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7914B1 - 이동단말기에서의 배터리 탈부착 구조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에서의 배터리 탈부착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07914B1 KR100807914B1 KR1020010006032A KR20010006032A KR100807914B1 KR 100807914 B1 KR100807914 B1 KR 100807914B1 KR 1020010006032 A KR1020010006032 A KR 1020010006032A KR 20010006032 A KR20010006032 A KR 20010006032A KR 100807914 B1 KR100807914 B1 KR 1008079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lete delete
- battery
- terminal
- fixing
- slid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3—Arrangements for mounting batteries or battery char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앞/뒷면 배터리 혹은 측면 배터리중 하나 이상의 배터리를 장착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도1-1. 단말기의 일반적인 외형 사례
도1-2. 단말기에 소용량 배터리를 뒷면에 장착한 경우의 사례
도1-3. 단말기에 중용량 배터리를 뒷면에 장착한 사례
도1-4. 측면 배터리를 일측면에 하나를 부착한 사례
도1-5. 측면 배터리를 2측면에 복수개 부착한 사례
도1-6. 앞/뒷면 배터리 장착과 측면(상/하/좌/우) 배터리 장착을 병행하여 적용한 사례
도2-1 ~ 도2-4. 배터리가 단말기를 감싸는 형태로 양끝접속방식으로 배터리를 단말기에 부착하는 사례
도2-5 ~ 도2-6. 배터리가 단말기를 감싸는 형태로 양끝접속방식(C형 탄성부재 적용)으로 배터리를 단말기에 부착하는 사례
도3-1. 나사를 이용하여 단말기와 배터리를 결합하는 사례
도4-1 ~ 도4-5. 단말기가 배터리를 감싸는 형태의 배터리 부착 사례
도4-6 ~ 도4-10. 배터리 탈착시에도 단말기 사용에 불편을 주지 않도록 구성하는 사례
도4-11 ~ 도4-29. 측면 배터리 탈부착 사례
도4-30 ~ 도4-31. 배터리가 단말기를 감싸는 형태의 배터리 탈부착 사례
도4-32 ~ 도4-33. 앞/뒷면 배터리 또는 측면 배터리 중 하나를 탈부착하는 사례
도4-34 ~ 도4-38. 앞/뒷면 배터리 또는 측면 배터리 중 하나 또는 2가지 모두를 선택적으로 탈부착하는 사례
도5-1 ~ 도5-6. 고무와 플라스틱의 중간적 물성을 가지는 복원력있는 고정돌기를 적용한 사례
도5-7 ~ 도5-8. 2개의 본체가 슬라이딩방식으로 확장되는 단말기 사례
도5-9. 2개의 본체가 수평회전방식으로 확장되는 단말기 사례
도6-1. 2측면에 2개의 배터리를 적용한 사례
도6-2. 1개의 앞/뒷면배터리와 1개의 측면 배터리를 적용한 사례
도7-1. "ㄴ"자형 측면배터리를 적용한 사례
도1-2. 단말기에 소용량 배터리를 뒷면에 장착한 경우의 사례
도1-3. 단말기에 중용량 배터리를 뒷면에 장착한 사례
도1-4. 측면 배터리를 일측면에 하나를 부착한 사례
도1-5. 측면 배터리를 2측면에 복수개 부착한 사례
도1-6. 앞/뒷면 배터리 장착과 측면(상/하/좌/우) 배터리 장착을 병행하여 적용한 사례
도2-1 ~ 도2-4. 배터리가 단말기를 감싸는 형태로 양끝접속방식으로 배터리를 단말기에 부착하는 사례
도2-5 ~ 도2-6. 배터리가 단말기를 감싸는 형태로 양끝접속방식(C형 탄성부재 적용)으로 배터리를 단말기에 부착하는 사례
도3-1. 나사를 이용하여 단말기와 배터리를 결합하는 사례
도4-1 ~ 도4-5. 단말기가 배터리를 감싸는 형태의 배터리 부착 사례
도4-6 ~ 도4-10. 배터리 탈착시에도 단말기 사용에 불편을 주지 않도록 구성하는 사례
도4-11 ~ 도4-29. 측면 배터리 탈부착 사례
도4-30 ~ 도4-31. 배터리가 단말기를 감싸는 형태의 배터리 탈부착 사례
도4-32 ~ 도4-33. 앞/뒷면 배터리 또는 측면 배터리 중 하나를 탈부착하는 사례
도4-34 ~ 도4-38. 앞/뒷면 배터리 또는 측면 배터리 중 하나 또는 2가지 모두를 선택적으로 탈부착하는 사례
도5-1 ~ 도5-6. 고무와 플라스틱의 중간적 물성을 가지는 복원력있는 고정돌기를 적용한 사례
도5-7 ~ 도5-8. 2개의 본체가 슬라이딩방식으로 확장되는 단말기 사례
도5-9. 2개의 본체가 수평회전방식으로 확장되는 단말기 사례
도6-1. 2측면에 2개의 배터리를 적용한 사례
도6-2. 1개의 앞/뒷면배터리와 1개의 측면 배터리를 적용한 사례
도7-1. "ㄴ"자형 측면배터리를 적용한 사례
현재 이동 단말기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사용영역 또한 확대되고 있다. 이동 단말기는 대표적으로 휴대폰을 들 수 있고 PDA를 비롯하여 이와 유사한 단말기를 포함한다. 이동 단말기는 이동통신 기기와 합체되고 있는 것이 현재의 추세이다.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휴대 용이성을 높이고 사용가능한 공간을 확장하는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이동 단말기의 휴대 용이성을 결정하는 요소는 부피, 무게를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부피가 더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볼 수 있다. 부피를 결정하는 요소는 크기(면적)와 두께가 있다. 그 중에서도 휴대 용이성에 많은 영향을 주는 요소는 두께가 된다. 그런데 현재 이동 단말기에 부착되는 배터리는 단말기의 앞면 혹은 뒷면에 부착됨으로써 단말기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동 단말기의 휴대 용이성을 결정하는 요소는 부피, 무게를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부피가 더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볼 수 있다. 부피를 결정하는 요소는 크기(면적)와 두께가 있다. 그 중에서도 휴대 용이성에 많은 영향을 주는 요소는 두께가 된다. 그런데 현재 이동 단말기에 부착되는 배터리는 단말기의 앞면 혹은 뒷면에 부착됨으로써 단말기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원인이 되고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서는 이동 단말기의 두께를 줄여 이동 단말기의 휴대 용이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단말기(terminal)는 시스템(system)이나 네트웍(network)의 단말에 접속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단말기는 정보망이나 통신망을 이용하는 컴퓨터, TV, 모니터, 전화기(셀룰러 폰, PCS), PDA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대표적으로 셀룰러 폰을 예로 설명한다.
현재 이동 단말기(이하 "단말기"라 함)에 부착되는 배터리는 단말기의 앞면 혹은 뒷면에 부착됨으로써 단말기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단말기의 배터리를 측면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하며, 더 나아가 상/하/좌/우 측면 및 앞면 혹은 뒷면에 선택적으로 하나 혹은 하나 이상의 배터리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단말기의 휴대 용이성과 사용의 편리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하에서 도면 및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에서 제시하는 배터리 부착 방법은 모든 형태(폴더형, 플립형, 바형)의 이동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으나, 편의상 주로 폴더형 단말기의 경우를 예로 든다. 특히 폴더형 단말기의 경우 배터리를 단말기의 측면에 부착하려면 폴더의 앞면 혹은 뒷면만을 이용하여 부착이 되어야 하므로 부착면이 플립형이나 바형의 경우보다 더 적어져 부착의 어려움이 있게 된다.
1. 발명의 목적
1.1 현재의 단말기 형태
도1-1은 현재의 단말기 일반적인 외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 는 소용량 배터리를 뒷면에 장착한 경우의 사례이다. 현재는 통상단말기의 뒷면에 배터리가 장착되고 있으며, 일부 폴더형 모델의 경우 앞면에 장착되기도 한다. 도 1-3 은 중용량 배터리를 뒷면에 장착한 사례이다. 특히 도 1-3 에서와 같이 중용량의 배터리가 장착되는 경우는 두께가 두꺼워져 사용에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1.2 기본 용어
편의상 도 1-1 에서 단말기의 상/하/좌/우 측면을 각각 상측면, 하측면, 좌측면, 우측면 이라 부르기로 한다. "상측면, 하측면, 좌측면 혹은 우측면"을 포괄하여 편의상 "측면"이라 하고, 측면에 장착되는 배터리를 "측면 배터리"라 하고, 측면 배터리를 장착하는 것을 "측면 장착"이라 한다.
