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2086Y1 - 선풍기의 풍향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선풍기의 풍향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2086Y1
KR870002086Y1 KR2019850000514U KR850000514U KR870002086Y1 KR 870002086 Y1 KR870002086 Y1 KR 870002086Y1 KR 2019850000514 U KR2019850000514 U KR 2019850000514U KR 850000514 U KR850000514 U KR 850000514U KR 870002086 Y1 KR870002086 Y1 KR 8700020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center
lever
cam
intermit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05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9857U (ko
Inventor
이안섭
Original Assignee
이안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안섭 filed Critical 이안섭
Priority to KR20198500005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2086Y1/ko
Publication of KR8600098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98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20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0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10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having provisions for automatically changing direction of output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선풍기의 풍향각도 조절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조립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사시도.
제3도는 고정레버에 유설된 단속간이 회전되는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제4도는 클러치가 분리되어 동력이 차단되는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
제5도는 작동레버의 위치에 따라 하트캠의 접점 변화를 예시한 평면도.
제6(a)도 제6(b)도 제6(c)도는 안내캠의 회동위치에 따라 작동간의 위치변화를 예시한 요부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날개 2 : 워웜
3 : 워웜기어 4 : 클러치
5 : 워웜휘일 6 : 피니언
7 : 베벨기어 8 : 작동간
8' : 돌기 8a,8b : 베벨치차
8c : 고정레버 9 : 상체
9a : 하트캠 10 : 고정간
10' : 요홈 11 : 단속간
12 : 탄발스프링 13 : 하체
13a : 중심핀 14 : 회동간
15 : 작동레버 16 : 인장스프링
17 : 안내캠 18 : 스프링
19 : 탄동간 20 : 탄동스프링
본 고안은 선풍기의 바람을 보내는 방향각도를 사용자가 자유롭게 조절가능하게하고, 특히 180°이상 330°정도까지의 큰 각도까지도 반복회전이 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그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여 적은 공간에도 설치할 수 있게 한 선풍기의 풍향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선풍기는 그 대개가 180°이내의 적은 각도로 회전 왕복운동을 하거나 또는 360°이상 일방향으로 계속 회전할 수 있도록 된 것이 있기는 하였으나 전자의 것은 한정된 각도로만 계속 왕복회전을 하여, 적은 부분에만 왕복하며 바람을 보내야 하는 경우와 사방으로 바람을 고루 보내야 하는 경우에는 부적합하였으며 후자의 경우에는 360°이상 계속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내부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고가를 요구하고 배선 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제작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각도로 조작하면 그 각도에 따라 풍향이 단속되며 왕복 회전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동일축으로 함께 회전되는 모터(M)의 일측은 날개(1)를 축설하고 타측은 워웜(2)을 일체로 형성시켜 워웜기어(3)과 교합되도록 하되 워웜기어(3)하단에 형성된 클러치(4)로 단속되는 워웜휘일(5)에 수직으로 교합된 피니언(6)의 선단으로 베벨기어(7)를 고착하여 상하 일체로 베벨치차(8a)(8b)가 형성된 작동간(5)의 이동시 교대로 교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체(9)에 고착되는 하트캠(9a)의 일측에 위치된 고정간(10)을 형성하고 이고정간(10)의 외주면에 수개의 요홈(10')을 요설하여 작동간(8)에 돌설된 돌기(8')가 안내되어 상하 작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작동간(8) 하단에 부착되는 고정레버(8c)의 중앙에 일체로 유설된 단속간(11)을 탄발스프링(12)으로 탄설시킴과 동시에 하체(13)의 중앙에 중심핀(13a)으로 유설된 회동간(14)의 일측은 하트캠(9a)에 단속되는 작동레버(15)를 유설시켜 그 하단을 인장 스프링(16)으로 탄발되도록 하며, 타측은 안내캠(17)을 고착하여 고정레버(8c)의 끝단이 인입되어 단속되게 하고 회동간(14)을 유설시킨 중심핀(13a)와 하단을 스프링(18)으로 탄발된 탄동간(19)에 협지되게 하여 회동간(14) 중앙부를 하체(13)와 탄동스프링(20)으로 탄동되게 하여서 회동간(14)의 회전을 신속하게 동작 되도록 한것으로서 도면중 미설명부호 21은 워웜기어(3)와 워웜(2)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스프링으르 탄설된 단속 케이블, 22는 작동레버(15)의 상단에 부착되어 회동각도를 단속하는 케이블, 24'은 단속케이블(21)과 케이블(22)을 조작하는 조작레버, 24는 회동간(14)의 무게균형을 이루는 중량체, 25는 상체(9)에 고정되어 고정간(10)의 상단을 지지하며 회전되도록 하는 지지간을 표시한다.
