당해 방향개구(44)를 개폐 조절하는 셔터체(45)로 형성하였으며,
제19도는 도시한 당해 셔터체(45)는 조작부(13)의 조작꼭지(46)로 조작되고, 당해 조작꼭지(46)과 셔터체(45)는 연동간(47)으로 연결하되 도면 제14도에서 수납부(42)의 본체 내상면에 형성한 유착부(48)에 회동 자재로 장착하였다.
수납부(42)에는 개체(43)을 떼내고 방향재(49)를 수납하되 당해 방향재(49)는 승화성인 것이 사용되고 방향개구(44)에서 방향되어서 송풍장치(9)를 통하여 취출그릴(6)으로부터 취출되도록 하였다.
제8도에 도시한 아랫케이스(3)의 후부에는 전기집진장치(8)의 제1망상 전극판(50)을 고전압 발생장치(11)의 마이너스극에 접속하는 급전편(51)의 취부 양각돌기부(52)와 전기집진장치(8)의 제2망상 전극판(53)을 고전압발생장치(11)에 접지된 프러스극에 접속하는 급전편을 겸용함과 동시에 전기집진장치(8)을 빼내었을 때에 제1망상 전극판(50)을 전극에 접속하는 단락편(54)를 유착하는 취부판(55)의 고정부(56)과 취부판(55)와의 사이에서 안전스위치(38)을 협지하는 지지부(57)와 결합하되 취부판(55)는 도전성 재료로 성형함과 동시에 대체로 "
Figure kpo00002
"형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하며, 고정부(56)은 고정용 나사(58)로서 고정하여 고정부(56)을 경계로 해서 한쌍의 리브(59)을 형성하였다.
취부판(55)는 리부(59)에 두다리를 걸치듯이 올려놓은 후에 고전압 발생장치(11)의 프러스극으로부터 배선된 전기코오드와 함께 나사(58)로 고정부(56)에 장착하였다.
취부판(55)에는 단락편(54)을 유착하는 유착부(60)과 안전스위치(38)의 취부용 구멍에 삽입되는 돌부(61)을 돌설한 계지유지부(62)로 구성하며, 안전수위치(38)과 계지유지부(62)사이에는 절연판(63)을 개재하고, 지지부(57)과 계지유지부(62)로 전기안전스위치(38)을 협지하였으며, 단락편(54)는 급전편(51)에 접촉하는 방향에 스프링(64)로 힘을 가하여 주도록 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2망상 전극판(53)에의 급전편과 단락편(54)와를 겸용한 것이지만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개별적으로 설치해도 무방한 것이다.
더우기 단락편(54)는 그 자체가 도전체이고, 단락편(54)를 개재하여 단락되는 것이지만 단락편(54)를 절연체로 형성하고, 단락용 스위치 또는 단력접편을 조작하도록 해도 좋은 것이다.
제12도에 도시한 전기집진장치(8)은 전기 제1망상 전극판(50)과 제2망상 전극판(53)과 양전극판(50)(53)사이에 협지되는 유전재료제인 통기휠터(70)과 활성탄 등으로 형성되는 탈취휠터(71)과 격자상 흡입그릴(72)로 구성하며, 전기 제1망상 전극판(50)과 제2망상 전극판(53)과 흡입그릴(72)와는 본 실시예에 대체로 "ㄴ"자 모양으로 형성하고 있다.
통기휠터(70)과 탈취휠터(71)은 굴곡자재하게 협지됨에 따라 "ㄴ"자 모양으로 굴곡한다.
통기휠터(70)은 유전재료로 성형되어 있으면 좋고, 구체적으로는 폴리에스텔, 나이론 등의 합성수지섬유체, 유리섬유체, 석명 등의 불연성 섬유체, 불화마그네슘, 유화아염등의 무기물질 유전재료를 부착하는 섬유체가 있으나 통기휠터(70)은 섬유체로 성형하였으며, 세탁기등으로 세정했을 때 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연부(73)을 고정하였다.
