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933Y1 - 너트 - Google Patents

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933Y1
KR870001933Y1 KR2019840011713U KR840011713U KR870001933Y1 KR 870001933 Y1 KR870001933 Y1 KR 870001933Y1 KR 2019840011713 U KR2019840011713 U KR 2019840011713U KR 840011713 U KR840011713 U KR 840011713U KR 870001933 Y1 KR870001933 Y1 KR 8700019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hexagonal
bolt
housing
sp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117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6234U (ko
Inventor
김대운
Original Assignee
김대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운 filed Critical 김대운
Priority to KR20198400117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1933Y1/ko
Publication of KR8600062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62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9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9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8Quickly-detachable or mountable nuts, e.g.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Nuts movable along the bolt after tilting the nut
    • F16B37/0807Nuts engaged from the end of the bolt, e.g. axially slidable nuts
    • F16B37/0864Nuts engaged from the end of the bolt, e.g. axially slidable nuts with the threaded portions of the nut engaging the thread of the bolt by pressing or rotating an external retaining member such as a cap, a nut, a ring or a slee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너트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복개판을 고정시키기전 상태의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조립 단면도.
제4(a)도는 너트를 보울트에 끼워주는 상태도.
제4(b)도는 너트를 보울트에 삽착시킨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육각하우징 3 : 테이퍼면
4.5.6 : 분할 너트 10 : 육각 복개판
12 : 간격
본 고안은 구조물을 분해 조립시에 보올트에 끼워 고정시키는 너트에 관한것으로 너트를 둘러끼움없이 직선상으로 밀어 끼우기만 하면 보울트에 체결될 수 있게한 것이다.
종래의 너트는 육각몸체 중앙에 나사공이 형성된 것으로서 보울트에 체결할려면 너트 또는 보울트를 회전시켜야만 암·숫나사가 맞물려서 조여지게 된 것이므로 드라이버나 렌치등의 공구가 없이는 돌려끼울수가 없고 여러번 반복회전 시켜야 하므로 체결시간도 많이 걸리며 특히 구석부분이나 겨우 손이 닿는 부위에 너트를 채결할 경우에는 공구를 조작하기가 매우 어렵고 난해하며 체결부위가 여러곳일 경우에는 많은 시간을 소비해야 하고 견고하게 체결시킬 수도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재점을 감안해서 너트를 돌려끼움없이 밀어 끼움식으로 형성한 너트가 알려져있으며 너트내부에 원추형하우징이 형성되고 이에 세쪽의 분할너트틀 설치하되 분할너트 사이마다 경계돌주를 형성하여 분할너트가 회동하지 못하게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너트는 보올트를 회전없이 밀어끼우기는 용이하지만 하우징내면에 세개의 경계돌주를 일체로 형성하는 작업이 매우 어렵고 생산비용이 많이 들며 각분할 너트사이마다 경계돌주 간격만큼 사이가 뜨게 되므로 보울트 나사부와 너트 나사부와의 접속력이 그만큼 약하게 되며 하우징의 내면과 분할너트의 외면이 모두 원추면으로 형성되므로 곡율반경이 서로 달라 면접촉이 아닌 선접촉 또는 부분접촉으로 상하 습동작용이 원활치 못하고 최종 압착할때 분할너트는 높은 스트레스로 형상이 변하게 되고 나 사산의 접촉기능을 다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너트내측의 하우징을 육각구멍으로 형성하여 사방에 여섯개의 모서리부를 갖게하고 역시 육각형을 삼등분하여 각각 하나의 모서리를 갖는 세개의 분할너트를 하우징에 삽입하므로서 분할너트가 하우징내의 테어퍼면을 따라 회동의 염려없이 상하 습동이 용이하도록 하고 나사구멍이 틈없이 접속연결되어 보울트와 너트의 나사접속력이 보다 강력히 이루어질 수 있게 한것으로 그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도면에 의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정육각형으로된 통상형의 너트본체(1)의 중앙에 상광하협상의 육각하우징(2)을 형성하여 여섯개의 모서리부(A)를 갖으면서 내면 전체가 테어퍼면(3)을 갖게 한다.
육각하우징(2)에는 세쪽의 분할너트(4)(5)(6)가 삽입된다. 분할너트(4)(5)(6)는 육각추형을 삼등분한것으로 외면은 본체육각하우징(2)의 테이퍼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테어퍼져 있으며 각각 모서리부(B)와120°의 수직요구(7)가 형성되어 있고 서로 연결될 수 있는 나사(8)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세쪽의 분할너트(4)(5)(6)가 본체 육각하우징(2) 속에 삽입되면 내외측 모서리부(A)(B)가 일치되고 각각의 수직요구(7)가 접속되어 하나의 원형구멍으로 형성하며 이들의 나사(8)도 하나로 연결되어 전체가 하나의 나사구멍을 이루게 된다.
이상태에서 육각하우징(2) 상단의 수직안치부(9)에는 분할 너트의 나사구멍보다 큰구멍(13)을 가진 육각복개판(10)이 삽착되며 그 윗쪽에서 코킹작업으로 돌기부(11)를 형성하여 유동없이 고정되게 하므로서 복개판(10)과 분할너트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12)을 갖게되며 이간격(12)만큼 분할너트는 상승되거나 다시 하강될 수 있게 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4는 보울트이고, 15는 구조물을 표시한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은 평시에는 분할너트(4)(5)(6)가 제3도의 상태처럼 육각하우징(2) 하단쪽으로 몰려져서 서로 접속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구조물(15)에 끼워진 보올트(14)상단부에 본고안의 너트를 끼워주면 육각 하우징(2) 내측의 분할너트(4)(5)(6)가 보올트(14)가 삽입됨에 의해 제4(a)도 상태처럼 상부쪽으로 밀려지면서 벌어지게 되며 상부쪽은 점차넓어지는 확장부이므로 분할너트(4)(5)(6)는 상부로 이동함에 따라 점차 크게 벌어지게 되어 보울트(14)가 쉽게 삽입된다.
때문에 본고안의 너트는 돌려 끼움없이 손쉽게 삽입식으로 보울트(14)에 끼워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보울트(14)의 삽입력이 중단되면 분할너트(4)(5)(6)는 그 즉시 자체하중에 의해 낙하되어 제4(b)도 상태처럼 보울트(14)에 물려지게 되며 이상태에서 너트를 약간 더 조여주면 강력히 체결되는 것이며, 너트를 풀어줄때는 통상의 너트처럼 돌러서 풀어주는 것이다.
이렇게된 본 고안은 너트본체내의 육각하우징(2)을 테이퍼형으로 형성하며 그 속에 삼등분된 테이퍼형 분할너트(4)(5)(6)를 상·하 이동이 용이하도록 삽입하므로서 보울트(14)를 끼워줄 때는 분할너트가 상부로 밀리면서 나사구멍이 확개되어 직선삽입을 허락할 수 있게 되며, 삽입을 중단하면 그 즉시 분할너트(4)(5)(6)가 오므려지면서 보올트(14)에 치합되어 강력한 체결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되므로 원추형 하우징과 원추형 분할너트로 구성되면 종래 너트에서의 문제점이던 나사부 이완 간격이 해소되어 강력한 치합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내외측 모서리부(A)(B)가 직선 접촉되므로 종래 너트에서의 경계돌조가 생략된 상태에서도 월등히 접속면이 많고 안정된 습동력을 얻을 수 있게 되며 분할너트의 공회전에 대한 우려가 없게되고 정확하고 강한 접속력으로 나사산의 변형이 방지되어 오래사용할 수 있으며 제작이 간편하여 값싸게 양산 할 수 있는 잇점도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정육각형의 너트본체(1) 내의 원추형하우징에 원추형 분할너트를 삼등분하여 삽입한후 상방에 간격을 갖도록 복개판으로 고정시키는 것에 있어서, 정육각형 너트본체(1)내에 여섯개의 모서리부(A)를 갖는 상광하협상의 육각하우징(2)을 형성하고 육각하우징(2)내에 삽입되는 분할너트(4)(5)(6)는 육각하우징(2) 내면의 육각면중에서 2면씩 들어 맞도록 삼등분하여 모서리부(B)를 갖게 하여서된 너트.
KR2019840011713U 1984-11-20 1984-11-20 너트 KR8700019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1713U KR870001933Y1 (ko) 1984-11-20 1984-11-20 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1713U KR870001933Y1 (ko) 1984-11-20 1984-11-20 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6234U KR860006234U (ko) 1986-06-18
KR870001933Y1 true KR870001933Y1 (ko) 1987-05-27

