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0172Y1 - 일체화된 저판과 전지수용부를 지닌 휴대용 무선장치용 하우징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일체화된 저판과 전지수용부를 지닌 휴대용 무선장치용 하우징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0172Y1
KR870000172Y1 KR2019860015193U KR860015193U KR870000172Y1 KR 870000172 Y1 KR870000172 Y1 KR 870000172Y1 KR 2019860015193 U KR2019860015193 U KR 2019860015193U KR 860015193 U KR860015193 U KR 860015193U KR 870000172 Y1 KR870000172 Y1 KR 8700001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attery
opening
holder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51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까시 오야마다
Original Assignee
닛본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세끼모또 타다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세끼모또 타다히로 filed Critical 닛본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600151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01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01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1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08Constructional details, e.g. cabinet
    • H04B1/086Portable recei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Structure Of Receiv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일체화된 저판과 전지수용부를 지닌 휴대용 무선장치용 하우징 어셈블리
제1도는 본 고안이 응용되는 휴대용 페이징 수신기의 하우징을 도시한 전방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하우징의 후방 사시도.
제3a도 내지 제3c도는 각각 제1도에 도시한 하우징의 저판 및 전지 수용부의 전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
제4도는 제1도에 도시한 하우징의 분해 사시도.
제5도는 제1도에 도시한 하우징의 단부 정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이 응용되는 다른 페이징 수신기의 하우징의 사시도.
제7도는 제6도에 도시한 하우징의 저면 케이싱 및 전지 수용부의 분해 사시도.
제8a도 및 제8b도는 각각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한 하우징의 저면 케이싱의 단부와 저면 뚜껑을 제거시킨 후단부를 도시한 도면.
제9도는 본 고안에 의한 홀더의 후방 사시도.
제10도는 제9도에 도시한 홀더의 분해 사시도.
제11도는 제9도의 홀더의 전방 사시도.
제12도는 제9도의 홀더의 부분 단면도.
제13도는 본 고안에 의한 하우징과 체인 클립간의 관계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제14도 및 제14b도는 각각 본 고안에 의한 전지 덮개와 이 전지 덮개의 분리를 예방하기 위해 메카니wma의 록크 노브(lock knob)를 결합시키기 위한 개구의 평면도 및 선 14B-14B를 따라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제14c도는 제14a도 및 제14b도에 도시한 개구에 계합될 록크 노브의 사시도.
제15도는 제4도 또는 제7도에 도시한 메카니즘의 하우징 및 전지덮개의 상호 계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16a도 및 제16b도는 각각 제4도 또는 제7도의 메카니즘에서 언록크 위치에 있는 록크 노브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및 측단면도.
제17a도 및 제17b도는 각각 제4도 또는 제7도의 메카니즘에서 록크 위치에 있는 록크 노브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및 측단면도.
제18a도 및 제18b도는 각각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무선 장치의 하우징에 직접 장착된 클립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제19도는 제17a도의 선 19-19를 따라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페이징수신기 2 : 스위치
3 : LED 4 : 구멍
5 : 전지덮개 6 : 저판
7 : 록크 노브(lock knob) 8 : 보스(boss)
11 : 전지 수용부 12 : 인쇄 회로기관
13 : 돌출부 44 : 전지
46 : 스피커 70 : 홀더
86 : 체인 87 : 클립
본 고안은 페이징 수신기와 같은 휴대용 무선장치의 하우징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종류의 무선 장치는 보통 전지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다. 이러한 장치에는, 인쇄회로기판 또는 인쇄 배선판에 부착되는 전지 수용부가 통상 마련되어 있다. 인쇄회로기판은 무선장치용 하우징의 프레임부재 내에 성형된다. 그 다음 프레임 부재는 덮개에 의해 덮혀진다. 그러므로, 인쇄 회로기판 또는 그 위에 있는 회로소자들을 교환하거나 무선장치의 검사 또는 정비를 수행하기가 어렵다.
종래의 휴대용 무선장치에 있어서, 안테나·진동기 등의 임의적인 부품을 추가시키는 것과 같이 명세내역을 변경시키는 것은 특정한 임의 부품형태에 대응하는 상이한 종류의 하우징을 각각 마련함으로써 해결 되었었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무선 장치용의 하우징은 소형이면서도 경량의 설계로 양산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을 성형시켜 형성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상이한 종류의 하우징은 상이한 종류의 성형을 요구하여, 생산가를 증가시켰다.
