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9816B1 - 배터리 내장형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배터리 내장형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9816B1
KR100619816B1 KR1020030068781A KR20030068781A KR100619816B1 KR 100619816 B1 KR100619816 B1 KR 100619816B1 KR 1020030068781 A KR1020030068781 A KR 1020030068781A KR 20030068781 A KR20030068781 A KR 20030068781A KR 100619816 B1 KR100619816 B1 KR 100619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over
battery cover
locking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8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2811A (ko
Inventor
김영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8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9816B1/ko
Publication of KR20050032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2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내장형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배터리를 수용할 수 있도록 배터리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단말기본체와, 상기 배터리수용부를 개폐하는 배터리커버를 구비한 배터리 내장형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본체의 양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과 맞물려 슬라이딩되어 상기 배터리수용부를 개폐하도록 배터리 커버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슬라이딩 날(blade)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커버가 슬라이딩되어 상기 배터리수용부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에 상기 가이드홈과 상기 슬라이딩 날에 서로 맞물리는 요철부로 형성된 잠금 기구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 커버가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배터리 수용부를 개폐하는 배터리커버를 한 손으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되고, 배터리커버 착탈부를 보다 단순하게 구성함으로써 설계 및 제조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배터리 내장형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커버 착탈부를 제공한다.
휴대용 단말기, 배터리, 배터리 커버, 잠금 기구

Description

배터리 내장형 휴대용 단말기{MOBILE PHONE FOR ASSEMBLING/DISASSEMBLING BATTERY COVER}
도1 내지 도3은 종래의 배터리 내장형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면으로서,
도1은 종래의 배터리 내장형 휴대용 단말기의 분리사시도,
도2는 도 1의 결합상태의 로커영역의 단면도,
도3은 배터리커버의 인출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4 내지 도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내장형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 착탈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4는 배터리 내장형 휴대용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5는 도4의 배터리 커버를 다른 방향에도 도시한 사시도
도6은 도5의 절단선 Ⅵ-Ⅵ에 따른 단면도
도7은 도4의 절단선 Ⅶ-Ⅶ에 따른 단면도
도8은 도4의 배터리 내장형 휴대용 단말기의 조립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9는 도5의 절단선 Ⅸ-Ⅸ에 따른 단면도
도10은 도8의 A부분을 확대하여 배터리 커버의 잠금부를 도시한 형합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단말기본체 11: 단말기폴더
21: 프론트케이스 22: 리어케이스
121: 배터리수용부 122: 잠금 돌기
123: 가이드홈 124: 배터리
128: 본체걸림턱 130: 배터리커버
131: 손잡이홈 132a: 잠금홈
134: 슬라이딩 돌기 135: 커버걸림턱
본 발명은, 배터리 내장형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커버를 한 손으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배터리 내장형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도1 내지 도3은 종래의 배터리 내장형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면으로서, 도1은 종래의 배터리 내장형 휴대용 단말기의 분리사시도, 도2는 도 1의 결합상태의 로커영역의 단면도, 도3은 배터리커버의 인출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배터리 내장형 휴대용 단말기는, 내부에 메인피시비(미도시) 등이 수용되는 단말기본체(21)와, 소정의 정보를 외부에 출력할 수 있도록 액정 화면(미도시)을 구비하여 단말기본체(1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단말기폴더(11)를 구비하고 있다.
단말기본체(10)는 조작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복수의 입력버튼(미도시)이 마련된 프론트케이스(22a)와, 프론트케이스(22a)와 두께방향을 따라 서로 접촉 결합되어 내부에 회로부가 장착된 메인피시비(미도시) 등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리어케이스(22b)를 구비하고 있다.
리어케이스(22b)의 배면에는 배터리(24)가 수용될 수 있도록 배터리수용부(23)가 형성되어 있으며, 리어케이스(22b)에는 배터리수용부(23)를 개폐할 수 있도록 배터리커버(31)가 결합되어 있다.
배터리커버(31)의 상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폭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한 쌍의 후크(32)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배터리수용부(23)의 상측에는 후크(32)와 맞물림되어 배터리커버(31)가 의도에 반하여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 쌍의 로커(41)가 배치되어 있다. 로커(41)의 일측에는 로커(41)의 걸림턱과 후크(32)가 서로 맞물림되는 초기 위치로 이동되도록 로커(41)에 탄성력을 가하는 복귀스프링(47)이 구비되어 있다.
배터리수용부(23)의 상측에는 로커(41)가 폭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로커수용부(25)가 형성되어 있으며, 로커수용부(25)에는 로커(41)가 폭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로커(41)를 지지하는 로커지지부재(27)가 결합되어 있다.