도 1-2, 도 1-3 과 같이 "앞면 혹은 뒷면" 포괄하여 편의상 "앞/뒷면"이라 하고, 앞/뒷면에 장착되는 배터리를 "앞/뒷면 배터리"라 하고, 앞/뒷면 배터리를 장착하는 것을 "앞/뒷면 장착"이라 한다.
1.3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내용
도 1-4, 도 1-5 과 같이 측면 배터리를 일측면에 하나 혹은 이상 복수개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혹은 도 1-6 에서와 같이 앞/뒷면 배터리 장착과 측면(상/하/좌/우) 배터리 장착을 병행하여 적용할 수 있게 한다. 도 1-4 ∼도 1-6 의 사례에서 사용자는 편의에 따라 하나의 배터리만 장착하거나 두개 혹은 이상의 배터리를 장착하여 중용량 배터리를 장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배터리를 합체한 단말기의 두께가 두꺼워지지 않아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첫째, 효율적으로 단말기의 측면에 배터리를 부착할 수 있는 방법이 있어야 하고, 둘째, 배터리 미장착시에도 단말기가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지 않을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1.4 배터리 부착방법
현재 단말기에서 앞/뒷면 배터리 장착에 있어서, 배터리의 장착방법은 "양끝접속 부착방법"과 "슬라이딩접속 부착방법"이 있다. 일반적으로 특정 물체에 다른 특정 물체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장착하는 수단을 편의상 나눈다면, "결합수단"과 결합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구분이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각 방법에서 고정수단은 고정부재로 실현된 "고정버튼"을 통하여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측면 배터리의 부착방법으로 "양끝접속 부착방법", "나사접속 부착방법" 그리고 "슬라이딩접속 부착방법"을 설명한다. 양끝접속 부착방법과 슬라이딩접속 부착방법은 현재도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나 본 발명에서 적용시의 차이점도 함께 소개한다.
2. 양끝접속 부착방법
양끝접속 부착방법은 부착하고자 하는 두 물체의 양끝 부착부위에 접속점을 주어 부착하는 방법이다. 통상 접속점의 한쪽끝에 고정수단이 구비된다.
현재의 앞/뒷면 배터리 장착에서의 양끝접속 부착방법은 단말기측에 홈(함입부)이 구성되고 배터리가 그 홈에 장착되는 형태이다. 즉, 단말기가 배터리를 감싸는 형태이다. 따라서 배터리 미장착시에도 두께가 두꺼워지고, 배터리 미장착시 단말기에서 불편을 초래하는 구조이다. 도면은 생략한다.
2.1 앞/뒷면 배터리 장착에 있어서의 양끝접속 부착방법의 적용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를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2-1과 같은 형태를 제시한다. 도 2-1 은 뒷면 배터리를 양끝접속 부착방법으로 부착하는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2-2는 고정수단으로 사용된 고정버튼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3 는 도 2-1 에서 배터리를 분리한 도면으로 배터리가 단말기를 감싸는 형태로 양끝접속 부착방법을 적용하면, 배터리 미장착시에도 단말기의 주변부가 돌출되지 않으므로 불편을 주지 않을 수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2-2 에서의 손모양은 불편을 주지 않는 구조임을 의미하기 위한 것이다.
2.2 측면 배터리 장착에 있어서의 양끝접속 부착방법의 적용
측면 배터리 장착에 있어서도 앞/뒷면 배터리 장착의 경우와 같이 단말기측이 함입부를 구비하고, 그 함입부에 배터리가 장착되도록 할 수 있고, 그 반대로 할 수도 있다. 측면 배터리 장착에 있어서는, 단말기측이 함입부를 가지더라도 사용에 불편을 주는 정도가 앞/뒷면 배터리 장착의 경우보다는 조금 덜하다. 도2-4는 앞/뒷면 배터리 장착에서와 같이 배터리측이 함입부를 구비한 사례이다.
2.3 양끝접속 부착방법에서의 고정수단
2.3.1 탄성부재를 구비한 고정버튼을 이용하는 방법
고정버튼은 단말기측에 둘 수도 있고, 배터리측에 둘 수도 있다.
고정수단은 도 2-2 에서와 같이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배터리 미장착시에도 사용에 불편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에서 통상 2개의 배터리가 제공되는데, 탄성부재(스프링)을 구비한 고정버튼이 단말기측에 설치되므로, 배터리측에 설치되는 경우에 비하여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다.
배터리 장착시에는 고정버튼이 자연스럽게 아래로 눌러지면서 스프링(탄성부재)이 압축되고 장착된 후 스프링이 원래대로 복원되어 장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배터리 탈착시는 단말기측에 구비된 고정버튼을 아래로 눌러 배터리를 탈착할 수 있다.
도 2-1 에서 배터리와 단말기가 결합되는 부분을 수평선이 아닌 약간의 사선으로 처리함으로써 탈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2.3.2 C 형 탄성부재를 이용하는 방법
고정버튼의 탄성부재로 사용된 스프링 대신 플라스틱재료를 C 형, S 형, ㄹ 형(통틀어 편의상 "C"형 탄성재료라 함)으로 구비하여 탄성력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도 2-5, 도 2-6 을 참고한다. 이 방법의 장점은 단말기의 케이스가 통상 플라스틱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되므로, 고정버튼 혹은 고정돌기와 일체로 제작함으로써, 생산 비용과 조립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3. 나사접속 부착방법
나사접속 부착방법은 도 3-1 에서와 같이 나사를 이용하여 단말기와 배터리를 결합하는 것이다. 도 3-1에서 결합을 위하여 조작하는 나사를 편의상 "고정나사"라고 부른다. 고정나사는 단말기측에 구비될 수도 있고, 배터리측에 구비될수도 있다. 나사접속 부착방법은 고정나사를 위한 공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으나, 부착되는 두 물체의 결합을 견고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4. 슬라이딩 부착방법
슬라이딩 부착방법은 부착하고자 하는 물체의 한쪽에 더브테일홈부를 구비하고 반대쪽에 그에 대응되는 더브테일돌출부를 구비하여 양자를 끼워 결합하는 방법이다. 이를 다른 표현으로 "레일접속 부착방법", "격납접속 부착방법"이라 한다. 편의상 더브테일홈부와 더브테일돌출부를 합하여 이를 간단히 "더브테일"이라고 한다.
슬라이딩 방향은 가로방향 혹은 세로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결합되는 더브 테일 홈의 끝이 막혀 있는 구조를 통하여 슬라이딩을 멈추는 댐퍼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는 배터리 미창착시에도 단말기측에 돌출부가 없도록 배려하기 위한 것이다. 혹은 바(bar) 형상의 댐퍼를 두어 슬라이딩을 멈추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도면작성의 편의상 형태의 더브 테일 홈과 돌출부를 주로 사용하였으나, 이는 그 내용과 효과면에서 형태의 더브 테일 홈 및 돌출부와 동일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현재 뒷면 배터리 장착에 있어서, 슬라이딩 부착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방법은 도4-1(단면도)에서와 같이 단말기가 더브테일홈부를 가지고 배터리가 더브테일돌출부를 가지는 구조이다. 도 4-2 는 도 4-1 에서 단말기와 배터리를 분리한 도면이다. 도 4-2 에서 볼 수 있듯이 배터리 미장착시 더브테일홈부를 구성하는 양끝 부분이 돌출되어 사용에 불편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2 에서 손모양에 X 표시가 되어 있는 것은 사용에 불편을 주는 구조임을 나타낸다. 양끝접속 부착방법에서도 현재 단말기측에 배터리가 장착되는 홈을 가지므로, 도??와 유사한 형태로, 배터리 미장착시 두께가 두꺼워지고 사용에 불편을 주는 구조인 것이다.
