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3527Y1 - 삼포용 대발제직기 - Google Patents

삼포용 대발제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3527Y1
KR870003527Y1 KR2019850002386U KR850002386U KR870003527Y1 KR 870003527 Y1 KR870003527 Y1 KR 870003527Y1 KR 2019850002386 U KR2019850002386 U KR 2019850002386U KR 850002386 U KR850002386 U KR 850002386U KR 870003527 Y1 KR870003527 Y1 KR 8700035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mboo
shaft
crank
gear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23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1892U (ko
Inventor
박형근
Original Assignee
박형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형근 filed Critical 박형근
Priority to KR20198500023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3527Y1/ko
Publication of KR8600118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18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35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35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1/00Loo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r weaving chenille yarn; Details peculiar to these looms
    • D03D41/002Looms for weaving reed, straw or wood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51/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02General arrangements of driving mechanism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51/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12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for adjusting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eliminary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삼포용 대발제직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캠이 작동하지 않아 유동대나무 이송로울러가 분리된 상태의 작동 상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캠이 작동함으로써 유동대나무 이송로울러가 고정대나무 이송로울러와 접촉된 상태의 작동상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유동, 고정 이송로울러의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원판크랭크와 링크의 작동으로 기어군이 회전하는 상태의 작동상태도.
제6도는 내부 기어치를 2개만 형성한 라체트기어의 일부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원판크랭크가 작동하지 않아 북가이드 상면북을 설치한 상태의 작동상태도.
제8도는 본 고안의 원판크랭크가 작동하여 북가이드가 하향하면서 북속에 삽입된 대나무가 이탈되는 상태의 작동상태도.
제9도는 본 고안의 크랭크암이 회전하면서 대나무를 재직하는 상태의 사시도.
제10도는 본 고안의 노루발이 작동하는 작동상태도.
제11도는 본 고안의 이성평체인의 사시도.
제12도는 본 고안의 이성평체인이 설치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체 2 : 모터
3 : 변속기 3-1 : 플리
4 : 원판크랭크 5 : 크랭크롯드
6 : 링크 6-1 : 운동량조절홈
7 : 체인 8, 8-1 : 라체트기어
9 : 일측샤프트 9-1 : 타측샤프트
9-2 : 뒷쪽샤프트 10 : 캠
10-1 : 요홈 11 : 기어
12 : 체인 13 : 철사주입공
14, 14-1 : 기어군 14-2, 14-3 : 체인스토로컷
14-4 : 체인텐션스토로컷 15 : 크랭크암
15-1 : 링가이드 16 : 로울러
17 : 대나무이송 작동암 18 : 케이블선
19 : 유동대나무 이송로울러 20 : 고정대나무 이송로울러
21 : 고정축봉 22 : 모터
23 : 벨트 24 : 스프링
25 : 대나무 26 : 북가이드
27 : 북 28 : 이송기어군
28-1 : 운동량전달기어 29 : 돌봉
30 : 이송평체인 31 : 원판크랭크
32 : 링크 33 : 축봉
34 : 연결대 53 : 앞쪽프레임
36 : 대나무제치대 37 : 철사
38 : 분리대 39 : 상측프레임
40 : 노루발 40-1 : 스프링
40-2 : 지지대 40-3 : 스프링 압력 조절볼트
41 : 하측프레임 42 : 체인텐션기어
본 고안은 인삼밭에서 사용되는 대발을 제직하는 대발제직기에 관한 것으로서 전원을 주입시키면 기체 저면부에 설치된 모터변속기에 축설된 크랭크축이 링크를 좌, 우로 작동됨에 따라 기체 양쪽에 설치된 샤프트에 축설된 라체트기어가 번갈아가면서 작동하는데 먼저 일측샤프트 양쪽에 연설된 라체트 기어 및 캠중·캠이 대나무 이송로울러 작동암을 좌측으로 밀면 대나무 이송로울러가 접합되어 대나무를 북속으로 쏘아서 삽입시키게 된다.