로커(41)의 두께방향을 따라 일측에는 로커지지부재(27)에 형성된 손잡이공(28)을 통과하여 외부에 노출되는 손잡이(42)가 형성되어 있으며, 손잡이(42)의 하측에는 배터리커버(31)의 후크(32)가 맞물림될 수 있게 걸림턱(43)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턱(43)의 일측에는 후크(32)가 수용될 수 있도록 후크수용홈(44)이 형성되어 있으며, 후크수용홈(44)의 일측에는 로커(41)가 서로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후크(32)가 길이방향을 따라 후크수용홈(44)으로부터 인출되도록 가압할 수 있게 경사접촉부(45)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배터리커버(31)를 분리하고자 할 때는 로커(41)가 서로 접근되는 방향으로 손잡이(42)를 가압하면 로커(41)의 경사접촉부(45)가 후크(32)를 가압하게 되고, 가압된 후크(32)는 경사접촉부(45)에 접촉된 상태로 경사접촉부(45)에 대해 상대 슬라이딩됨으로써 배터리커버(31)는 리어케이스(22b)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밀려 분리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배터리 내장형 단말기에 있어서는, 후크(32)의 삽입 길이 에 비해 경사접촉부(45)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아 사용자가 손잡이(42)를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경사접촉부(45)에 의해 후크(32)가 충분히 가압되지 못하여 후크(32)의 인출 길이(d1)가 짧고, 또 걸림턱(43)은 후크(32)와 접촉되는 영역이 라운딩 처리되어 있어 로커(41)의 초기 위치로의 복귀시 후크(32)를 거의 가압하지 못하게 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32)의 대부분이 로커지지부재(27)와 리어케이스(22b) 사이에 존재하게 되어 사용자가 후크(32)를 이동시킨 손과는 다른 손으로 배터리커버(31)를 잡아 하방으로 당겨야만 분리된다고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로커(41)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배터리 커버(31)를 분리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설계 단계에서 배터리커버(31)와 로커(41)를 항상 같이 설계해야 함에 따른 설계 시간과 원가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배터리수용부를 개폐하는 배터리커버를 한 손으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배터리 내장형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배터리 내장형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커버 착탈부의 구성을 보다 간단하게 함으로써, 배터리 내장형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커버 착탈부의 제조 공정에 소요되는 작업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일면에 배터리를 수용하는 배터리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 수용부의 양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요입 형성된 단말기 본체와;
상기 가이드홈과 맞물려 슬라이딩되도록 양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슬라이딩 날(blade)을 구비한 배터리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커버가 상기 배터리수용부를 폐쇄하는 위치의 상기 가이드홈과 상기 슬라이딩 날에는 서로 맞물리는 요철 형상의 잠금 기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내장형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는 상기 배터리수용부를 배터리커버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하여 한 손으로 용이하게 개폐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잠금 기구는 상기 가이드홈에 형성된 잠금 돌기와, 상기 잠금 돌기와 맞물리도록 상기 슬라이딩 날에 형성된 잠금홈으로 구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잠금 돌기는 상기 잠금홈에 맞물리도록 상기 가이드홈에 중앙부가 볼록하도록 절곡된 판스프링이 장착됨으로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잠금 기구는 상기 슬라이딩날에 형성된 잠금 돌기와, 상기 잠금 돌기와 맞물리도록 상기 가이드홈에 형성된 잠금홈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 본체의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배터리커버의 슬라이딩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배터리커버의 내면에 돌출 형성된 커버걸림턱과; 상기 배터리를 상기 배터리수용부에 착탈할 수 있을 정도로 상기 배터리커버가 상기 배터리수용부를 개방시킨 위치에 상기 커버걸림턱과 맞물리도록 상기 단말기본체에 돌출 형성된 본체걸림턱을; 포함하여, 상기 커버걸림턱과 상기 본체걸림턱의 간섭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커버가 상기 가이드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터리 커버 이탈 방지 기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이 때, 상기 본체걸림턱과 상기 커버걸림턱이 접촉하는 접촉면들은 모두 슬라이딩되는 방향에 수직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4 내지 도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내장형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 착탈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4는 배터리 내장형 휴대용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5는 도4의 배터리 커버를 다른 방향에도 도시한 사시도, 도6은 도5의 절단선 Ⅵ-Ⅵ에 따른 단면도, 도7은 도4의 절단선 Ⅶ-Ⅶ에 따른 단면도, 도8은 도4의 배터리 내장형 휴대용 단말기의 조립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9는 도5의 절단선 Ⅸ-Ⅸ에 따른 단면도, 도10은 도8의 A부분을 확대하여 배터리 커버의 잠금부를 도시한 형합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내장형 휴대용 단말기는,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단말기폴더(11) 및 단말기본체(10)와, 단말기본체(10)의 배면에 수용 결합되는 배터리(12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단말기본체(10)는 서로 두께방향을 따라 결합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프론트케이스(21) 및 리어케이스(22)로 구성된 본체 케이스(120)와, 배터리(124)를 수용할 수 있도록 리어케이스(22)의 배면에 형성된 배터리수용부(121)와, 리어케이스(22)에는 배터리수용부(121)를 개폐할 수 있도록 배터리커버(13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리어케이스(22) 및 배터리커버(130)에는 본 배터리 내장형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커버 착탈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배터리 내장형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커버 착탈부는 리어케이스(22)의 후면에 배터리(124)를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된 배터리수용부(121)와, 리어케이스(22)의 양측면에 단말기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길고 오목하게 요입 형성된 가이드홈(123)과, 배터리(124)를 외부로부터 차단하고 배터리 착탈을 위하여 가이드홈(123)을 따라 슬라이딩됨으로서 배터리수용부(121)를 개폐하는 배터리커버(130)와, 배터리커버(130)의 슬라이딩 범위를 제한하도록 리어케이스(22)의 후면 하단부(127)에 돌출 형성된 본체걸림턱(12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홈(123)은 요입 형성된 내측면(123a)으로부터 반타원형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잠금 돌기(122)를 구비한다.