종래의 무선장치에는 혁대 등에 걸 수 있도록 하우징에 직접 설치된 클립(clip)이 마련되어 있으나, 이 클립은 무선장치가 가방 등에 사용될 때는 다소 두통거리였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목적은 검사하고 정비하기에 간단하고 용이한 휴대용 무선 장치용 하우징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서로 일체로 성형된 저판과 전지 수용부를 지닌 휴대용 무선장치용 하우징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인쇄회로기판을 일체화된 저부판 및 전지 수용부에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는 휴대용 무선장치용 하우징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일체로 성형된 저부판 및 전지 수용부를 단순히 교체시킴으로써 임의 부품이 수용되게 하는 휴대용 무선장치용 하우징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하우징 저부의 부피의 변화에 관계없이 무선장치의 하우징을 유지할 수 있는 휴대용 무선장치용 홀더(holder)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필요시 클립을 지닌 하우징과 동일한 기능이 마련되는 휴대용 무선장치용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묵적은 클립을 지닌 홀더 및 체인을 지닌 클립에 응용되는 휴대용 무선장치용 하우징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무선 장치의 전지 수용부용 덮개가 전지 수용부에서 미끄러지지 않게 예방하는 메카니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한 형태에 따르면, 저부에서 개방되고 무선장치를 수용할 용적을 지닌 하우징, 이 하우징의 개방 저부를 폐쇄시키도록 된 크기의 저면부, 무선 장치용 전지를 수용하기 위해 저면부와 일체로 성형된 전지수용부, 무선 장치를 로딩(loading) 시키고 일체로 성형된 저면부 및 전지 수용부에 일치하는 윤곽을 지닌 인쇄회로기판 및 인쇄회로기판을 저면부 및 전지 수용부에 록킹시키기 위한 록킹 메카니즘으로 구성된 휴대용 무선장치용 하우징 구조물이 제공된다.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목적ㆍ특징 및 장점들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제1도를 참조하면, 페이징 수신기 또는 페이저(pager, 1)은 휴대용 크기로 되어 있고, 호출되었을 때 스피커(도시하지 않았음)용 구멍(4)를 통해 소리를 통과시키거나 발광 다이오드(LED, 3)에 불이 들어오게 함으로써 페이저의 휴대자에게 호출을 통지한다.
스피커로부터 나온 소리와 LED(3)의 반짝거림은 스위치(2)에 의해 리셋트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지 덮개(5)는 하우징(1)의 뒷면에 배치되어 있는 후술하는 록크 노브(7)에 의해 하우징(1)에서 미끄러지지 않게 예방한다. 후에 상세히 기술하는 바와 같이, 저부판(6)은 하우징(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보스(boss, 8)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클립을 지닌 체인이 부착될 수 있도록 하우징(1)로 부터 돌출된다.
제3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의 저부판(6)은 이와 일체로 성형된 전지 수용부(11)을 갖고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12)를 재위치에 고정시키도록 된 돌출부(13)이 저부판(16)과 일체로 성형된다.
제3c도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3)은 인쇄 회로기판(12)를 대향측들로 부터 유지시키기 위한 리세스 또는 홈(14)를 포함한다. 인쇄 회로기판(12)를 더욱 제한시키기 위해 스프링 핀이 사용된다. 인쇄 회로기판(12)의 부수적인 제한은 리세스(15), 개구(16) 및 견부(19)에 의해 취해진다. 즉, 인쇄 회로기판(12)는 리세스(15) 및 개구(16)에 각각 수용되도록 형성된 태브(tab, 17 및 18)을 갖고 있다. 견부(19)는 인쇄 회로기판(12)의 연부가 이에 대향하여 유지되도록 형성되고 배열되어 있다. 이 방법에서, 인쇄 회로기관(12)의 태브(17 및 18), 돌출부(13), 리세스(15), 개구(16) 및 견부(19)는 결합하여 록킹 메카니즘을 구성하여, 인쇄회로기판(12)가 일체로 성형된 전지수용부(11) 및 저부판(6)에 단단히 부착되게 한다.
리세스(20 및 21)은 각각 전지의 (+) 단자 및 (-) 단자의 접촉점을 수용하도록 작용한다. (+)단자 마크(23), (-)단자 마크(24) 및 전지 마크(25)는 전지수용부(11)을 주형하는 동안 이 수용부를 국부적으로 제거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마크(23-25)는 누구나 전지를 잘못 위치시키지 않고서 교환할 수 있게 해준다.
