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2125B1 - 정미기 - Google Patents
정미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70002125B1 KR870002125B1 KR1019840003988A KR840003988A KR870002125B1 KR 870002125 B1 KR870002125 B1 KR 870002125B1 KR 1019840003988 A KR1019840003988 A KR 1019840003988A KR 840003988 A KR840003988 A KR 840003988A KR 870002125 B1 KR870002125 B1 KR 8700021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hitening
- assembly
- park
- white
- ro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04—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rollers
Landscapes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정미기의 길이방향 수직 부분의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II-I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3도는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다공 원통상 정백 조립체의 확대 단면도.
제4도는 다공 원통상 정백 조립체의 제2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제3도와 동일한 단면도.
제5도는 다공 원통상 정백 조립체의 제3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제3도와 동일한 단면도.
제6도는 다공 원통상 정백 조립체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제3도와 동일한 단면도.
제7도는 다공원통상 정백 조립체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제3도와동일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축 60 : 정백로울
70 : 다공원통상 정백조립체 72 : 정백실
101, 102 : 간막이벽 부재 103 : 상부공간
104 : 하부공간 113 : 송풍기
131, 231, 331, 431, 531 : 구멍
본 발명은 현미를 정백하여 각 현미의 표면으로 부터 겨를 제거하기 위한 기계에 관한 것이다. 예를들면 일본국 특허공고 제34-4765호(사다께 특허 제255684호)에 발표되어 있는 바와같이, 재래의 정미기는 프레임과,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는 축선에 대해 회전가능하고 그 축에 장착된 축과, 정백로울과, 그 축에 대하여 동심원 관계로 프레임에 장착된 다공원통상 정백부재를 가지고 있다. 그 다공 원통상 정백 부재는 정백로울과 협동하여 그들간에 정백실을 구획하고 있다. 한쌍의 간막이 벽 부재의 각각은 축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축보다 위의 위치에서 다공 원통상 정백부재의 외주면에 밀봉적으로 접합되는 한쪽의 길이 방향측연부와 프레임에 고정된 다른쪽의 길이방향측연부를 갖고 있어 다공 원통상 정백 부재의 외주면을 원호상 상부면 부분과 원호상의 나머지 표면 부분으로 분할하고 있는 동시에 실질상 밀폐된 상부공간 및 하부공간을 구획하고 있다. 다공원통상 정백부재의 원호상 상부면 부분 및 원호상의 나머지 표면부분이 상부 공간 및 하부 공간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송풍기는 상부공간으로 연통되어 있어 이 상부 공간으로 부터 공기를 배출시키고 있다.
축이 회전하면 정백될 현미입자는 정백실내로 공급되고, 또한 정백로울이 회전되어 정백실내에서 현미가 정백되어 현미의 표면으로부터 겨를 제거한다. 송풍기에 의해 발생한 공기흐름은 하부실로 부터 다공 원통상 정백부재의 원통상의 나머지 표면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구멍을 통하여 정백실내로 도입되고 다음에 이 정백실로부터 다공원통상 정백부재의 원호상 상부면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구멍을 통하여 상부 공간쪽으로 도입되고, 제거된 겨를 정백실로 부터 배출시킨다.
상술한 종래의 정미기에 있어서는, 현미입자는 그 자중때문에 정백로울의 회전에 의해 생기는 현미 입자의 공전작용이 방해되어 정백실의 하부로 모여지고 이로서 정백실의 하부의 현미 입자의 밀도가 높아지고, 또한 정백실의 상부에 있는 현미 입자의 밀도는 감소되는 경향을 갖는다.
상술한 사다께 특허는 정백실 상부에 있는 현미 입자밀도의 저하를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정백실 하부에서의 정백작용에 의해 발생한 겨 및 열을 하부공간으로 부터 정백실 내로 도입되는, 공기를 가지고 현미입자가 밀도가 낮은 정백실 상부를 통하여 배출시켜 겨의 제거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정백실내의 온도 상승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
그러나 상술한 구조에 있어서는 정백실내의 현미입자가 정백실 하부에 체류하는 경향이 있고 이 체류가 정백 작용에 악영향을 끼치는 것이 판명되었다. 때문에 정백실의 하부에 있어서의 현미입자의 밀도는 상당히 높아진다.
