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586B1 - 스크린 확장 구조체, 가요성 스크린 조립체 및 단말기 - Google Patents

스크린 확장 구조체, 가요성 스크린 조립체 및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586B1
KR101978586B1 KR1020177019307A KR20177019307A KR101978586B1 KR 101978586 B1 KR101978586 B1 KR 101978586B1 KR 1020177019307 A KR1020177019307 A KR 1020177019307A KR 20177019307 A KR20177019307 A KR 20177019307A KR 101978586 B1 KR101978586 B1 KR 101978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liding element
sliding
flexible screen
expansio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9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5957A (ko
Inventor
지홍 리우
시앙 조우
송링 양
Original Assignee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95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5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가요성 스크린 확장 구조체, 가요성 스크린 조립체 및 단말기가 개시된다. 가요성 스크린 확장 구조체는 제 1 패널(10), 제 1 슬라이딩 요소(20), 제 2 패널(30), 제 2 슬라이딩 요소(40) 및 제 1 탄성 요소(5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패널(10)은 제 1 안내 메커니즘(10a)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슬라이딩 요소(20)는 제 1 방향을 따라 제 1 안내 메커니즘(10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1 슬라이딩 요소(20)가 제 1 패널(10)과 중첩되는 제 1 위치, 및 제 1 슬라이딩 요소(20)가 제 1 패널(10)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정렬되는 제 2 위치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제 2 패널(30)은 제 2 안내 메커니즘(20a)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 2 슬라이딩 요소(40)는 제 2 방향을 따라 제 2 안내 메커니즘(20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2 안내 메커니즘(20a)의 안내 하에서, 제 2 슬라이딩 요소(40)는, 이러한 제 2 슬라이딩 요소(40)가 제 1 패널(10)에 인접한 제 3 위치, 및 제 2 슬라이딩 요소(40)가 제 1 패널(10)로부터 멀리 떨어진 제 4 위치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제 2 방향은 제 1 방향에 평행하다. 제 1 탄성 요소(50)는 제 1 슬라이딩 요소(20)와 제 2 슬라이딩 요소(40) 사이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스크린 확장 구조체, 가요성 스크린 조립체 및 단말기{FLEXIBLE SCREEN EXTENSION STRUCTURE, FLEXIBLE SCREEN ASSEMBLY, AND TERMINAL}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야에 관한 것이고, 특히, 가요성 스크린 확장 구조체, 가요성 스크린 조립체, 및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디스플레이 단말 장치(terminal display device)는 디스플레이 크기에 대한 점점 더 엄격한 필요조건을 갖는다. 전형적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보통, 스크린 크기에 의해 한정되고, 대개는, 큰 스크린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휴대성(portability)을 실현할 수 없는데, 예를 들면, 태블릿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크기는 필요조건을 충족할 수 있지만, 태블릿 컴퓨터는 보통 컴퓨터 가방(computer bag) 내에 위치될 필요가 있고, 휴대폰으로서 주머니(pocket)에 위치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휴대성을 실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충분히 큰 디스플레이 크기를 실현할 수 없는데, 예를 들면, 휴대폰은 주머니 내에 매우 쉽게 위치될 수 있지만, 휴대폰을 위한 매우 큰 디스플레이 크기를 제공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충분히 큰 스크린 크기를 실현할 뿐만 아니라, 휴대가 쉬운 디스플레이 장치가 절실하게 필요하다.
본 발명은 큰 디스플레이 크기 및 휴대성을 실현하는 가요성 스크린 확장 구조체, 가요성 스크린 조립체, 및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가요성 스크린 확장 구조체를 제공한다. 가요성 스크린 확장 구조체는 제 1 패널, 제 1 슬라이딩 요소, 제 2 패널, 제 2 슬라이딩 요소 및 제 1 탄성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패널은 제 1 안내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슬라이딩 요소는 제 1 방향을 따라 제 1 안내 메커니즘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1 안내 메커니즘의 안내 하에서, 제 1 슬라이딩 요소는 이러한 제 1 슬라이딩 요소가 제 1 패널과 중첩되는 제 1 위치, 및 제 1 슬라이딩 요소가 제 1 패널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정렬되는 제 2 위치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제 2 패널은 제 2 안내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 2 슬라이딩 요소는 제 2 방향을 따라 제 2 안내 메커니즘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2 안내 메커니즘의 안내 하에서, 제 2 슬라이딩 요소는 제 2 패널에 대해서, 제 2 슬라이딩 요소가 제 1 패널에 인접하는 제 3 위치, 및 제 2 슬라이딩 요소가 제 1 패널로부터 멀리 떨어진 제 4 위치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제 2 방향은 제 1 방향에 평행하다. 제 1 탄성 요소는 제 1 슬라이딩 요소와 제 2 슬라이딩 요소 사이에 배치된다.