개구(26)은 제3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지(44)를 끼우거나 뺄때 편리하도록 전지 수용부(11)을 통해 형성된다. 제거된 부분들(23-26)은 상술한 기능 이외에도 경량의 하우징 구조를 가능케 한다. 홈(20 및 21)에 수용된 (+)(-) 접촉점들은 인쇄회로기판(12)와 전지수용부(11)간의 상호 접선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납땜으로 인쇄회로기판(12)상의 부품들에 개별적으로 접속된다.
제4도에서, 인쇄 회로기판(12)는 저부판(6) 및 전지수용부(11)과 일체로 조립된 후 아래쪽에서 부터 하우징(1)로 삽입된다. 인쇄 회로기판(12), 저부판(6) 및 전지수용부(11)의 일체 구성은 홈 및 구멍을 상술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 및 태브와 맞추고 그후 스프링편(41)로 이들을 함께 조임으로써 달성된다.
금속편으로 된 안테나(45)는 소켓(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인쇄회로기판(12)에 접속된다. 전지(44)용 접촉점(42 및 43)은 각각 전지 수용부(11)의 대향단부에 수용된다. 스위치(2) 및 스피커(46)은 각각 선정된 위치에 배치된다.
인쇄 회로기판(12)의 상연부는 하우징(1) 내에 형성된 보어(49)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노치(48)과 함께 형성된다. 암나사로 형성된 금속 리테이너(53)은 노치(48)과 일렬로 회로기관(12)상에 단단히 부착된다.
하우징(1)에 회로기판(12)를 삽입시킨 후, 나사(50)은 하우징(1)의 보어(49)를 통해 리테이너(53)으로 조여진다. 하우징(1)에는 전지수용부(11)에 대응하는 그 측면부의 소정위치에 개구(51)이 마련되어 있다.
전지덮개(5)는 개구(51)을 폐쇄시키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하우징(1)의 상부에는 스위치(2)용 개구, LED(3)용 개구 및 스피커(46)용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클립과 체인을 록킹시키기 위한 금속용구(52)는 보스(8)과 계합할 수 있다. 전술한 식으로 조립된 페이저 하우징은 제5도에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2)는 전지 수용부(11) 및 저부판(6)의 일체 성형물에 부착되고, 필요한 부품들이 기판(12)에 적재되어, 최종적인 어셈블리가 하우징(1)에 삽입되고, 그후 나사(50)에 의해 하우징(1)에 고정된다. 그후, 장착된 전자 부품들은 하우징에 삽입되기 전이나 나사(50)을 제거하여서 하우징으로 부터 제거된 후에도 동작할 수 있으므로, 검사정비 등의 서어비스를 편리하게 한다.
한편, 전지용 접촉점이 인쇄회로기판(12)에 납땜되기 전에, 인쇄회로기판(12)는 스프링핀(41)을 간단히 뽑음으로써 저부판(6) 및 전지 수용부(11)로 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이것은 진동기, 페라이트 안테나 및 기타 임의의 부품들이 부수적으로 기판(12)상에 쉽게 설치될 수 있게 한다.
이제 부수적인 임의의 부품들을 수용하는 본 고안에 의한 구조물에 대해 설명하겠다. 제6도에서, 임의의 부품은 저부판을 대신하여 하우징(1)의 세로방향으로 연장된 저부 케이싱(61)에 수용된다.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시된 저부 케이싱(61)은 예를 들어 내부에 모터(621) 및 진동편(622)로 이루어진 진동기를 수용한다. 진동기 어셈블리는 쿠션(623)으로 둘러 싸여진다. 케이싱(61)의 저부는 보스(69, 제8b도 참조) 및 나사(64)에 의해 고정되는 폐쇄부재 또는 뚜껑(63)으로 폐쇄된다. 이 구조는 저부 케이싱(61)을 제외하고는 제1도 내지 제5도의 구조와 공통이다. 외부 단자(65)들은 전지 충전단자로서 작용하도록 단자용구(66)에 고정된다. 제8a도 및 제8b도에서, 금속용구(66) 및 진동기 모터(621)로 부터 연장되는 리이드선(68)은 케이싱(61)을 통해 형성된 개구(67)을 통해 인쇄 회로기판(12)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61) 내에 평판 안테나(45)로 대치될 수 있는 페라이트 안테나 또는 기판(12)의 용적을 초과하는 것과 같은 다른 임의의 부품을 저장할 수도 있다.
