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2027B1 - 지뢰용 점화장치 - Google Patents

지뢰용 점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2027B1
KR870002027B1 KR1019840000621A KR840000621A KR870002027B1 KR 870002027 B1 KR870002027 B1 KR 870002027B1 KR 1019840000621 A KR1019840000621 A KR 1019840000621A KR 840000621 A KR840000621 A KR 840000621A KR 870002027 B1 KR870002027 B1 KR 870002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act bolt
ignition device
mine
support means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0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6070A (ko
Inventor
빌리뤼버스
Original Assignee
니코-피로테흐니크 한스-위르겐디이더리히스 게엠베하운트 콤파니
한스위르겐디이더리히스 유니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코-피로테흐니크 한스-위르겐디이더리히스 게엠베하운트 콤파니, 한스위르겐디이더리히스 유니어 filed Critical 니코-피로테흐니크 한스-위르겐디이더리히스 게엠베하운트 콤파니
Publication of KR850006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6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2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23/00Land mines ; Land torpedoes
    • F42B23/24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CAMMUNITION FUZES; ARMING OR SAFETY MEANS THEREFOR
    • F42C14/00Mechanical fuzes characterised by the ammunition class or type
    • F42C14/08Mechanical fuzes characterised by the ammunition class or type for land m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23/00Land mines ; Land torpedo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CAMMUNITION FUZES; ARMING OR SAFETY MEANS THEREFOR
    • F42C7/00Fuzes actuated by application of a predetermined mechanical force, e.g. tension, torsion, pressure
    • F42C7/12Percussion fuzes of the double-action type, i.e. fuzes cocked and fired in a single movement, e.g. by pulling an incorporated percussion pin or hamm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 Air Bags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Superconductor Devic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지뢰용 점화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점화장치의 단면도.
제 2 도는 제 1도의 2-2면을 따라 절단한 면의 단면도.
제 3 도는 충격볼트지지수단의 측면도.
제 4 도는 제 1 도의 점화장치에서 개방레버만을 도시한 측면도.
제 5 도, 제 5(a) 도는 제 1 도에 도시한 점화장치가 지뢰에 사용된 훈련용 지뢰폭파시스템의 전개도.
제 6 도는 두 개의 안전수단(50)(51)이 설치된 제 5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점화장치의 다른 실시예.
제 7 도에서 제10도는 개방레버를 도면에 도시한 여러 방향에서 힘을 가하여 점화장치를 개방하는 것을 도시한 실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충격볼트 40 : 작동레버
본 발명은 지뢰점화장치에 관한 것인데 특히 훈련용 지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모든 종류의 훈련용지뢰에 설치가능한 점화장치를 공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제작비가 염가인 훈련용지뢰 점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요지는 지뢰용 점화장치에서 기계적으로 장착한 충격볼트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었다는 것이다.
상기한 충격볼트는 꽃불 발화할 수 있게 되어 있는데 일단 훈련용 지뢰에 꽃불발화되면 연기나 소리신호를 내게끔 되어 있다.
본 발명의 훈련용 지뢰점화장치는 어느방향의 힘이 작용하더라도 작용하게 되어 있다. 즉 내려누르던지 잡아당기던지, 회전하든지, 옆으로 밀든지간에 충격볼트는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는 것이다. 훈련용지뢰에 요구되는 또 하나의 사항은 가급적 염가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훈련용 지뢰점화장치는 매우 염가인 동시에 안전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이나 장점들은 이하의 도면설명에서 명백해질 것이다.
제 1 도에는 점화장치(1)의 제 1 실시예의 종단면을 도시하였다. 이 점화장치는 기계적 작동부들로 구성 되어있는데 예를 들어 꽃불발화가 일어나는 작동부가 그것이 다. 기계적 작동부에는 원통형하우징(10)이 포함되어 있는데 원통형 하우징에는 코일스프링(11)으로 미리 부하를 준 충격볼트(12)가 개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충격볼트 지지수단은 직경을 포함하는 면에 의해 두부분(14)(14')으로 나누어져 있다. 충격볼트 지지수단은 매우 복잡한 구조로 되어있는데 (제 6 도) 3,4 혹은 그 이상의 부분으로 나뉘어질 수도 있는데 각 부분들은 상호 대칭이다.