이와같이 된 본고안은 전원을 연결하여 모터(M)를 구동시키게 되면, 날개(1)가 회전하면서 바람을 보내게 되는데 동일축으로 되어 함께 회전하는 워웜(2)과 워웜기어(3)가 서로 교합하여 워웜기어(3)의 하단에 형성된 클러치(4)와 워웜휘일(5) 이에 직각으로 교합되는 피니언(6)이 순차적으로 동력을 전달받아 피니언(6)과 동일축 선상에 설치된 베벨기어(7)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고정간(10)의 상단이 상체(9)에 고정된 지지간(25)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요홈(10')의안내를 받아 상하 이동이 가능한 작동간(8)은 첨부도면 제6도에서 표현한 것과같이 베벨기어(7)와 동일 치형으로 서로 교합 가능한 베벨치차(8a)(8b)가 상하조 각각 형성되어, 작동간(8)이 상승된 위치와 하강된 위치에 따라 베벨기어(7)는 하부 베벨치차(8b)와 상부 베벨치차(8a)에 교대하며 맞물려 회전하게 됨에 따라 그 회전방향이 변화하게 된다. 즉, 고정간(10)은 하체(13)의 일측에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그 외주면에 축선상으로 형성된 요홈(10')을 따라 작동간(8)이 상하이동을 하므로 작동간(8)은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로 상, 하 습동만 가능하게 되고 작동간(8) 하단에 고착된 고정레버(25)의 일측단이 안내캠(17)의 내측에 인입되어 캠곡선에 따라 작동간(8)을 상, 하로 이동시키는 것이며 안내캠(17)은 회동간(14)의 중단 일측에 고정 부착되어 상체(9)에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는 하트캠(9a)이 작동레버(15)를 단속함에 따라 중심핀(13a)을 측으로 회동간(14)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에서 나타난 바와같이 계속되는 모터(M)의 구동으로 동력을 전달받은 피니언(6)과 베벨기어(7)는 회전을 하려는 힘을 베벨치차(8a)(8b)에 전달하게 되는데 베벨기어(7)에 교합되는 베벨치차(8a)(8b)는 고정간(10)에 의하여 회전되지 못하고 정지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고정간(10)의 중심을 축으로 베벨치차(8a)(8b)의 외주면을 따라 베벨기어(7)가 회전하게 되어 축을 지지하고 있는 상체(9)가 베벨기어(7)의 회전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에는 베벨기어(7)와 함께 상체(9)내에 설치되는 피니언(6), 워웜휘일(5), 클러치(4), 워웜기어(3), 워웜(2), 모터(M), 또한 모터(M)의 회전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날개(1)가 고정간(10)의 중심을 축으로 모두 회전을 하게 되어 풍향이 이동되는 것이며 모든 동력전달장치가 상체(9)와 함께 이동되므로 작동에는 아무런 지장없게 되는 것이고, 상체(9)의 회전에 따라 이에 고착된 하트캠(9a)도 같이 회전되어 하트캠(9a)의 내측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작동레버(15)를 단속하게 된다.