정백실의 하부에 체류된 밀도가 상당히 높은 현미입자는 정백로울로 부터 상당한 압력을 받게 되어 각각의 현미 입자의 자전속도를 감소시킨다. 각각의 현미 입자의 자전속도의 감소는 각각의 현미 입자 표면이 정백로울에 의해 불균일하게 벗겨지게 된다고 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또한 정백실의 하부에 체류된 현미입자는 밀도가 상당히 높기때문에 하부공간으로 부터 정백실에 도입되는 공기에 의해 체류된 현미입자를 통과하여 제거된 결르 정백실의 외부쪽으로 휩쓸어 운반하는 능력을 저하시킨다. 더구나 정백실의 하부에 체류된 밀도높은 현미 입자는 정백로울러로 부터 상당한 압력을 받아서 파쇄되어 파쇄입자를 발생시킨다. 더구나 현미 입자 밀도가 낮은 정백실의상부에 현미 입자는 그들의 자중에 의해 공전 속도가 증가하여 정백실의 하부에 체류되어 있는 현미 입자 및 다공원통상 정백부재의 벽에 충돌하여 파쇄입자를 생기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백실 전체에 있어서 현미 입자의 밀도의 균일성을 개량하는 정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미입자를 정백하기 위한 기계이며, 수평인 중심 축선의 주위에서 회전가능한 정백로울 및 이 정백로울의 주위에 환상의 정백실을 형성하도록 정백로울과 동심적으로 정백로울의 주위에 배설되고, 주벽부에 겨가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는 구멍이 다수형성된 다공원통상 정백부재를 가지며, 정백로울이 상기 중심축선의 주위에서 회전 구동될때에 정백실내에서 정백로울에 의해 현미로 부터 표면의 겨층이 제거되어 쌀알이정백됨과 동시에 제거된 겨가 정백부재의 주벽부의 구멍으로 부터 방출되는 구성을 가진 정미기 본체부와, 상기 정백부재의 주벽부중 하부공간으로 면하는 원호상 저면부분의 구멍의 총면적이 상부 공간으로 면하는 나머지 표면 부분의 구멍의 총면적 보다도 작아지도록 원통상 정백부재의 주위의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간막이 수단과 상기 하부 공간으로 부터 다공원통상 정백부재의 하부 공간으로 면하는 구멍과 정백실과 상부 공간으로 면하는 구멍을 통과하여 상부공간으로 흐르는 공기유동을 형성하는 공기유동수단을 가진 정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미기는 베이스(1)와, 상기 베이스에 고정하여 장착한 전체가 부호 2로 표시되어 있는 프레임을 가지고 있다. 프레임(2)은 앞벽(3), 뒷벽(4), 한쌍의 측벽(6,7) 및 상부벽(8)을 갖고 있다. 뒷쪽구멍(9)은 뒷벽(4)과 상부벽(8)에 의해 정해진 구석부분에 구비되고 또 앞쪽구멍(11)은 앞벽(3)에 구비되어 있다.
전체가 부호 12로 표시되어 있는 L자형 입구 덕트 유닛은 뒷쪽구멍(9)에 끼워지고 또 일체로 연결된 수평덕트섹션(13) 및 수직덕트 섹션(14)을 갖고 있다. 수평덕트 섹션(13)은 축선 방향 개방일단부(17)를 갖는 원통벽(16)과 그 원통벽(16)의 축선 방향 타단부에서 그 원통벽에 일체로 형성된 단부벽(18)을 갖고 있다.
입구덕트 유닛(12)은 원통벽(16)에 일체로 형성되고, 원통벽으로 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원호형 플랜지(22)를 관통볼트(21)에 의해 프레임(2)에 고정설치되어 있다. 구형 단면을 갖고 있는 수직덕트 섹션(14)은 원통벽(16)의 정상부로 부터 윗쪽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정백할 현미 입자를 수용하는 호퍼(24)에 연결된 상단부를 갖고 있다. 인출가능한 셔터 즉, 밸브(26)는 수직덕트 섹션(14)을 닫는 제1도에 표시된 폐쇄위치와 수직덕트 섹션(14)을 여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전체가 부호 30로 표시되어 있는 출구 덕트 유닛은 프레임(2)의 앞벽(3)에 설치된 전방개구(11)에 끼워져 있다. 덕트유닛(30)은 측선방향 개방 일단부(34)를 갖는 원통벽(31)과, 상기 원통벽(31)의 축선 방향 타단부의 위치에서 그 원통벽에 일체로 되어 형성된 단부벽(32)을 갖고 있다. 단면이 대략 U자형인 채널부재(33)는 원통벽(31)과 단부벽(32)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동시에 원통벽(31)과 단부벽(32)에 의해 구획되는 구석의 밑벽으로 부터 경사지게 아래쪽으로 돌출된다. 압력판(36)은 채널부재(33)의 측벽사이에 연장되어 있는 피버트(37)의 축선의 둘레에서 진동가능하고, 통상적으로 추(38)에 의해 제1도에서 시계 방향으로 눌려져 있다.
실질상 수평으로 연장하는 축선을 갖고 있는 축(40)은 입구덕트 유닛(12)의 단부벽(18)에 설치된 개구(41) 및 출구덕트 유닛(30)의 단부벽(32)에 설치된 개구(42)를 통하여 연장되어 있다. 축(40)은 축경된 일단부(43) 및 축경된 타단부(44)를 갖고 있다.
일단부(43)는 입구덕트 유닛(12)의 단부벽(18)으로 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단부벽에 일체로 형성된 환상벽(46)에 의해 확정되는 공간내로 수용된 베어링(4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리테이너판(48)은 환상벽(46)의 단면에 볼트(49)에 의해 부착되어 있어서 베어링(47)을 소정 위치에 유지한다. 축(40)의 타단부(44)는 출구덕트 유닛(30)의 단부벽(32)으로 부터 바깥으로 돌출하도록 단부벽을 일체로 형성된 환상벽(51)에 의해 확정되는 공간내에 수용된 베어링(52)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베어링(52)은 스프링 리테이너(53)에 의하여 소정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커버판(54)은 환상벽(51)의 단부면에 볼트(56)에 의해 부착되어 있어서 외부 물질 또는 먼지가 베어링(52)속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시키고 있다. 그래서 축(40)은 입구 및 출구 덕트 유닛(12 및 30)을 거쳐서 일반적으로 수평인 축선 둘레에 회전가능하도록 프레임(2)에 지지된다.