상기 배터리커버(130)는 배터리수용부(121)를 덮도록 양측면(130a)이 절곡 형성되고, 리어케이스(22)의 가이드홈(123)을 따라 배터리커버(13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홈(123)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d1길이만큼 돌출 형성된 슬라이드날(134)과, 슬라이드날(134)의 끝면에 한쌍의 잠금 돌기(122)와 맞물리도록 반타원형의 요입부(132a)가 형성된 한 쌍의 잠금홈(132)과,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배터리커버(130)를 원활하게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마찰력을 증대시키도록 배터리커버(130)의 외면 중앙 상단부에 폭방향으로 수개의 홈이 장방형으로 요입 형성된 손잡이홈(131)과, 본체걸림턱(128)과의 간섭에 의하여 배터리커버(130)의 슬라이딩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배터리커버(130)의 내면 중앙 상단부에 돌출 형성된 커버걸림턱(13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걸림턱(128)과 상기 커버걸림턱(135)의 접촉면(128a,135a)은 슬라이딩 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되어 간섭 효과를 최대화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배터리커버(130)를 단말기본체(10)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본체걸림턱(128)과 커버걸림턱(135)의 간섭을 배터리커버(130)의 탄성변형으로 극복하여 장착되기 위해서는 본체걸림턱(128)과 커버걸림턱(135)의 접촉되지 않는 반대면(128b,135b)은 완만한 경사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내장형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커버 착탈부는 배터리 수용부(121)를 외부와 폐쇄시킨 상태, 즉 배터리(124)를 외부와 노출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는 배터리커버(130)의 잠금홈(132)과 리어케이스(22)의 가이드홈(123)의 잠금 돌기(122)는 서로 잠긴 상태가 된다. 사용자가 배터리(124)를 교체하는 등 배터리수용부(121)를 개방시키고자 할 때에는 손가락으로 손잡이홈(131)을 끌어 잡아당기면, 잠금홈(132)에 끼워진 잠금 돌기(122)는 d1의 길이에 해당하는 간섭량이 배터리커버(130)의 탄성 변형에 의하여 잠금홈(132)으로부터 이탈하게 되어 하향 이동이 가능해지며, 본체걸림턱(128)과 커버걸림턱(135)의 접촉면(128a,135a)이 접촉할 때까지 하향 이동되고, 본체걸림턱(128)과 커버걸림턱(135)사이의 간섭에 의하여 더이상 배터리커버(130)는 하향 이동되지 않게 된다. 배터리(124)를 교체한 후와 같이 다시 배터리수용부(121)를 폐쇄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의 과정이 역으로 진행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129는 배터리수용부(121)에 배터리(124)가 장착되면 배터리(124)로부터 단말기본체(1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형성된 전원공급단자이이며, 121a는 배터리 수용부(121)의 측면 경계를 이루도록 돌출된 배터리 수용벽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전술한 배터리 내장형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 착탈부에서는 가이드홈(123)에 잠금 돌기(122)가 형성되고, 슬라이드날(134)에 잠금홈(132)이 형성되었으나, 그 반대로 가이드홈(123)에 잠금홈이 형성되고 슬라이드날(134)에 잠금 돌기가 형성되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가이드홈(123)에 형성된 잠금 돌기(122)는 가이드홈(123)에 별도의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에 중앙부가 돌출되도록 절곡 형성된 판스프링의 중앙 돌출부를 관통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잠금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배터리커버(13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데 필요한 힘은 판스프링의 탄성계수를 변경함으로써 보다 정교하게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를 수용할 수 있도록 배터리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단말기본체와, 상기 배터리수용부를 개폐하는 배터리커버를 구비한 배터리 내장형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본체의 양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과 맞물려 슬라이딩되어 상기 배터리수용부를 개폐하도록 배터리 커버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슬라이딩 날(blade)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커버가 슬라이딩되어 상기 배터리수용부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에 상기 가이드홈과 상기 슬라이딩 날에 서로 맞물리는 요철부로 형성된 잠금 기구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 커버가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배터리 수용부를 개폐하는 배터리커버를 한 손으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되고, 배터리커버 착탈부를 보다 단순하게 구성함으로써 설계 및 제조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배터리 내장형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Claims (6)

  1. 일면에 배터리를 수용하는 배터리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 수용부의 양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요입 형성된 단말기 본체와;
