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0396B1 - 복합레이블연속체 - Google Patents

복합레이블연속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0396B1
KR870000396B1 KR1019830003368A KR830003368A KR870000396B1 KR 870000396 B1 KR870000396 B1 KR 870000396B1 KR 1019830003368 A KR1019830003368 A KR 1019830003368A KR 830003368 A KR830003368 A KR 830003368A KR 870000396 B1 KR870000396 B1 KR 870000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el
cutting line
support material
longitudinal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3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6266A (ko
Inventor
요시오 사또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사또오
사또오 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사또오, 사또오 요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사또오
Publication of KR840006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0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0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by an adhesive lay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286Forms or constructions provided with adaptations for labelling mach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06Roll or coi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9Sectional layer removable
    • Y10T428/1495Adhesive is on removable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273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aperture
    • Y10T428/24298Noncircular aperture [e.g., slit, diamond, rectangular, etc.]
    • Y10T428/24314Slit or elong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273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aperture
    • Y10T428/24322Composite web or shee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abeling Device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복합레이블연속체
제1,2도는 본 발명의 복합레이블 연속체의 제1실시예로.
제1도는 지지재료로부터 레이블재료를 박리하는 상태의 일부절결 사시도.
제2도는 동 평면도.
제3,4도는 동 제2실시예로.
제3도는 로울상으로 감겨진 복합레이블 연속체의 사시도.
제4도는 동 평면도.
제5도는 동 제3실시예도.
제6도는 동 제4실시예도.
제7도는 동 제5실시예도.
제8도는 동 제6실시예도.
제9도는 동 제7실시예도.
제10도는 동 제8실시예도.
제11도는 동 제9실시예도.
제12도는 동 제10실시예의 각 일부절결된 복합레이블 연속체의 평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8실시예의 복합레이블 연속체를 적용하는 레이블인쇄첩부기의 종단측면도.
제14도 내지 제18도는 본 발명의 제9 내지 제10실시예의 복합레이블 연속체를 적용한 레이블 첩부기의 도면.
제14도는 레이블카세트의 사시도.
제15도는 동문짝을 열고 로울상으로 감겨진 복합레이블 연속체가 장전되는 상태의 사시도.
제16도는 첩부기의 사시도.
제17도는 동 종단측면도.
제18도는 레이블첩부기의 종단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21,31,41,51,61,71,81,91 : 레이블재료
2,12,22,32,42,52,62,72,82,92 : 점착제
3,13,23,33,43,53,63,73,83,93 : 지지재료
4,14,24,34,44,54,64,74,84,94 : 이형재
7,17,27,37,47,57,67,77,87,97 : 이송절단선군(지지재료)
8,18,28,38,48,58,68,78,88,98 : 종절단선(지지재료)
9a,9b,19a,19b,29a,29b,39a,39b,49a,49b,59a,59b,69a,69b,79a,79b,89a,89b,99a,99b : 계지절단선(지지재료)
10,20,30,40,50,60,70,80,90,100 : 복합레이블연속체
본 발명은 레이블인쇄첩부기 또는 레이블첩부기등에 사용하여 바람직한 로울상으로 감겨진 감압성의 복합레이블 연속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테이프상의 지지재료와 이 지지재료상에 가착(假着)된 레이블재료를 포개 합쳐진 복합레이블연속체로서 이것을 본 기내에 세트하여 본기의 이송핀(이송클릭)에 계합시키고 조작레버의 파악·석방의 조작에 의하여 이 레이블연속체를 전진할 수 있도록 구성한 이송용의 절단선수단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합레이블 연속체의 지지재료에 가해지는 이송용의 절단선 수단으로서 복합레이블연속체의 이송이 확실하게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지지재료의 절단선의 찢기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는 복합레이블 연속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음 도면에 표시한 각 실시예를 상술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 표시한 제1 내지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테이프상의 복합레이블연속체(10)는 포개합쳐진 관계에 있는 레이블재료(1)와 지지재료(3)로 이루어진다. 레이블재료(1)의 이면에는 점착제(2)가 설치되며 점착제(2)에 대면하는 지지재료(3)의 표면에는 이형제(離型劑)(4)가 코우팅되어 이형제(4)면에 가착된 레이블재료(1)의 박리를 용이하게 하고 있다.
레이블재료(1)중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직교하는 등간격의 분리절입선(分雄 切入線)(5)이 새겨 설치되어서 다수의 단일레이블편(La)을 인접된 상태로 배설하고 있다. 또한 이 분리절입선(5)에 직교하고 또한 이에 걸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두가닥으로 된 이송절입선(6a,6a)으로된 이송절입군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이송절입선(6a,6a)에 의하여 한쌍의 대설(對設)된 이송설편(舌片)(6b,6b)이 형성된다.
한편 지지재료(3)중에는 이 길이방향으로 등간격, 상세하게는 상기 레이블재료(1)에 새겨 설치된 이송절입군(6)에 대응하는 위치에 길이방향으로 뻗은 종 절단선(8)과 종 절단선(8)의 양단에 있어서 접속되고 또한 이 종절단선의 길이방향의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종 절단선(8)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뻗는 계지절단선(9a,9b)과의 조합으로 된 이송절단선군(7)이 형성되고 종절단선(8)의 좌우에 횡방향의 이송설편(8a,8a)이 형성된다, 상기 계지절단선(9a,9b)의 길이는 지지재료(3)의 전진반대방향(제1도의 화살표와 반대방향)측의 계지절단선(9b)을 지지재료의 전진방향 즉 다른 측의 계지절단선(9a)보다 큰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제2실시예를 제3내지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테이프상의 복합레이블연속체(20)는 포개 합친관계에 있는 레이블재료(11)와 지지재료(13)와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레이블재료(11)의 이면에는 점착제(12)가 설치되며 점착제(12)에 대면하는 지지재료(13)에는 이형제(14)가 가해지며, 이 이형제(14)면에 가착된 레이블재료(11)의 박리를 용이하게 하고 있다.