당해 고착방법은 고주파 가열연화 압착에 의한 방법, 유전재료제 협지체에 의하는 방법등 여러가지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실시예에서는 통기필터(70)의 일측부에의 섬유체가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둑판의 칸모양처럼 세로, 가로의 고착선을 형성하고 있으며, 탈취필터(71)은 활성탄동의 탈취효과를 구비한 재료를 판상으로 만들어서 형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발포우레탄에 활성체를 도포시켜서 판상으로 만든 것을 비도전재료인 통기성체로 싸넣어서 탈취필터(71)을 형성하며, 흡입그릴(72)의 상면측 전면부 내면에는 제2망상 전극판(53)의 일단을 계지하는 계지부(74)를 형성하였으며, 제6도의 제2망상 전극판(53)의 주연부의 적당한 곳을 나사(75)로 흡입그릴(72)에 고정하였다.
제8도에 도시한 흡입그릴(72)의 하단부에 안전스위치(38)을 압압조작하는 압압돌부(91)을 일체로 성형함과 동시에 제2망상 전극판(53)을 고정하는 나사(75)로서 수직되게 고정되는 단락편(54)를 압압조작하는 도전재료제 조작돌부(76)을 형성하며, 제6도에 도시한 흡입그릴(72)의 하단부에 형성한 계합부(80)에 근접한 하단후면에는 파지부(81)을 형성하였으며, 윗케이스(2)에는 안전스위치(38)과 단락편(54)및 급전편(51)을 덮는 전기집진자치(8)의 하단이 당접하는 재치피부(82)를 형성하였다.
제5도에 도시한 윗케이스(2)의 전기집진장치(8)이 장착되는 흡입구(7)내면부에는 제1망상 전극판(50)의 주연부를 대치지지하는 수부(83)과 제1망상 전극판(50)의 전단연부를 계지하는 계지부(84)와 제1망상 전극판(50)의 절곡근방을 고정하는 나사(85)를 나사돌림하는 양각돌기부(86)과 흡입그릴(72)의 주연부를 대치지지하는 단부(87)과 계지부(77)을 형성하며, 제5도에 도시한 재치피부(82)에는 제1망상 전극판(50)의 하단이 감합하는 홈통부(88)과 당해 홈통부(88)안에 형성된 급전편(51)이 노출하는 삽통부(89)와 통기필터(70)및 탈취필터(71)하단이 들떠오르는 것을 지지하는 보효유지부(90)과 계지부(78) 및 압압돌부(91)이 삽입되는 삽통부(92)와 조작돌부(76)이 삽입되는 삽통부(93)을 형성하였으며, 삽통부(92)는 안전스위치(38)을 마주 향하고 삽통부(93)은 전기단락편(54)를 마주 향하도록 형성하였다.
제9도와 제10도에 도시한 제1망상 전극파(50)은 홈통부(88)에 삽입됨으로서 삽통부(89)에 노출된 급전편(51)에 접촉해서 마이너스로 대전되게 하며, 제15도는 도시한 윗케이스(2)의 윗케이싱(23)의 상부에는 제1망상 전극판(50)의 중간부분에 당접하는 휘어짐 방지돌부(94)를 형성하였다.
제26도에 도시한 흡입그릴(72)를 뺌으로서 안전스위치(38)이 끊어져서 공기청정기(1)의 운전이 정지됨과 동시에 단락편(54)가 급전편(51)에 접촉해서 제1망상 전극판(50)에 축적된 전하를 방전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공기청정기(1)를 정지하지 않고 통기필터(70)및 탈취필터(71)을 청소하기 위하여 흡입그릴(72)를 빼내더라도 감전사고를 일으키는 일이 없는 것이다.
단락편(54)의 급전편(51)에의 접촉은 안전스위치(38)이 끊어진후에 실시되도록 하였다.
