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2815Y1 - 해태 건조반 - Google Patents

해태 건조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2815Y1
KR870002815Y1 KR2019850002617U KR850002617U KR870002815Y1 KR 870002815 Y1 KR870002815 Y1 KR 870002815Y1 KR 2019850002617 U KR2019850002617 U KR 2019850002617U KR 850002617 U KR850002617 U KR 850002617U KR 870002815 Y1 KR870002815 Y1 KR 8700028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haitai
wire
frame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26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1239U (ko
Inventor
박용준
Original Assignee
박용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준 filed Critical 박용준
Priority to KR20198500026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2815Y1/ko
Publication of KR8600112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12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28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8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1Details of apparatus, e.g. for transport, for loading or unloading manipulation, pressure feed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1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on or in moving dishes, trays, pans, or other mainly-open recepta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6Sea weed; Marine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해태 건조반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건조반을 건조틀에 걸어둔 상태도.
제3도는 해태발을 건조반에 착용시킨 상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철사 건조반 3, 3' : 걸턱
4, 4' : 보강철사 5 : 걸편
본 고안은 해태 건조반의 개량 고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해태 건조반은 각목을 "井"자 틀로 짠 후 반체(盤體)에 못을 박고 해태 발을 걸쳐 둠으로써 태양열에 의하여 해태를 건조시키는 것이었다.
종래의 해태 건조반은 아래와 같은 결점이 지적되고 있다. 반체가 목제이므로 수분을 흡수하여 무거워지는 점, 반체가 두꺼워 통풍이 저해됨에 따라 보통 일기 조건하에서 12시간정도의 건조시간이 소요되어 능률이 저하(1 일 1 회)되고 해태가 부패될 우려가 따르는 점, 반체상에 못에 해태 발을 걸어 둠에 따라 해태발이 뜯겨 파손되는 점, 부피가 커서 보관이 어려운점, 목제의 사용으로 제작비가 고가한 점등이다.
또한 종래 기계식 해태 건조 장치는 구입비가 고가한 점 연료비가 과대한 점, 건조된 해태가 부서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해태를 두껍게 함에 따른 해태 원초의 소비량이 커지고 김의 맛이 감소하는 점이 결점으로 지적되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태양 볕에 말리는 자연 건조 또는 우천시 건조실 내의 건조틀에 걸어둘 수 있게된 해태 건조반으로서, 반체의 부재를 가늘게 함으로써 통풍의 원활을 꾀하여 6 시간 정도면 완전히 건조시킬 수 있게하여 건조 능률이 높아지고 김의 맛이 좋아지는 점, 값싸게 제작할 수 있는 점, 쌓아두면 부피가 작게 되므로 보관이 용이한점, 해태를 얇게 함으로써 원초의 소모가 적어 김의 맛이 좋아지는점 반체상의 끝이 매끈하므로 발이 뜯기지 않고 발을 걸고 빼내기 용이한점 및 우천시에 건조실내에서 건조할 수 있게한 점등의 이점을 갖게 한 해태건조반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해태 건조반에 있어서, 반체를 직경 4mm 정도의 철사로서 5 단 5 열로 교차시키고 스포트 용접하여 4 열 4 단의 16통풍혈을 갖는 철사반체(1)를 구성한다.
제 2 단의 철사(2)는 좌우로 연장되어 걸턱(3)(3')을 구성하고 절곡부 끝을 철사반체(1) 상에 고정하여 보강철사(4)(4')를 구성한다.
4 단 4 열으 통풍혈의 좌우 철사에는 끝이 매끈한 걸편(5)을 스포트 용접으로 붙인다.
미설명부호 6은 통풍혈, 7은 해태발, 8은 해태, 9는 건조틀, 10은 통로를 보인 것이다.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해태를 부착한 해태발(7)은 해태(8)가 통풍혈(6)의 중앙부에 가게끔 걸편(5)에 해태발(7)을 걸치고 태양열을 쪼이며 반체 사이로 통풍이 되므로 해태를 건조하게 된다.
철사반체(1)를 건조틀(9)에 걸어둘 때에는 제 2 단 철사(2)의 연장부로써 구성되어 있는 걸턱(3)(3')을 건조틀(9)의 시렁발 위에 얹어 철사반체(1)가 매달려 있게 한다.
이때에 보강철사(4)(4')는 걸턱(3)(3')을 보강하는 것이다.
해태 발을 부착한 철사반체(1)들의 정돈 요령은 5-10cm 간격으로 고르게 배열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철사반체(1)가 정돈되면 반체와 반체 사이에 고르게 통기되고 그늘이 적고 철사반체는 목재와 같이 수분을 흡수하지 않으므로 건조한 상태가 유지되어 해태의 건조 시간이 지극히 단축되는 것이다.
실시예에 의하면 6 시간이면 건조가 완료되어 하루볕에 2 차례를 건조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각목재 건조반의 건조시간 12시간보다 2 배의 건조 능률은 높였다.
우천시등에 해태를 화열로 건조키자면 건조틀(9)을 실내에 장치하고 천정에 배풍기를 가동하고 건조틀(9)의 복도사이에 한두개의 난로를 피우면 된다.
이렇게 되면 볕이 안나는 날씨에도 해태를 건조시킬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이점은 자연 건조에 의하여 신속하게 건조시킴으로 해태의 맛이 좋아지고 해태를 얇게 건조시킬 수 있어 해태의 원초를 절약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걸편(5)은 끝이 매끈함으로 해태 발이 뜯기지 아니하며 철사반체이므로 적층시 부피가 작아 보관이 용이하고 물을 흡수하지 아니므로 운반시 무겁지 아니하며 값싸게 제작공급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해태 건조반에 있어서 철사를 5 단 5 열로 교차고정시켜 4 단 4 열의 통풍혈을 갖는 철사반(1)을 구성하고 제 2 단철사 양단에 연장부 걸턱(3)(3')과 보강철사(4)(4')로 구성하여서 된 해태 건조반.
KR2019850002617U 1985-03-15 1985-03-15 해태 건조반 KR8700028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2617U KR870002815Y1 (ko) 1985-03-15 1985-03-15 해태 건조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2617U KR870002815Y1 (ko) 1985-03-15 1985-03-15 해태 건조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1239U KR860011239U (ko) 1986-10-02
KR870002815Y1 true KR870002815Y1 (ko) 1987-08-22