이러한 작용으로 북속에 주입된 대나무는 타측샤프트에, 연설된 라체트기어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타측샤프트에 연설된 원판크랭크가 편심작용으로 북가이드를 ""
또한 본 고안은 휘어진 대나무와 길이가 일정하지 않은 대나무도 상측 프레임에 연결되어 설치된 노루발에 의하여 교정되어 아무런 불편없이 대발을 제직할 수 있게 한 삼포용 대발제직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삼포용 대발제직기를 살펴보면, 본 고안과 같이 철사로써 대발을 제직하는 제직기(공번 83-359)가 있으나 이는 여러가지의 결점이 있는 것으로서, 첫째로 이송체인에 사람의 손으로 직접제치하기 때문에 처음 이송체인의 돌봉 사이에 정확하게 제치되지 않기에 서로 엉키거나 또는 대발의 양쪽면의 길이가 균등하지 않는 결점이 있으며, 둘째로 이송체인에 제치되는 대나무가 휘어진 것과 대나무의 길이가 짧은 것은 사용할 수 없는 결점이 있으며 혹 대나무의 길이가 짧은 것을 사용하더라도 제직하는 크랭크 회전관에 미치지 않기 때문에 일부(1군데 또는 2군데 정도)만, 제직되어 제품의 품위를 떨어뜨리는 결점이 있는 것이며, 셋째로 체인기어의 축봉에 탄착된 압지편이 한곳에만 탄착되어 있어 이송되어오는 대나무를 적절히 교정하여 제직할 수 없는 결점이 있고, 넷째로 크랭크회전관의 구부러진 부분에 장시간 철사와 마찰되면 내면에 마모가 심해 주입된 철사가 끊어지며 끊어진 철사를 다시 크랭크용 회전관에 철사를 주입할 때 크랭크회전관이 구부러져 있는 상태이기에 철사주입이 매우 어려운 결점이 있으며 이러한 상태로서는 작업능력을 저하시키는 폐단과 크랭크용 회전관이 마모되었을 때 수리하기
본 고안은 종래에 발생되는 여러가지 결점을 보완하고, 보다 간편하고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켜 좋은 제품의 대발을 제직할 수 있게 안출한 것으로서 모터에 연설된 링크가 좌, 우 왕복운동하면 링크와 연설된 라체트기어가 기어군을 회전시켜 이송되는 대나무를 크랭크암 및 노루발, 돌봉에 의하여 보다 간편하고 균등한 간격을 유지한 대발을 제직하고, 또한 휘어진 대나무와 길이가 짧은 대나무도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체(1)의 일측 저면부에 설치된 모터(2)에 플리(3-1)를 축설한 변속기(3)를 설치하고 이 변속기(3)에 연설된 원판크랭크(4)에 크랭크롯드(5)를 연결하여 링크(6)의 운동량조절홈(6-1)에 고정 설치하였으며, 기체 양쪽에 축설된 샤프트(9)(9-1)중 일측샤프트(9)에는 기어(11) 라체트기어(8) 캠(10)을 대칭부에도 연동되게 설치하고 타측샤프트(9-1)에는 라체트기어(8-1) 운동량전달기어(28-1)와 중간부에 원판크랭크(31)를 연동되게 설치하여, 기체(1) 양측면에 링가이드(15-1)를 부착한 크랭크암(15)과 연동하는 철사주입공(13)이 천설된 기어군(14)(14-1)과 체인스토로컷(14-2)(14-3) 체인텐션스토로컷(14-4)에 체인(7)(12)으로 각각 연결하였으며 일측샤프트(9)에 축설된 캠(10)의 요홈(10-1)에 접속되는, 로울러(16)를 설치한 대나무 이송작동암(17)의 하측에는 스프링(24)을 탄설하며 앞쪽프레임(35)의 양쪽에는 대나무 이송작동암(17)으로부터 연결된 케이블선(18)에 의해 작동하는 유동대나무 이송로울러(19)를 고정축봉(21)에 설치하고 이의 하측에는
본 고안 상측프레임(39)과 하측프레임(41) 사이에는, 스프링압력볼트(40-3)로 고정된 지지대(40-2)에 스프링(40-1)을 탄설한 노루발(40)을 다수 개 설치하고 하측프레임(41) 하부에는 체인텐션(42)을 고정 설치하여 이송평체인(30)의 옆면에 부착된, 돌봉(29)의 휘어짐을 방지하도록 한 구조인 것이다.
