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043B1 - 2-아닐리노니코틴산의 아실옥시알킬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2-아닐리노니코틴산의 아실옥시알킬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043B1
KR870001043B1 KR1019840002147A KR840002147A KR870001043B1 KR 870001043 B1 KR870001043 B1 KR 870001043B1 KR 1019840002147 A KR1019840002147 A KR 1019840002147A KR 840002147 A KR840002147 A KR 840002147A KR 870001043 B1 KR870001043 B1 KR 870001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formula
process according
chloro
general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2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7591A (ko
Inventor
아틸리오 로스 마리오
Original Assignee
라보라토리오스 바고 에스 · 에이
쥬안 카르로스 바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보라토리오스 바고 에스 · 에이, 쥬안 카르로스 바고 filed Critical 라보라토리오스 바고 에스 · 에이
Priority to KR1019840002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1043B1/ko
Publication of KR850007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7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0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7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07D213/81Amides; Imides
    • C07D213/82Amides; Imides in position 3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72Nitrogen atoms
    • C07D213/74Amino or imino radicals substituted by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yridine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2-아닐리노니코틴산의 아실옥시알킬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다음 일반식(I)의 2-아닐리노니코틴산의 아실옥시알킬에스테르의 신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상기 일반식 (I)에서,
Figure kpo00002
기는 다음 일반식(Ⅱ)의 아실옥시메틸기이거나, 또는 다음 일반식(Ⅲ)의 헤테로사이클 구조의 일부를 형성하며,
Figure kpo00003
R2와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염소원자 또는 메틸기나 트리플루오로메틸기를 나타낸다.
특히, 본 발명은 2-(3'-(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리노)-3-피리딘카복실산과 2-(3'-클로로-2'-메틸아닐리노)-3-피리딘카복실산의 피발오일옥시메틸 및 3-프탈리딜에스테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식(I) 화합물에 속하는 이들 산의 합성법과 치료특성에 관한 문헌은 많이 발간되어 있다. 따라서, 진통제인 2-(3'-클로로-2'-메틸아닐리노)-3-피리딘카복실산의 제법은 영국특허 제1,147,702호에 기술되어 있다.
또한 소염제인 2-(3'-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리노)-3-피리딘카복실산의 합성법은 아르젠틴 특허 제 183,423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3' 및 3', 2'-치환-2-아닐리노-3-피리딘카복실산은 이들의 소염제 특성 및 진통제 특성에 부가해서 위점막외층에 궤양현상을 일으키게 된다. 이 부작용을 제거하기 위해서 몇 개의 관련유도체가 합성되었다. 따라서, 2-아닐리노 니코틴산의 아미노알킬에스테르가 프랑스 특허 제2,187,317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상기 산의 글리세릴에스테르가 스위스 특허 제534,130호와 남아프리카 특허 제682185호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치환 2-아닐리노-3-피리딘-카복실산의 기타 염들, 예를들어 에탄올아민, 라이신, 알미늄 및 비스머스염들이 아르젠틴 특허 제182,409호, 일본국 특허 제74075713호 및 영국특허 제1,162,287호에 기술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하는 본 발명의 주목적은 이들 에스테르들이 속하는 진통제 및 소염제 산에 의해서 야기되는 특정부작용을 없앨 수 있는 산에스테르의 신규제법을 제공함에 있다(Scherrer, R.A., Whitehouse,M.W., Antiinflammatory Agents, Chemi stry and Pharmacology, 13-1, Academic Press, New York, 1974). 수득된 치환 2-아닐리노-3-피리딘카복실산의 알킬 및 아릴에스테르를 동물시험에 사용한 결과 소염작용의 우수함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이를 신규 화합물들은 궤양현상을 유발시키지 않는다는 사실도 밟혀졌다.
본 발명에서 치환 2-아닐리노-3-피리딘카복실산의 알킬 및 아릴에스테르의 합성법이 기술된다. 이제법에서는 미리 제조된 2-클로로-3-피리딘카복실산의 알킬 또는 아릴에스테르를 3, 2 또는 3-치환 아닐 린과 반응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합성도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5
상기 반응식에서 R, R1, R2및 R3는 앞에서 정의한 것과 동일하고, A는 C1-C6의 알킬암모늄이고, X 및 Y는 할로겐원자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제법은 2개 합성단계로 구성된다. 1차적으로, 염형성 및 치환시킨 2-할로게노-3-피리딘카복실산(Ⅱ)을 일반식(Ⅲ)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2-할로 -3-피리딘-카복실산의 알킬 또는 아릴에스테르(Ⅲ)를 제조한다. 이 반응은 반응물질(Ⅱ)과 (Ⅲ)이 완전히 용해되고 또 안정될 수 있는 극성 반응매질 중에서만 행해질 수 있다.