전체가 부호 60으로 표시된 정백로울은 축(40)과 함께 회전되도록 축에 설치되어 있다. 정백로울(60)은 서로 동일축선 관계로 축(40)에 장착된 4개의 로울 섹션(61)을 갖고 있다. 각 로울섹션(61)은 키이(63)에 의해 축(40)과 함께 회전하도록 축에 장착된 피일(62)과, 그 피일(62)의 외주면에 고정하여 부착시킨 환상의 저석(64)을 갖고 있다. 축(40)의 축경된 타단부(44)에 인접하여 배치한 로울섹션(61)은 그 축(40)의 축경된 타단부(44)에 의해 형성된 단이진부에 나사가 절삭된 링(67)에 의해 눌려져 있는 리테이너 판(66)에 당접되어 있다.
입구덕트 유닛(12)의 원통벽(16)내에 배치된 나사식 급송기(68)는 키이(69)에 의해 축(40)과 함께 회전하도록 축에 장착되어 있다. 나사식 급송기(68)는 축(40)에 나사조입된 리테이너 판(71)에 의해 축(40)의 축경된 일단부(43)에 인접하여 배치된 로울섹션(61)의 단면에 눌려져 있다.
전체가 부호 70으로 표시되어 있는 정지다공 원통상 정백 조립체는 입구덕트 유닛(12)의 원통벽(16)의 개방단부(77)상에 끼워진 축선방향 일단부 및 출구덕트 유닛(30)의 원통벽(31)의 개방단부(34)상에 끼워진 축선방향 타단부를 갖고 있다. 다공 원통상 정백 조립체(70)는 축(40)의 축선에 대해 일반적으로 동심원 관계로 배치되어 있어 정백로울(60)의 외주면과 다공원통상 정백조립체(70)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환상의 정백실(72)을 확정하고 있다. 정백실(72)은 입구덕트 유닛(12)을 거쳐 호퍼(24)에 연통하는 입구(73) 및 출구덕트 유닛(30)에 연통하는 출구(74)를 갖고 있다.
제3도로 부터 이해되는 바와같이, 다공원통상 정백조립체(70)는 3개의 원호상 다공벽 부재(76, 77, 78)를 갖고 있다. 원호상벽부재(76, 77, 78)는 개구면적이 같고 또 동일한 간격으로 서로 이간되어 있는 구멍을 구비하고 있다. 각 다공원호상 벽부재(76, 77, 78)는 길이 방향 측연부에 연하여 일체 플랜지(79)를 구비하고 있다. 인접한 각쌍의 플랜지(79 및 79)사이에 전체가 부호 80으로 표시된 현미입자 유동안내 조립체가 배치되어 있다. 각 현미 입자유동 안내 조립체(80)는 단면 사다리꼴의 세장한 본체(81)와, 그 본체에 연하여 배치된 복수매의 날개(82, 83)(제1도 참조)와, 본체(81)에 연하여 본체에 설치된 길이방향 홈내에 배치되고 또 날개(82, 83)에 피버트 되어 그들 날개를 서로 연결시키고 있는 로드(84)(제1도 참조)와, 중앙의 날개(83)에 부착된 일단 그리고 조작레버(87)에 부착된 타단을 갖는 핀(86)을 갖고 있다.
조작레버(87)를 핀(86)의 축선의 주위로 회전시키면 중앙의 날개(83)는 회동하게 된다.
중앙날개(83)의 회동 운동은 로드(84)에 의해 다른 날개(82)에 전달되고, 그리고 날개(82, 83)는 함께 회동되어 정백실(72)내를 유동하는 현미 입자를 안내한다.
다시 제3도를 참조하여 다공원통상 정백 조립체(70)의 원호상 다공벽 부재(76, 77)의 서로 인접한 플랜지(79)는 각각의 리테이너 판(92)을 거쳐 볼트(91)에 의해 현미입자 유동 안내조립체(80)의 본체(81)에 부착되어 있다. 원호상 벽부재(78)에 인접한 원호상 다공 벽부재(76, 77)의 플랜지(79)는 리테이너 판(94)을 통해 볼트(93)에 의해 각각 본체(81)에 부착되어 있다. 다공벽부재(78)의 양 플랜지(79)는 육각구멍볼트(90)에 의해 인접한 본체(81)에 리테이너판(96)을 통해 각각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3개의 다공벽부재(76, 77, 78)는 원통형을 이루며 서로 연결된다.
제2 및 제3도를 참조하여 축(40)의 양측에 배치된 1쌍의 수평 간막이벽 부재(101, 102)의 각각은 프레임(2)의 관련 측벽(6, 7)에 고정 부착된 한쪽의 길이 방향측 연부와, 원호상 다공벽 부재(78)의 외면에 축(40)의 축선보다 아래 위치에서 관련되는 리테이너 판(66)을 통해서 밀봉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다른쪽이 길이방향측 연부를 갖는다. 간막이 부재(101, 102)는 다공원통상 정백조립체(70)의 외주면을 원호상 저면부분과 원호상의 나머지 표면 부분으로 분할하는 동시에 상부공간(103) 및 하부공간(104)을 정하기 위한 간막이 벽 수단을 구성한다. 원호상 저면 부분은 하부공간(104)에 면하고 있는 원호상 다공벽부재(78)의 외면을 실질적으로 갖고 있고, 또한 원호상의 나머지 표면부분은 상부공간(103)으로 면하고 있는 원호상 다공벽부재(76, 77)의 외면을 실질적으로 갖고 있다.