4.1 앞/뒷면 배터리 장착에서의 슬라이딩 부착방법의 적용
한줄 혹은 그 이상의 더브테일홈부 및 돌출부를 구성하여 슬라이딩 부착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앞/뒷면 배터리 미장착시에도 불편을 주지 않으려면, 한줄의 더브테일 구성시, 양끝접속 부착방법에서와 마찬가지로 배터리측이 더브테일홈부를 가지고, 배터리가 단말기를 감싸는 구조를 취하여야 한다. 도4-3 ∼ 도4-5 를 참고한다. 도 4-5 는 도 4-3 의 사시도이다. 혹은 단말기측이 더브테일홈부를 가지되, 가늘게 구비하는 것이다. 이 경우는 양끝에 가늘게 2 줄의 더브테일홈부를 단말기측에 구비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도4-6∼ 도4-10를 참고한다. 4-10은 4-8의 사시도 이다.
4.2 측면 배터리 장착에서의 슬라이딩 부착방법의 적용
측면 배터리 장착에 있어서 슬라이딩 부착방법은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양끝접속 부착방법은 폴더형의 경우 부착되는 부착면이 적으므로, 고정성이 떨어질 수 있는 우려가 있다. 그러나 슬라이딩 부착방식은 적은 부착면을 가진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측면 배터리 장착에 있어서는 한줄 혹은 이상의 더브테일을 구성할 수 있고, 단말기측이 홈부를 가질 수도 있고, 배터리측이 홈부를 가질 수도 있다. 도 4-11 은 폴더형 단말기의 측면배터리 장착에 있어서 한줄의 더브테일을 구비하고, 단말기측이 더브테일홈부를 가진 경우이다. 도 4-12 는 폴더형 단말기에서 단말기의 두께와 배터리의 두께가 같도록 하여 배터리의 용량을 최대화한 경우이다. 도4-13은 도4-12의 사시도이다.
도 4-14 는 두줄의 더브테일을 구비하고, 단말기측이 더브테일홈부를 가진 경우이다. 도 4-15 는 두줄의 더브테일을 구비하고, 단말기측이 더브테일홈부 및 돌출부를 가진 경우이다. 도 4-16 은 3 줄의 더브테일을 구비한 경우의 사례이다.
도 4-17 은 두줄의 더브테일을 구비하되, 단말기측이 더브테일홈부를 가진 경우이다.
4.3 파선 형태의 더브테일홈부 및 돌출부 구성
더브테일홈부 및 돌출부를 파선형태로 구비하여 슬라이딩 거리를 적게 할 수 있다. 도4-18를 참고한다.
4.4 슬라이딩 부착방식에서 결합방향의 유동을 억제하는 고정수단
슬라이딩 부착방법에 있어서, 슬라이딩 방향의 직각방향으로 작용하는 고정돌기와 고정홈을 통하여 슬라이딩 방향의 유동(편의상 "슬라이딩 유동"이라 함)을 억제할 수 있다. 단말기측이 고정홈을 가지고 배터리측이 고정돌기를 가질 수 있으며,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그러나 배터리 미장착시에도 불편을 주지 않기 위해서는 고정홈부를 단말기측이 가지는 것이 좋다.
4.4.1 고정버튼을 이용한 방법
탄성부재를 구비한 고정버튼을 통하여 고정수단을 마련할 수 있다. 고정버튼은 단말기측에 둘 수도 있고 배터리측에 둘 수도 있다. 그러나 이동 단말기에서 통상 2 개의 배터리가 제공되므로, 단말기측에 고정버튼을 두는 것이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4-19 는 고정버튼을 단순히 활용한 경우의 사례이다. 도 4-20 은 도 4-19 의 사시도이다. 고정버튼 부분의 모양이 약간다르나 의미하는 본질은 같다. 도 4-21 은 도 4-20 에서 고정버튼 부분의 확대도이다. 장착시 고정버튼을 위로 올려 배터리를 슬라이딩 결합하고, 탈착시 고정버튼을 위로 올려 탈착한다.
도 4-19 ∼ 도 4-21 의 경우 배터리 미장착시 고정버튼의 끝부분이 단말기의 하단부를 지나게 되므로 배터리 미장착시 불편을 줄 수 있다.
고정버튼은 슬라이딩 시작부분에 구비될 수도 있고, 슬라이딩 끝부분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22 는 측면 배터리 장착의 경우, 도 4-19∼도 4-21 의 경우와 달리 배터리측에 사선형태의 고정돌기를 구비함으로써,고정버튼의 끝부분이 단말기의 하단부를 지나치지 않는 구조를 보여준다. 도4-23은 도4-22의 사시도이다. 생산원가를 낮추기 위하여 단말기측에 고정버튼이 구비되면서, 배터리 미장착시 불편을 주지 않을 수 있도록 배터리측이 고정돌기를 가지려면, 도 4-22 와 같이 슬라이딩 시작부분에 고정버튼을 두어야 한다. 도 4-21 과 도 4-22 가 약간 다르게 보일 수 있으나, 본질은 같다. 도 4-21 과 같은 구조로 고정버튼을 슬라이딩 끝부분에 두게되면, 단말기측이 고정돌기를 갖지 않으려면 배터리측이 고정버튼을 가지게되고(생산원가 상승), 단말기측에 고정버튼을 두게되면 단말기측이 고정돌기를 가지게(사용에 불편 초래) 된다.
이는 앞/뒷면 배터리 장착 혹은 측면 배터리 장착에 있어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현재 앞/뒷면 배터리 장착에 있어서, 고정버튼(고정수단)이 슬라이딩 끝부분에 구비됨으로써, 단말기측이 고정돌기를 가지므로 배터리 미장착시 불편을 주는 구조인 것이다.
도 4-21 에서 슬라이딩을 멈추게 하는 댐퍼의 역할을 하는 것은 슬라이딩 끝 부분의 더브테일홈이 막혀있는 구조로서 가능한 것으로 보면 된다.
4.4.2 C 형 탄성부재를 이용하는 방법
앞의 도면에서 배터리에 구비된 고정돌기의 아래부분에 도 4-24 와 같이 탄성부재(스프링)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탄성부재로 사용된 스프링 대신 플라스틱재료를 C 형, S 형, ㄹ형(통틀어 편의상 "C"형 탄성재료라 함)으로 구비하여 탄성력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도 4-25 ∼ 도 4-27 를 참고한다. 도면에서 C 형 탄성재료는 배터리의 일부분인 고정돌기와 일체로 되어 있으며, 탈착시는 도 4-26 와 같이 고정돌기부분을 아래로 내려 탈착할 수 있다. 도 4-27 에서 "S"형으로 구성한 것은 탄성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이 방법의 장점은 단말기의 케이스가 통상 플라스틱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되므로, 고정버튼 혹은 고정돌기와 일체로 제작함으로써, 생산 비용과 조립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4.4.3 플라스틱재료의 융통성을 이용한 억지끼움 방법
플라스틱 재료가 갖는 융통성을 이용하여, 도 4-22 에서 고정버튼 및 탄성부재(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 고정돌기를 비대칭의 유선형으로 구비하여 억지끼움 구조를 이용하여 슬라이딩유동을 억제할 수 있다. 단점은 플라스틱 재료가 마모될 수 있는 점이다.
유사한 예를 들면 도 4-28 과 같다. 도 4-28 은 측면배터리 장착에 있어서 폭방향으로 고정돌기와 고정홈을 비대칭의 유선형으로 구비하여 억지끼움을 적용한 사례이다.
4.4.4 전원공급부를 이용하는 방법
*단말기에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가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도 4-29 에서와 같이 전원공급부를 홀(hole)과 볼(ball)의 형태, 즉 고정홈 (1g)과 고정돌기(3g)의 형태로 구성하여 슬라이딩 방향의 유동을 억제할 수 있다. 고정돌기는 반드시 볼의 형태일 필요는 없고, 슬라이딩 방향으로 유선형의 형태를 가지면 된다. 도 4-29 에서 1g, 3g를 참고한다.
4.4.5 전원공급부 이외의 유선형의 유동성 있는 고정돌기를 이용하는 방법
전원공급부를 이용하는 것과 유사하게 고정돌기(3f)와 고정홈(1f)을 구비하여 슬라이딩 방향의 유동을 억제하는 것이다. 도4-29에서 1f, 3f 를 참고한다.