2-할로-3-피리딘카복실산염은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와 같은 극성용매 중에서 수득된다. 이 염은 2-클로로-3-피리딘카복실산과 에탄올아민, 트리에틸아민, 사이클로헥실아민, 트리메틸아민, 디메틸아민과 같은 저급알킬 아민류의 반응으로 제조되며 트리에틸아민 유기염기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어, 2-할로-3-피리딘카복실산염(Ⅱ)과 3-브로모프탈리드를 함께 반응시켜 2-할로-3-피리딘카복실산의 프탈리딜에스테르를 수득하게 되며, 이 반응에는 염 생성반응을 진행시킨 전술한 동일 매질을 사용한다.
(Ⅱ)와 3-브로모프탈리드간의 사용된 몰비율은 1:1 내지 1.5 범위이다. 결과적으로 염 생성반응과 에스테르화 반응은 동일 반응매질 중에서 진행된다. 이 매질은 반응물질을 용해시킬 수 있어야만 하며 또 이들의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아야만 한다. 반응중에 수분의 존재는 3-브로모프탈티드를 프탈알데히드산으로 가수분해시키며, 따라서 반응수율이 감소된다. 결론적으로 고수율을 얻기 위해서는 무수용매를 사용해야만 한다.
2-할로-3-피리딘카복실산의 피발오일옥시메틸에스테르(Ⅳ)를 제조하기 위한 2-할로-3-피리딘카복실산염과 피발오일옥시메틸클로라이드의 반응은 진술한 반응과 유사하게 진행된다.
이 반응물질의 몰비율은 산각몰에 대해서 알킬클로라이드 1.5 내지 2.5몰 범위이다. 피발오일옥시메틸클로라이드는 ZnCl2존재하에서 동일 몰량의 피발오일클로라이드와 파라포름알데하이이드를 혼합시킴으로서 합성된다(Rassmussen and Leon ard, J. Am. Chem. Soc. 89, 1967).
피발오일옥시메틸클로라이드와 2-할로-3-피리딘카복실산염 간의 반응은 무수반응계에서 진행시켜야만 하는데 이는 수분은 알킬클로라이드를 가수분해하여 상응 알킬알콜로 전환시키기 때문이다.
일반식(I)의 제조화합물의 분리는 각 제조화합물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2-할로-3-피리딘 카복실산의 프탈리딜에스테르는 반응매질에 첨가해서 분리된다.
한편, 제조된 2-할로-3-피리딘카복실산의 피발오일옥시메틸에스테르는 물을 미리 반응매질에 첨가하고 염소화용매, 바람직하게는 메틸렌클로라이드를 사용해서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술한 제2합성단계는 일반식(Ⅳ)의 2-할로-3-피리딘카복실산의 알킬 또는 아릴에스테르와 일반식(V)의 3또는 2, 3-치환 아닐린과의 반응으로 구성된다. 이 반응은 환류비활성용매(아밀알콜, 톨루엔, 키실렌) 중에서 진행시키거나 또는 이들 반응물질을 용융시켜 진행시킨다. 반응중에는 생성화합물(I)의 각몰당 1몰의 할로겐화수소가 형성되며 ;결과적으로 에스테르(Ⅳ) 각 몰당 2몰의 아닐린(V)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 반응은 2-브로모 또는 2-클로로-3-피리딘카복실산으로 진행시킬 수 있으며 ;클로로 유도체를 사용하는 경우 가장 높은 수율을 얻게 된다.
생성된 일반식(I)의 화합물은 반응계를 냉각하고 또 결정물질을 여과하여 이들 반응매질로부터 분리된다. 이들 화합물은 에틸아세테이트, 프로필아세테이트, 이소부틸아세테이트, 메탄올, n-부탄올과 같은 재결정시켜 용매중에서 정제할 수 있다. 일반식 (I)의 화합물이 반응물질을 용융시켜 수득되는 경우에는 묽은 염산으로 이를 처리하거나 또는 동일 용매내에서 재결정시켜 정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 실시예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며,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프탈리딜 2-클로로-3-피리딘카복실레이트
600mℓ아세톤에 31.5g의 2-클로로-3-피리딘카복실산을 첨가하고 또 교반하여 현탁시킨다. 40mℓ트리에틸아민을 첨가하고 또 이 첨가 30분 후에 42.6g의 3-브로모프탈리드를 이 교반반응 혼합물에 부어넣는다.