단면이 대략 구형인 공기유동 안내덕트(106)는 간막이벽부재(101, 102)의 다른쪽의 길이방향측 연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수렴하도록 연장되어 있고 또한 프레임(2)의 측벽(6, 7)에 각각 형성된 흡입구 개구(107, 108)의 약간 위의 위치에서 끝나는 하방 개방 단부를 갖고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명시되어 있는 것처럼 간막이 벽부재(101, 102)에 의해 획정되는 상부공간(103)은 프레임(2)의 앞벽(3), 뒷벽(4) 및 측벽(6,7)의 상부 부분 및 상부벽(8)에 의해 실질적으로 폐쇄되어 있어 흡입실을 확정하고 있다. 상부벽(8)은 흡입실 즉 상부공간(103)으로 연통하는 개구(111)를 구비하고 있다. 덕트(112)는 상부벽(8)에 볼트 등의 부착구에 의해 부착되어 있고 또한 상부벽(8)에 설치된 개구(111)로 연통하는 상류(Upstream)단부 및 송풍기(113)로 연통하는 하류(Downstream)단부를 갖고 있어 송풍기(113)가 작동할때 공기가 흡입실 즉 상부 공간(103)으로 부터 개구(111) 및 덕트(112)를 통해 바깥으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제2도에 명시되어 있는 것처럼 프레임(2)의 측벽(6,7)은 각각 착탈가능한 커버부재(116, 117)에 의해 폐쇄할 수 있는 출입개구(115)를 구비하고 있어 수리 및 교환을 위해 다공원통상 정백조립체(70)에 근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1도에 표시되어 있는 것처럼 홈형 풀리(121)는 축(40)과 함께 회전하도록 그 축의 축경된 일단부(43)에 장착되어 있다. 베이스(1)에 장착된 구동 모우터(122)는 출력측(123)을 갖고 있다. 홈형 풀리(24)는 그 출력측(123)에 함께 회전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복수의 벨트(126)는 풀리(121, 124)의 둘레에 걸려있어 구동 모우터(122)의 회전 토오크를 축(40)에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술한 정미기의 작동에 관하여 이하 설명한다.
정백실(72)의 입구(73)에 입구덕트 유닛(12)을 통해 연통하는 정백될 현미 입자를 상기 정백실 쪽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호퍼(24)는 상기 정백될 현미 입자로 충진된다.
인입가능한 밸브(26)가 폐쇄위치의 상태에서 모우터(122)는 작동되고 풀리(124), 벨트(126) 및 풀리(121)를 거쳐 축(40) 및 그 축(40)에 장착된 나사식 급송기(68) 및 정백로울(60)을 회전시킨다. 송풍기(113)가 작동되어 제2도중의 화살표의 표시와 같이 공기는 프레임(2)의 측벽(6,7)의 각각의 개구(107, 108), 덕트(106), 다공원통상 정백조립체(70)의 원호상 다공 벽부재(78)에 설치되어 있는 구멍(131), 정백실(72), 나머지 원호상 다공벽부재(76, 77)에 설치되어 있는 구멍, 상부공간(103), 프레임(2)의 상부벽(8)에 설치되어 있는 개구(111) 및 덕트(112)를 통하여 유동한다. 인입가능한 밸브(26)를 개방위치로 이동시키면 정백될 현미입자는 수직덕트 섹션(14)을 지나서 수평덕트 섹션(13)내로 도입되고 또 나사식 급송기(68)에 의해 정백실(72)의 입구(73)를 통하여 정백실(72)내로 급송한다. 정백실(72)내로 급송된 현미입자는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으로 고속회전되고 있는 정백로울(60)의 외주면에 의한 연삭작용에 의해 정백되고, 겨가 각 현미 입자의 표면으로 부터 제거된다. 제거된 겨는 송풍기(113)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유동에 의해 정백실(72)으로 부터 다공원통상 정백조립체(70)의 원호상 다공벽부재(76, 77)의 구멍, 상부공간(103), 개구(111) 및 덕트(112)를 통로 외부로 배출된다. 가공된 정백미는 정백실(72)로 부터 출구(74)및 출구덕트 유닛(30)을 지나서 압력판(36)의 힘에 저항하면서 배출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미기에 있어서, 송풍기(113)는 다공 원통상 정백조립체(70)의 원호상 저면 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원호상 다공 벽부재(78)의 구멍(131)을 통하여 공기를 유동시키고, 이어서 정백실(72)로 부터 상부공간(103)으로 다공 원통상 정백조립체(70)의 나머지 원호상 다공벽부재(76, 77)의 구멍(132)을 통해 공기를 유동시킴으로써 정백실(72)하부내의 현미 입자에 대해 상향력을 작용시키게 되는 공기 유동 수단을 제공한다.