이 벙법에서, 임의의 부품들은 하우징(1)의 성형 형태를 변형시키지 않고서 간단히 저부판을 저부 케이싱으로 대치시킴으로써 장착될 수 있다. 하우징(1)의 일반적인 성형 기술은 전지 수용부(11)의 개구(51) 및 전지덮개(5)의 상호 계합 상태를 조정하는 기술을 포함하므로, 고가의 금속 성형을 요구하여 생산가를 높이고 있다. 이런 점에서, 제6도 내지 제8b도에 도시한 구조물로 달성될 수 있는 금속성형을 공동 사용하면 제작면에서 뿐 아니라 사용자에게도 잇점이 있다.
제9도를 참조하면, 홀더(70)은 이미 언급한 저부판(6) 및 저부케이싱(61)과 형태가 정합된다. 홀더(70)은 나비형 클립을 하우징(1)에 부착할 때 사용되고 간단한 클립이 요구될 때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휴대자가 선택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홀더(70)은 후에 상세히 기술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에 쉽게 부착시키고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홀더(70)은 하우징(1)의 윤곽에 일치하게 성형한 기이트로 된 장착 부재이고 대개 교차 단면이 u형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예를들어 플라스틱을 성형하여 형성될 수 있다. 나비형 개방 및 폐쇄작용을 할수 있는 클립(71)은 홀더(70)의 뒷면에 장착된다.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71)은 E링(831) 및 핀(82)를 사용하여 스프링(81)을 통해 클립지지대(84)에 접속된다. 홀더(70)의 일측부는 하우징(1)의 보스(8)과 계합하도록 참조번호(72)에서와 같이 노치된다. 홀더(70)의 연부중의 상당부분은 홀더(70)을 제거시키지 않고서 전지를 교환할 수도 있도록 약간 경사지게 노치되어 있다. 이 노치의 크기는 전지덮개(5)의 운동 및 제10도의 일점 쇄선으로 표시된 록크 노브(7)의 운동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제11도에서, 홀더(70)에는 전면 상부에 돌출부(73) 및 슬롯트(74)가 형성되어 있다.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73)은 하우징(1)에 형성된 리세스(74)에 계합될 수 있고, 슬롯트(74)는 돌출부(73)을 포함한 홀더(70)의 부분이 홀더(70)의 나머지 부분에 관련하여 만곡되게 한다. 제12도에서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분의 만곡부는 하우징(1)의 홀더(70)에의 부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돌출부(73)과 리세스(74)의 계합부와 결합된 만곡부는 하우징(1)상에 홀더(70)에 의해 나오는 제한력을 증가시킨다.
제13도에서, 보스(8)에는 체인(86)과 클립(87)을 유지하도록된 금속용구(52)를 수용하는 구멍(55)과 형성되어 있다. 체인 클립(87)은 예를들어 하우징(1)이 홀더(70) 외부에 있을 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서, 수신기 하우징(1)을 위의 상태에서 홀더(70) 내로 밀어 넣으면 제9도에 도시한 형태를 이루게 되는데, 이것은 제18a도 및 제18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립을 수신기 하우징에 직접 설치한 구조와 사실상 등가이다. 체인 클립(87)만의 사용은 하우징(1)을 홀더(70)으로 부터 상방으로 뽑음으로써 쉽게 수행된다. 이 경우에 요구되는 힘은 하우징(1)의 리세스(74)와 홀더(70) 상의 돌출부(73)의 상호 계합 상태의 심도를 조정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홀더(70) 자체의 탄성과 돌출부(73) 및 리세스(74)의 상호계합은 하우징(1)이 홀더(70)으로 부터 상방으로 미끄러지지 않게 예방하도록 협동하는 한편, 체인클롭(87)용 보스(8)과 홀더(70)의 노치(72)는 홀더(70)이 하방으로 미끄러지지 않게 예방한다.
다시 제7도를 참조하면, 전지덮개(5)는 하우징(1) 내로 측방으로 미끄러져서 래치부재(91)이 하우징(1)내에 형성된 돌출부(100, 제15도 참조)에 충분히 걸쳐질 때의 위치로 록크된다.
이와 동시에, 전지 덮개(5)의 측면에 위치한 계합부(93)은 하우징(1)의 계합부(96)과 결합된다. 하우징(1)에서 전지 덮개(5)를 제거시키기 위해서, 덮개(5)는 깔죽부(95)를 손가락으로 누름으로써 상기와 반대방향으로 측면으로 미끄러진다.