반응계를 4시간 동안 환류 가열시킨다. 이어 이를 50℃의 2000mℓ물에 부어넣고 침전화합물을 수득하기 위해서 이 반응혼합물을 계속 교반하면서 냉각시킨다.
수고형물을 여과해서 수거하고 냉수 세척한 후 이어 40℃ 진공하에서 건조한다.
38.7g(67% 수율)의 프탈리딜 2-클로로-3-피리딘카복실레이트를 수득한다(융점 137 내지 8℃).
I.R.(Nujol) : 1780, 1750, l580, 1415, 1380, 1270, 1245, 1225, 1140, 1060, 995 및 940cm-1에서 강한 흡수밴드.
C14H8NCl의 원소분석
계산치 : C58.05 ; H2.78 ; N4.84 ; Cl12.24
측정치 : C58.21 ; H3.00 ; N4.65 ; Cl12.19
[실시예 2]
피발오일옥시메틸 2-클로로-3-피리딘카복실레이트
500mℓ아세톤에 23.7g의 2-클로로-3-피리딘카복실산을 첨가한 교반 현탁액에 30.7mℓ의 트리에틸아민을 첨가한다. 30분간 교반한 후에 22.5mℓ의 피발오일옥시클로라이드를 반응혼합물에 부어넣고 또 반응계를 2시간 동안 환류 가열시킨다. 이어, 반응계를 15 내지 20℃로 냉각한 후 이어 1000mℓ냉수에 부어넣는다. 제조된 화합물을 메틸린클로라이드(2×100mℓ)로 추출하고 또 수층을 분리 제거하였다. 잔유 유기추출물에 10g의 무수황산마그네슘을 첨가하고 또 이어 여과 분리한다.
유기추출물을 상압하에서 증류시켜 메틸린클로라이드를 분리하고 모든 메틸렌클로라이드가 증류한 후에 증류계를 진공(0.17mmHg)에 길어주어 생성화합물을 분리한다. 증류유분은 131 내지 133℃에서 분리하여 피발오일옥시메틸 2-클로로-3'-피리딘-카복실레이트를 수득한다. 수율 ; 53.5%(21.8g).
I.R.(필름층) : 2990, 1745, 1570, 1440, 1290, 1270, 1150, 1130, 1110, 1050, 1030, 1005및 975cm-1에서 강한 흡수밴드.
C12H14ClN의 원소분석
계산치 : C53.05 ; H5.19 ; Cl13.05 ; N5.15
측정치 : C53.09 ; H5.29 ; Cl13.06 ; N4.85
[실시예 3]
프탈리딜-2-(3'-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리노)-3-피리딘 카복실레이트
환류가열하의 80mℓ 키실렌에 32.2g의 m-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을 첨가한다. 이어, 이 반응계에 29g의 프탈리딜 2-클로로-3-피리딘카복실레이트 15분 간격으로 2회로 나누어 첨가한다. 반응혼합물을 5시간 동안 환류 가열상태로 유지하고 또 플라스크를 얼음물욕에 담가서 냉각시킨다. 생성물의 결정화를 완결시키기 위해서 반응혼합물을 0내지 5℃로 2시간 동안 유지한다.
침전물을 여과 수거한 후 40℃ 진공하에서 건조시켜 34.1g(수율:82.3%)의 프탈리딜 2-(3-트리플루오로메틸 아닐리노)-3-피리딘카복실레이트를 수득한다(융점 159 내지 162℃).
6부피의 에틸아세테이트 중에서 화합물을 결정화시켜 28.4g(수율 : 68.5%)의 화합물을 수득한다(융점 : 164 내지 5℃).
I.R. (Nujol) : 3300, 1785, 1695, 1610, 1570, 1520, 1340, 1320, 1260, 1160, 1120, 1090, 1050 및 970cm-1에 강한 흡수밴드.
C21H13F3N2O4의 원소분석
계산치 : C60.87 ; H3.16 ; Fl3.76 ; N6.76
측정치 : C60.50 ; H3.22 ; F13.62 ; N6.79
[실시예 4]
피발오일옥시메틸-2-(2'-메틸-3'-클로로-아닐리노)-3-피리딘카복실레이트
적합한 플라스크에 21.7g의 피발오일옥시메틸 2-클로로-3-피리딘카복실레이트와 28.4g의 3-클로로-2-메틸아닐린을 부어넣는다. 반응을 개시시키기 위해서 혼합물을 140℃로 가열한다. 반응중에 반응계의 온도는 190℃로 승온된다. 반응종결 후에는 온도가 다시 떨어진다.