하트캠(9a)의 회전에 따라 작동레버(15)가 작동되는 상태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작동레버(15)는 첨부 도면 제2도에서 표현한 것과 같이 회동간(14)의 우측에 유설되어 있고 유설부위의 상측으로 조작레버(23)에 의하여 길이가 단속되는 케이블(22)이 부착되어 있으며 그 하단이 인장스프링(16)으로 회동간(14)을 탄설시켜 회동간(14)은 중심부를 중심핀(13a)으로 하체(13)에 작동레버(15)의 회전과는 구직되는 방향으로 유설시킨 후 그 상단과 하체(13)에 돌설되는 고정막대에 반동스프링(20)으로 인장되게 설치하고 회동간(14)의 하부를 스프링(18)으로 탄설된 탄동간(19)에 끼워, 단속되게 한다.
이와같이 설치하는 이유는 작동간(8)을 상하로 왕복운동되게 하여 상체(9)의 회전방향을 전환하거나 또는 작동레버(15)의 조작에 따라 하트캠(9a)과 접하는 위치를 변화시켜 풍향의 왕복 회전각도를 조절하기 위함인데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첨부도면 제5도에서 표현한 바와같이 하트캠(9a)의 내부에 위치되는 작동레버(15)는 고정간(10)의 중심을 축으로 회전하는 하트캠(9a)내부에 접하면 화살표로 표현한 것과 같이 상부에서 하부로 그 위치가 변화하게 되고, 또한 케이블(22)의 길이 조절도 첨부도면 제5도에서 표현한 것과같이 l의 길이만큼 해당되는 행정으로 그 위치가 변화하게되어 고정간(10)의 중심에서 동심원을 그린 것과 같이 작동레버(15)의 위치가 변화됨에 따라 하트캠(9a)의 내부에 접하는 위치도 또한 변화하게 된다.
작동레버(15)에 상체(9)와 함께 계속 회전하는 하트캠(9a)이 접하게 되면 첨부도면 제5도에서 표현한 것과같이 하트캠(9a)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작동레버(15)가 상부의 위치에서 하부의 위치로 급속치 이동하게 됨에 따라 하트캠(9a)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작동레버(15)는 하부의 위치에서 상부의 위치로 이동하게 되는데 작동레버(15)를 수직으로 유설하고 있는 회동간(14)의 하부에 스프링(18)에 탄설된 탄동간(19)이 첨부도면 제2도에서 가상선으로 표현한 것과같이 중심핀(13a)의 하단부를 끼운 상태에서 약간의 힘이 가하여져 방향이 전환될 경우 스프링(18)의 탄발력과 중량체(24)의 관성력에 의해 빠른 속도로 회동간(14)을 중심핀(13a)을 축으로 유동시키게 되며 회동간(14)의 좌측에 고착된 안내캠(17)이 이와함께 좌우로 유동하게 된다.
이어서 안내캠(17) 내측에는 작동간(8)의 하단에 고착된 고정레버(8c)의 끝단이 인입되어 캠곡선에 따라 안내되는데 첨부도면 제6(a)도 제6(b)도에서와 같이 안내캠(17)이 회동간(14)의 회전에 따라 이동됨에 따라 안내캠(17)은 중심핀(13a)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이에 안내되는 고정레버(8c)의 끝단은 캠곡선의 상사점과 하사점의 위치로 변화되면서 작동간(8)을 상, 하로 위치변동을 시키게 된다.