테이블상 레이블재료(11)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직교하는 등간격의 분리절입선(15)이 새겨 설치되어 각 단일레이블편(Lb)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 레이블재료(11)에는 상기 각 분리절입선(15,15)간의 거의 중앙위치 즉 단일레이블편(Lb)의 유효면적내에 그 폭방향으로 병설된 한쌍의 거의 U자형으로 된 이송절입선(16a)으로 이루어지는 이송절입군(1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송절입선(16a)의 거의 U자형의 정부(頂部)를 복합레이블연속체(20)의 풀리는 반대방향에 위치한 이송설편(16b,16b)으로서 형성된다.
한편 지지재료(13)중에는 상기 제1실시예와 같은 길이 방향으로 뻗은 종절단선(18)과 종절단선(18)의 양단에 접속되며 또한 이 종절단선(18)의 길이방향의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對稱)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종절단선(18)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뻗는 계지절단선(19a,19b)과의 조합으로 된 이송절단선군(17)이 상기 레이블재료(11)의 이송절입군(16)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서 종절단선(18)의 좌우에 횡방향의 이송설편(18a,18a)이 형성된다.
상기 계지절단선(19a,19b)의 길이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지지재료(13)의 전진반대방향(제4도의 화살표와 반대방향)측의 계지절단선(19b)을 다른측의 계지절단선(19a)보다 큰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제3실시예는 제5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테이프상의 복합레이블연속체(30)는 포개합친 관계에 있는 레이블재료(21)와 지지재료(23)로 이루어지며 레이블재료(21)의 쪽은 상기 제1실시예(제1 내지 제2도)와 유사형태로서 도면속의 22는 점착제, 25는 분리절입선, 26은 이송절입군, 26a,26a는 레이블재료의 폭방향으로 병설된 이송절입선, 26b,26b는 이송설편, Lc는 단인 레이블편이다.
한편 그 표면에 이형제(24)가 가해진 테이프상의 지지재료(23)에 형성된 한쌍의 이송절단선군(27)은 상기 레이블재료(21)의 이송절입군(26)에 대응한 위치에 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종절단선(28)과 종절단선(28)의 양단에 접속된 계지절단선(29a,29b)과의 조합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 계지절단선(29a,29b)은 종절단선(28)의 길이방향의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형상으로 되며 지지재료(23)의 전진반대방향(제5도의 화살표와 반대방향)측은 종절단선(28)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뻗는 계지절단선(29b), 또 전진방향측은 내측에 중심부를 가진 원호상의 계지절단선(29a)으로 이루어진다.
계지절단선(29a,29b)의 길이는 제1,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29b를 29a보다 큰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종절단선(28)과 계지절단선(29a,29b)에 의해서 종절단선(28)의 좌우에 횡방향의 이송설편(28a,28a)이 형성되는 것도 제1,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제4실시예는 제6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테이프상의 복합레이블연속체(40)는 포개합친 관계에 있는 레이블재료(31)와 지지재료(33)로 이루어지며 단일레이블편(Ld)으로서 표시된 레이블재료(31)의 쪽은 상기 제2실시예(제3 내지 4도와 동일형태로서 도면속의 32는 점착제, 35는 분리절입선 36은 이송절입군, 36a,36a는 거의 U자형의 이송절입선, 36b,36b는 이송설편, Ld는 단일레이블편이다.
한편 그 표면에 이형제(34)로 처리된 테이프상의 지지재료(33)의 이송절단선군(37)은 상기 제3실시예(제5도)와 동일형상으로서 도면속의 38은 종절단선, 38a,38a는 횡방향의 이송설편, 39a,39b는 계지절단선이다.
다음에 제5실시예는 제7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테이프상의 복합레이블연속체(50)는 포개합친 관계에 있는 레이블재료(41)와 지지재료(43)로 이루어지며 단일레이블편(Le)으로서 표시된 레이블재료(41)의 쪽은 상기 제1실시예(제1 내지 2도)와 동일형상의 이송절입군(46)이 형성되며 각 대응하는 부분에 40대의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그 표면에 이형제(44)로 처리된 테이프상의 지지재료(43)에 형성된 이송절단선군(47)은 상기 레이블재료(41)의 이송절입군(46)에 대응한 위치에 형성된다. 이 이송절단선군(47)은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종절단선(48)과 종절단선(48)의 양단에 접속되며 또한 종절단선(48)의 길이방향의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내측에 중심부를 가진 원호상의 계지절단선(49a,49b)과의 조합구성으로서 종절단선(48)의 좌우에 횡방향의 이송설편(48a,48a)이 형성된다. 계지절단선(49a,49b)의 길이는 제1 내지 제4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지지재료(43)의 전진반대방향측의 계지절단선(49b)은 다른측의 계지절단선(49a)보다 큰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제6실시예는 제8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테이프상의 복합레이블연속체(60)의 단일레이블편(Lf)으로 한 레이블재료(51)는 상기 제2실시예(제3도 내지 4도)와 동일구성의 이송절입군(56)이 형성되며 지지재료(53)의 쪽은 상기 제5실시예(제7도)와 동일구성의 이송절단선군(57)이 형성되며 각 대응하는 부분에 50대의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7실시예는 제9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테이프상의 복합레이블연속체(70)는 포개 합쳐진 관계에 있는 레이블재료(61)와 지지재료(63)로 이루어지며 단일레이블편(Lg)으로서 표시된 레이블재료(61)의 쪽은 상기 제1실시예(제1도 내지 2도)와 동일형태의 이송절입군(66)이 형성되며 각 대응하는 부분에 60대의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그 표면에 이형제(64)로 처리된 테이프상의 지지재료(63)에 형성된 이송절단선군(67)은 상기 레이블재료(61)의 이송절입군(66)에 대응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이송절단선군(67)은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종절단선(68)과 종절단선(68)의 양단에 접속된 계지절단선(69a,69b)과의 조합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 계지절단선(69b,69a)은 종절단선(68)의 길이방향의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지지재료(63)의 전진반대방향측은 종절단선(68)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뻗는 계지절단선(69b), 또 전진방향축은 종절단선(68)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뻗은 후 계지절단선(69b)측에 갈고랑이형으로 약간 구부러진 계지절단선(69a)으로 이루어진다. 계지절단선(69a,69b)의 길이는 상기 제1 내지 제6실시예와 마찬가지로 69b를 69a보다 큰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종절단선(68)과 계지절단선(69a,69b)에 의해서 종절단선(68)의 좌우에 횡방향의 이송설편(68a,68a)이 형성된다.