원호상 다공벽부재(78)의 구멍(131)을 통하여 정백실(72)에 유입하는 공기 유동은 정백실(72)의 하부에 모여 체류하는 현미 입자에 대해 상향력을 부여하며 정백실(72)이 하부내에서의 현미 입자의 밀도를 감소를 시키는 동시에 정백실(72)전주변에서의 현미 입자의 밀도를 균일화 시키도록 한다. 정백실(72)의 하부내에서의 현미 입자 밀도의 저하는 개개의 현미입자의 자전 작용을 촉진시킴으로써 개개의 현미 입자의 표면이 정백로울(60)에 의해 불균일하게 연삭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정백실(72)의 하부에서의 현미 입자의 밀도 저하는 공기가 하부공간(104)으로 부터 정백실(72)을 통하여 상부공간(103)내로 유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제거된 겨를 정백실(72)의 외부로 배출하는 능력을 높인다. 또한 정백실(72)하부에서의 현미입자의 밀도 저하는 현미 입자가 정백로울(60)로 부터 과도의 압력을 받게 되어 파쇄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한다. 더우기 정백실(72)의 상부 내에서의 현미 입자 밀도는 적당히 높아지고, 이로인해 자중에 의해 현미 입자의 공전 속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높은 공전 속도를 갖는 현미 입자가 다공원통상 정백조리체(70)의 벽에 충돌하여 파쇄되는 문제를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다공원통상 정백조립체(70)의 원호상 다공벽부재(76, 77, 78)의 구멍은 서로 직경 즉 개구면적이 동일하고 또 동일한 간격으로 서로 떨어져 있다. 하부공간(104)으로 면하고 있는 원호상 다공벽부재(78)의 구멍(131)은 상부공간(103)으로 면하고 있는 나머지 원호상 다공벽부재(76, 77)의 구멍(132)보다 수가 적다. 환언하면 원호상 다공벽부재(78)의 구멍(131)의 총합계 개구면적은 나머지 원호상 다공벽부재(76, 77)의 구멍(132)의 총합계 개구면적보다 적다. 따라서, 원호상 다공벽부재(78)의 구멍(131)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은 나머지 원호상 다공벽부재(76, 77)의 구멍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보다 높다.
원호상 다공벽부재(78)의 구멍(131)을 통하여 정백실(72)에 유입하는 높은 속도의 공기류는 정백실(76)의 하부에 모여 체류되려는 현미 입자에 대하여 효과적인 상향력을 부여하여 정백실(72) 전 주변에서의 현미 입자의 밀도를 일층 균일화 시키는 경향을 가진다.
제4도는 제3도와 같은 도면이며 다공원통상 정백조립체의 제2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4도에 있어서 제1도 및 제3도에 나타낸 부품 및 부분과 같은 것에는 같은 참조부호를 붙였다. 제4도에 있어서 제2의 실시예에 따른 다공원통상 정백 조립체는 전체가 부호 270으로 표시하였다.
다공원통상 정백조립체(27)는 원호상 다공벽부분(276, 277, 278)을 갖고 있다. 원호상 다공벽부재(276, 277)는 제3도에 나타낸 원호상 다공벽부재(76, 77)와 구조가 동일한다. 정지 다공원통상 정백 조립체(270)의 원호상 저면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원호상벽부재(278)는 나머지 원호상 벽부재(276, 277)의 구멍(232)과 직경 즉 개구면적 및 간격에 있어서 동일한 구멍(231)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원호상 다공벽부재(278)는 그 플랜지(279)에 연하여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구멍 없는 벽부분(201, 202)을 각각 구비하고 있어 원호상 다공벽부재(278)의 구멍(231)이 나머지 원호상 다공벽부재(276, 277)의 구멍(232)보다 수가 상당히 감소되어 있다. 제4도의 실시예에서는 하부공간(104)으로 면하는 원호상 다공벽부재(278)의 구멍(231)의 합계 개구면적이 제3도의 원호상 다공벽부재(78)의 구멍의 합계 개구면적 보다도 감소되어 있다. 따라서 원호상 다공벽부재(278)의 구멍(231)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은 나머지 원호상 다공벽부재(276, 277)의 구멍(232)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보다 상당히 높고, 정백실(72)의 하부에 모여 체류되는 현미 입자에 대해 일층 효과적인 상향력이 작용된다. 또한 원호상 다공벽부재(278)의 구멍(231)은 정백실(72)의 최하부 부분에 인접하여 개구되어 있으므로 현미 입자가 체류하기 쉬운 정백실(72)의 최하부 부분내의 현미 입자에 속도가 높은 상향공기 유동이 작응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5도는 제3도와 동일한 것으로서 다공원통상 정백 조립체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5도에 있어서 제1도 및 제3도에 나타낸 부품 및 부분과 같은 것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다. 제5도에 있어서 제3의 실시예에 따른 다공원통상 정백조립체(270)는 원호상 다공벽부재(376, 377, 378)을 가진다. 원호상 다공벽부재(376, 377)은 제3도에 나타낸 원호상 다공벽부재(76, 77)와 구조에 있어서 각각 동일한 것이다. 정지 다공원통상 정백 조립체(370)의 원호상 저면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원호상 다공벽부재(378)는 나머지 원호상 다공벽부재(376, 377)의 구멍(332)과 직경이 동일한 구멍(331)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원호상 다공벽부재(378)의 구멍(331)은 나머지 원호상 다공벽부재(376, 377)의 구멍(332)사이의 간격보다 더 큰 간격으로 서로 떨어져 있다.
제5도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부공간(104)으로 향하는 원호상 다공벽부재(378)의 구멍(33)의 합계 개구면적이 제3도의 원호상 다공벽부재(78)의 구멍의 합계 개구면적 보다 감소되어 있다. 따라서, 원호상 다공벽부재(378)의 구멍(331)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은 나머지 원호상 다공벽 부재(376, 377)의 구멍(332)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보다 상당히 높고, 정백실(72)의 하부에 모여 체류되기 쉬운 현미 입자에 대해서 일층 효과적으로 상향력을 작용시킨다.