미설명 부호 : 25. 대나무, 29. 돌봉, 30. 이송평체인, 37. 철사, 38. 분리대
전원을 주입하면 기체(1) 저면부에 설치된 모터(2)와 연설된, 변속기(3)의 원판크랭크(4)에 축척된 크랭크롯드(5)가 라체트기어(8)(8-1)에 연설된 체인(7)중간부에 고정설치된 링크(6)를, 우측으로 잡아당기면 샤프트(9)(9-1)에 축설된 라체트기어(8)(8-1)중 한쪽 라체트기어(8)가 제5도에 표현된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다른 한쪽의 라체트기어(8-1)는 공회전하게 된다) 샤프트(9)에 같이 축설된 캠(10)과 기어(11)도 함께 일회전씩 하는데 기어(11)와 체인(12)에 의해 연동하는 철사주입공(13)이 천설된 기어군(14)(14-1)과 체인스토로컷(14-2)(14-3) 및 체인텐션스토로컷(14-4) 같은 방향으로 일회전씩 하게 된다.
이때 기어군(14)(14-1)에 연결된 크랭크암(15)도 같은 방향으로 1회전한다.
이와 같이 모든 작동부재들 연동하는 상태에서, 제2도와 제3도에 표현된 바와 같이 캠(10)의 요홈(10-1)에 삽입된 로울러(16)가 요홈(10-1)으로부터 이탈되면 대나무이송 로울러 작동암(17)이 좌측으로 이동하면 대나무 이송작동암(17)의 하측에 연결된 케이블선(18)이 유동대나무 이송로울러(19)를 밀어올려 고정대나무 이송로울러(20)와 접촉된다(이때에 유동대나무 이송로울러와 고정대나무 이송로울러는 기체정면 저면부에 설치된 모터(22)와 벨트(23)로 연결되어 있어, 로울러는 항시 회전하는 상태이며 로울러에 연결된 벨트의 인장력보다는 작동암에 걸착된 스프링(24)의 탄성이 커서 작동암(17)이 좌측으로 이동할 때 유동대나무 이송로울러가 고정대나무 이송로울러와 접촉하게 되는 것이다).
유동대나무 이송로울러(19)와 고정대나무 이송로울러(20)가 접촉된 사이에 대나무(25)를 삽입시키면 유동 고정대나무 이송로울러(19), (20)의 회전력에 의하여 대나무(25)는 북가이드(26) 상면에, 여러개 설치된 북(27)속으로 삽입된다.
이렇게 대나무(25)가 북(27)속에 삽입된 상태에서 1/2 회전한 원판크랭크(4)가 나머지를 회전하면 원판크랭크(4)에 축설된, 크랭크롯드(5)가 링크(6)를 좌측으로 밀면서 타측샤프트(9-1)에 축설된 라체트기어(8-1)를 회전시키면(먼저 회전하였던 라체트기어(8)는 공회전하고) 샤프트(9-1)에 연설한 운동량전달기어(28-1)가 뒷쪽샤프트(9-2)에 연설된 다수개 이송기어군(28)을 회전시키면 돌봉(29)이 부착된 이송평체인(30)을 "A"거리만큼 이송시키며 제7도와 제8도에 표현된 원판크랭크(31)가 일회전하면서 원판크랭크(31)에 축착한 링크(32)가 축봉(33)에 연결한 연결대(34)를
이때에 북(27)속에 삽입되어 있던 대나무(25)는, 앞쪽프레임(35)에 설치된 대나무 제치대(36)에 의하여 북(27)속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이송평체인(30)상에 제치되어 1회 이송되는 것이다.
이러한 반복되는 작동에 의하여 대나무는 "A"거리만큼 이송되면서 첫번째의 크랭크암이 설치한 1차 재직부까지 이송되면 기어군(14)(14-1)에 천공된 철사주입공(13)을 통해 철사(37)를 크랭크암(15)에 설치된 끝부분의 링가이드(15-1)까지 연결한 후(철사가이드는 도시하지 않았음) 처음 재직되는 대나무(25)에만 사람의 손을 빌어 묶어주며, 2차, 3차, 4차, 재직부에서도 처음 재직되는 대나무에만 묶어주면 다음에 이송되는 대나무는 자동으로 재직되며 재직된 대발은 기체(1) 뒷쪽에 설치한 분리대(38)에 의해 재직된 대발을 기체밖으로 유출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이송되는 대나무중 휘어진 것이나 또는 길이가 짧은 대나무는(회전하는 유동, 고정대나무 이송로울러(19)(20)의 양측에서 같이 북(27)속으로 주입하면 된다) 상측프레임(39)의 측면에 스프링 압력 조절볼트(40-3)로 고정된 지지대(40-2)에 연결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노루발(40)에 의하여 비틀림없이 교정되어 제직하게 되는 것이며, 하측프레임(41)에 고정설치된 체인텐션기어(42)는 이송평체인(30) 옆면에 부착한 돌봉(29)이 휘어짐을 방지하여 이송되는 대나무(25)를 균일하게 제직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고안은 모터에 축설된 크랭크롯드에 의하여 좌, 우 운동함에 따라 라체트기어를 교대로 회전시켜, 샤프트와 연설된 기어군을 일정하게 회전시켜, 기

Claims (1)