제16도에 도시한 이온 발생장치(10)은 윗케이싱(23) 내면에 감합된 대체로 "
Figure kpo00003
"자형 이온 대향전극(100)과 침상 이온화전극(101)및 당해 침상이온전극(101)의 전계집중 저지수단으로 구성하며, 당해 전계집중저지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침상이온화 전극(101)을 윗케이싱(23)안에 출입시켜서 실시하며, 침상이온화전극(101)은 한끝에 후렌지부(102)를 형성한 원주체(103)에 매입되고 있고, 당해 원주체(103)을 윗케이싱(23)에 형성한 원통구멍(104)에 삽입되게 하며, 원주체(103)은 윗케이싱(23)의 상면 한쪽에 형성한 축수공(105)와 축수구(106)에서 축지된 돌기축(107)을 돌설한 조작체(108)로 출입 조작토록 하며, 당해 조작체(108)은 그 한쪽에 형성한 판상요입부(109)를 후렌지부(102)에 걸리는 것처럼 원주체(103)을 협지하고, 조작부(13)의 곡지(110)으로 조작체(108)이 다른쪽을 압압함으로서 회동 조작토록 하였으며, 축수구(106)은 전기 케이싱(23)에 돌설한 양각돌부(111)에 나사(112)로 고정하는 취부부재(113)으로 덮어 폐쇄토록 하였다.
당해 취부부재(113)에는 윗케이싱(23)에 돌설한 위치결정팡(114)가 삽입되는 감합공(115)를 형성하며, 취부부재(113)에는 침상이온화 전극(101)에 급전하는 단자편(116)의 위치결정부(117)을 형성하되, 단자편(116)은 나사(112)로 취부부재(113)과 함께 윗케이싱(23)에 고정하였다.
단자편(116)은 고정된 상태로 그 탄성력으로 침상이온화전극(101)에 당접함과 동시에 밀어내리게 되며, 조작체(108)의 복귀력은 단자편(116)으로 행하여지고, 당해 단자편(116)의 한쪽은 상방으로 돌출되어 휘어짐 방지돌부(94)로 부터 상방까지 돌출되며, 제1망상 전극판(50)에 그 탄성력으로 압접하게 된다.
축수공(105)와 축수구(106)은 윗케이싱(23)의 상면 다른쪽에도 형성되어 있고 뒤에 말하는 제2실시예에서도 윗케이싱(23)을 공용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이온화 대향전극(100)은 윗케이싱(23)의 내면에 감합되고 원통 구멍(104)가 삽통하는 놓침부(118)을 형성하고 있음과 동시에 나사(119)로 고정하며, 제16도에 도시한 이온화 대향전극(100)의 하단 한쪽에는 설편상급전부(120)을 형성하여 당해 급전부(120)은 윗케이싱(23)의 아랫가장자리에 형성한 절결상 삽통부(121)로 부터 케이싱(23)밖으로 돌출되게 하며, 급전부(120)은 고전압 발생장치(11)의 프러스극에 접속되도록 하였다.
이온발생자치(10)의 동작원리를 제24도와 제25도에 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침상이온화 전극(101)과 이온화 대향전극(100)과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양전극(101)(100)사이에는 코로나 방전은 개시됨에 따라 부이온이 발생되는 것이며, 코로나 방전은 침상이온화전극(101)선단의 곡율반경과 양전극(101)(100)사이의 캡길이와 관계되는 수치에 따라 발생되고, 고전압이 인가되면 침상 이온화전극(101)의 선단에 전계가 집중하고 그 부근에서 전리가 생기게 된다.
침상 이온화전극(101)이 마이너스로서 전술한 전리역으로 부터 전자가 나와서 이온화 대향전극(100)으로 향하게 되며, 그때에 전자는 기체분자에 부착해서 부이온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당해 부이온은 공기류(A)에 편승하여 취출되는 것이며, 침상 이온화전극(101)을 원통구멍(104)에 출입자재로 한 것으로 해서 고전압 발생장치(11)을 끊는 일이 없이 이온발생량의 조정 및 정지를 실시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의 부이온은 침상이온화전극(101)이 방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원통구멍(104)로 끌어들이게 되는데, 이때에 당해 원통구멍(104)의 내면은 유전분극에 의해서 프러스로 대전되지만 침상이온화전극(101)의 주위에 발생한 전자로 중화되고 원통구멍(104)의 내면은 마이너스로 대전하게 되며, 원통구멍(104)의 내면이 마이너스로 대전함으로서, 크로나 방전을 발생하는 관계되는수치, 소위 곡율반경과 캡길이(L)에 변화가 생기고 전계의 집중이 저지되고 코로나방전은 약화되어 정지하게 되는 것이다.