제6도는 제3도와 동일한 도면으로서 다공원통상 정백 조립체의 제4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6도에 있어서 제1도 내지 제3도에 나타낸 부품 및 부분과 같은 것에도 동일의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제6도에 있어서, 제4의 실시예에 따른 다공 원통상 정백조립체(470)은 원호상 다공벽부재(476, 477, 478)를 갖고 있다. 원호상 다공벽부재(476, 477)는 제3도에 나타낸 원호상 다공벽부재(76, 77)와 구조에 있어서 각각 같은 것이다.
정지다공 원통상 정백조립체(470)의 원호상 저면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원호상 다공벽부재(478)의 구멍(431)은 나머지 원호상 다공벽 부재(476, 477)의 구멍(432)사이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서로 떨어져 있다.
그러나, 원호상 다공벽부재(478)의 구멍(431)은 나머지 원호상 다공벽 부재(476, 477)의 구멍(432)보다 작은 직경 즉 작은 개구 면적을 갖고 있다.
그리고 하부공간(104)으로 연하는 원호상 다공벽부재(478)의 구멍의 합계 개구면적은 제3도의 원호상 다공벽부재(78)의 구멍의 합계 개구면적보다 감소되어 있다. 따라서 원호상 다공벽부재(478)의 구멍(431)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은 나머지 원호상 다공벽부재(477)의 구멍(432)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보다 상당히 높고, 정백실(72)의 하부에 모여 체류하기 쉬운 현미 입자에 대해서 일층 효과적인 상향력을 작용시킨다.
제7도는 제3도와 동일한 도면으로서 다공원통상 정백조립체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다.
제7도에 있어서, 제1도 내지 제3도에 나타낸 부품 및 부분과 같은 것에는 같은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제7도에 있어서, 제5의 실시예에 따른 다공원통상 정백조립체(570)는 각각이 180°의 각도 범위를 갖고 있는 2개의 반원형 단면의 다공벽부재(576, 577)를 갖고 있다. 다공벽부재(576, 577)의 각각은 그것의 길이방향측연에 마련되는 일체 플랜지(576)를 갖고 있다. 서로 인접한 플랜지(579)는 볼트 및 너트 조립체(580(에 의해 서로 조여져 있으므로 2개의 다공벽부재(576, 577)는 원통형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관련하여 설명된 현미입자 유동 안내날개(83)의 기능에 대응하는 날개(583)가 다공벽부재(576, 577)의 내면에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또한 다공원통상 정백 조립체(570)는 각각의 밴드 스트립(596)을 통해서 간막이벽 부재(101, 102)에 접합되어 있다. 다공벽부재(576, 577)의 각각은 하부공간(104)으로 면하는 원호상 표면부분(576a, 577a)과, 상부공간(103)으로 면하는 나머지 원호상 표면부분(576b, 577b)을 갖고 있다. 나머지 원호상 표면부분(576b, 577b)은 직경 및 간격에 있어서 서로 동일한 구멍(532)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하부공간(104)으로 면하는 원호상 표면부분(576a, 577a)은 나머지 원호상 표면부분(576b, 577b)의 구멍(532)사이의 간격보다 큰 간격으로 서로 떨어진 구멍(531)을 구비하고 있다. 제5도에 관련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게 제7도의 실시예에서는 하부 공간으로 면하는 원호상 표면 부분(576a, 577a)의 구멍(53)의 합계 개구면적이 제3도의 원호상 다공 벽부재(78)의 구멍(131)의 합계 개구 면적보다 감소되어 있다.
따라서, 원호상 표면부분(576a, 577a)의 구멍(53)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은 나머지 원호상 표면부분(576b, 577b)의 구멍(532)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보다 상당히 높고, 정백실의 하부에 모여 체류되기 쉬운 현미입자에 대해서 일층 효과적인 상향력을 작용시킨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정미기에서는 상부 공간(103)이 실질상 닫혀 있고 또한, 송풍기(113)가 그 닫혀진 상부공간(103)으로 부터 공기를 배출하는 구조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상부공간(103)을 개방하여도 되며, 그 경우에는 하부공간(104)을 실질상 밀폐하고, 그 밀폐된 하부공간에 가압공기를 도입하면 된다.