이어 반응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이 혼합물에 묽은 염산을 첨가하며 또 생성화합물을 작은 입도로 갈아서 매질중에 현탁시킨다. 고형물을 여과 분리하고 또 케이크를 수세척한다. 이어, 고형물을 가온 메탄올중에 용해시키고 또 메탄올성 용액을 냉각하여 결정화시킨다. 결정생성물을 분리하여 또 40℃ 진공하에서 건조시킴으로서 22.5g (수율 : 77.6g)의 피발오일옥시메틸 2-(2'-메틸-3-클로로-아닐리노)-3-피리딘카복실레이트(융점 90 내지 91℃)를 수득한다.
I.R.(Brk) : 1755, 1710, 1625, 1585, 1530, 1460, 1440, 1405, 1255, 1150, 1110, 1070, 1055 및 975cm-1강한 흡수밴드.
C19H21ClN2O4의 원소분석
계산치 : C60.56 ; H5.62 ; Cl9.41 : N7.43
측정치 : C60.67 ; H5.59 ; Cl9.37 ; N7.48
[실시예 5]
프탈리딜 2-(3'-클로로-2'-메틸-아닐리노)-3-피리딘카복실레이트
m-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을 3-클로로-2-메틸아닐린으로 바꾸고 실시예 3을 반복하였다. 31.8g(수율 : 80.5%)의 프탈리딜 2-(3'-클로로-2'-메틸-아닐리노)-3-피리딘카복실레이트(융점 : 178 내지 180℃)를 수득하였다.
I.R.(Brk) : 1785, 1710, 1620, l580, 1425, 1400, 1240, 1050 및 955cm-1에 강한 흡수밴드.
C21H15ClN2O4의 원소분석
계산치 : C63.89 ; H3.83 ; Cl8.98 ; N7.09
측정치 : C64.20 ; H3.87 ; Cl9.21 ; N6.89
[실시예 6]
피발오일옥시메틸 2-(3'-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리노)-3-피리딘카복실레이트
3-클로로-2-메틸아닐린 대신에 m-트리플루오로아닐린을 사용해서 실시예 4를 반복하였다. 26.5g(수율 : 84.3%)의 피발오일옥시메틸-2-(3'-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리노)-3-피리딘카복실레이트(융점 : 55 내지 56℃)를 수득한다.
I.R.(Brk) : 1740, 1700, 1615, 1585, 1340, 1260, 1160, 1125, 1085, 1065, 1040, 1010 및 980cm-1에 강한 흡수밴드.
C19H19F3N2O4의 원소분석
계산치 : C57.57 ; H4.83 ; F14.38 ; N7.07
측정치 : C57.72 ; H4.60 ; F14.40 ; N7.30

Claims (16)

  1. 다음 일반식(Ⅳ)의 화합물을 다음 일반식(V)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다음 일반식 (Ⅵ)의 화합물을 제조하고 ; 이 화합물(Ⅵ)을 다음 일반식(Ⅷ)의 2', 3'-또는 3'-치환아닐린과 반응시키는 2단계 합성방법으로 할로겐화수소와 함께 다음 일반식(I)의 2-아닐리노-니코틴산의 아실옥시알킬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06
    상기 일반식에서,
    Figure kpo00007
    기는 다음 일반식(Ⅱ)의 아실옥시메틸기이거나 또는 다음 일반식(Ⅲ)의 헤테로사이클 구조의 일부를 형성하며,
    Figure kpo00008
    R2는 메틸 또 R3는 클로로이거나 또는 R2가 수소 또 R3가 플루오로이고, X와 Y가 할로겐원자이며, A는 다음 일반식(Ⅶ)의 아민으로부터 유도된 암모늄 레디칼이고,
    Figure kpo00009
    이때, R4, R5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내지 C4의 아실, 알킬 또는 지방족 알콜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일반식(I)의 제조화합물이 프탈리딜 2-(3'-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리노)-3-피리딘카복실레이트인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일반식(I)의 제조화합물이 피발오일옥시메틸 2-(2'-메틸-3'-클로로-아닐리노)-3-피리딘카복실레이트인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일반식(I)의 제조화합물이 프탈리딜-2-(3'-클로로-2'-메틸아닐리노)-3-피리딘카복실레이트인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일반식(I)의 제조화합물이 피발오일옥시메틸 2-(3'-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리노)-3-피리딘카복실레이트인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일반식(Ⅵ)의 중간체 화합물이 피발오일옥시메틸 2-클로로니코틴에이트인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일반식(Ⅵ)의 중간체 화합물이 프탈리딜 2-클로로니코틴에이트인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일반식(Ⅳ)의 화합물은 상응하는 산을 일반식(Ⅶ)의 트리에틸아민과 염형성 반응시켜 수득되는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일반식(V)의 화합물이 3-브로모프탈리드인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일반식(V)의 화합물이 피발오일옥시메틸클로라이드인 제조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일반식(Ⅵ)의 화합물을 수득하기 위해 용매로 무수아세톤을 사용하는 제조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R이 수소, R1이 3급 부틸인 일반식(Ⅵ)의 화합물을 그 반응매질에 물을 첨가해줌으로서 분리시키고, 또 이어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고, 농축, 결정화시킨 후 여과 분리하는 제조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일반식(Ⅵ) 화합물의