전지 덮개(5)가 하우징(1)에 록크된 후에, 록크노브(7)은 덮개(5)의 분리를 예방하도록 덮개(5)의 노치(92)와의 계합위치로 미끄러진다. 제14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록크 노브는 깔죽부(99) 및 후크형의 걸부(98)을 가지고 있다. 설부(98)이 제19도에 도시한 개구(94)에 결합됨으로써, 노브(7)이 하우징(1)에 부착된다. 제14a도 및 제14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94)는 내부에 2개의 러그(97)을 갖고 있다. 러그(97) 및 설부(98)의 탄성에 의해, 록크노브(7)은 전지덮개(5)를 선택으로 록크시키거나 언록크시킨다.
제16a도 내지 제17b도를 참조하여 노브(7)과 관련된 록킹 메카니즘 및 언록킹 메카니즘에 대해 기술하겠다. 제16a도 및 제16B도에 도시한 위치에서, 록크 노브(7)은 덮개(5)로 부터 이탈된 상태로 도면의 상부에 유지되고, 덮개(5)는 이미 설명한 절차에 의해서 하우징(1)로 부터 제거될 수 있다.
한편, 제17a도 및 제17b도의 위치에서, 노브(7)은 덮개(5)의 노치(92)와 계합되는 도면의 저부에 있게 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덮개(5)는 하우징(1)에 관련하여 움직일 수 없게 되어, 하우징이 수송되는 과정에서 외부 물체와의 진동, 충격, 충돌 및 외부 접촉의 영향을 받기 쉽지만 하우징(1)로 부터 분리되는 것이 제한된다.
제18a도 및 제18b도에서, 수신기 하우징(101)은 이에 직접 부착된 나비형 클립(171)을 갖고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즉, 클립(171)은 핀(182) 및 링(183)을 사용하여 스프링(81)을 통해 하우징(101)에 고정된 클립 지지대(184)에 부착된다. 이 구조의 그 나머지 부분은 이미 설명한 하우징의 부분과 공통이다.

Claims (15)

  1. 단부가 개방되어 있고 무선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용적을 갖고 있는 하우징(1,101), 이 하우징(1,101)의 개방단부를 폐쇄시키도록 된 치수의 단부 폐쇄부재(6,61), 이 단부 폐쇄부재(6,61)과 일체로 성형되어 단부 폐쇄부재의 일부를 형성하여 무선장치용 전지(44)를 수용하기 위한 전지 수용부(11), 무선장치가 장착되고 기판 지지용 단부 폐쇄부재(6,61) 및 전지수용부(11)에 일치하는 윤곽을 갖고 있는 인쇄 회로기판(12) 및 단부 폐쇄부재(6,61)과 전지수용부(11)에 인쇄회로기판(12)를 록킹시키기 위한 록킹 메카니즘(13, 내지 19 및 4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단부 폐쇄부재가 저부판(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단부 폐쇄부재가 무선 장치의 임의 부품(621 내지 623)을 저장하기 위한 저부 케이싱(6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무선 장치가 페이징 수신기이고, 임의 부품이 진동기(621 내지 623)인 것은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전지수용부(11)이 +단자 마크(23), -단자 마크(24) 및 전지형태 마크(25)를 정하는 절단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록킹 메카니즘이 인쇄회로기판(12)의 연부에 형성된 개구 및 최소한 1개의 태브(17,18), 개구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단부 폐쇄부재(6,61)로 부터 연장되는 돌출부(13), 태부(18)과 계합될 수 있도록 단부 폐쇄부재(6,61)과 전지 수용부(11) 중의 한 부분에 형성된 리세스(15), 인쇄 회로기판(12)와 계합될 수 있는 전지 수용부(11)의 최소한 일부 영역에 형성된 견부(19) 및 돌출부(13)과 개구를 상호 접속시키기 위한 핀(4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구조물.
  7.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1,101)을 유지시키기 위한 홀더(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구조물.
  8. 제7항에 있어서, 홀더가 하우징(101)의 뒷면에 직접 부착된 나비형 클럽(7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구조물.
  9. 제7항에 있어서, 홀더(70)이 하우징(1)이 이 홀더(70) 내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하우징(1)의 상부ㆍ저부 및 전면부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절개되어 있는 u형 본체, 하우징(1)의 상부의 측벽에 배치된 보스(8), 이 보스(8)과 계합하기 위한 위치에서 u형 본체의 상연부에 형성된 노치(72) 및 u형 본체의 뒷면에 장착된 나비형 클립(7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구조물.
  10. 제9항에 있어서, 홀더(70)이 하우징(1)을 유지시키는 동안 전지(44)를 전지 수용부(11)에 삽입시키고 빼낼 수 있도록, 홀더(70)이 전지 수용부(11)을 덮는 u형 본체의 일부에 형성된 노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구조물.