제 3 도에는 두부분(14)(14')으로 나뉘어진 충격볼트 지지수단의 한쪽반 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충격볼트 지지수단 (14)(14')의 작동부분은 중심구멍이 뚫려진 카버(15)로 덮여지는데 중심구멍으로는 충격볼트 지지수단(15)이 결합되고 카버(12)는 나사결합되어 있어 축방향으로나 반경방향으로 이동이 전혀 없다. 충격볼트 지지수단의 하부들은 바이어스 수단을 내측으로 조여 서로 반경방향 내측으로 가압된다. 충격볼트(11)를 고정하므로써 충격볼트가 비작동 위치에 있을시 코일스프링(11)이 스프링력을 받게한다. 충격볼트(12)의 상단부는 작동레버(40)의 폐쇄구멍(42) 내에 연장되고 충격볼트 지지수단의 하단부에 설치된 칼라(30)으로써 축방향수직 위치로 결합되고 충격볼트 지지수단은 충격볼트(12)의 상단부가 결합되는 컵모양의 리세스로 되어 있다. 한 예로 제 1도에 도시한 실시예를 보면 충격볼트 지지수단의 두 부분(14)(14')를 함께 조이는 수단으로써 0-링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것은 충격볼트 지지수단(14)(14')의 외측외주면의 원형리세스(17) 내에 배치된다.
상기한 0-링(16)은 염가이고 바이어스 작용도 확실하다. 물론 0-링 대신에 링 스프링과 같은 다른 바이어스 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충격볼트 지지수단의 두 부분(14)(14')를 함께 가압하는 스프링 수단도 코일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스프링 수단은 원통형 하우징(10)의 내측벽의 한쪽 단부와 이에 상응하는 충격볼트 지지수단의 한쪽 반 부분의 다른 한 단부를 지탱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하지만 바이어스 수단으로 코일스프링을 사용한다면 제작비가 상승하게 된다. 충격볼트 지지수단에는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리세스(18)에 대한 중심구멍을 설치한다. 충격볼트 지지수단(14) (14')의 하부에서 리세스(18)에 대한 구멍은 처음엔 직경보다 작고 차차 직경만큼 크게 된다. 따라서 칼라(30)은 충격볼트(12)가 비작동위치에 있을 때 충격볼트(12)의 헤드부(12a)와 결합한다. 직경이 더 큰 구멍(18)부는 타원이나 구형상의 리세스(18')로 이어지되 구멍부(18)와 리세스(18') 사이에는 다각형상의 구멍(18'')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부분은 직경이 확장된 원통형 구멍(18''')으로 이어진다. 이 구멍(18''')에 작동레버(제 4 도)가 설치된다. 작동레버(40)는 여러가지 다른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작동레버(40)의 하부는 부분적으로 구멍(18')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형상으로 되어 있다. 레버부(41)과 이에 상응하는 구멍(18')은 타원형으로도 할 수 있다. 레버부(41)의 폐쇄구멍(42)에는 충격볼트(12)의 상단부(12a)가 칼라(30)를 경유하여 결합된다. 구형 또는 타원형 레버부(41)는 원통형 부(43)으로 연결된 육각형부(44)와 결합한다.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화장치의 축에 수직한 디스크(45)와 원통형부(43)는 서로 수직하게 설치되어 있다. 비동작 결합상태에서 작등레버(40)의 구형부(41)가 중공구형 리세스(18')내에 결합되었을 때 충격볼트 지지수단의 구멍부(18'')에는 작동레버(40)의 구석부(44)가 결합된다.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구멍부(18'')의 단면이 4각형으로 되어 있어 작동레버(40)의 구석부(44)는 8각형 형상이다. 제 5 도에는 본발명의 원리에 따른 점화장치가 설치된 훈련용 지뢰가 도시되어 있다.
제 6 도는 약간 수정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인데 두개 안전수단 (50)(51)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안전수단(50)(51)은 제 5 도에도 도시되어 있다. 제 1 안전수단에는 링(50)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것은 제 6 도에 도시한 2중 화살표(40')로 도시한 안전위치와 동작위치 사이에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안전위치에서 안전링(50)은 하방으로 미끄러져 충격볼트 지지수단에 대해서 하우징의 구멍에 설치된 두개의 볼(52)을 가압하므로써 후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되어 있다. 고무커프(54)와 0-링(55)은 점화장치에 수분을 밀봉한다.
제 2 안전수단은 하우징(10)의 횡방향으로 연장된 구멍에 삽입된 코터핀(51)로 되어 있고 이것은 충격볼트의 이동통로를 막아 작약(101)에 충격을 주지 못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의 안전수단과 비교하여볼 때 제 1 안전장치(50)은 가능한 나중에 재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어 일차 무장해제한 장치에도 재사용한다. 링(50)은 안전위치로 쉽게 미끄러져 들어가 장치를 무장해제 한다. 제 7 도에서 10도에는 점화장치를 개방하는 작동레버(40)의 여러 가지 작동상태 도시하였다. 작동방향은 작동레버(40)의 정상부에 화살표로써 표시하였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든 훈련용지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화장치는 부품수가 적고 조립이 용이하여 제작비가 염가이다. 점화방법도 꽃불점화 방식만이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점화장치가 개방된 후 지뢰의 기능을 전기적, 광학적 또는 음향적으로 알리게 할 수도 있다.