  1. 변속기(3)에 연설한 원판크랭크(4)에 크랭크롯드(5)를 연설하여 링크(6)의 운동조절홈(6-1)에 고정설치하고 일측샤프트(9)에는 기어(11), 라체트기어(8), 캠(10)을 연동되게 설치하며, 타측샤프트(9-1)에는 라체트기어(8-1), 운동량전달기어(28-1)와 중간부에 원판크랭크(31)를 설치하였으며, 기체(1) 양측면에는 링가이드(15-1)를 부착한 크랭크암(15)과 연동되는 철사주입공(13)이 천설된 기어군(14)(14-1), 체인스트로컷(14-2)(14-3), 체인텐션스트로컷(14-4)을 체인(7)(12)으로 연결설치하였으며, 기체(1) 양측 일측면에 로울러(16)를 장착한 대나무 이송작동암(17)을 설치하여 캠(10)이 회전함에 따라 고정축봉(21)에 설치된 유동대나무 이송로울러(19)가 앞쪽 프레임(35) 측면에 설치한 고정대나무 이송로울러(20)와 접촉하면서 대나무(25)를 북(27)속으로 삽입시켜주며, 타측샤프트(9-1) 중간부에 설치된 원판크랭크(31)에 링크(32)를 연설하여 축봉(33)에 설치한 연결대(34)와 연결하여 축봉(33)과 연결된 북가이드(26) 상면에 병렬로 다수개의 북(25)을 설치하며 상측프레임(39)과 하측프레임(41) 사이에 스프링압력조절볼트(40-3)로 고정되는 지지대(40-2)에 스프링(40-1)을 설치한 노루발(40)을 다수개 설치하고 하측프레임(41)의 하부에는, 체인텐션(42)을 설치하여 크랭크롯드에 연설된 링크가 좌, 우 운동함에 따라 샤프트에 연동되게 설치한 작동부재들이 회전하면서 자동으로 대나무를 이송제직함을 특징으로 하는 삼포용 대발 제직기.
KR2019850002386U 1985-03-11 1985-03-11 삼포용 대발제직기 KR8700035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2386U KR870003527Y1 (ko) 1985-03-11 1985-03-11 삼포용 대발제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2386U KR870003527Y1 (ko) 1985-03-11 1985-03-11 삼포용 대발제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1892U KR860011892U (ko) 1986-10-06
KR870003527Y1 true KR870003527Y1 (ko) 1987-10-16

Family

ID=19240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2386U KR870003527Y1 (ko) 1985-03-11 1985-03-11 삼포용 대발제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352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1892U (ko) 198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6314B1 (ko) 어업용 발 제작장치
KR870003527Y1 (ko) 삼포용 대발제직기
CN201064106Y (zh) 全喂入联合收割机的双向切割器
CA2157327A1 (en) Screen conveyor for root crop harvester
US3084345A (en) Apparatus for making spring units
US4799292A (en) Gizzard peeling apparatus
CN115157344A (zh) 一种气凝胶料带分切输送设备
CN100446950C (zh) 一种竹片编织机
KR0135255Y1 (ko) 피드콤 장치
KR890002999B1 (ko) 철망 자동 제조장치
US1663786A (en) Fence-making machine
CN221863920U (zh) 一种树苗种植用上料机
CN2416117Y (zh) 苇帘自动编织机
CN220723173U (zh) 一种织布机的上料结构
CN219270311U (zh) 一种带有拉链牙齿进料机构的拉链缝合机
KR200225369Y1 (ko) 끈 편직기의 실안내간 구동장치
KR200260786Y1 (ko) 해태망의편조기구조
SU1423845A1 (ru) Цепь
CN200988263Y (zh) 竹片编织机
KR830000359Y1 (ko) 삼포용(蔘圃用)발 제직기
KR200165005Y1 (ko) 파이프 단부의 구경축소장치
KR800001030Y1 (ko) 연결쇄선의 고속자동 성형장치
KR200266597Y1 (ko) 스팽글 성형 및 부착장치
KR950008406Y1 (ko) 재봉기
KR960002519Y1 (ko) 장식용 줄의 펼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1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001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