  11. 제9항에 있어서, 홀더(70)이 하우징(1)과 계합될 수 있고 상부 개방연부 근처에 있는 u형 본체의 표면으로 부터 연장되는 돌출부(73) 및 이 돌출부(73)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부 개구로 부터 연장되는 슬롯트(74)를 포함하고, 하우징(1)이 u형 본체의 돌출부(73)이 계합될 수 있는 리세스(7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구조물.
  12. 제9항에 있어서, 보스(8)에 내부에 부속물(86,87)을 계합시키기 위한 개구(8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구조물.
  13. 제12항에 있어서, 부속물이 클립(87)을 가진 체인(8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구조물.
  14. 제1항에 있어서, 전지(44)를 로딩 및 언로딩시키기 위한 개구(51), 이 개구(51)을 폐쇄시키도록 개구(51)과 미끄러질 수 있게 계합될 수 있는 전지 덮개(5) 및 이 전지덮개(5)의 미끄럼 운동을 록킹시키기 위한 전지 덮개 록킹 메카니즘(7,94,98,9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구조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전지 덮개 록킹 메카니즘이 록크노브(7), 전지덮개(5)의 미끄럼방향에 수직인 로딩 및 언로딩 개구의 연부에 형성되는 록크 노브(7)을 수용하기 위한 노브 개구(94), 록크노브(7)을 노브개구(94)에 록킹시키기 위해 록크노브(7)상에 형성된 후크형 설부(98) 및 록크 노브(7)의 가동 방향에 수직인 노브개구(94)의 연부로 부터 연장되고 록크 노브(7)을 선정된 위치에서 정지시키도록 후크형 설부(98)과 상호동작하는 정지 러그(9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구조물.
KR2019860015193U 1986-10-04 1986-10-04 일체화된 저판과 전지수용부를 지닌 휴대용 무선장치용 하우징 어셈블리 KR8700001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5193U KR870000172Y1 (ko) 1986-10-04 1986-10-04 일체화된 저판과 전지수용부를 지닌 휴대용 무선장치용 하우징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5193U KR870000172Y1 (ko) 1986-10-04 1986-10-04 일체화된 저판과 전지수용부를 지닌 휴대용 무선장치용 하우징 어셈블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0206A Division KR840007327A (ko) 1983-01-18 1984-01-18 일체화된 저판과 전지수용부를 지닌 휴대용 무선장치 용 하우징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172Y1 true KR870000172Y1 (ko) 1987-02-09

Family

ID=19256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5193U KR870000172Y1 (ko) 1986-10-04 1986-10-04 일체화된 저판과 전지수용부를 지닌 휴대용 무선장치용 하우징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017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914B1 (ko) * 2000-02-07 2008-02-27 김민겸 이동단말기에서의 배터리 탈부착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914B1 (ko) * 2000-02-07 2008-02-27 김민겸 이동단말기에서의 배터리 탈부착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1370A (en) Housing assembly for portable radio apparatus with one-piece baseplate and battery container
KR920000161B1 (ko) 부가 기능을 갖고 있는 페이징 수신기용 보유 장치
EP0991246B1 (en) Back cover for a mobile phone
EP1760997A1 (en) Battery locking mechanism for an electronic device
US7488554B2 (en) Battery cover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03243124A (ja) 電気コネクタの取外装置
EP1427035A1 (en)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and battery mounting device of the equipment
US20100092847A1 (en) Battery cover latching mechanism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US20020024800A1 (en) Housing for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in vehicles
US7068495B2 (en) Battery cover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40224221A1 (en) Battery cover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870000172Y1 (ko) 일체화된 저판과 전지수용부를 지닌 휴대용 무선장치용 하우징 어셈블리
JPH11185720A (ja) 防水型電池蓋の取付構造
US6720512B1 (en) Surface mount switch plate
JP6617648B2 (ja) 携帯機
KR100619816B1 (ko) 배터리 내장형 휴대용 단말기
JPS5839010Y2 (ja) 電池カバ−取付構造
JPH0424706Y2 (ko)
CN216341536U (zh) 一种无源共享锁体
JP5639019B2 (ja) スイッチボタン取付構造
JPS6139341Y2 (ko)
JPH0427226Y2 (ko)
JPH0211720Y2 (ko)
JP2786134B2 (ja) 電池パック固定部の構造
GB2332703A (en) Plug and socket buckl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105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