Claims (12)
- 현미입자를 정백하기 위한 기계이고 수평인 중심축선의 둘레에서 회전가능한 정백로울(60)과, 이 정백로울(60)의 둘레에 환상의 정백실(72)이 형성되도록 정백로울과 동심적으로 정백로울의 둘레에 배치되고 그 주벽부에 겨의 통과를 허용하는 구멍(131, 132, 231, 232, 332, 431, 531, 532)이 다수 형성된 다공원통상 정백조립체(70, 270, 370, 470, 570)을 가지며 정백로울(60)이 상기 중심축선의 둘레에서 회전 구동될때에 정백실(72)내에서 정백로울(60)에 의하여 현미입자로 부터 표면의 겨층을 제거하고 현미입자를 정백함과 동시에 제거되는 겨가 상기 정백조립체의 상기 주벽의 구멍으로 부터 방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정미기 본체부와, 상기 정백조립체의 주벽부중 하부공간(104)으로 면하는 원호상 저면부분의 구멍(131, 231, 331, 431, 531)의 총면적이 상부공간(103)으로 면하는 나머지 표면 부분의 구멍(132, 232, 332, 432, 432)의 총면적 보다도 작아지도록 상기 원통상 정백조립체의 둘레의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간막이 수단과, 상기 하부공간(104)으로 부터 다공원통상정백 조립체의 하부공간(104)으로 면하는 구멍(132, 232, 332, 432, 532)을 지나서 상부공간(103)으로 흐르는 공기흐름을 형성하는 송풍기(113)와 같은 공기 유동수단을 가지는 정미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막이 수단(101, 102)이 상기 중심축선 보다도 아래 위치에서 원통상 정백조립체의 외주면에 접하고 상기 정백조립체의 주벽을 상기 원호상 저면부분과 상기 나머지 표면부분으로 구획하여 구성되는 정미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상 정백조립체의 원호상 저면부분에 배설된 구멍의 각각은 상기 다공원통상 정백조립체의 원호상의 나머지 표면부에 배설되어 있는 구멍의 각각과 실질상 같은 개구면적을 가진 구성의 정미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원통상 정백조립체의 원호상 저면부분에 배설한 구멍은 이 다공원통상 정백조립체의 원호상의나머지 표면부분에 배설된 구멍이 상호 떨어진 간격과 실질상 동일간격으로 서로 떨어져 있고 상기 원호상 저면부분에 배설된 구멍은 상기 원호상 나머지 표면부분에 배설되어 있는 구멍보다 수가 적은 구성의 정미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원통상 정백조립체의 상기원호상 저면부분에 배설된 구멍은 상기 다공원통상 정백조립체의 원호상 나머지 표면부분에 배설되어 있는 구멍의 서로 떨어져 있는 간격보다도 큰 간격으로 떨어져 구성되는 정미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다공원통상 정백조립체의 상기원호상 전면부재에 배설된 구멍은 다공형 원통상 정백조립체의 상기 원호상 나머지 표면부분에 배설되어 있는 구멍의 서로 떨어져 있는 간격과 실질상 같은 간격으로 서로 떨어져 있고, 상기원호상 저면 부분에 배설된 구멍에 각각이 상기 원호상 나머지 표면부분에 배설되어 있는 구멍의 각각의 개구면적 보다 작은 개구 면적을 가진 구성의 정미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공간(103)은 실질상 밀폐된 흡인실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기유동수단(113)이 상기 흡인실에 연통되어 있어 흡인실로 부터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수단을 구성하는 정미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다공원통상 정백 조립체는 적어도 2개의 다공원호상 벽부재와, 이와 이웃하는 다공원호상 벽부재의 인접하는 연부를 상호 연결시키기 위한 상호 연결부재를 가진 정미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미기 본체부는 정백로울(60)과 일체적으로 회전구동되는 나사식 급송기(68)를 구비하고 이로 인해 정백실 현미입자가 정백실에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정미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백로울은 동축관계로 배치된 복수개의 로울섹션을 구비하고, 이 로울섹션의 각각은 상기축에 고정 설치된 피일과, 이 피일의 둘레에 고정 부착된 환상의 연마저석을 가진 구성의 정미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간막이 수단은 축(40)의 축선의 양측에 설치되고 또 그 축선에 연하여 연장되는 한쌍의 간막이 벽부재(101, 102)를 가지며, 이 지지용 간막이벽 부재의 각각은 프레임에 고정부착된 한쪽의 길이 방향연부와 상기 다공원통상 정백조립체에 결합되는 다른쪽의 길이방향연부를 가지는 구성의 정미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지지용 간막이 벽부재의 각각의 다른쪽 길이 방향 연부로 부터 하방으로 돌출되고 공기를 다공원통상 정백조립체의 원호상 저면부분으로 향하여 안내하게 되는 덕트를 가진 구성의 정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58129786A JPS6022939A (ja) | 1983-07-15 | 1983-07-15 | 精穀機の通風除糠装置 |
JP?83-129786 | 1983-07-15 | ||
JP83-129786 | 1983-07-1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50001026A KR850001026A (ko) | 1985-03-14 |
KR870002125B1 true KR870002125B1 (ko) | 1987-12-09 |
Family
ID=15018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40003988A KR870002125B1 (ko) | 1983-07-15 | 1984-07-09 | 정미기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4515075A (ko) |
EP (1) | EP0131728B2 (ko) |
JP (1) | JPS6022939A (ko) |
KR (1) | KR870002125B1 (ko) |
DE (1) | DE3470666D1 (ko) |
GB (1) | GB2143419B (ko) |
IN (1) | IN162652B (ko) |
PH (1) | PH21124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568787A (en) * | 1981-11-09 | 1986-02-04 | Mobil Oil Corporation | Catalysis over activated zeolites |
CH673596A5 (ko) * | 1987-07-22 | 1990-03-30 | Buehler Ag | |
US5076157A (en) * | 1989-10-27 | 1991-12-31 | Satake Engineering Co., Ltd. | Coffee bean polishing apparatus |
US5076156A (en) * | 1990-01-23 | 1991-12-31 | Kubota Corporation | Grain cleaning machine |
JP3344504B2 (ja) * | 1993-10-01 | 2002-11-11 | 株式会社サタケ | 竪型研削式精穀装置 |
DE4333703C2 (de) * | 1993-10-02 | 2003-07-03 | Buehler Gmbh | Schleif- bzw. Poliermaschine |
