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0833Y1 - 전자 시계의 진자(桭子)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시계의 진자(桭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0833Y1
KR870000833Y1 KR2019840008557U KR840008557U KR870000833Y1 KR 870000833 Y1 KR870000833 Y1 KR 870000833Y1 KR 2019840008557 U KR2019840008557 U KR 2019840008557U KR 840008557 U KR840008557 U KR 840008557U KR 870000833 Y1 KR870000833 Y1 KR 8700008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king table
electronic clock
movement
weight
pendul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85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3071U (ko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김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수 filed Critical 김영수
Priority to KR20198400085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0833Y1/ko
Publication of KR8600030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30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08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8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3/00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independent of other time-pieces and in which the movement is maintained by electric means
    • G04C3/02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independent of other time-pieces and in which the movement is maintained by electric means wherein movement is regulated by a pendulu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ys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 시계의 진자(振子)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배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뚜껑을 절결한 일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확대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표시한 부분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힌지축 2' : 괘지홈
3 : 판스프링 3' : 현수축
4 : 진동대 6 : 중량체
9 : 무브멘트
본 고안은 전자시계의 무브멘트(MOVEMENT)상에 진자(振子)장치를 설치하여 통상적인 태엽시계등의 진동추와 동일한 효과를 갖게 함과 동시에 힌지축에 괘지된 진동대가 좌, 우 작동시 판스프링에 의하여 작동자재케 되므로 진동대의 작동 과정에 있어서 외부 저항및 마모가 없도록 한 전자시계의 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진자시계는 대부분이 태엽및 모우터등을 이용하여 추를 좌우 작동하도록 구성한 것이므로 추가 좌우로 움직일때마다 소음이 발생하여 이용상 불안정한 결점이 있었으며, 진동대를 괘지한 힌지축이 함께 좌우로 회동하므로 인하여 장시간 사용할 경우에는 힌지축이 마모되어 진 동대의 일정한 좌우작동을 기대할 수 없었던 것이었다. 또한 전자시계는 추가 없는 상태에서 시계침만 일방향으로 회동케 되므로서, 실내등에 설치시 장식적인 가치성이 결여되어 있는 것이었는바, 이를 보안코저 전자시계에 추를 설치한 외국상품이 시판중에 있으나 이는 시계용 무브멘트상에 부설된 진동대등의 설치가 복잡하며 실용적이지 못하여 고장률이 높고 쉬 손괘되는등의 문제점이 따랐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코저 안출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구조및 작용과 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피커(8')가 부착된 시보용 회로기판(8) 및 코일(7')이 권취된 진동용 회로기판(7)을 통상의 축전지(11)가 장착되고 시간조절놉(10)이 설치된 무브멘트(9)를 원판(1)의 이면부에 각각 착설하고, 하단에 추(12)걸이용 괘지구(4')가 형성되고 이의 상단에 반호형의 중량체(6)가 착설된 진동대(4)의 상단부에 현수축(3')이 축착된 판스프링(3)을 연설한후, 상기한 현수축(3')을 원판(1)의 이면으로부터 돌착되어 무브멘트(9)상으로 입설된 힌지축(2)의 괘지홈(2')내에 괘착하여 진동대(4)가 무브멘트(9)의 이면상에서 좌우작동자재토록 유설하고, 진동대(4)의 하단부에 착설된 자석(5)을 코일(7')과 상호대응하는 