Family

ID=70162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11713U KR870001933Y1 (ko) 1984-11-20 1984-11-20 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193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6234U (ko) 1986-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37119A (en) Captive bolt unit
JP2727118B2 (ja) 浮動ナット締め付け装置
US5738472A (en) Modified locking thread form for fastener
KR20120044333A (ko) 케이블 트레이
US5678458A (en) Joint structure for bicycle handlebar assembly
KR870001933Y1 (ko) 너트
US20080075558A1 (en) Plastic nut with retaining elements to hold the nut in a socket of a tool
US4793752A (en) Drive-head lock washer
JP3947745B2 (ja) スポーク固定構造
JP2004525316A (ja) 改善されたシール保持力をもつブラインドリベットナット
JPH0637588Y2 (ja) 六角ナット付きコネクタ
KR920009995B1 (ko) 프로파일의 길이등을 연결하기 위한 코너 연결장치
KR19980062809A (ko) 스플라인 결합 구조를 가지는 체결구
JPH07279109A (ja) 伸縮継手の取付け構造
CN214788480U (zh) 防松螺母组件
JPH042257Y2 (ko)
JPS637699Y2 (ko)
KR840001752Y1 (ko) 가구용 판재의 연결구
JPH0732021U (ja) パネル連結構造
JPS58178007A (ja) 軽量ナツト
KR910007342B1 (ko) 볼트(bolt)
JP2004084855A (ja) 柱頭ナット
KR200299664Y1 (ko) 척추경 나사못
SU1368509A1 (ru) Шпоночное соединение
KR200164416Y1 (ko) 체결용 수공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5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