제8실시예는 제10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테이프상의 복합레이블연속체(80)의 단일레이블편(Lh)으로 된 레이블재료(71)는 상기 제2실시예(제3 내지 4도)와 동일구성의 이송절입군(76)이 형성되고 지지재료(73)의 쪽은 상기 제7실시예(제9도)와 동일구성의 이송절단선군(77)이 형성되며 각 대응하는 부분에 70대의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제9실시예를 제11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테이프상의 복합레이블연속체(90)는 테이프상의 지지재료(83)의 길이방향으로 또한 등간격으로 거의 타원형상의 단일레이블편으로 한 레이블재료(81)를 가착한 구성이다.
상세하게는 레이블재료(81)의 이면에는 점착제(82)가 설치되며 점착제(82)에 대면하는 지지재료(83)의 표면에는 이형제(84)가 코우팅되어 이형제(84)면에 가착된 레이블재료(81)의 박리를 용이하게 하고 있다.
레이블재료(81)에는 임의(任意)의 문자(본실시 예의 경우는 「봉사품」)가 이미 인쇄되어서 다수의 단일레이블편(Li)으로 하고 간격을 두고 지지재료(83)위에 배설되어 있다.
한편 지지재료(83)중에는 이 길이방향에 등간격으로 또한 그 쪽방향으로 병설된 한쌍의 종절단선(88)과 종절단선(88)의 양단에 접속된 계지절단선(89a,89b)과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2실시예와 동일구성의 이송절단선군(87)이 형성되어서 종절단선(88)의 좌우에 횡방향의 이송설편(88a,88a)이 형성된다.
계지절단선(89a,89b)의 길이는 본 실시예의 경우도 상기 제1 내지 제8실시예와 마찬가지로 89b를 89a 보다 큰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는 상술과 같이 상기 제1 내지 제8실시예와 상이하여 레이블재료(81)에는 이송용의 절입선을 일체형성되어있지 않다.
제10실시예는 제1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테이프상의 복합레이블연속체(100)는 포개 합쳐진 관계에 있는 레이블재료(91)와 지지재료(93)로 이루어진다. 레이블재료(91)의 이면에는 점착제(92)가 설치되며 점착제(92)에 대면하는 지지재료(93)의 표면에는 이형제(94)가 코우팅되어 이형제(94)면에 가착된 레이블재료(91)의 박리를 용이하게하고 있다.
레이블재료(91)에는 임의의 문자가 인쇄되어 있으며 다수의 단일레이블편(Lj)이 간격을 두고 지지재료(93)위에 배설되어 레이블재료(91)를 형성하고 있는것은 상기 제9실시예(제11도)와 마찬가지이다.
한편 지지재료(93)중에는 이 길이방향에 등간격으로 또한 그 폭방향으로 병설된 6개소의 종절단선(98)과 종절단선(98)의 양단에 접속된 계지절단선(99a,99b)과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이송절단선군(97)이 설치되어 종절단선(98)의 좌우에 횡방향의 이송설편(98a,98a)이 형성된다. 계지절단선(99a,99b)의 길이는 본 실시예의 경우도 상기 제1 내지 제9실시예와 마찬가지로 99b를 99a보다 큰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종절단선(98)이 폭방향으로 6개소 병설되어 있음은 상기 제9실시예와 비교하여 복합레이블연속체(100)가 대형이므로 본기에 적용한 경우 2개소의 종절단선으로는 이송이 확실하게 행하여지지 않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도 상기 제9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레이블재료(91)에는 이송용의 절입선은 일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10실시예에 있어서 각 지지재료에 형성된 종절단선의 양단에 접속된 한쌍의 계지절단선의 길이방향의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형상으로서 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비대칭이라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복합레이블연속체(10,20,30,40,50,60,70,80)의 적용에 있어서는 예컨대 제13도에 표시한 방식의 레이블인쇄첩부기(210)에 또 복합레이블연속체(90,100)의 적용에 있어서는 예컨대 14 내지 제18도에 표시한 방식의 레이블첩부기(310)에 세트하여 사용된다.
다음 대조해서 먼저 최초로 제1실시예에 표시된 복합레이블연속체(10)를 레이블인쇄첩부기(210)에 적용한 경우를, 이어서 제9실시예에 표시된 복합레이블연속체(90)를 레이블첩부기(310)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레이블인쇄첩부기(210)의 본기구성의 개략에 있어서 양측에 배설된 기틀(211)과 일체적으로 형성된 그립(212)과 마주보게 설치된 핸드레버(213)는 상기 기틀(211)에 추축(pivot)(214)을 가지고 회동자유로이 되어있다.
핸드레버(231)와 그립(212)과의 스프링 괘지부재(215,216)에 복귀스프링(217)이 개재되어 이 복귀스프링(217)에 의해서 핸드레버(213)의 파악조작후의 석방조작시에 이 핸드레버(213)가 최초의 정지상태로 복귀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추축(214)에 회동자유로운 핸드레버(213)는 이 추축(214)의 전방에 위치하는 연장부에 인쇄부분(218)과 구동부분(219)이 구비되어 있다. 이 핸드레버(213)의 인쇄부분(218)에는 회전선택이 가능한 활자(220)를 갖춘인자기(221)가 고정되어 구동부분(219)에는 추축(214)의 부근에 돌설한 부채형의 구동기어(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이 핸드레버(213)의 상기 구동부(219)의 구동기어에 맞물리는 래칫휘일을 내장한 회전체(222)가 상기 한쌍의 기틀(211,211)에 부착된 추축(223)에 회동자유로 끼워 붙여지고 이 회전체(222)의 외주면에는 본 발명의 레이블재료(1)와 지지재료(3)로 된 테이프상의 복합레이블연속체(10)를 전진시키는 횡단면 반원형상의 이송핀(224)이 일정피치로 설치되어 있다.