Family

ID=19240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2617U KR870002815Y1 (ko) 1985-03-15 1985-03-15 해태 건조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281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1239U (ko) 1986-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2815Y1 (ko) 해태 건조반
US3063104A (en) Utility building
CN201150401Y (zh) 一种细竹席
SU1194325A1 (ru) Опора дл виноградных шпалер
IT8821175V0 (it) Apparecchio refrigerante del tipo ventilato, con scomparto specializzato per carni e pesci.
JP3140918U (ja) 温風利用の多目的乾燥ケース
KR19990073548A (ko) 하우스용 단면 단열재
WO2001004406A1 (en) A drying accessory
JPS591491Y2 (ja) トンネル状ハウスの支骨材
JP3115596U (ja) 物干し用庇
JP2002018192A (ja) 布団干し方式
JPS6297522A (ja) 食器等の乾燥機
CN2484871Y (zh) 能挂衣晒衣的多功能衣架
JPH11127701A (ja) 弗素樹脂繊維布地でカバーした農業用温室または温床
US2512977A (en) Clothesline support
KR880000326Y1 (ko) 조립식 지주대
JPH0635543U (ja) オートキャンピング用テント
CN2140382Y (zh) 可自锁衣架的晒衣杆
KR960002768Y1 (ko) 농업용 비닐하우스의 비닐필름 고정고리
Ehrstine Sunshine and Beer.
KR950030531U (ko) 공기 흡입장치를 갖는 직물연단기
QUEWET SPLINTERING OF ROOFING TILES
JPS6169952U (ko)
JPS5815789Y2 (ja) 除湿冷気導入装置
KR200186597Y1 (ko) 낚시대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