제25도는 인가 고전압이 6.3KV, 양전극(101)(100)사이의 캡길이가 32mm, 원통구멍(104)하단으로 부터 최대삽입길이(d)까지의 거리가 8mm에 있어서 발생이온량과 최대삽입위치로 부터의 인출량(침상이온화 전극이동거리 D1)과의 관계를 표시한 그래프이다.
당해, 그래프에서 읽어낼 수 있는 것처럼, 침상이온화전극(101)의 이동거리, 소위 양전극(101)(100)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는 것으로서 취출구(5)로 부터 송풍되는 공기에 포함되는 이온량을 조정할 수가 있는 것이며, 이온발생장치(10)의 정지와 움직임의 이온량조절을 기계적으로 실시함으로서, 전기집진장치(8)과 고전압 발생장치(11)을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전기집진장치(8)은 본체(4)의 흡입구(7)을 폐쇄하도록 탈착자재로 형성함으로서 전기집진장치(8)을 떼냄으로서 본체(4)가 크게 개구되고, 소위 전기 집진장치(8)의 종래의 전기기기에 설치된 저판 및 배판과 동일한 작용을 가짐으로서 본체(4)안에 설치된 고전압 발생장치(11)과 송풍장치(9)등의 정비점검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기집진장치(8)이 본체(4)의 측벽을 겸용하고 있음으로서, 전기집진장치(8)의 착탈이 용이하게 실시할 수가 있으며, 집진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가 있음은 물론 사용 및 취급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공기청정기(1)를 콤팩트로 형성하는 것이다.
제16도에 도시한, 본체(4)의 상하케이싱(23)(24)의 취출부분이외의 취출그릴(6)의 통풍부(15)에 대향하는 부분에는 칸막이판(120a)는 착탈자재로 형성하여 후술하는 제2실시예에 본체(4)를 공통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하였다.
다음은 제2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서,
제2실시예는 조작부를 우측부에 형성한 것이고, 제1실시예와 기구가 동일한 각 부분을 동일명칭, 동일부호로 표시하여 동일부호의 명칭인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되 구조가 다른 부분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조작부(13)을 취부하는 취부부(14)는 취출그릴(6)의 우측부에 형성하며, 본체(4)는 제1실시예와 공용되고 칸막이판(120a)을 제거해서 조작부에 대향하고 있던 부분에 칸막이판(120a)장착하였다.
침상이온화 전극(101)을 조작하는 조작체(108)은 제1실시예의 조작체와 면(面)대칭이 되는 형으로 형성되는 윗케이싱(23)의 타측부에 형성된 축수공(105)와 축수 홈(106)으로 축지하며, 방향장치(12)의 셔터체(45)는 조작꼭지(46)으로 직접 조작토록 하였다.
다음은 제3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서,
제3실시예는 이온발생장치의 구조를 타실시예와 변화시킨 것이며, 타실시예와 동일구조부분에 관해서는 동일명칭, 동일부호로 표시함과 동시에 도면을 생략하고 요부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윗케이싱(23)의 원통구멍(104)에 침상이온화 전극(101)을 삽입 장착하여, 당해 침상이온화 적극(101)을 대향하는 이온화 대향전극(100)을 아랫케이싱(24)에 나사(123)으로 고정하며, 침상이온화 전국(101)과 이온화대향전극(100)과의 사이에 이온 발생 규제부재(122)를 위치시키고 조작부(13)의 조작꼭지(46)로 이온발생 규제부재(122)를 침상이온화전극(101)에 접리시켜 형성하였다.