이 이송핀(224)의 치수는 지지재료의 전진방향측의 계지절단선(9a,19a,29a,39a,49a,59a,69a,79a,89a,99a)의 치수와 거의 동일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이 복합레이블연속체(10)의 전진이송에 있어서 복합레이블연속체(10)는 휘감겨져서 로울상으로 되어 레이블보지부(225)에 보지되어서 그 테이프선단으로부터 레이블안내부재(226)에 안내되어 회전체(222)와 레이블압압부재(227)와의 사이를 통과하면 인자기(221)에 대응한 위치에 설정된 플래튼(228)위로 인도된다.
이때 복합레이블연속체(10)에 있어서 레이블재료(1)와 지지재료(3)와의 각각의 이송절입군(6) 및 이송절단선군(7)은 상기 회전체(222)의 이송핀(224)에 계합되어 그 상면에 레이블압압부재(227)가 배설되어 있다.
다음에 핸드레버(213)의 파악후에 석방조작에 의하여 회전체(222)는 반시계방향으로 1피치 간헐적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이 회전체(222)의 이송핀(224)에 계합된 레이블재료(1)와 지지재료(3)가 포개진 복합레이블연속체(10)는 1피치[단일레이블편(La)의 길이반큼] 전진된다. 이 이송상태를 더욱 상세하게 기술하면 복합레이블연속체(10)의 전진시에 있어서 횡단면 반원형상의 이송핀(224)이 먼저 지지재료(3)의 종절단선(8)에 삽입되어 그 좌우에 한쌍의 이송설편(8a,8a)으로서 횡방향으로 기립시켜진다. 이 이송핀(224)이 종절단선(8)에 삽입될때에는 종절단선(8)의 전후에 설치된 계지절단선(9a,9b)중 큰치수로 설정된 전진반대방향측의 계지절단선(9b)측으로부터 삽입되므로 이송핀(224)은 확실하게 종절단선(8)에 삽입된다.
이렇게 해서 이송핀(224)은 회전체(222)의 반시계방향의 회전에 의하여 종절단선(8)의 사이를 약간 이동하여 전진방향의 계지절단선(9a)에 횡단면반원형상의 이송핀(224)의 평면(224a)부분이 면접촉하고 그 이송하중이 분포되어서 집중하중에 의한 이송의 불안정화가 해소되도록 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이 이송핀(224)은 상기 지지재료(3)의 종절단선(8)으로부터 다시 포개합친 레이블재료(1)의 이송절입선(6a,6a)의 중간과 분리절입선(5)에 삽입되어서 그 전후에 이송설편(6b,6b)이 형성되며 특히 전진방향의 이송설편(6b)을 가지고 전진을 위한 이송핀(224)에 의한 이송하중이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이송핀(224)에 의해서 풀리어나온 복합레이블연속체(10)는 핸드레버(213)의 파악후의 석방조작에 의하여 플래톤(228)위에 간헐적으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이송핀(224)에 의해서 기립된 복합레이블연속체(10)의 이송설편(6b,6b 및 8a,8a)은 핸드레버(213)의 파악조작에 연동하여 플래튼(228)위에 하강하는 인자기(221)의 타인(打印)작동과 동시에 수정된다. 상세하게는 인자기(221)의 후단에 배설된 레이블수정체(229)가 플래튼(228)위에 이송된 복합레이블연속체(10)위에 압압되어서 기립된 이송설편(6b 및 8a)을 원래의 상태인 평탄으로 수정하는 것으로 이 레이블수정은 상기 타인작동의 1피치 앞에서 행하여진다.
다음에 복합레이블연속체(10)의 지지재료(3)는 플래튼(228)의 선단부근에 있어서 플래튼(228)을 사이에 두고 형성된 상부규제부재(230)와 하부규제부재(231)로 규제되어서 작은 루우프로 된 전향부(232)를 형성하고 또한 이번에는 지지재료(3)만이 본기의 후방으로 레이블압압부재(233)에 의하여 인도되어서 재차 회전체(222)의 이송핀(224)에 지지재료(3)의 계지절단선(9b 그리고 9a)이 계합되어 여기서 지지재료(3)에 대한견인(牽引)작용이 이루어진다. 이 이송핀(224)에 지지재료(3)의 계지절단선(9b,9a)이 계합될 경우도 계지절단선(9a,9b) 중 큰치수로 설정된 계지절단선(9b)측으로부터 이송핀(224)이 삽입되므로 확실하게 종절단선(8)에 삽입된다.
한편 지지재료(3)의 전향시에 있어서 이것에 가착되어 있는 레이블재료(1)는 인쇄가 끝난 단일레이블편(La)으로서 박리되며 첩착로울러(234)의 하면으로 풀리어져 나가 상품에 압압상태로 첩착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속의 235는 인자기(221)의 활자면(220)에 잉크를 도포하는 잉크로울러로 핸드레버(213)의 파악 조작에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재료(3)에 형성된 한쌍의 이송설편(8a,8a)은 그 길이방향으로 직행하는 폭방향 즉 횡방향으로 형성되므로 전향부(232)에 있어서 전향되어도 그 관성작용에 의하여 절단선의 말단이 찢어지는 일은 없다. 또 레이블재료(1)에 형성된 전후의 이송설편(6b,6b)은 길이방향으로 하나는 진행방향으로 향하고 다른 하나는 진행반대방향으로 향한 상태이나 이 레이블재료(1)는 지지재료(3)와 같이 반전작용이 되지 않으므로 찢기는 등의 문제는 일어나지 않는다.