4.5 하나의 더브테일홈부를 이용하여 앞/뒷면 배터리와 측면 배터리를 장착하는 방법
슬라이딩 부착방법으로 배터리를 장착함에 있어서, 도 4-30(단말기를 위 혹은 옆에서 보았을 때의 단면도)에서와 같이 앞/뒷면 배터리 장착을 위한 홈을 단말기의 측면에 구비할 수 있다. 도 4-30 은 배터리가 단말기를 감싸는 구조로 본질에 있어서 도 4-8, 도 4-9 와 같은 것이다. 그런데 이 홈을 도 4-31 과 같이 더브테일 홈의 형태로 구성하여 이 홈을 통하여 측면배터리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32 는 도 4-31 에서 단말기와 배터리를 분리해 놓은 것이다. 즉 단말기의 측면에는 한 줄의 홈이 구비되고 이 홈이 때로는 앞/뒷면 배터리 장착을 위한 홈으로 사용되고, 때로는 측면 배터리 장착을 위한 홈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측면 배터리 장착을 위한 더브테일 홈을 도 4-33 에서와 같이 하나 더 둘 수도 있다. 추가로 단말기측에 구비된 더브테일 홈은 적용되는 배터리에 따라서 사용될 수도 있고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때 단말기를 앞에서 보았을 때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앞/뒷면 배터리를 장착하고 나면, 하측면 혹은 상측면에는 배터리를 장착할 수 없고 좌우측면에만 배터리를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단말기를 앞에서 보았을 때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앞/뒷면 배터리를 장착하고 나면, 좌측면 혹은 우측면에는 배터리를 장착할 수 없고 상하측면에만 배터리를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도 4-33, 도 4-34 를 참고한다.
그러나 도 4-35 에서와 같은 형태로 구성하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앞/뒷면 배터리를 장착한 후에도 상측면 혹은 하측면에 측면 배터리를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만약 단말기의 뒷면에 배터리를 장착하는 공간이 정방형(정사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하좌우 측면에 도 4-35 와 같은 홈이 구비된 경우, 사용자는 뒷면 배터리 장착에 있어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시켜 장착할 수도 있고,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장착할 수도 있게 된다. 도 4-36 은 앞/뒷면 배터리 합체후 도 4-33 에서와 동일한 측면배터리를 측면에 장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4-34∼ 도4-36에서 h=h',i=i',k=k' 인 구조이기 때문이다.
이는 상하방향의 슬라이딩을 적용하면 단말기의 좌우폭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를 싫어하는 사용자에게 좌우 방향의 슬라이딩을 적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좌우방향의 슬라이딩을 적용후 측면 배터리를 장착함에 있어서도, 상/하측면 배터리를 장착할 수 있게함으로써, 배터리 합체후 좌우방향의 폭이 증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도4-33에서의 측면 배터리를 도4-36에서 사용할 수 있으려면, 단말기측이 도 4-37 에서와 같이 전원공급부(더브테일홈 안에 전원공급부를 두는 사례)를 추가로 가져야 한다. 도 4-38 은 앞/뒷면 배터리 장착후 도 4-33 에서의 측면배터리를 방향을 바꿔서 장착하는 경우 가용한 전원공급부가 있음을 보여준다. +,- 전극은 경우에 맞게 적절히 구성하면 된다. 바깥쪽의 전원공급부와 안쪽의 전원공급부가 같은 전극으로 구성된다.
5. 복원력있는 재료로 이루어진 고정돌기(복원돌기)를 이용한 고정수단
이는 단지 단말기와 배터리를 부착하는 경우에만 한정되지 않고, 운동방향의 직각방향으로 고정력을 작용하여 운동을 억제하는 효과를 내는 것이 필요한 모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편의상 단말기와 배터리의 예로 설명한다.
고무와 플라스틱의 중간 정도의 물성을 가지있는, 복원력 있는 재료로 고정돌기를 도 5-1(앞에서 제시한 사례에서 응용)에서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이 고정돌기를 편의상 "복원돌기"라고 부르기로 한다. 고정홈은 복원돌기에 꼭 맞는 구조이다. 도5-2는 도5-1의 확대도이다. 도5-2에서 h1 > h2 이고, 따라서 복원돌기 아래의 홈의 체적은 고정홈의 체적보다 작아 복원돌기가 눌려지더라도 복원돌기 아래의 홈에서 머물러 있을 수 없는 구조이다. 도5-3은 배터리와 단말기를 분리했을 경우의 모양이다. 도 5-4 는 압력을 가했을 때 복원돌기가 압축되는 모양을 보여준다.
복원돌기의 재료로 사용할 수 있는 물질은 이미 수 없이 많이 나와 있다. 예를 들어, 치약의 튜브로 쓰이는 재료와 같이 플라스틱과 고무의 중간적인 성질을 가지는 재료를 적용할 수 있다. 복원돌기를 구성하는 물질의 탄성도, 두께 등은 적절히 설정하면 된다. 도 5-5 은 단말기의 경우 슬라이딩 부착방식으로 장착시, 복원돌기의 모양변화과정을 나타내고, 장착후 복원돌기가 고정홈에 밀착되어 슬라이딩 방향의 유동을 억제하는 효과를 내는 것을 나타낸다.
이는 마치 억지끼움구조와 유사하나, 보통 플라스틱재료의 융통성을 이용하지 않는 점이 다르다. 억지끼움 고정방법은 플라스틱의 융통성만을 이용하므로 미세한 유동까지 완전히 억제하지 못하는 점, 마모에 의하여 노후되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복원돌기를 이용하는 방법의 장점은 고무와 유사한 성질을 가지는 재료를 사용하고, 일시적으로 압축되었다가 복원되는 구조이므로 전혀 마모될 염려가 없고, 미세한 유동까지 억제할 수 있고, 탈부착시에도 특정한 고정버튼을 조작하지 않고 단지 가압하여 탈부착이 가능한 점이다.
도 5-6 는 양끝접속 부착방식의 경우에 복원돌기를 적용한 도면(앞에서 예를 든 도면에서 적용한 사례)이다. 도5-6에서 배터리측이 복원돌기를 가지고, 단말기측이 고정홈을 갖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도 5-7 는 출원인의 선출원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단말기의 사용공간(예. 입출력장치)를 확장하는 경우의 도면이다. 도 5-7 에서 확장되는 액정(혹은 자판)의 확장을 멈추기 위하여 단말기 본체 및 확장되는 액정에 복원돌기 및 고정홈을 구비할 수 있다. 도 5-8 은 도 5-7 에서 복원돌기를 확장되는 액정부분에 두고, 단말기가 고정홈을 가지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5-9는 출원인의 선출원에서 여닫이 방식으로 단말기의 사용공간을 확장하는 경우의 예이다. 도 5-9 에서 확장되는 액정(혹은 자판)을 90도 만큼 움직인 상태에서 멈추게 하거나 180 도 만큼 움직인 상태에서 멈추게 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도 확장되는 액정과 단말기 본체에 각각 복원돌기와 고정홈을 구비하여 고정효과를 낼 수 있다.
6. 측면배터리의 다중 적용
전술한 바와 같이 측면 배터리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1 개 혹은 복수개 장착할 수 있다. 도 6-1 은 좌측면과 하측면 장착을 적용한 사례이다. 뿐만아니라 도 6-2 와 같이 앞/뒷면 배터리 측면 배터리를 편의대로 장착할 수 있다. 각각의 측면 배터리를 장착함에 있어서, 임의의 부착방법 및 고정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7. 다중측면 배터리의 적용
"ㅡ"형 측면배터리 외에도 "ㄴ"형, "ㄷ"형, "ㅁ"형 측면배터리(총칭하여 "다중측면 배터리"라 함)를 사용할 수 있다. 도 7-1 는 "ㄴ"형 측면 배터리를 장착하는 경우의 사례이다. 도 7-1 에서와 같이 임의의 부착방법이 조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8. 충전기와 단말기의 결합
현재 단말기의 홈부와 충전기의 돌출부에 의하여 단말기와 충전기 합체시키고 있는데, 단말기 하측면(저면)에 배터리를 장착하였을 경우와 장착하지 않았을 경우 충전기와 단말기를 합체시키는 요철부분(홈부와 돌출부)의 높이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단말기측에 높이의 변화에 따른 홈부를 추가로 둘 수 있다.
9. 모서리의 모따기 혹은 라운드 처리
본 발명에서의 단말기 혹은 배터리를 모따기 혹은 라운드 형태로 처리함으로써 사용의 편리를 더욱 높일 수 있다.