작동레버(40)는 압력을 가하거나 당겨서 작동하는데, 구형 구멍부(18')의 내벽에 대해 작동레버(40)의 구형레버부(41)의 외측 외주면을 제 1 도에 도시한 이중방향 화살표(100)의 한쪽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0-링으로 결합된 충격볼트 지지수단의 하부의 두 부분(14)(14')를 서로 이격되게 힘을 가한다. 그러면 칼라(30)에 지지된 충격볼트의 헤드부(12a)에서 칼라가 개방되고 이어 개방된 코일스프링(11)의 작용하에 놓인 충격볼트(12)가 꽃불점화수단(102)쪽으로 추진되는 것이다. 충격볼트(12)의 개방작동은 어느 임의의선택된 방향으로의 기울임 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것은 제 7 도의 2중화살표와 제 1 도의 이중화살표(102)로 도시하였다. 결국 이중화살표(103) 방향의 비틀림 운동은 작동레버(40)상에 작용하여 그 힘이 디스크(45)에 접선방향으로 작용되어 충격볼트(12)가 개방되게 한다. 각이진 구멍(18'') 내면에서 작동레버의 종방향 축에 관해 회전되는 작동레버(40)의 각이진 레버부(44)가 각이진 구멍부(18'')의 벽면에 힘을 가하게 되어 충격볼트 지지수단의 두부분(14)(14')가 서로 이격되게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한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서 밝힌 본 발명의 원리와 취지에 벗어나지 않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Claims (9)

  1. 충격볼트 지지수단에 의해 동작가능하게 지지된 충격볼트가 설치된 훈련용 지뢰의 점화장치에 있어서,
    원통형 하우징과
    원통형 하우징에 축방향으로 작동레버를 결합하고 충격볼트가 개방될 때 충격볼트 지지수단으로부터 충격볼트가 추진되도록 바이어스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한 충격볼트 지지수단에는 상기한 작동레버와 충격볼트를 축방향으로 부분적으로 감싸는 대칭형으로 된 컵형상의 두 부재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뢰용 점화장치.
  2. 제 1항 에 있어서,
    상기한 충격볼트 지지수단은 한개 이상의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그들 중간에는 축방향 중심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뢰용 점화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한 축방향 중심구멍에는 원통형 부재로 결합되는 서로 대칭인 제 1 부분과 각이진 제 2 부분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뢰용 점화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한 작동레버의 하부는 회전대칭인 제 1 부분과 이 제 1 부분과 만나도록 된 제 2 부분이 만나도록 되어 있고 단면이 상기한 축방향 중심구멍과 접촉하고 제 3 원통형부는 작동레버의 제 2 부분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뢰용 점화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점화장치가 작동상태에 있을때 작동레버의 제 1 부분의 상기한 구멍의 제 1 부분에서 작동하고 작동레버의 제 2 부분은 구멍의 제 2 부분 내에서 작동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뢰용 점화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축방향중심구멍이 형성된 커버가 포함되고 상기한 카버는 하우징의 상부에 나사결합되어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이동이 없게 하며 상기 한두개의 컵형상 부재를 반경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충격볼트지지수단의 하부상에 지지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뢰용 점화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한 바이어스수단이 0-링으로 되어있고 원형리세스인 상기한 컵형상의 두 부분에 상기한 0-링이 설치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뢰용 점화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하우징에는 상호반대편에 구멍이 각기 하나씩 한쌍 형성되고 그 구멍 내에 한 쌍의 볼이 설치되며, 상기한 하우징의 외측직경보다 직경이 약간 더 큰 내경을 가진 원통형 슬리이브가 설치되고, 원통형 슬리이브는 안전위치와 동작위치 사이에서 상기한 하우징으로 미끄러져 축방향이동하여 상기한 슬리이브가 안전위치에 있을때 슬리이브 내벽은 컵형상의 두 부재의 외측외주면에 대해 한쌍의 볼을 조여 볼들이 이탈하지 않게 하므로서 충격볼트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뢰용 점화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코터핀을 설치하여 충격볼트가 충격볼트 지지수단의 컵형상의 두부재에 의해 개방되었을 때 충격볼트의 추진통로를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뢰용 점화장치.