이온발생 규제부재(122)는 유전재료로 성형하였다.
다음은 전기 이온 발생자치(10)의 동작원리를 제37도와 제38도에 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전기침상이온화 전극(101)과 이온화 대향전극(100)과 캡길이(L)는 코로나방전이 발생하는 수치로 설정하도록 하였으며, 이온발생 규제부재(122)를 침상이온화 전극(101)에 접근시키면 유전분극을 일으키고 대향면이 프러스로 대전되어서 침상이온화 전극(101)로 부터의 전자를 흡인하게 되는 것이며, 당해 전자를 흡인함으로서 이온발생 규제부재(122)의 정전하(正電荷)는 중화되고, 당해 이온발생 규제부재(122)가 마이너스로 대전됨으로서 전자의 이온화 대향 전극(100)으로의 이동이 분산됨과 동시에 침상이온화 전극(101)의 주위에 형성된 전리역(電離域)에 영향을 끼치고 침상이온화 전극(101)의 전계집중이 저지되고 코로나방전은 약화되어 정지하게 되는 것이다.
제38도는 인가전압이 6.3KV, 양전근(100)(101)간의 캡길이(L)가 32mm, 원통구멍(104)로 부터 침상이온화 전극(101)의 돌출길이(α)가 8mm에 있어서의 발생이온량과 침상이온화 전극과 규제부재와의 거리(침상이온화 전극 규제부재거리 D2)와의 관계를 그래프로 표시한 특성도이다.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도 전기집진장치(8)을 대채로 L자 모양으로 형성하고 전기 본체(4)의 상면으로 부터후면에 이르는 벽부를 형성한 것으로서 일측면을 전기집진장치(8)로 만든 공기청정기와 비교해서 집진면적을 크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통기필터(70)과 탈취필터(71)에 전애가 부착됨과 동시에 습기를 포함하게 되면 제1망상 전극판(50)과 제2망상 전극판(53)과의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되기 때문에 그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망상 전극판(50)을 수지 코오딩함으로서 방전이 일어나는 것을 억제하게 되는 것이다.
공기청전기(1)내에 장설된 이온발생자치(10)및 방향장치(12)는 부가기능적인 장치로서 특별하게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이온발생장치(10)은 취출하는 공기를 이온화 하고 있는 것으로서 실내에 부유하는 진애를 대전시키는 작용을 하면서 전기집진장치(8)에 의한 집진효율을 높이는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된 본 발명은 전기집진장치를 본체의 흡입구에 착탈자재하도록 결합하여 피복하므로서 전기집진장치의 흡입측에 여분의 공간을 필요요로 함이 없이 공기청정기를 콤팩트로 형성할 수 있고 전기집진장치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여 본체내부의 점검 및 정비작업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5)

  1. 고전압 발생장치(11)과 송풍장치(9)가 내장되고 흡입구(7)과 취출구(5)를 형성한 본체(4)와 상기 흡입구(7)을 피복하는 전기집진장치(8)을 착탈자재하에 결합하여 구성한 공기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전기집진장치(8)을 제1, 제2망상 전극판(50)(53)과 당해 양전극판(50)(63)에 협지되는 유전재료 제공필터(70)과 흡입그릴(62)로 구성한 공기 청정기.
  3. 제1항에 있어서, 전기집진장치(8)을 제1, 제2망상 전극판(50)(53)과 당해 양전극판(50)(63)에 협지되는 유전재료 통기필터(70)과 활성탄등으로 형성되는 탈취필터(71)과 흡입그릴(72)로서 구성한 공기 청정기.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제1망상 전극판(50)을 본체(4)의 흡입구(7)에 착탈자재하게 장착하며, 제2망상 전극판(53)을 탄성을 이용해서 본체(4)의 흡입구(7)에 착탈자재하게 장착되는 흡입그릴(72)의 내면에 장착항 구성한 공기 청정기.
  5.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흡입구(7)을 본체(4)가 서로 인접하는 양측면에 걸쳐서 형성하며, 전기집진장치(8)을 대체로 L자 모양으로 구성한 공기 청정기.