다음에 회전체(222)의 원주상에 등간격으로 갖추어진 이송핀(224)의 횡단면형상은 각 실시예의 복합레이블연속체(10,20,30,40,50,60,70,80)의 지지재료(3,13,23,33,43,53,63,73)의 종절단선(8,18,28,38,48,58,68,78)의 전후에 형성되는 계지절단선(9a와 9b,19a와 19b,29a와 29b,39a와 39b,49a와 49b,59a와 59b,69a와 69b,79a와 79b)중 특히 전진측의 계지절단선(9a,19a,29a,39a,49a,59a,69a,79a)에 면접촉하는 것을 고려하여 이에 합치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즉 상술한 제1실시예(제1 내지 2도), 제2실시예(제3 내지 4도) 및 제7실시예(제9도) 그리고 제8실시예(제10도) 또한 제9실시예(제11도). 제10실시예(제12)도의 전진방향에 설치된 계지절단선(9a,19, 6a9a,79a,89a,99a)은 직선상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그 이송핀(224) 및 이송클릭(350)은 그 이송면을 평탄하게 한 횡단면 반원형상이 좋다.
또 제3실시예(제5도), 제4실시예(제6도), 제5실시예(제7도) 그리고 제6실시예(제8도)의 전진방향으로 설치된 계지절단선(29a,39a,49a,59a)은 내측 원호상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그 이송핀(224)은 횡단면 원형상이 좋다. 또한 상기 직선상을 나타내고 있는 전진방향의 각 계지절단선에 대하여도 이 횡단면원형상의 이송핀 또는 이송클릭이라 하더라도 충분히 그 이송효과를 지닌다.
다음에 제9실시예의 표시한 복합레이블연속체(90)를 레이블첩부기(310)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레이블첩부기(310)의 본기구성은 임의의 문자가 이미 인쇄된 복합레이블연속체(90)를 로울상으로 휘감겨진 상태로 보지하는 레이블카세트(311)(제14도)와 그 테이블카세트(311)를 붙이고 떼기 자유로 부착하여 수동조작에 의해서 테이프상에 복합레이블연속체(90)를 이송하고 또한 지지재료(83)로부터 레이블재료(81)를 박리하여 그 단일레이블편(Li)을 첩부 가능한 상태로하는 첩부기(312)(제16도)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레이블카세트(311)의 한쪽편의 기틀(313)에는 로울상으로 휘감겨진 복합레이블연속체(90)를 보지하는 보지관(314)이 회전자유로이 부착되어 있다.
315는 기틀(313)의 내면에 돌설된 환상돌기(316)(제18도)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회동체로서 그 측판의 후부에는 보지관(314)에 부착된 로울상복합레이블연속체(90)의 측방에 대한 풀림을 방지하는 원형의 풀림방지판(317)이 형성되며 또한 전단에는 만곡상의 레이블압압부(318)가 형성되어 있다.
또 319는 기틀(313)의 한쪽편에 핀(320)에 의하여 개폐자유로이 부착된 문짝으로서 내면에는 중앙에 원형의 압압판(321)이, 부단에 탄성훅(322)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제15도).
레이블카세트(311)의 저면에는 제18도와 같이 그 전단으로부터 후단까지 연속하여 지지재료 안내홈(323)이 요설(凹設)되고 또 저판(324)에는 그 길이방향에 따라서 한쌍의 클릭가이드(325)가 천설되어 있다(제18도). 326은 그 저판(324)의 전방에 부착된 지지재료(83)의 전향핀이며 327은 저판(324)의 후부에 설치된 지지재료 압압기구이다.
이 지지재료 압압기구(327)는 기틀(313)에 형성된 요소(凹所)(328)에 상하동 가능하게 수용된 압압부재(329)와 상기 지지재료 안내홈(323)의 후단에 고정된 수판(受板)(3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압압부재(329)는 그 하면중앙에 바늘(331)이 돌출되어 있다.
또 압압부재(329)의 양측면에는 각각 손잡이편(322)(제14 내지 15도 참조)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손잡이편(332)의 하부에는 반원상의 계합설편(333)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하여 압압부재(329)는 상기 요소(328)에 수용되어 있는 스프링(334)에 의하여 항상 하방으로 부세되어 있으며 그결과 상기 계합설편(333)이 통상은 레이블카세트(311)의 저면으로부터 돌출하고 또한 압압부재(329)가 수판(330)의 상면에 접촉하고 있다.
그 수판(330)은 저판(324)과의 사이에 지지재료(83)가 통과하기에 충분한 공간을 두고 부착되어 있으며 그의 거의 중앙에 압압부재(329)의 바늘(331)이 수용되는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또 제14 내지 15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레이블카세트(311)의 양측면 전단에는 각각 반원상의 계합철부(凸部)(335)가 형성되며 또한 양측면의 하부는 약간 요설되어서 첩부기(312)에 대한 부착부(336)로 되어있다. 또한 337은 상기 문짝(319)의 탄성훅(322)이 계합하는 계합부이다(제15도).
다음에 제16도, 제17도에 의하여 첩부기(312)를 설명하면 기틀(338)의 내부의 상방은 레이블카세트(311)의 수납부(339)로 되어있으며 그 기틀(338)의 상연(上緣)수평부는 각각 내방으로 약간 돌설되어서 재치(載置)부(340)가 형성되어 있다. 또 기틀(338)의 전벽(前壁)(341)내측에는 반원상의 한쌍의 계합요부(342)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기틀(338)의 전단에는 첩부로울러(343)가 회전자유로 축착되며 그 로울러(343)의 하방은 레이블출구(344)가 개구 형성되어 있다.