JPWO2002100546A1 (ja) * | 2001-06-11 | 2004-09-24 |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 横型研削式精米機 |
US20030180415A1 (en) * | 2002-03-20 | 2003-09-25 | Stiefel Michael J. | High protein concentrate from cereal grain and methods of use thereof |
CN101204674B (zh) * | 2007-07-07 | 2010-08-25 | 湖南郴州粮油机械有限公司 | 碾米机的补风装置 |
CN101347751B (zh) * | 2008-09-01 | 2010-06-23 | 江门市力信豆制品有限公司 | 一种卧式谷物及豆类脱皮机 |
JP6481280B2 (ja) * | 2014-07-26 | 2019-03-13 | 株式会社サタケ | 横軸型精米機 |
CN106824348A (zh) * | 2017-03-23 | 2017-06-13 | 正安县铜兴粮油有限责任公司 | 分离式碾米机 |
JP7117722B2 (ja) | 2017-09-21 | 2022-08-15 | 大和産業株式会社 | 表面加工粒状物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
CN108554486A (zh) * | 2018-06-19 | 2018-09-21 | 重庆米之吉粮食有限公司 | 新型高效脱壳打米机 |
CN108772117A (zh) * | 2018-06-25 | 2018-11-09 | 寿县永昌米面有限公司 | 一种可自动调整抛光剂量的大米抛光机 |
CN111185253B (zh) * | 2020-01-15 | 2021-11-02 | 颍上县金波米业股份有限公司 | 一种大米加工用脱壳与除尘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707198A (en) * | 1928-08-02 | 1929-03-26 | Standard Rice Company Inc | Polishing machine |
US2499590A (en) * | 1939-01-18 | 1950-03-07 | Vaclav Jindrich | Grain hulling machine |
US2469943A (en) * | 1944-12-09 | 1949-05-10 | Haaky Mfg Company | Horizontal rotary scalper |
DE859100C (de) * | 1951-09-02 | 1952-12-11 | Georg Eisgruber | Getreidepolierer und Keimausleser |
US3435865A (en) * | 1966-09-21 | 1969-04-01 | Mori Seikoku Kenkyusho Co Ltd | Rice-cleaning machine |
GB1318973A (en) * | 1969-06-24 | 1973-05-31 | Yanmar Diesel Engine Co | Polishing rolls assembly |
JPS6044014B2 (ja) * | 1977-04-01 | 1985-10-01 | 株式会社 サタケ | 精米装置 |
FR2517570A1 (fr) * | 1981-12-04 | 1983-06-10 | Ashland Chemical France Sa | Procede de separation de particules de masses differentes et separateur de particules |
-
1983
- 1983-07-15 JP JP58129786A patent/JPS6022939A/ja active Granted
-
1984
- 1984-04-28 IN IN281/CAL/84A patent/IN162652B/en unknown
- 1984-04-30 GB GB08411041A patent/GB2143419B/en not_active Expired
- 1984-05-14 US US06/609,807 patent/US4515075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4-05-30 DE DE8484106226T patent/DE3470666D1/de not_active Expired
- 1984-05-30 EP EP84106226A patent/EP0131728B2/en not_active Expired
- 1984-06-13 PH PH30810A patent/PH21124A/en unknown
- 1984-07-09 KR KR1019840003988A patent/KR87000212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GB2143419B (en) | 1986-11-26 |
EP0131728A3 (en) | 1986-06-11 |
EP0131728B2 (en) | 1992-01-22 |
KR850001026A (ko) | 1985-03-14 |
JPH039776B2 (ko) | 1991-02-12 |
IN162652B (ko) | 1988-06-25 |
GB2143419A (en) | 1985-02-13 |
PH21124A (en) | 1987-07-27 |
US4515075A (en) | 1985-05-07 |
DE3470666D1 (en) | 1988-06-01 |
EP0131728B1 (en) | 1988-04-27 |
JPS6022939A (ja) | 1985-02-05 |
EP0131728A2 (en) | 1985-01-23 |
GB8411041D0 (en) | 1984-06-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870002125B1 (ko) | 정미기 | |
KR930009714B1 (ko) | 도정기 | |
US4292890A (en) | Grain polishing and whitening machine | |
US3887141A (en) | Impact-attrition mill utilizing air flow | |
US4637561A (en) | Beater mill having at least one vertically or obliquely extending cylindrical milling chamber | |
AU706869B2 (en) | Pretreatment process in flour milling method | |
CN1040181C (zh) | 研磨型立式谷粒碾磨机 | |
US4373679A (en) | Impact type crusher | |
US5158240A (en) | Pulverizer | |
CN114798139A (zh) | 一种防火涂料混合研磨多工序处理系统 | |
US4017034A (en) | Art of dry milling sorghum and other cereal grains | |
US3834632A (en) | Impact ore mill | |
US1834094A (en) | Pulverizer and separator | |
RU2703417C1 (ru) | Вращаемый подающий распределитель | |
CN112844647B (zh) | 高产量棒磨机 | |
NZ198677A (en) | Pulveriser with classifier | |
CN112718119A (zh) | 一种多级连续无筛板立式破碎装置 | |
US3459381A (en) | Pulverizer | |
KR200333737Y1 (ko) | 분쇄기 | |
KR102401396B1 (ko) | 옥수수 분쇄선별장치 | |
JPH0454813Y2 (ko) | ||
JP3764947B2 (ja) | 旋動式破砕機用原料供給装置 | |
KR102573750B1 (ko) | 분쇄효율이 향상된 옥수수 분쇄선별장치 | |
SU1473839A1 (ru) | Роторный измельчитель | |
WO1996019283A1 (en) | Arrangement for protecting the bearings of rotors in pin-mill-type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71124 Year of fee payment: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