10. 회로의 구성
다수의 배터리를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으려면, 다수의 배터리가 장착되었을 경우에도 동일한 전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다수의 배터리가 병렬연결될 수 있도록 회로를 구성하여야 한다.
현재 이동 단말기(이하 "단말기"라 함)에 부착되는 배터리는 단말기의 앞면 혹은 뒷면에 부착됨으로써 단말기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단말기의 배터리를 측면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하며, 더 나아가 상/하/좌/우 측면 및 앞면 혹은 뒷면에 선택적으로 하나 혹은 하나 이상의 배터리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단말기의 휴대 용이성과 사용의 편리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하에서 도면 및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에서 제시하는 배터리 부착 방법은 모든 형태(폴더형, 플립형, 바형)의 이동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으나, 편의상 주로 폴더형 단말기의 경우를 예로 든다. 특히 폴더형 단말기의 경우 배터리를 단말기의 측면에 부착하려면 폴더의 앞면 혹은 뒷면만을 이용하여 부착이 되어야 하므로 부착면이 플립형이나 바형의 경우보다 더 적어져 부착의 어려움이 있게 된다.
1. 발명의 목적
1.1 현재의 단말기 형태
도1-1은 현재의 단말기 일반적인 외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 는 소용량 배터리를 뒷면에 장착한 경우의 사례이다. 현재는 통상단말기의 뒷면에 배터리가 장착되고 있으며, 일부 폴더형 모델의 경우 앞면에 장착되기도 한다. 도 1-3 은 중용량 배터리를 뒷면에 장착한 사례이다. 특히 도 1-3 에서와 같이 중용량의 배터리가 장착되는 경우는 두께가 두꺼워져 사용에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1.2 기본 용어
편의상 도 1-1 에서 단말기의 상/하/좌/우 측면을 각각 상측면, 하측면, 좌측면, 우측면 이라 부르기로 한다. "상측면, 하측면, 좌측면 혹은 우측면"을 포괄하여 편의상 "측면"이라 하고, 측면에 장착되는 배터리를 "측면 배터리"라 하고, 측면 배터리를 장착하는 것을 "측면 장착"이라 한다.
도 1-2, 도 1-3 과 같이 "앞면 혹은 뒷면" 포괄하여 편의상 "앞/뒷면"이라 하고, 앞/뒷면에 장착되는 배터리를 "앞/뒷면 배터리"라 하고, 앞/뒷면 배터리를 장착하는 것을 "앞/뒷면 장착"이라 한다.
1.3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내용
도 1-4, 도 1-5 과 같이 측면 배터리를 일측면에 하나 혹은 이상 복수개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혹은 도 1-6 에서와 같이 앞/뒷면 배터리 장착과 측면(상/하/좌/우) 배터리 장착을 병행하여 적용할 수 있게 한다. 도 1-4 ∼도 1-6 의 사례에서 사용자는 편의에 따라 하나의 배터리만 장착하거나 두개 혹은 이상의 배터리를 장착하여 중용량 배터리를 장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배터리를 합체한 단말기의 두께가 두꺼워지지 않아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첫째, 효율적으로 단말기의 측면에 배터리를 부착할 수 있는 방법이 있어야 하고, 둘째, 배터리 미장착시에도 단말기가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지 않을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1.4 배터리 부착방법
현재 단말기에서 앞/뒷면 배터리 장착에 있어서, 배터리의 장착방법은 "양끝접속 부착방법"과 "슬라이딩접속 부착방법"이 있다. 일반적으로 특정 물체에 다른 특정 물체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장착하는 수단을 편의상 나눈다면, "결합수단"과 결합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구분이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각 방법에서 고정수단은 고정부재로 실현된 "고정버튼"을 통하여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측면 배터리의 부착방법으로 "양끝접속 부착방법", "나사접속 부착방법" 그리고 "슬라이딩접속 부착방법"을 설명한다. 양끝접속 부착방법과 슬라이딩접속 부착방법은 현재도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나 본 발명에서 적용시의 차이점도 함께 소개한다.
2. 양끝접속 부착방법
양끝접속 부착방법은 부착하고자 하는 두 물체의 양끝 부착부위에 접속점을 주어 부착하는 방법이다. 통상 접속점의 한쪽끝에 고정수단이 구비된다.
현재의 앞/뒷면 배터리 장착에서의 양끝접속 부착방법은 단말기측에 홈(함입부)이 구성되고 배터리가 그 홈에 장착되는 형태이다. 즉, 단말기가 배터리를 감싸는 형태이다. 따라서 배터리 미장착시에도 두께가 두꺼워지고, 배터리 미장착시 단말기에서 불편을 초래하는 구조이다. 도면은 생략한다.
2.1 앞/뒷면 배터리 장착에 있어서의 양끝접속 부착방법의 적용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를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2-1과 같은 형태를 제시한다. 도 2-1 은 뒷면 배터리를 양끝접속 부착방법으로 부착하는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2-2는 고정수단으로 사용된 고정버튼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3 는 도 2-1 에서 배터리를 분리한 도면으로 배터리가 단말기를 감싸는 형태로 양끝접속 부착방법을 적용하면, 배터리 미장착시에도 단말기의 주변부가 돌출되지 않으므로 불편을 주지 않을 수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2-2 에서의 손모양은 불편을 주지 않는 구조임을 의미하기 위한 것이다.
2.2 측면 배터리 장착에 있어서의 양끝접속 부착방법의 적용
측면 배터리 장착에 있어서도 앞/뒷면 배터리 장착의 경우와 같이 단말기측이 함입부를 구비하고, 그 함입부에 배터리가 장착되도록 할 수 있고, 그 반대로 할 수도 있다. 측면 배터리 장착에 있어서는, 단말기측이 함입부를 가지더라도 사용에 불편을 주는 정도가 앞/뒷면 배터리 장착의 경우보다는 조금 덜하다. 도2-4는 앞/뒷면 배터리 장착에서와 같이 배터리측이 함입부를 구비한 사례이다.
2.3 양끝접속 부착방법에서의 고정수단
2.3.1 탄성부재를 구비한 고정버튼을 이용하는 방법
고정버튼은 단말기측에 둘 수도 있고, 배터리측에 둘 수도 있다.
고정수단은 도 2-2 에서와 같이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배터리 미장착시에도 사용에 불편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에서 통상 2개의 배터리가 제공되는데, 탄성부재(스프링)을 구비한 고정버튼이 단말기측에 설치되므로, 배터리측에 설치되는 경우에 비하여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다.
배터리 장착시에는 고정버튼이 자연스럽게 아래로 눌러지면서 스프링(탄성부재)이 압축되고 장착된 후 스프링이 원래대로 복원되어 장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배터리 탈착시는 단말기측에 구비된 고정버튼을 아래로 눌러 배터리를 탈착할 수 있다.
도 2-1 에서 배터리와 단말기가 결합되는 부분을 수평선이 아닌 약간의 사선으로 처리함으로써 탈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2.3.2 C 형 탄성부재를 이용하는 방법
고정버튼의 탄성부재로 사용된 스프링 대신 플라스틱재료를 C 형, S 형, ㄹ 형(통틀어 편의상 "C"형 탄성재료라 함)으로 구비하여 탄성력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도 2-5, 도 2-6 을 참고한다. 이 방법의 장점은 단말기의 케이스가 통상 플라스틱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되므로, 고정버튼 혹은 고정돌기와 일체로 제작함으로써, 생산 비용과 조립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3. 나사접속 부착방법
나사접속 부착방법은 도 3-1 에서와 같이 나사를 이용하여 단말기와 배터리를 결합하는 것이다. 도 3-1에서 결합을 위하여 조작하는 나사를 편의상 "고정나사"라고 부른다. 고정나사는 단말기측에 구비될 수도 있고, 배터리측에 구비될수도 있다. 나사접속 부착방법은 고정나사를 위한 공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으나, 부착되는 두 물체의 결합을 견고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4. 슬라이딩 부착방법
슬라이딩 부착방법은 부착하고자 하는 물체의 한쪽에 더브테일홈부를 구비하고 반대쪽에 그에 대응되는 더브테일돌출부를 구비하여 양자를 끼워 결합하는 방법이다. 이를 다른 표현으로 "레일접속 부착방법", "격납접속 부착방법"이라 한다. 편의상 더브테일홈부와 더브테일돌출부를 합하여 이를 간단히 "더브테일"이라고 한다.