위치에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하여서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3은 뚜껑을 표시한 것이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의 진동대(4)는 판스프링(3)에 의하여 힌지축(2)상에 괘착되어 좌우 작동자재케 되므로(도면중 제4도 참조) 진동대(4)의 좌우작동과정에 있어서 힌지축(2)의 마모가 전혀 없으므로 장기간 사용시에도 진동대(4)의 작동이 항상 일률적인 것이며, 무브멘트(9)의 이면상으로 진동대(4)가 부설되어 있으므로 진동대(4)의 설치및 제작공정이 매우 간편하여 양산보급이 가능하며, 전자시계의 크기에 관계없이 탁상시계에서 부터 대형 벽시계에 이르기까지 진동대(4)의 설치가 가능하므로 진자장치의 용도가 다대한 것이며, 추(12)의 좌우 작동 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중량체(6)를 진동대(4)상에 착설하므로서 추(12)의 속도를 중량체(6)의 무게에 비례하여 저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진자 장치는 공지한 전자력 장치를 이용하여 코일(7')에 전류를 (+)전류, (-)전류로 바뀌지면 진동대(4)에 부착된 자석(5)의 N,S극이 상호 흡인및 반발작용에 의하여 진동대(4)의 연속적인 좌우 작동이 이루워 지는 것으로, 통상의 무브멘트(9)의 내부구조를 변경하지 않은 상태에서 진동대(4)를 설치하여 사용하므로서 진자 장치가 설치된 전자시계의 복잡한 제작공정을 배제한 것이므로 저렴한 가격으로 양산보급이 가능한 것이며, 내구력이 우수하며 사용도가 다대하여 효과적으로 이용이 가능한 신규유용한 실용적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통상의 스피커(8')가 부착된 시보용 회로기판(8) 및 코일(7')이 권취된 진동용 회로기판(7)과 무브멘트(9)를 원판(1)의 이면부에 각각 착설하여서 된 전자시계를 구성함에 있어서, 하단에 추(12)걸이용 괘지구(4')가 형성되고 이의 상단에 중량체(6)가 착설된 진동대(4)를 현수축(3')이 측착된 판스프링(3)으로 연설한 후, 원판(1)의 이면으로 부터 돌착되어 무브멘트(9)상으로 입설된 힌지축(2)의 괘지홈(2')내에 괘착하여 진동대(4)가 공지한 무브멘트(9)의 이면상에서 좌우 작동 자재케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시계의 진자(振子)장치.
KR2019840008557U 1984-08-30 1984-08-30 전자 시계의 진자(桭子)장치 KR8700008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8557U KR870000833Y1 (ko) 1984-08-30 1984-08-30 전자 시계의 진자(桭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8557U KR870000833Y1 (ko) 1984-08-30 1984-08-30 전자 시계의 진자(桭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3071U KR860003071U (ko) 1986-03-31
KR870000833Y1 true KR870000833Y1 (ko) 1987-03-05

Family

ID=19236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8557U KR870000833Y1 (ko) 1984-08-30 1984-08-30 전자 시계의 진자(桭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083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364B1 (ko) * 2010-06-08 2013-01-29 권상훈 난방용 조립식 온돌패널의 조립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3071U (ko) 1986-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284730A (ja) 振り子駆動装置
US4723232A (en) Pendulum indicator horological device
KR870000833Y1 (ko) 전자 시계의 진자(桭子)장치
JP6146602B2 (ja) 転動体ベル
US4712925A (en) Pendulum type decorative and time indicating device
US5822277A (en) Long period pendulum apparatus
JPS637909Y2 (ko)
US3762155A (en) Simulated pendulum clock
JPS628548Y2 (ko)
US4468132A (en) Whole body swingable clock
JPS5840713B2 (ja) 振子付電池作動型時計装置
US3762154A (en) Simulate pendulum clock
JPS628549Y2 (ko)
KR820001558Y1 (ko) 전자시계의 전자자동 진자(振子)장치
JP3496920B2 (ja) 時計用装飾体揺動機構
JPS6231900Y2 (ko)
JPS628552Y2 (ko)
US4525078A (en) Electromagnetically-induced rocking clock
JPH028235Y2 (ko)
JPH025430Y2 (ko)
US3218533A (en) Oscillator controlled electromagnetic drive
JPS628551Y2 (ko)
KR830001583Y1 (ko) 광고 장식용 율동장치
KR880000753Y1 (ko) 전자시계용 전자식 무브멘트(move ment)를 이용한 장식용 기어의 좌우회동장치
JPH02639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