기틀(338)의 후부는 연장형성되어서 그립(345)으로 되어 있으며 그 그립(345)의 하방에는 핸드레버(346)가 그 전단을 기틀(338)에 추착(347)되어서 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핸드레버(346)와 그립(345)과의 사이에는 복귀스프링(348)이 수납되어 있으며 이에 의하여 핸드레버(346)는 항상 시계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기틀(338)내의 하부에는 지지재료(83)의 이송기구(349)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기구(349)는 상단에 한쌍의 횡단면 반원형상의 이송클릭(350)이 형성된 클릭부재(351)와 이클릭부재(351)를 보지하고 있는 보지틀(352)과 이 보지틀(352)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제1, 제2 및 제3링크(353,354,35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송클릭(350)의 치수는 지지재료의 전진방향측의 계지절단선(89a) 및 제10실시예(제12도)의 계지절단선(99a)과 거의 동일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제1링크(353)는 일단이 상기 핸드레버(346)에 고정되며 다른단에 부착된 로울러(356)가 제2링크(354)에 천설된 장공(357)의 끼워맞추어져 있다.
제2링크(354)는 하단이 기틀(338)사이에 횡으로 가설된 핀(358)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상단은 제3링크(355)에 회전가능하게 부착(359)되어 있으며 그 제3링크(355)는 선단이 보지틀(352)에 고정되어 있다.
보지틀(352)은 평면
Figure kpo00001
형으로 형성되고 그 양측면에는 각 한쌍의 로울러(도시하지 않음)가 부착되어 있어 그들의 로울러가 기틀(338)의 각 내벽면에 요설되어 있는 가이드홈(360)에 끼워맞추어져 있다.
또 클릭부재(351)는 보지틀(352)에 횡으로 가설된 핀(361)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항상 제17도중 반시계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있다.
362는 보지틀(352)의 후단에 횡으로 가설된 핀(363)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된 압상판(押上板)이며 364는 기틀(338)사이에 횡으로 가설된 핀(365)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된 지지부재로서 각각 스프링(366,367)에 의하여 제17도중 압상판(362)은 반시계방향으로, 지지부재(364)는 시계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있다.
그리하여 제18도의 정지상태에 있어서는 지지부재(364)의 상면이 압상판(362)의 후단하면을 접촉 지지하고 있다. 또 압상판(362)의 후단상면에는 테이퍼부(368)가 형성되어 있다.
기틀(338)의 후부에는 레이블카세트(311)의 부착시의 록기구(369)가 설치되어 있다(제17도). 즉기틀(338)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되고 또한 스프링(370)에 의하여 항상 시계방향으로 힘이 가해져있는 록부재(371)와 기틀(338)의 후부상단에 전후방향으로 접동가능하게 부착되어 그 일부가 록부재(371)에 접촉되어 있는 제거용버튼(372)으로 이루어지며 레이블카세트(311)의 부착시에 있어서는 록부재(371)의 하단각부(角部)(373)가 레이블카세트(311)의 후면에 천설된 개구부(374) 하단의 계합부(375)에 계합하여 록된다(제17도, 제18도 참조).
또한 상기 클릭부재(351)의 전방에는 판스프링으로된 지지재료 압압편(376)이 기틀(338)에 부착되어있다.
상기 구성의 레이블카세트(311) 및 첩부기(312)는 우선 제15도와 같이 레이블카세트(311)의 측면의 문짝(319)을 열고 로울상으로 휘감겨진 복합레이블연속체(90)를 보지관(314)의 외주에 부착하고 문짝(319)을 닫는다.
이어서 회동체(315)를 그 레이블압압부(318)가 상방으로 위치하도록 기립시킨후 테이프상의 복합레이블연속체(90)의 선단을 인출하여 수매의 단일레이블편(Li)을 떼고 지지재료(83)만을 전향핀(326)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반전시켜 그 선단을 압압부재(329)와 수판(330)과의 사이에 끼우게 한다. 즉 손잡이편(322)을 손가락으로 밀어올려서 압압부재(329)전체를 상동(上動)시키고 나서 압압부재(329)와 수판(330)과의 사이에 지지재료(83)를 삽입한 후 손가락을 놓으면 압압부재(329)는 스프링(334)의 작용력에 의하여 하강하고 그 압압부재(329)가 수판(330)과의 사이에서 지지재료(83)를 협압함과 동시에 바늘(331)이 지지재료(83)를 찔러서 지지재료(83)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기립되어 있는 회동체(315)를 제18도와 같이 본래의 위치로 회동시켜서 레이블압압부(318)를 복합레이블연속체(90)에 접촉시킨다.
다음에 이 레이블카세트(311)선단의 계합철(凸)부(335)를 첩부기(312)의 계합요(凹)부(342)에 계합시키면서 레이블카세트(311)의 부착부(336)를 수납부(339)에 수납한다.
그 경우 레이블카세트(311)의 양측면에 형성된 단부(377)[한쪽은 문짝(319)에 하면]가 첩부기(312)의 재치부(340)위에 재치됨과 동시에 록기구(369)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록된다.
즉 레이블카세트(311)의 삽입시에는 계합부(375)가 록부재(371)를 스프링(370)의 작용력을 버티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하강하나 그 계합부(375)가 록부재(371)의 하단각부(373)를 타고 넘으면 상기스프링(370)의 작용에 의하여 록부재(371)는 본래위치로 복귀하고 그 하단각부(373)가 상기 계합부(375)에 계합하여 록 된다(제18도).