KR1019830005066A 1983-07-26 1983-10-26 공기청정기 KR8800001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137297A JPS6029531A (ja) 1983-07-26 1983-07-26 空気清浄機
JP58-137297 1983-07-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1027A KR850001027A (ko) 1985-03-14
KR880000127B1 true KR880000127B1 (ko) 1988-03-12

Family

ID=15195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5066A KR880000127B1 (ko) 1983-07-26 1983-10-26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541847A (ko)
JP (1) JPS6029531A (ko)
KR (1) KR880000127B1 (ko)
CA (1) CA122472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87413A (ja) * 1985-06-13 1986-12-17 Sanyo Electric Co Ltd 空気清浄装置
US4852471A (en) * 1987-11-10 1989-08-01 Jvj Enterprises, Inc. Semiautomatic frying machine and air filter apparatus therefor
JPH02172545A (ja) * 1988-12-23 1990-07-04 Hiroaki Kanazawa 空気清浄機
US4976753A (en) * 1989-09-01 1990-12-11 Tatung Company Of America, Inc. Snap-together housing for small appliances
JP2547279B2 (ja) * 1989-12-15 1996-10-23 株式会社マスダハーモ 空気循環装置
WO1993011876A1 (en) * 1991-12-11 1993-06-24 Yujiro Yamamoto Filter for particulate materials in gaseous fluids and method
US5647890A (en) * 1991-12-11 1997-07-15 Yamamoto; Yujiro Filter apparatus with induced voltage electrode and method
US5540761A (en) * 1991-12-11 1996-07-30 Yamamoto; Yujiro Filter for particulate materials in gaseous fluids
US5330559A (en) * 1992-08-11 1994-07-19 United Air Specialis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statically cleaning particulates from air
US5474599A (en) * 1992-08-11 1995-12-12 United Air Specialists, Inc. Apparatus for electrostatically cleaning particulates from air
US5332425A (en) * 1993-02-22 1994-07-26 Hung Hsing Electric Co., Ltd. Air purifier
US5820644A (en) * 1996-04-25 1998-10-13 Bridgestone Corporation Air filter
US6368391B1 (en) * 2000-08-23 2002-04-09 Healthway Products Company, Inc. Electronically enhanced media air filtration system
US6193603B1 (en) * 1999-10-07 2001-02-27 Kuo-Cheng Tai Wind outlet plate of an air conditioner for cleaning air
ES2529290T3 (es) * 2000-05-18 2015-02-18 Sharp Kabushiki Kaisha Método de esterilización
US6511531B1 (en) * 2001-01-26 2003-01-28 Hmi Industries, Inc. Room air filtering and freshening device
US7224567B2 (en) * 2001-11-16 2007-05-29 Kazuo Motouchi Structural arrangements for ion generator to promote ionization efficiency
US6660060B2 (en) * 2002-01-09 2003-12-09 Hp Intellectual Corp. Air filtering system
WO2004057242A1 (ja) * 2002-12-02 2004-07-08 Daikin Industries, Ltd. 空気調和機の室内機
EP1660211B1 (en) 2003-05-08 2012-07-11 Eco-Rx, Inc. System for purifying and removing contaminants from gaseous fluids
US6918755B1 (en) 2004-07-20 2005-07-19 Arvin Technologies, Inc. Fuel-fired burner with skewed electrode arrangement
US7258723B2 (en) * 2004-09-27 2007-08-21 Arvin Technologies, Inc. Particulate filter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
WO2006060741A2 (en) * 2004-12-03 2006-06-08 Sharper Image Corporation Air conditioner device with individually removable driver electrodes
JP2007032409A (ja) * 2005-07-26 2007-02-08 Toyota Boshoku Corp エアクリーナ
