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091Y1 - 다축 압입장치 - Google Patents

다축 압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091Y1
KR870001091Y1 KR2019840013920U KR840013920U KR870001091Y1 KR 870001091 Y1 KR870001091 Y1 KR 870001091Y1 KR 2019840013920 U KR2019840013920 U KR 2019840013920U KR 840013920 U KR840013920 U KR 840013920U KR 870001091 Y1 KR870001091 Y1 KR 8700010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guide
fixing device
shaft fix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139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7544U (ko
Inventor
이남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400139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1091Y1/ko
Publication of KR8600075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75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0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0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7/00Presse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arrangement of the press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00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 B30B1/10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by toggle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8Accessory tools, e.g. knives; Mounting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축 압입장치
제1도는 압입전 상태의 본고안의 요부 정면도로서 일부는 절개되어 있다.
제2도는 압입후 본고안의 요부 정면도로 일부는 절개되어 있다.
제3도는 축압입 상태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대 2 : 지주
3 : 다이 4 : 토글클램프
5 : 안내링 6 : 안내구체
9 : 받침 11 : 가압체
12 : 펀치
본고안은 베이스(기판)에다가 여러개의 축을 박아넣을 수 있게한 다축(多軸)압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기판에 여러 축공을 형성하여 그 각각의 축공마다 축을 끼워 박는데 있어서 종래에는 날개를 하나씩 일일이 박아 넣는 수작업 방식이었기 때문에 작업능률이 낮고 방대한 시설과 많은 작업인원을 필요로 했다.
본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이며 한대의 기계로 일시에 다축을 박아 넣을 수 있도록 개량한 것이 주된 특징이다.
이를 첨부도면과 관련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서, 기대(1)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좌·우, 전·후해서 모두 4개의 지주(2)가 서있고, 이 기대(1)의 외측에는 그 위에 놓여진 다이(3)의 양끝을 붙잡아주는 토글 링크 형식으로된 토글 크램프(4)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지주(2)에는 축이 수직으로 박힐 수 있도록 유도해주는 안내링(5)를 다수 끼워 고정한 안내구 체(6)가 별도의 안내봉(7)에 겸하여 안내되도록 수직 승강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링(5)의 윗면에는 그 상단면을 눌러서 상부 이탈을 방지하는 윗판(8)이 있다.
또 안내구체(6)와 가압체(11)를 연결해주는 상기 안내봉(7)상에는 압축스프링(13)이 장전되어 있다.
한편, 다이(3) 상에서 상기 안내링(5)과 수직선상에 위치한 곳마다 받침(9)이 직립되어 있으며 기대(1)의 적당한 위치에 축의 노출길이 조절을 겸한 스토퍼(10)가 서 있다.
안내구체(6)의 상방에는 축을 박아넣기 위해 압력을 가해주는 가압체(11)가 역시 지주(2)를 따라 수직 승강되게 설치되어 있고, 또한 이 가압체(11)에는 안내링(5)과 동수의 펀치(12)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고안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베이스를 미리 축의 노출길이에 맞게 조절해 놓은 조절보울트(10) 위에 얹고, 1차로 하강 스위치를 누르면 가압체(11)와 안내구체(6)가 1차 하강 행정구역까지 내려간다.
그후 각 안내링(5)마다 소재인 축을 끼워 넣는다. 그리고 나서 2차 하강 스위치를 누르면 이번에는 가압체(11)만 2차 행정구역 즉, 조절보울트(10)까지 재하강한다.
이때 펀치(12)는 각 안내링(5)에 끼워져 있는 축을 눌러박는다.
이렇게 여러개의 축이 한꺼번에 박힌 것이 확인되면 상승 스위치를 눌러서 안내구체(6)와 가압체(11)를 동시에 상승시키고 이와함께 축이 박힌 베이스를 반출하는 것으로 소기의 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때 안내구체(6)는 스프링(13) 압력 때문에 가압체(11)가 어느 높이에 당도한 후에 따라 올라간다.
이상과 같은 본고안은 베이스에 여러개의 축을 그것도 기계적으로 일괄적으로 박아 넣을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면에서 대단히 만족할만한 성과가 있을뿐만 아니라 개당 작업시간도 대폭 단축된다.
더하여, 안내구체(6)와 가압체(11)를 하강시키기전에 베이스를 고정할 때에는 토글 크램프(4)를 작동시켜 베이스의 양단을 자동적으로 건실하게 붙잡아 주는 것이 선행되어야하며, 다축압입이 완료된후 반출하려면 상기 토글 크램프(4)를 역가동시켜서 물림 상태를 해제해야한다.
이물림 해제는 안내구체(6)와 가압체(11)의 상승작동이 완료된 이후에 행하여야 한다.
그리고 안내링(5)이 끼어있는 구멍(14)은 약간 크게해서 공차가 있더라도 수월하게 끼워 박을 수 있게 한다.

Claims (1)

  1. 기대(1)상에 세운 지주(2)에다가 다수의 안내링(5)을 여유있게 끼운 안내구체(6)와 동수의 펀치(12)를 가진 가압체(11)를 수직 승강되도록 설치하고, 기대(1) 위의 다이(3)에는 받침(9)을 형성하며, 지주(2)의 외측에 공지의 토글 크램프(4)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압입장치.
KR2019840013920U 1984-12-24 1984-12-24 다축 압입장치 KR8700010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3920U KR870001091Y1 (ko) 1984-12-24 1984-12-24 다축 압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3920U KR870001091Y1 (ko) 1984-12-24 1984-12-24 다축 압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7544U KR860007544U (ko) 1986-07-12
KR870001091Y1 true KR870001091Y1 (ko) 1987-03-23

Family

ID=70163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13920U KR870001091Y1 (ko) 1984-12-24 1984-12-24 다축 압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109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7544U (ko) 1986-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0255331A (ja) 圧入装置
KR870001091Y1 (ko) 다축 압입장치
JPS595372B2 (ja) プレス装置
JPH02182327A (ja) 下型締付け装置
US4945796A (en) Method of punching material
DE19840388B4 (de) Vorrichtung zum Positionieren und Vereinzeln einer Vielzahl von mittels einer Trägerschicht verbundenen Mikroabformteilen
CN217993190U (zh) 晶托脱胶工装
CN219188489U (zh) 一种用于二极管引脚弯折机的上料夹具
KR200163008Y1 (ko) 트랜스퍼 프레스의 블랭킹장치
CN217095232U (zh) 一种电子连接器用防错位冲压模具
JPS5945036A (ja) 単動式プレス用精密打抜き型
CN111207581B (zh) 一种防变形的石膏板干燥装置
JP2850758B2 (ja) プーリの製造方法
JPH07329006A (ja) フィンガーコンポーザの木材圧締装置
JP2004174583A (ja) ターレットパンチプレス
JP3311395B2 (ja) フィン材の圧入装置
JPH034422Y2 (ko)
JPH0422913Y2 (ko)
KR910004784Y1 (ko) 모터용 조립장치
JPH0123624Y2 (ko)
JPS62263899A (ja) 粉末成形プレス用ダイセツト
JPH0110151Y2 (ko)
KR850001743Y1 (ko) 벤딩 프레스
JPS6320612B2 (ko)
JPH0665420B2 (ja) 塑性加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12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