즉, 첨부도면 제6(a)도는 회동간(14)이 우측으로 이동되어 안내캠(17)도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인데 이때에는 고정레버(8c)의 끝단이 캠곡선의 하사점에 위치되어 작동간(8)에 형성된 상부 베벨치차(8a)와 베벨기어(7)가 교합되는 위치를 나타내며 제6(b)도에서는 안내캠(17)의 회전에 의해 작동레버(15)가 비스듬히 압압되어 회동간(14)과 이에 고착된 안내캠(17)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면서 고정레버(8c)의 끝단을 상사점으로 위치되게 하므로서 작동간(8)에 형성된 하부 베벨치차(8b)가 베벨기어(7)와 교합되어, 상부 베벨치차 (8a)와 교합할때와는 반대로 베벨기어(7)의 회전방향을 전환하게되므로 상체(9)의 회전방향, 즉 풍향을 역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고 고정레버(8c)의 하부 중심에 함께 유설된 단속간(11)의 우측단이 안내캠(17)을 협지시키며 탄발스프링(12)으로 탄발되어 고정레버(8c)가 상승 또는 하강할때 탄발스프링(12)의 탄발력으로 신속히 작동간(8)을 이동시키어 풍향을 전환하는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으로 상체(9)가 회전방향을 바꾸어 송풍방향을 전환하는 동작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첨부 도면 제6(a)도는 베벨기어(7)가 상부 베벨치차(8a)와 교합한 상태이므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어 정상적으로 송풍을 행한 후 안내캠(17)의 작용으로 고정레버(8c)가 상향한 때 상기 작동간(8)도 상할향되어 하부베벨치차(8b)와 베벨기어(7)가 교합하므로서 제6(b)도에서 나타낸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방향이 바뀌게 됨에 따라 상체(9) 전체의 송풍회전 방향이 바뀌게 되는 것이다. 즉, 이와같은 송풍 회전방향의 전환각도는 조작레버(23)에 의해 조정을 할 수 있는데 그 범위는 첨부도면 제5도의 l길이만큼인 것이며 상부베벨치차와(8a) 하부베벨치차(8b)에 베벨기어(7)가 교대로 맞물려 돌아가면서 상체(9)의 송풍 회전을 행하는 것이다. 상기의 작동으로 상체(9)가 베벨기어(7)의 교합 상태에 따라 풍향이 변화되며 이러한 전환은 작동레버(15)의 위치에 따라 하트캠(9a)이 회전되면서 작동레버(15)를 압압하려는 힘이 작용되는데 이를 실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5도에서 작동레버(15)가 a1의 위치에 있게되면 하트캠(9a)이 고정간(1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그 내측면과 접하는 위치는 a1에서 동심원을 그린선과 일치하게 되어 이 때 고정간 중심으로 부터 접점과의 각도를 대략 측정하게 되면 약 30°정도가 되는데 이 각도는 상체(9)가 회전하면서 작동레버(15)를 압압하여 회동간(14)과 안내캠(17)을 전환하는 각도가 360°-30°=330°로 되어 실제 상체(9)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각도는 약 330°가 되는것을 표현하고 선풍기는 일방향으로 330°계속 회전한 후 다시 타측 방향으로 330°회전을 하는 경우를 표시하는 것이며 a2의 위치에 작동레버(15)가 위치되는 경우는 하트캠(9a)과 접하는 각도가 75°를 제외한 285°로 왕복하며 선풍기의 풍향을 전환하게 되는 경우를 각각 나타내는 것이고 이와같이 작동레버(15)가 a1에서 a3의 위치로 변화됨에 따라 전환 각도는 점점 줄어들게 되는 것이며 또한 풍향을 일시 정지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조작레버(23)를 완전히 회전조정시키어 단속케이블(21)의 길이를 줄여 첨부도면 제4도에서 표현한 것과 같이 워웜기어(3)를 상승시키면 클러치(4)가 분리되면서 워웜휘일(5)의 동력을 차단하므로 풍향을 정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일정각도의 범위내에서 조작레버(23)의 조정에 따라 변화무쌍하게 풍향 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으나 하트캠(9a) 내측에 작동레버(15)가 접하지 않도록 조정하여 주면 상체(9)는 계속하여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풍향을 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하트캠(9a)이 작동레버(15)를 압압하여 풍향을 전환시킬때 동작이 원활하지 못하여 계속하여 작동레버(15)를 계속 압압하게 되면 동력 전달기기에 손상을 주게되므로 안내캠(17)의 양끝단부에 고정레버(8c)가 위치되어 베벨치차(8a)(8b)로 부터 베벨기어(7)의 맞물림을 분리시키어 기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하였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고안은 사용자가 필요로하고 적은 각도에서부터 300°이상의 각도까지 큰 원을 이루면서 풍향을 전달할 수 있는 한편 일방향으로의 계속적인 풍향회전이 될 수 있도록 조작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위치한 