    상기 가이드홈과 맞물려 슬라이딩되도록 양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슬라이딩 날(blade)을 구비한 배터리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커버가 상기 배터리수용부를 폐쇄하는 위치의 상기 가이드홈과 상기 슬라이딩 날에는 서로 맞물리는 요철 형상의 잠금 기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내장형 휴대용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기구는,
    상기 가이드홈에 형성된 잠금 돌기와;
    상기 잠금 돌기와 맞물리도록 상기 슬라이딩 날에 형성된 잠금홈;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내장형 휴대용 단말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돌기는 상기 잠금홈에 맞물리도록 상기 가이드홈에 중앙부가 볼록하도록 절곡된 판스프링이 장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내장형 휴대용 단말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기구는,
    상기 슬라이딩날에 형성된 잠금 돌기와;
    상기 잠금 돌기와 맞물리도록 상기 가이드홈에 형성된 잠금홈;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내장형 휴대용 단말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커버의 내면에 돌출 형성된 커버걸림턱과;
    상기 배터리수용부에 상기 배터리를 착탈할 수 있을 정도로 상기 배터리커버가 상기 배터리수용부를 개방시킨 위치에서, 상기 커버걸림턱과 맞물리도록 상기 단말기본체에 돌출 형성된 본체걸림턱을;
    포함하여, 상기 커버걸림턱과 상기 본체걸림턱의 간섭으로 상기 배터리커버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더이상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내장형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커버 착탈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걸림턱과 상기 커버걸림턱이 접촉하는 접촉면들은 모두 슬라이딩되는 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내장형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커버 착탈부.
KR1020030068781A 2003-10-02 2003-10-02 배터리 내장형 휴대용 단말기 KR100619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8781A KR100619816B1 (ko) 2003-10-02 2003-10-02 배터리 내장형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8781A KR100619816B1 (ko) 2003-10-02 2003-10-02 배터리 내장형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2811A KR20050032811A (ko) 2005-04-08
KR100619816B1 true KR100619816B1 (ko) 2006-09-13

Family

ID=37237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8781A KR100619816B1 (ko) 2003-10-02 2003-10-02 배터리 내장형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98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4572B1 (ko) * 2005-06-28 2007-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커버 장착구조
KR101980673B1 (ko) * 2012-10-16 2019-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CN115242261B (zh) * 2022-08-01 2023-09-22 成都高新物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专网手持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2811A (ko) 2005-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5899B2 (en) Battery cover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5261122A (en)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with selectively removable exchange panel and clip
KR100225161B1 (ko) 표면접점부착 카드용 커넥터
JP2004302783A (ja) カード型通信端末
US7488554B2 (en) Battery cover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7488555B2 (en) Battery cover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619816B1 (ko) 배터리 내장형 휴대용 단말기
US6421885B1 (en) Battery holder
JP3884343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組立体
JP2006127809A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5078285B2 (ja) 携帯電子機器
US8673481B2 (en) Battery system
JP4953128B2 (ja) 電子機器
JP4243172B2 (ja) 携帯型通信端末機
JP4549653B2 (ja) 化粧料容器
KR100565288B1 (ko) 배터리 내장형 이동단말기의 배터리커버 착탈장치
KR20060110960A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 록킹장치
KR100511313B1 (ko) 내장형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JP2002082742A (ja) 携帯型電子機器
JP4808344B2 (ja) コンパクトの蓋係止機構
KR100539798B1 (ko) 이동단말기의 케이스
JP4037396B2 (ja) 液体貯留ポット
JP4874481B2 (ja) コンパクトの蓋係止機構
JP2004355966A (ja) 携帯端末装置
JP2004344261A (ja) カード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