그리하여 핸드레버(346)를 파악하면 제1, 제2, 제3링크(353,354,355)를 통하여 보지틀(352)이 가이드홈(360)에 따라서 후방(제18도 우방)에 수평으로 이동한다. 그 이동할 때에 클릭부재(351)의 이송클릭(350)이 지지재료(83)의 종절단선(88)에 삽입되고 그 좌우에 한쌍의 이송설편(88a,88a)으로서 횡방향으로 기립시켜진다. 이 이송클릭(350)이 종절단선(88)에 삽입될 때에는 종절단선(88)의 전후에 설치된 계지절단선(89a,89b)중 큰치수로 설정된 전진반대방향측의 계지절단선(89b)측으로부터 삽입되므로 이송클릭(350)은 확실하게 종절단선(88)에 삽입된다. 이렇게하여 횡단면 반원형상의 이송클릭(350)은 후방에 대한 수평이동에 의하여 종절단선(88)의 사이를 약간 이동하여 계지절단선(89a)에 면접촉하여 지지재료(83)를 이송한다. 이 이송할때에 이송클릭(350)은 계지절단선(89a)에 면접촉하기 때문에 그 이송하중이 분포되어서 집중하중에 의한 이송의 불안정화가 해소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송클릭(350)이 지지재료(83)를 이송함과 동시에 압상판(362)도 이동하여 압압부재(329)의 계합설편(333)을 밀어올리고 그 결과 압압부재(329)의 바늘(331)에 의한 지지재료 압압은 해제되므로 지지재료(83)는 원활하게 후방으로 이송되어 기외로 배출된다.
또한 핸드레버(346)를 파악하면 압상판(362)이 후퇴하여 압상판(362)의 하면과 지지부재(346)와의 계합이 떼어지기 때문에 압압부재(329)는 스프링(334)의 작용력에 의하여 압상판(362)을 반시계방향으로 밀어내리면서 하강하여 본래 위치로 복귀하고 그 압압부(329)와 바늘(331)에 의하여 재차 지지재료(83)를 고정시킨다.
한편 이 지지재료 이송을 할 동안에 기체전부의 전향핀(326)에 있어서는 복합레이블연속체(90)가 레이블압압부(318)에 의하여 수평상으로 규제되어 있기때문에 지지재료(83)만이 급각도로 반전하고 레이블재료(81)는 지지재료(83)로부터 박리되면서 전진하여 레이블출구(344)로부터 단일레이블편(Li)으로서 첩부로울러(343)의 하방으로 송출된다.
물품에 대한 단일레이블편(Li)의 첩부는 상술한 인쇄첩부기(210)와 마찬가지로 첩부로울러(343)의 하방에 있는 단일레이블편(Li)의 하면(점착면)을 물품에 대고 비벼대면 첩부로울러(343)의 작용으로 첩부된다.
이어서 핸드레버(346)를 놓으면 복귀스프링(348)의 작용에 의해서 핸드레버(346)는 본래위치로 복귀하고 동시에 제1 내지 제3링크(353 내지 355)를 통하여 보지틀(352)도 전진하여 제18도의 상태로 복귀한다.
다음에 레이블카세트(311)를 첩부기(312)로부터 떼어낼적에는 제거버튼(372)을 전방으로 밀면 록부재(37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그 하단각부(373)가 레이블촉세트(311)의 계합부(375)로부터 떨어지며 그것과 동시에 지지재료안내홈(323)의 전부에 있어서 지지재료(83)의 하면을 압압하고 있는 지지재료압압편(376)의 스프링작용에 의해서 레이블카세트(311)의 후부가 약간 떠오르기 때문에 원터치로 용이하게 떼어낼 수가있다.
따라서 지지재료(83)에 형성된 한쌍의 이송설편(88a,88a)은 그 길이방향으로 직행하는 폭방향 즉 횡방향으로 형성되므로 전향핀(326)에 있어서 전향되어도 그 관성작용에 의하여 절단선의 말단이 찢어지는 일은 없다.
또한 제12도에 표시된 제10실시예의 복합레이블연속체(100)는 제11도에 표시된 제9실시예와 비교하여 대형의 레이블이므로 종절단선(98)이 폭방향으로 6개소 병설되어 있으므로 상기 레이블부기(310)도 대형으로 됨과 동시에 이송클릭(350)도 6개 병설되는 것은 말할나위도 없다.
본 발명은 서술한 바와같이 포개 합쳐지는 관계에 있는 레이블재료와 지지재료로 이루어진 복합레이블연속체에 있어서 그 지지재료쪽에 그 길이방향에 등간격으로 배설된 이송절단선군을 설치하고 이군은 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1개의 종절단선과 이 절단선의 양단에 있어서 연설된 한쌍의 계지절단선을 갖추고 이 계지절단선의 길이는 상기 지지재료의 전진반대방향측을 전진방향측보다 큰 치수로 설정하였으므로,
(1) 이송핀(이송클릭)이 지지재료에 배설된 종절단선에 삽입될때 삽입되는 지지재료의 전진반대방향측이 크게 넓어지므로 확실하게 이송핀(이송클릭)이 종절단선에 계합하여 복합레이블연속체의 확실한 이송작용이 될 수 있는 이점을 지닌다.
(2) 또 이송핀(이송클릭)이 지지재료를 이송할 때는 이송핀(이송클릭)이 종절단선의 사이를 약간 이동하고 나서 전진방향측의 계지절단선에 면접촉하나 이송핀(이송클릭)의 치수와 지지재료의 전진방향측의 계지절단선의 치수와는 거의 동일치수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그 이송하중이 분포되어서 집중하중에 의한 이송의 불안정화가 해소될 수 있는 이점을 지니다.
(3) 더우기 대형의 복합레이블연속체에서는 그 이송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지지재료의 폭방향으로 복수개의 이송절단선군이 병설되나 이 경우의 지지재료를 이송할때 이송핀(이송클릭)의 이송하중이 가해지는 지지재료의 전진방향측의 계지절단선의 길이는 그 다른측보다 작은 치수로 되어 있으므로 복수개 병설된 이송절단선군의 이웃끼리의 간격이 크게되어 이웃끼리의 사이에서 지지재료가 찢기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이점을 지니고 있다.