    Figure kpo00010
    이 일반식(Ⅲ)의 헤테로사이클인 경우, 생성화합물을 반응매질에 물을 첨가하여 침전시키므로서 반응매질로부터 분리시키는 제조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일반식(Ⅵ) 화합물과 일반식(Ⅷ) 화합물의 반응이 고온하의 불활성용매 중에서 진행되는 제조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일반식(Ⅵ) 화합물과 일반식(Ⅷ) 화합물 반응이 이들 반응물짙을 용융시켜 진행되는 제조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사용된 불활성용매가 톨루엔이고, 또 이 반응이 환류하에서 진행되는 제조방법.
KR1019840002147A 1984-04-23 1984-04-23 2-아닐리노니코틴산의 아실옥시알킬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KR870001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2147A KR870001043B1 (ko) 1984-04-23 1984-04-23 2-아닐리노니코틴산의 아실옥시알킬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2147A KR870001043B1 (ko) 1984-04-23 1984-04-23 2-아닐리노니코틴산의 아실옥시알킬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7591A KR850007591A (ko) 1985-12-07
KR870001043B1 true KR870001043B1 (ko) 1987-05-26

Family

ID=19233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2147A KR870001043B1 (ko) 1984-04-23 1984-04-23 2-아닐리노니코틴산의 아실옥시알킬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104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7591A (ko) 1985-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12066B2 (ko)
US4308384A (en) Production of triazinones
JPH0144717B2 (ko)
JPS59122470A (ja) キノリン−3−カルボン酸誘導体の製造法
KR870001043B1 (ko) 2-아닐리노니코틴산의 아실옥시알킬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JPH01224364A (ja) 除草性o―カルボキシアリ―ルイミダゾリノン類の製法
US4255581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lkyl and aryl esters of 3'-substituted and 2', 3'-disubstituted 2-anilino-3-pyridinecarboxylic acids
US4273932A (en) 4-Hydroxy-5,6,7,8-tetrahydroquinoline-3-carboxylic acids and derivatives
JPH0742269B2 (ja) 4−アルコキシ−3−ピロリン−2−オン−1−イル−酢酸アルキルエステ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CA1077497A (en) 4-hydroxymethyl-2-pyrrolidinones
EP0388620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o-carboxypyridyl- and o-carboxyquinolylimidazolinones
KR890001241B1 (ko) 4-아세틸 이소퀴놀리논 화합물의 제조방법
EP1163222A1 (en) Process of preparing 3s-3-amino-3-aryl propionic acid and derivatives thereof
US4904816A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anilinofumarate via chloromaleate or chlorofumarate or mixtures thereof
JPH0635458B2 (ja) ピリドンカルボン酸誘導体、そのエステルおよびその塩
US4013656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yridylamino-methylenemalonic acid derivatives
SU471711A3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производных -аминоакриловой кислоты
JPH03223252A (ja) 置換メチルアミン類の製造方法
US4375543A (en) N-[3-(1'-3"-Oxapentamethylene-amino-ethylideneamino)-2,4,6-triiodobenzoyl]-β-amino-α- methylpropionitrile in process to make corresponding acid
US4916229A (en) Pyridine carboxylic acid derivates
US4804756A (en) Process for preparing 5,6-dialkoxy-4-alkyl-2(1H)-quinazolinones
KR860001392B1 (ko) 2-(2-메틸-3-클로로아닐린)-3-리신니코틴산염(2-(2-methyl-3-chloroaniline)-3-lysine nicotinate)의 제조방법
JP2992033B2 (ja) オキソキノリンカルボン酸誘導体の製造中間体
JPS59148770A (ja) 2,4−ジクロロ−5−チアゾ−ルカルボキサルデヒドとその製造方法
JPH021223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523

Year of fee payment: 10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