슬라이딩 방향은 가로방향 혹은 세로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결합되는 더브 테일 홈의 끝이 막혀 있는 구조를 통하여 슬라이딩을 멈추는 댐퍼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는 배터리 미창착시에도 단말기측에 돌출부가 없도록 배려하기 위한 것이다. 혹은 바(bar) 형상의 댐퍼를 두어 슬라이딩을 멈추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도면작성의 편의상 형태의 더브 테일 홈과 돌출부를 주로 사용하였으나, 이는 그 내용과 효과면에서 형태의 더브 테일 홈 및 돌출부와 동일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현재 뒷면 배터리 장착에 있어서, 슬라이딩 부착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방법은 도4-1(단면도)에서와 같이 단말기가 더브테일홈부를 가지고 배터리가 더브테일돌출부를 가지는 구조이다. 도 4-2 는 도 4-1 에서 단말기와 배터리를 분리한 도면이다. 도 4-2 에서 볼 수 있듯이 배터리 미장착시 더브테일홈부를 구성하는 양끝 부분이 돌출되어 사용에 불편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2 에서 손모양에 X 표시가 되어 있는 것은 사용에 불편을 주는 구조임을 나타낸다. 양끝접속 부착방법에서도 현재 단말기측에 배터리가 장착되는 홈을 가지므로, 도??와 유사한 형태로, 배터리 미장착시 두께가 두꺼워지고 사용에 불편을 주는 구조인 것이다.
4.1 앞/뒷면 배터리 장착에서의 슬라이딩 부착방법의 적용
한줄 혹은 그 이상의 더브테일홈부 및 돌출부를 구성하여 슬라이딩 부착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앞/뒷면 배터리 미장착시에도 불편을 주지 않으려면, 한줄의 더브테일 구성시, 양끝접속 부착방법에서와 마찬가지로 배터리측이 더브테일홈부를 가지고, 배터리가 단말기를 감싸는 구조를 취하여야 한다. 도4-3 ∼ 도4-5 를 참고한다. 도 4-5 는 도 4-3 의 사시도이다. 혹은 단말기측이 더브테일홈부를 가지되, 가늘게 구비하는 것이다. 이 경우는 양끝에 가늘게 2 줄의 더브테일홈부를 단말기측에 구비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도4-6∼ 도4-10를 참고한다. 4-10은 4-8의 사시도 이다.
4.2 측면 배터리 장착에서의 슬라이딩 부착방법의 적용
측면 배터리 장착에 있어서 슬라이딩 부착방법은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양끝접속 부착방법은 폴더형의 경우 부착되는 부착면이 적으므로, 고정성이 떨어질 수 있는 우려가 있다. 그러나 슬라이딩 부착방식은 적은 부착면을 가진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측면 배터리 장착에 있어서는 한줄 혹은 이상의 더브테일을 구성할 수 있고, 단말기측이 홈부를 가질 수도 있고, 배터리측이 홈부를 가질 수도 있다. 도 4-11 은 폴더형 단말기의 측면배터리 장착에 있어서 한줄의 더브테일을 구비하고, 단말기측이 더브테일홈부를 가진 경우이다. 도 4-12 는 폴더형 단말기에서 단말기의 두께와 배터리의 두께가 같도록 하여 배터리의 용량을 최대화한 경우이다. 도4-13은 도4-12의 사시도이다.
도 4-14 는 두줄의 더브테일을 구비하고, 단말기측이 더브테일홈부를 가진 경우이다. 도 4-15 는 두줄의 더브테일을 구비하고, 단말기측이 더브테일홈부 및 돌출부를 가진 경우이다. 도 4-16 은 3 줄의 더브테일을 구비한 경우의 사례이다.
도 4-17 은 두줄의 더브테일을 구비하되, 단말기측이 더브테일홈부를 가진 경우이다.
4.3 파선 형태의 더브테일홈부 및 돌출부 구성
더브테일홈부 및 돌출부를 파선형태로 구비하여 슬라이딩 거리를 적게 할 수 있다. 도4-18를 참고한다.
4.4 슬라이딩 부착방식에서 결합방향의 유동을 억제하는 고정수단
슬라이딩 부착방법에 있어서, 슬라이딩 방향의 직각방향으로 작용하는 고정돌기와 고정홈을 통하여 슬라이딩 방향의 유동(편의상 "슬라이딩 유동"이라 함)을 억제할 수 있다. 단말기측이 고정홈을 가지고 배터리측이 고정돌기를 가질 수 있으며,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그러나 배터리 미장착시에도 불편을 주지 않기 위해서는 고정홈부를 단말기측이 가지는 것이 좋다.
4.4.1 고정버튼을 이용한 방법
탄성부재를 구비한 고정버튼을 통하여 고정수단을 마련할 수 있다. 고정버튼은 단말기측에 둘 수도 있고 배터리측에 둘 수도 있다. 그러나 이동 단말기에서 통상 2 개의 배터리가 제공되므로, 단말기측에 고정버튼을 두는 것이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4-19 는 고정버튼을 단순히 활용한 경우의 사례이다. 도 4-20 은 도 4-19 의 사시도이다. 고정버튼 부분의 모양이 약간다르나 의미하는 본질은 같다. 도 4-21 은 도 4-20 에서 고정버튼 부분의 확대도이다. 장착시 고정버튼을 위로 올려 배터리를 슬라이딩 결합하고, 탈착시 고정버튼을 위로 올려 탈착한다.
도 4-19 ∼ 도 4-21 의 경우 배터리 미장착시 고정버튼의 끝부분이 단말기의 하단부를 지나게 되므로 배터리 미장착시 불편을 줄 수 있다.
고정버튼은 슬라이딩 시작부분에 구비될 수도 있고, 슬라이딩 끝부분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22 는 측면 배터리 장착의 경우, 도 4-19∼도 4-21 의 경우와 달리 배터리측에 사선형태의 고정돌기를 구비함으로써,고정버튼의 끝부분이 단말기의 하단부를 지나치지 않는 구조를 보여준다. 도4-23은 도4-22의 사시도이다. 생산원가를 낮추기 위하여 단말기측에 고정버튼이 구비되면서, 배터리 미장착시 불편을 주지 않을 수 있도록 배터리측이 고정돌기를 가지려면, 도 4-22 와 같이 슬라이딩 시작부분에 고정버튼을 두어야 한다. 도 4-21 과 도 4-22 가 약간 다르게 보일 수 있으나, 본질은 같다. 도 4-21 과 같은 구조로 고정버튼을 슬라이딩 끝부분에 두게되면, 단말기측이 고정돌기를 갖지 않으려면 배터리측이 고정버튼을 가지게되고(생산원가 상승), 단말기측에 고정버튼을 두게되면 단말기측이 고정돌기를 가지게(사용에 불편 초래) 된다.
이는 앞/뒷면 배터리 장착 혹은 측면 배터리 장착에 있어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현재 앞/뒷면 배터리 장착에 있어서, 고정버튼(고정수단)이 슬라이딩 끝부분에 구비됨으로써, 단말기측이 고정돌기를 가지므로 배터리 미장착시 불편을 주는 구조인 것이다.
도 4-21 에서 슬라이딩을 멈추게 하는 댐퍼의 역할을 하는 것은 슬라이딩 끝 부분의 더브테일홈이 막혀있는 구조로서 가능한 것으로 보면 된다.
4.4.2 C 형 탄성부재를 이용하는 방법
앞의 도면에서 배터리에 구비된 고정돌기의 아래부분에 도 4-24 와 같이 탄성부재(스프링)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탄성부재로 사용된 스프링 대신 플라스틱재료를 C 형, S 형, ㄹ형(통틀어 편의상 "C"형 탄성재료라 함)으로 구비하여 탄성력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도 4-25 ∼ 도 4-27 를 참고한다. 도면에서 C 형 탄성재료는 배터리의 일부분인 고정돌기와 일체로 되어 있으며, 탈착시는 도 4-26 와 같이 고정돌기부분을 아래로 내려 탈착할 수 있다. 도 4-27 에서 "S"형으로 구성한 것은 탄성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이 방법의 장점은 단말기의 케이스가 통상 플라스틱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되므로, 고정버튼 혹은 고정돌기와 일체로 제작함으로써, 생산 비용과 조립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4.4.3 플라스틱재료의 융통성을 이용한 억지끼움 방법
플라스틱 재료가 갖는 융통성을 이용하여, 도 4-22 에서 고정버튼 및 탄성부재(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 고정돌기를 비대칭의 유선형으로 구비하여 억지끼움 구조를 이용하여 슬라이딩유동을 억제할 수 있다. 단점은 플라스틱 재료가 마모될 수 있는 점이다.