Claims (1)

  1. 포개 합쳐지는 관계에 있는 점착제가 붙은 레이블재료와 이형제가 붙은 지지재료와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이블재료가 지지재료에 가착(假着)되고 이 지지재료의 반전작용에 의하여 상기 레이블재료를 박리하는 감압성의 복합레이블연속체에 있어서, 상기 지지재료중에 그 길이방향에 등간격으로 배설된 이송절단선군을 설치하고 이군은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1개의 종(縱)절단선과 이 종절단선의 양단에 있어서 연설(連設)한 한쌍의 계지절단선을 갖추고, 이 계지절단선의 길이는 상기 지지재료의 전진반대방향측을 전진방향측보다 큰치수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레이블연속체.
KR1019830003368A 1982-09-06 1983-07-21 복합레이블연속체 KR8700003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7153978A JPS6027992B2 (ja) 1982-09-06 1982-09-06 複合ラベル連続体
JP153978 1982-09-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266A KR840006266A (ko) 1984-11-22
KR870000396B1 true KR870000396B1 (ko) 1987-03-07

Family

ID=15574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3368A KR870000396B1 (ko) 1982-09-06 1983-07-21 복합레이블연속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642256A (ko)
EP (1) EP0102599B1 (ko)
JP (1) JPS6027992B2 (ko)
KR (1) KR870000396B1 (ko)
DE (2) DE3363938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8170U (ja) * 1984-04-13 1985-11-08 株式会社 サト− 複合ラベル連続体
GB2158802B (en) * 1984-05-17 1987-12-09 John Davis Morris Label strip
JPS61502227A (ja) * 1984-05-24 1986-10-02 スウオ−ブリツク,アラン 改善された発電機
DE3711256A1 (de) * 1987-04-03 1988-10-13 Lohmann Therapie Syst Lts Abziehhilfe sowie ihre verwendung
DE3931018A1 (de) * 1989-09-16 1991-05-16 Lohmann Therapie Syst Lts Applikationshilfe fuer flaechige substratabschnitte
GB2254289B (en) * 1991-04-05 1995-03-22 Gerber Garment Technology Inc Readily transferrable adherent tape and methods of use and making
US5309685A (en) * 1992-02-05 1994-05-10 Illinois Tool Works Inc. Roof perimeter composite securing element and method of installing
US5711116A (en) * 1992-02-05 1998-01-27 Illinois Tool Works Inc. Polymer batten with adhesive backing
US5417790A (en) * 1992-10-01 1995-05-23 Michael R. Kennedy Label systems for reusable containers and the like
US5788284A (en) * 1995-09-08 1998-08-04 Sinclair International Limited Labels
JP3416004B2 (ja) * 1995-12-18 2003-06-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製版シートおよび製版シート群並びにその印刷装置
WO1998027536A1 (en) * 1996-12-17 1998-06-25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Adhesive label for a cylindrical article
DE19804807A1 (de) * 1998-02-06 1999-11-11 Avery Dennison Corp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Laminatetiketten sowie Laminatetiketten
US20030145945A1 (en) * 2002-02-06 2003-08-07 Kennedy Patrick R. Labeling assembly
US20070131781A1 (en) * 2005-12-08 2007-06-14 Ncr Corporation Radio frequency device
US9073244B2 (en) * 2007-05-16 2015-07-07 Mpt, Inc. In-mold labeling system for containers
US7948384B1 (en) 2007-08-14 2011-05-24 Mpt, Inc. Placard having embedded RFID device for tracking objects
JP5556314B2 (ja) * 2010-04-02 2014-07-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媒体およびリストバンド、ならびにリストバンドの作成方法
USD765869S1 (en) 2016-03-11 2016-09-06 Le-Vel Brands, Llc Sheet of nutritional adhesive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1309A (en) * 1971-06-23 1978-03-28 Monarch Marking Systems, Inc. Method of making a composite label web
DE2433957A1 (de) * 1973-07-18 1975-02-13 Monarch Marking Systems Inc Vorrichtung zum bedrucken und aufbringen von druckempfindlichen, auf einer traegermaterialbahn angeordneten etiketten
JPS5822199Y2 (ja) * 1978-11-14 1983-05-12 株式会社サト− 感圧性ラベル連続体
DE3007088A1 (de) * 1980-02-26 1981-09-03 Franz 6082 Mörfelden-Walldorf Quirin Haftetikettenband
US4320158A (en) * 1980-05-30 1982-03-16 Monarch Marking Systems, Inc. Composite label web roll
US4393107A (en) * 1981-03-02 1983-07-12 Monarch Marking Systems, Inc. Composite label we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266A (ko) 1984-11-22
EP0102599B1 (en) 1986-06-04
JPS5944081A (ja) 1984-03-12
JPS6027992B2 (ja) 1985-07-02
DE3363938D1 (en) 1986-07-10
EP0102599A1 (en) 1984-03-14
DE102599T1 (de) 1984-07-05
US4642256A (en) 1987-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0396B1 (ko) 복합레이블연속체
US4210688A (en) Pressure sensitive label strip for use in a label printing machine
US3686055A (en) Hand held labelling apparatus
US4104106A (en) Label printing and applying apparatus
US20120279664A1 (en) Tape feeding device and tape applicator
US4026758A (en) Portable labelling machine
US5045145A (en) Means for supplying a label strip
US4100852A (en) Label printing apparatus
GB2170178A (en) Roll fed labelling machine
JPS596776B2 (ja) 感圧式ラベルのプリント貼付装置
US4197799A (en) Label arranging device for label printing machine
US4451323A (en) Portable label applying machine
US4382835A (en) Composite label arranging device
US3930927A (en) Tape dispenser for double-coated tape
GB2059384A (en) Label printing apparatus
JPS6251815B2 (ko)
US3774489A (en) Quick change labeling head
US4498389A (en) Labeler with inking mechanism
JPS5822199Y2 (ja) 感圧性ラベル連続体
US3952652A (en) Label printing and applying apparatus
US6464819B1 (en) Method and system for tabbing folded material
US4360399A (en) Hand-held labeler and labeling method
US4785735A (en) Label printing and applying apparatus
JPS63289B2 (ko)
KR830000133Y1 (ko) 감압성(感壓性) 레이블 연속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04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