KR1019840000621A 1983-01-12 1984-02-10 지뢰용 점화장치 KR8700020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3300748 1983-01-12
DE3300748.9-15 1983-0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6070A KR850006070A (ko) 1985-09-28
KR870002027B1 true KR870002027B1 (ko) 1987-11-30

Family

ID=6188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0621A KR870002027B1 (ko) 1983-01-12 1984-02-10 지뢰용 점화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599946A (ko)
EP (1) EP0119383B1 (ko)
KR (1) KR870002027B1 (ko)
AT (1) ATE27061T1 (ko)
DE (1) DE3463571D1 (ko)
GB (1) GB2133515B (ko)
MY (1) MY101568A (ko)
SG (1) SG50987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53534B (sv) * 1986-06-02 1988-02-08 Ffv Affersverket Mekanism for en exercismina
SE501497C2 (sv) * 1993-03-11 1995-02-27 Ralph H Widenbaeck Övningsmina och sätt att långsamt aktivera densamma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762586A (fr) * 1932-11-26 1934-04-13 Percuteurs ou heurtoirs très sensibles pour torpilles submergées contre submersibles
US2376332A (en) * 1941-06-14 1945-05-22 Adelman Arthur Antitank mine fuse
BE508953A (ko) * 1951-02-08
GB765026A (en) * 1951-11-02 1957-01-02 Renato Sorlini Improvements relating to field mines
US2935949A (en) * 1958-10-09 1960-05-10 Frank L Holford Combination mine fuze
CA886120A (en) * 1961-09-05 1971-11-16 E. Conroy Kenneth Non-metallic anti-personnel mine
DE1277076B (de) * 1965-03-27 1968-09-05 Karlsruhe Augsburg Iweka Ausloesevorrichtung fuer Landminen, insbesondere fuer Panzerminen
DE1678626A1 (de) * 1968-01-02 1972-01-05 Dynamit Nobel Ag Knickzuender fuer Minen od.dgl.
US3638501A (en) * 1970-04-27 1972-02-01 Gen Motors Corp Sensor
US3718093A (en) * 1971-04-22 1973-02-27 Us Army Firing pin assembly
CH535938A (it) * 1971-11-15 1973-04-15 Redon Trust Mina anti-uomo ad azione estesa ed uscente dal terreno
CH541124A (it) * 1972-03-16 1973-08-31 Technical Arco Establishment Mina da interrare o disseminare nel terreno
AT334786B (de) * 1974-09-30 1976-02-10 Oregon Ets Patentverwertung Auslosezunder
CH608603A5 (en) * 1976-05-13 1979-01-15 Semperit Ag Detonating device for explosive charges
AT363838B (de) * 1979-10-25 1981-09-10 Semperit Ag Zuendvorrichtung fuer sprengsaetze, die durch zug, druck und verdrehung ausloesbar ist
DE3121627A1 (de) * 1981-05-30 1982-12-23 Industrie-Werke Karlsruhe Augsburg Ag, 7500 Karlsruhe M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01568A (en) 1991-12-17
GB8400671D0 (en) 1984-02-15
KR850006070A (ko) 1985-09-28
ATE27061T1 (de) 1987-05-15
US4599946A (en) 1986-07-15
SG50987G (en) 1987-08-28
DE3463571D1 (en) 1987-06-11
EP0119383B1 (de) 1987-05-06
GB2133515A (en) 1984-07-25
GB2133515B (en) 1987-03-25
EP0119383A1 (de) 1984-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93240A (en) Parachute line cutting device
US3405593A (en) Separation device
US4730559A (en) Safetied demolition charge fuze
US4158322A (en) Pyrotechnic separation device
US4311097A (en) Dual underwater safety fuse
US3831521A (en) Mechanical-pyric device utilizable in the type of anti-man mines with a wide action range and gushing out from the ground
KR870002027B1 (ko) 지뢰용 점화장치
US1682560A (en) Explosive mine
US4716830A (en) Inertia safety and arming device
GB2089947A (en) A fuze having a detonator
US3994227A (en) Bounding anti-personnel mine
US3430568A (en) Delay actuator
US2873681A (en) Fuze
US6631667B1 (en) Explosive-bolt-activated spring-loaded actuation device
US4244386A (en) Valve having pyrotechnic separation device
JPH05187797A (ja) 衝撃点火装置
US7021166B2 (en) Booster actuator
US2935949A (en) Combination mine fuze
US4135451A (en) Fuze plug, particularly for use in a hand grenade
US3962974A (en) Pressure-armed ordnance fuze
US3221657A (en) Mine igniters
RU2307772C2 (ru) Замк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US3669311A (en) Undersea pressure sensitive actuator
US3752077A (en) Release connector for a riser of a parachute flare
CA1216466A (en) Igni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10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