유사한 예를 들면 도 4-28 과 같다. 도 4-28 은 측면배터리 장착에 있어서 폭방향으로 고정돌기와 고정홈을 비대칭의 유선형으로 구비하여 억지끼움을 적용한 사례이다.
4.4.4 전원공급부를 이용하는 방법
*단말기에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가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도 4-29 에서와 같이 전원공급부를 홀(hole)과 볼(ball)의 형태, 즉 고정홈 (1g)과 고정돌기(3g)의 형태로 구성하여 슬라이딩 방향의 유동을 억제할 수 있다. 고정돌기는 반드시 볼의 형태일 필요는 없고, 슬라이딩 방향으로 유선형의 형태를 가지면 된다. 도 4-29 에서 1g, 3g를 참고한다.
4.4.5 전원공급부 이외의 유선형의 유동성 있는 고정돌기를 이용하는 방법
전원공급부를 이용하는 것과 유사하게 고정돌기(3f)와 고정홈(1f)을 구비하여 슬라이딩 방향의 유동을 억제하는 것이다. 도4-29에서 1f, 3f 를 참고한다.
4.5 하나의 더브테일홈부를 이용하여 앞/뒷면 배터리와 측면 배터리를 장착하는 방법
슬라이딩 부착방법으로 배터리를 장착함에 있어서, 도 4-30(단말기를 위 혹은 옆에서 보았을 때의 단면도)에서와 같이 앞/뒷면 배터리 장착을 위한 홈을 단말기의 측면에 구비할 수 있다. 도 4-30 은 배터리가 단말기를 감싸는 구조로 본질에 있어서 도 4-8, 도 4-9 와 같은 것이다. 그런데 이 홈을 도 4-31 과 같이 더브테일 홈의 형태로 구성하여 이 홈을 통하여 측면배터리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32 는 도 4-31 에서 단말기와 배터리를 분리해 놓은 것이다. 즉 단말기의 측면에는 한 줄의 홈이 구비되고 이 홈이 때로는 앞/뒷면 배터리 장착을 위한 홈으로 사용되고, 때로는 측면 배터리 장착을 위한 홈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측면 배터리 장착을 위한 더브테일 홈을 도 4-33 에서와 같이 하나 더 둘 수도 있다. 추가로 단말기측에 구비된 더브테일 홈은 적용되는 배터리에 따라서 사용될 수도 있고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때 단말기를 앞에서 보았을 때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앞/뒷면 배터리를 장착하고 나면, 하측면 혹은 상측면에는 배터리를 장착할 수 없고 좌우측면에만 배터리를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단말기를 앞에서 보았을 때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앞/뒷면 배터리를 장착하고 나면, 좌측면 혹은 우측면에는 배터리를 장착할 수 없고 상하측면에만 배터리를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도 4-33, 도 4-34 를 참고한다.
그러나 도 4-35 에서와 같은 형태로 구성하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앞/뒷면 배터리를 장착한 후에도 상측면 혹은 하측면에 측면 배터리를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만약 단말기의 뒷면에 배터리를 장착하는 공간이 정방형(정사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하좌우 측면에 도 4-35 와 같은 홈이 구비된 경우, 사용자는 뒷면 배터리 장착에 있어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시켜 장착할 수도 있고,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장착할 수도 있게 된다. 도 4-36 은 앞/뒷면 배터리 합체후 도 4-33 에서와 동일한 측면배터리를 측면에 장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4-34∼ 도4-36에서 h=h',i=i',k=k' 인 구조이기 때문이다.
이는 상하방향의 슬라이딩을 적용하면 단말기의 좌우폭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를 싫어하는 사용자에게 좌우 방향의 슬라이딩을 적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좌우방향의 슬라이딩을 적용후 측면 배터리를 장착함에 있어서도, 상/하측면 배터리를 장착할 수 있게함으로써, 배터리 합체후 좌우방향의 폭이 증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도4-33에서의 측면 배터리를 도4-36에서 사용할 수 있으려면, 단말기측이 도 4-37 에서와 같이 전원공급부(더브테일홈 안에 전원공급부를 두는 사례)를 추가로 가져야 한다. 도 4-38 은 앞/뒷면 배터리 장착후 도 4-33 에서의 측면배터리를 방향을 바꿔서 장착하는 경우 가용한 전원공급부가 있음을 보여준다. +,- 전극은 경우에 맞게 적절히 구성하면 된다. 바깥쪽의 전원공급부와 안쪽의 전원공급부가 같은 전극으로 구성된다.
5. 복원력있는 재료로 이루어진 고정돌기(복원돌기)를 이용한 고정수단
이는 단지 단말기와 배터리를 부착하는 경우에만 한정되지 않고, 운동방향의 직각방향으로 고정력을 작용하여 운동을 억제하는 효과를 내는 것이 필요한 모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편의상 단말기와 배터리의 예로 설명한다.
고무와 플라스틱의 중간 정도의 물성을 가지있는, 복원력 있는 재료로 고정돌기를 도 5-1(앞에서 제시한 사례에서 응용)에서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이 고정돌기를 편의상 "복원돌기"라고 부르기로 한다. 고정홈은 복원돌기에 꼭 맞는 구조이다. 도5-2는 도5-1의 확대도이다. 도5-2에서 h1 > h2 이고, 따라서 복원돌기 아래의 홈의 체적은 고정홈의 체적보다 작아 복원돌기가 눌려지더라도 복원돌기 아래의 홈에서 머물러 있을 수 없는 구조이다. 도5-3은 배터리와 단말기를 분리했을 경우의 모양이다. 도 5-4 는 압력을 가했을 때 복원돌기가 압축되는 모양을 보여준다.
복원돌기의 재료로 사용할 수 있는 물질은 이미 수 없이 많이 나와 있다. 예를 들어, 치약의 튜브로 쓰이는 재료와 같이 플라스틱과 고무의 중간적인 성질을 가지는 재료를 적용할 수 있다. 복원돌기를 구성하는 물질의 탄성도, 두께 등은 적절히 설정하면 된다. 도 5-5 은 단말기의 경우 슬라이딩 부착방식으로 장착시, 복원돌기의 모양변화과정을 나타내고, 장착후 복원돌기가 고정홈에 밀착되어 슬라이딩 방향의 유동을 억제하는 효과를 내는 것을 나타낸다.
이는 마치 억지끼움구조와 유사하나, 보통 플라스틱재료의 융통성을 이용하지 않는 점이 다르다. 억지끼움 고정방법은 플라스틱의 융통성만을 이용하므로 미세한 유동까지 완전히 억제하지 못하는 점, 마모에 의하여 노후되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복원돌기를 이용하는 방법의 장점은 고무와 유사한 성질을 가지는 재료를 사용하고, 일시적으로 압축되었다가 복원되는 구조이므로 전혀 마모될 염려가 없고, 미세한 유동까지 억제할 수 있고, 탈부착시에도 특정한 고정버튼을 조작하지 않고 단지 가압하여 탈부착이 가능한 점이다.
도 5-6 는 양끝접속 부착방식의 경우에 복원돌기를 적용한 도면(앞에서 예를 든 도면에서 적용한 사례)이다. 도5-6에서 배터리측이 복원돌기를 가지고, 단말기측이 고정홈을 갖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도 5-7 는 출원인의 선출원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단말기의 사용공간(예. 입출력장치)를 확장하는 경우의 도면이다. 도 5-7 에서 확장되는 액정(혹은 자판)의 확장을 멈추기 위하여 단말기 본체 및 확장되는 액정에 복원돌기 및 고정홈을 구비할 수 있다. 도 5-8 은 도 5-7 에서 복원돌기를 확장되는 액정부분에 두고, 단말기가 고정홈을 가지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5-9는 출원인의 선출원에서 여닫이 방식으로 단말기의 사용공간을 확장하는 경우의 예이다. 도 5-9 에서 확장되는 액정(혹은 자판)을 90도 만큼 움직인 상태에서 멈추게 하거나 180 도 만큼 움직인 상태에서 멈추게 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도 확장되는 액정과 단말기 본체에 각각 복원돌기와 고정홈을 구비하여 고정효과를 낼 수 있다.