US20090042502A1 (en) * 2005-12-30 2009-02-12 Halla Climate Control Corp. Vehicle Air Purifier with a Negative and Positive Ion Generator and Air Conditioning System Using the Same
JP2009541020A (ja) * 2006-06-08 2009-11-26 ダイソン テクノロジー リミテッド 清掃及び/又は濾過装置
US7776276B1 (en) * 2007-11-06 2010-08-17 Veltilena Newbolt Air filtering system for a vehicle passenger compartment
US20100000413A1 (en) * 2008-07-01 2010-01-07 Hamilton Beach Brands, Inc. Air filtration device
US8337602B2 (en) * 2008-10-15 2012-12-25 Tf Industries, Llc Deodorizing device and kit, and methods for odor removal
EP2413769B1 (en) * 2009-03-31 2014-12-31 Dyson Technology Limited Cyclonic separating apparatus
GB2472096B (en) * 2009-07-24 2013-04-17 Dyson Technology Ltd Separating apparatus with electrostatic filter
GB2472098B (en) * 2009-07-24 2014-05-28 Dyson Technology Ltd An electrostatic filter
GB2472097B (en) * 2009-07-24 2013-04-17 Dyson Technology Ltd Separating apparatus with electrostatic filter
GB2472095A (en) * 2009-07-24 2011-01-26 Dyson Technology Ltd Vacuum cleaner with cyclone and electrostatic filter arrangement
KR102231096B1 (ko) * 2014-06-09 2021-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CN104359168A (zh) * 2014-09-30 2015-02-18 苏州博菡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可装在车辆上的空气净化器及一种车辆
EP3283226A4 (en) 2015-04-14 2018-12-05 Environmental Management Confederation Inc. Corrugated filtration media for polarizing air cleaner
JP6897904B2 (ja) * 2018-03-16 2021-07-07 株式会社フォレストウェル コロナ放電式空気清浄装置
JP6930645B1 (ja) * 2020-10-02 2021-09-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空気清浄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73908A (en) * 1955-02-21 1959-02-17 Gen Electric Fan arrangement for domestic appliances
US3105750A (en) * 1959-07-29 1963-10-01 Mc Graw Edison Co Electrostatic filter apparatus
US3108865A (en) * 1960-02-16 1963-10-29 Edward M Berly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3191362A (en) * 1962-02-05 1965-06-29 Knapp Monarch Co Electrostatic air purifier
US3745750A (en) * 1971-01-11 1973-07-17 J Arff Air purifier
US4244712A (en) * 1979-03-05 1981-01-13 Tongret Stewart R Cleansing system using treated recirculating ai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029531A (ja) 1985-02-14
KR850001027A (ko) 1985-03-14
US4541847A (en) 1985-09-17
CA1224727A (en) 1987-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0127B1 (ko) 공기청정기
KR20140134167A (ko) 이온발생기 및 이를 갖는 공기조화기
KR100452028B1 (ko) 공조기용 실내 유닛
TW386887B (en) Air cleaner
JP3726220B2 (ja) 空気清浄機
JP3019961B2 (ja) 電気集塵機
JPH1094739A (ja) 空気清浄機
JP3630875B2 (ja) 空気清浄機
JPH1099717A (ja) 空気清浄機
JPS6031842A (ja) 空気清浄機
JPH0213092Y2 (ko)
JPS61107957A (ja) 空気清浄装置
JP3426873B2 (ja) 空気清浄機
JPH1157530A (ja) 空気清浄機
KR100484868B1 (ko) 전기식 공기청정기
JP2511121Y2 (ja) 静電式空気清浄装置
KR0152143B1 (ko) 전기집진기의 접점장치
JPH11156234A (ja) 空気清浄機
KR200143340Y1 (ko) 집진지롤 보호 장치가 있는 전자식 공기 청정기
JPH1099723A (ja) 空気清浄機
KR20000055122A (ko) 공기조화기의 집진기 잔류전하 방전장치
KR200143339Y1 (ko) 먼지 유입 방지캡을 설치한 전자식 공기 청정기
JPH05138068A (ja) 空気清浄装置
JP3577761B2 (ja) 空気清浄器
JPH0773690B2 (ja) 電気集塵器の電撃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07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