상황에 따라 적절한 바람을 전력의 손실이 없이 보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다량 생산이 가능케 한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워웜기어(3) 하단에 형성된 클러치(4)로 단속되는 워웜휘일(5)에 수직으로 교합된 피니언(6)의 선단으로 베벨기어(7)를 고착하여 상하 일체로 베벨치차(8a)(8b)가 형성된 작동간(8)의 이동시 교대로 교합되게 하고 상체(9)에 고착된 하트캠(9a)의 일측에 위치된 고정간(10)의 외조면에 수개의 요홈(10')을 요설하며 작동간(8) 하단에 부착된 고정레버(8c)의 하부 중앙에 함께 유설된 단속간(11)과 탄발스프링(12)으로 탄설 시킨후 하체(13) 중앙부에 중심핀(13a)으로 유설된 회동간(14)의 일측은 하트캠(9a)에 단속되는 작동레버(15)를 유설시켜 그 하단을 인장스프링(16)으로 탄발되도록 하며, 타측은 안내캠(17)을 고착하여 고전레버(8c)의 끝단이 인입되어 단속되게 하고 회동간(14)을 유설시킨 중심핀(13a)의 하단을 스프링(18)으로 탄발된 탄동간(19)에 끼워지게 하여 회동간(14) 중앙부를 하체(13)와 탄동스프링(20)으로 탄동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의 풍향각도 조절장치.
KR2019850000514U 1985-01-21 1985-01-21 선풍기의 풍향각도 조절장치 KR8700020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0514U KR870002086Y1 (ko) 1985-01-21 1985-01-21 선풍기의 풍향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0514U KR870002086Y1 (ko) 1985-01-21 1985-01-21 선풍기의 풍향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9857U KR860009857U (ko) 1986-08-13
KR870002086Y1 true KR870002086Y1 (ko) 1987-06-13

Family

ID=19239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0514U KR870002086Y1 (ko) 1985-01-21 1985-01-21 선풍기의 풍향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208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9857U (ko) 1986-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36382A3 (en) Tow-line winding device
KR100955785B1 (ko) 선풍기 헤드부의 회전각도 조절장치
US3942385A (en) Actuating mechanism for imparting oscillatory motion to an output shaft
KR870002086Y1 (ko) 선풍기의 풍향각도 조절장치
RU2350816C1 (ru) Линейный исполнительный механизм с приводом от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я для трехпозиционного клапана
JPH0632633Y2 (ja) キャラクターの動作機構
SU426093A1 (ru) Механизм планетарного типадля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вращательного движенияв возвратно-поступательное
KR900010551Y1 (ko) 선풍기 풍향 조절장치
GB1414188A (en) Drives for screen or headlamp wipers
SU1287242A1 (ru) Приводной механизм дл переключател
KR100460974B1 (ko) 가스밸브 개폐장치
KR940002648Y1 (ko) 선풍기의 풍향조절장치
JPS6440751A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RU1825923C (ru) Способ преобразовани вращательного движени ведущего звена вокруг оси во вращательное движение ведомого звена вокруг точки
KR200154386Y1 (ko) 속도 조절 바 벤딩 머신
KR890003371Y1 (ko) 직기첨부용 레피어 구동장치
JPH0236032Y2 (ko)
RU1772484C (ru) Кулисный механизм
KR200269044Y1 (ko) 가스밸브 개폐장치
JPS6316620B2 (ko)
SU138815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еремещени материала к прессу
KR890004340Y1 (ko) 산업용 로버트암
JPS645522A (en) Curving operating apparatus of endoscope
KR860002859Y1 (ko) 부채달린 선풍기
SU761418A1 (ru) Канатоукладчик 1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0011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