6. 측면배터리의 다중 적용
전술한 바와 같이 측면 배터리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1 개 혹은 복수개 장착할 수 있다. 도 6-1 은 좌측면과 하측면 장착을 적용한 사례이다. 뿐만아니라 도 6-2 와 같이 앞/뒷면 배터리 측면 배터리를 편의대로 장착할 수 있다. 각각의 측면 배터리를 장착함에 있어서, 임의의 부착방법 및 고정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7. 다중측면 배터리의 적용
"ㅡ"형 측면배터리 외에도 "ㄴ"형, "ㄷ"형, "ㅁ"형 측면배터리(총칭하여 "다중측면 배터리"라 함)를 사용할 수 있다. 도 7-1 는 "ㄴ"형 측면 배터리를 장착하는 경우의 사례이다. 도 7-1 에서와 같이 임의의 부착방법이 조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8. 충전기와 단말기의 결합
현재 단말기의 홈부와 충전기의 돌출부에 의하여 단말기와 충전기 합체시키고 있는데, 단말기 하측면(저면)에 배터리를 장착하였을 경우와 장착하지 않았을 경우 충전기와 단말기를 합체시키는 요철부분(홈부와 돌출부)의 높이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단말기측에 높이의 변화에 따른 홈부를 추가로 둘 수 있다.
9. 모서리의 모따기 혹은 라운드 처리
본 발명에서의 단말기 혹은 배터리를 모따기 혹은 라운드 형태로 처리함으로써 사용의 편리를 더욱 높일 수 있다.
10. 회로의 구성
다수의 배터리를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으려면, 다수의 배터리가 장착되었을 경우에도 동일한 전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다수의 배터리가 병렬연결될 수 있도록 회로를 구성하여야 한다.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앞/뒷면 배터리 혹은 측면 배터리중 하나 이상의 배터리를 장착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27)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입력장치를 구비한 제1본체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제2본체로 구성된 단말기에 있어서,상기 제1본체 및 제2본체는 두께방향으로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본체 및 제2본체는 두께면으로 포개어진 상태에서 상기 2개의 본체에 각기 구비된 홈부와 돌출부의 결합에 의하여 미끄럼이동으로 확장되도록 슬라이드 결합되며,상기 제1본체 또는 상기 제2본체의 앞면 또는 뒷면이 아닌 상, 하, 좌, 또는 우측면의 어느 일측면에 배터리가 탈부착되며,상기 배터리의 두께는 상기 제1본체의 두께와 상기 제2본체의 두께를 합한 두께와 같거나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용 이동통신 단말기
- 입력장치를 구비한 제1본체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제2본체로 구성된 단말기에 있어서,상기 제1본체 및 제2본체는 두께방향으로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본체 및 제2본체는 두께면으로 포개어진 상태에서 접철(폴딩/언폴딩)될 수 있도록 상기 2개의 본체 측면에 구비된 힌지를 통하여 힌지결합되며,상기 제1본체 또는 상기 제2본체의 앞면 또는 뒷면이 아닌 상, 하, 좌, 또는 우측면의 어느 일측면에 배터리가 탈부착되며,상기 배터리의 두께는 상기 제1본체의 두께와 상기 제2본체의 두께를 합한 두께와 같거나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켓용 이동통신 단말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06032A KR100807914B1 (ko) | 2000-02-07 | 2001-02-07 | 이동단말기에서의 배터리 탈부착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05671 | 2000-02-07 | ||
KR20000005671 | 2000-02-07 | ||
KR20000067852 | 2000-11-15 | ||
KR1020000067852 | 2000-11-15 | ||
KR20010002137 | 2001-01-15 | ||
KR1020010002137 | 2001-01-15 | ||
KR20010004441 | 2001-01-31 | ||
KR1020010004441 | 2001-01-31 | ||
KR1020010006032A KR100807914B1 (ko) | 2000-02-07 | 2001-02-07 | 이동단말기에서의 배터리 탈부착 구조 |
KR1020010005837 | 2001-02-07 | ||
KR20010005837 | 2001-02-0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78368A KR20010078368A (ko) | 2001-08-20 |
KR100807914B1 true KR100807914B1 (ko) | 2008-02-27 |
Family
ID=27555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06032A KR100807914B1 (ko) | 2000-02-07 | 2001-02-07 | 이동단말기에서의 배터리 탈부착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0791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77397B1 (ko) * | 2004-11-22 | 2007-02-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보조 전원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
KR101630461B1 (ko) * | 2010-02-11 | 2016-06-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용 통신 장치의 배터리 커버 락킹 장치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13037U (ko) | 1985-07-05 | 1987-01-26 | ||
KR870000172Y1 (ko) * | 1986-10-04 | 1987-02-09 | 닛본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 일체화된 저판과 전지수용부를 지닌 휴대용 무선장치용 하우징 어셈블리 |
JPH1023118A (ja) | 1996-07-03 | 1998-01-23 | Nec Corp | 携帯電話機におけるオーバレイ・バッテリ装置 |
KR19990034337U (ko) * | 1998-01-21 | 1999-08-25 | 김홍배 | 크로스 타입 핸드폰 |
KR19990081239A (ko) * | 1998-04-28 | 1999-11-15 | 윤종용 | 무선단말기의 밧데리 장착장치 |
-
2001
- 2001-02-07 KR KR1020010006032A patent/KR10080791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13037U (ko) | 1985-07-05 | 1987-01-26 | ||
KR870000172Y1 (ko) * | 1986-10-04 | 1987-02-09 | 닛본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 일체화된 저판과 전지수용부를 지닌 휴대용 무선장치용 하우징 어셈블리 |
JPH1023118A (ja) | 1996-07-03 | 1998-01-23 | Nec Corp | 携帯電話機におけるオーバレイ・バッテリ装置 |
KR19990034337U (ko) * | 1998-01-21 | 1999-08-25 | 김홍배 | 크로스 타입 핸드폰 |
KR19990081239A (ko) * | 1998-04-28 | 1999-11-15 | 윤종용 | 무선단말기의 밧데리 장착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78368A (ko) | 2001-08-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78586B1 (ko) | 스크린 확장 구조체, 가요성 스크린 조립체 및 단말기 | |
US7503779B1 (en) | Electronic device having foldable plug | |
CN104682462A (zh) | 移动电源 | |
KR100807914B1 (ko) | 이동단말기에서의 배터리 탈부착 구조 | |
CN110460699B (zh) | 全面屏手机 | |
CN111642884A (zh) | 电子设备收纳盒及电子设备组件 | |
US20030013506A1 (en) | Stand-by battery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products | |
KR101334083B1 (ko) | 태블릿 컴퓨터 | |
CN211429356U (zh) | 一种移动终端 | |
CN102355512B (zh) | 弹簧模组以及采用该弹簧模组的滑盖手机 | |
KR100517896B1 (ko) | 휴대용 이동 단말기 | |
CN201142685Y (zh) | 蓝牙耳机手机内置 | |
CN216490625U (zh) | 一种可伸缩的折叠手机保护壳及手机 | |
CN211296753U (zh) | 具有抗反折棘轮机构的支撑结构和可折叠设备 | |
CN210183362U (zh) | 移动终端 | |
KR19990039777U (ko) | 휴대폰의 다기종 겸용 충전기 | |
CN207753752U (zh) | 一种手机前置镜头安装快速切换配件 | |
CN208822177U (zh) | 防盗器和展览体验桌 | |
JP4133900B2 (ja) | 携帯機器用充電台及び携帯機器充電用システム | |
CN201000911Y (zh) | 手机充电连接器 | |
CN205430379U (zh) | 侧键及移动终端 | |
CN216286701U (zh) | 一种基于物联网的数据采集终端 | |
CN217762835U (zh) | 链式组件、支撑组合件及柔性显示装置 | |
CN221573036U (zh) | 一种折叠屏手表 | |
CN201528357U (zh) | 滑动铰链模块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