제 1 슬라이딩 요소가 제 1 위치에 위치되고, 제 2 슬라이딩 요소가 제 4 위치에 위치될 때, 제 1 패널 및 제 2 패널은 서로 중첩되고, 제 1 탄성 요소는 제 1 슬라이딩 요소 및 제 2 슬라이딩 요소가 제 1 패널로부터 제 2 패널로의 방향으로 서로 접근하게 하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제 1 슬라이딩 요소는 제 2 위치에 위치되고, 제 2 슬라이딩 요소가 제 3 위치에 위치될 때, 제 1 패널 및 제 2 패널은 탄성력의 작용 하에서 나란하게 유지된다.
본 발명은 가요성 스크린 조립체를 더 제공한다. 가요성 스크린 조립체는 상기 가요성 스크린 확장 구조체 중 임의의 가요성 스크린 확장 구조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가요성 스크린 조립체는 가요성 스크린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가요성 스크린은 제 1 에지부와, 이러한 제 1 에지부에 대향하는 제 2 에지부를 포함한다. 제 1 에지부는 제 1 패널에 고정되고, 제 2 에지부는 제 2 패널에 고정된다.
본 발명은 단말기를 더 제공한다. 단말기는 상기 가요성 스크린 조립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단말기는 배터리, 신호 입력 장치 및 중앙 처리 장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배터리, 신호 입력 장치 및 중앙 처리 장치 모두는 가요성 스크린 조립체 내에 장착된다. 신호 입력 장치는 신호를 수신하고 이 신호를 중앙 처리 장치로 전송하기 위해 중앙 처리 장치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가요성 스크린 조립체는 중앙 처리 장치로부터 신호를 획득하고 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중앙 처리 장치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중앙 처리 장치는 신호 입력 장치로부터 신호를 획득하고, 이 신호를 처리하며, 처리된 신호를 신호 출력 장치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배터리는 중앙 처리 장치, 가요성 스크린 조립체 및 신호 입력 장치에 전력을 공급한다.
본 발명의 가요성 스크린 확장 구조체, 가요성 스크린 조립체 및 단말기에 대해서, 제 1 슬라이딩 요소가 제 1 위치 또는 제 2 위치로 슬라이딩될 수 있고, 제 2 슬라이딩 요소가 또한 제 3 위치 또는 제 4 위치로 슬라이딩될 수 있는 것에 의해, 그리고 제 1 탄성 요소가 제 1 슬라이딩 요소 및 제 2 슬라이딩 요소가 서로 접근하게 하는 것에 의해, 제 1 패널은 제 2 패널 상에 적층될 수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의 저감 및 휴대성을 실현하고, 제 1 패널 및 제 2 패널은 서로 동일 평면 상에 있고 나란히 배치되고,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를 증대시키고, 디스플레이 크기의 증대를 실현한다는 것이 또한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인 해결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의 설명에 사용되는 첨부 도면이 간단하게 설명될 것이다. 명백하게, 이하에 설명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이고, 당업자는 임의의 창조적인 노력 없이 다른 첨부 도면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예의 가요성 스크린 확장 구조체의 개략적인 분해도,
도 2는 다른 관점에서 바라본 도 1의 가요성 스크린 확장 구조체의 개략적인 분해도,
도 3은 도 1의 가요성 스크린 확장 구조체의 제 1 슬라이딩 요소 및 제 2 슬라이딩 요소의 조립된 개략도,
도 4는 도 1의 가요성 스크린 확장 구조체의 제 1 탄성 요소의 개략도,
도 5는 도 1의 가요성 스크린 확장 구조체의 제 2 패널에 대해 펼쳐진 도 1의 가요성 스크린 확장 구조체의 제 1 패널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6은 도 1의 가요성 스크린 확장 구조체의 제 2 패널과 중첩된 도 1의 가요성 스크린 확장 구조체의 제 1 패널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7은 제 1 패널에 대해 제 2 위치로 슬라이딩된 도 1의 가요성 스크린 확장 구조체의 제 1 슬라이딩 요소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8은 제 1 패널에 대해 제 1 위치로 슬라이딩된 도 1의 가요성 스크린 확장 구조체의 제 1 슬라이딩 요소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9는 도 1의 가요성 스크린 확장 구조체의 제 2 슬라이딩 요소 및 제 2 패널의 조립된 개략도,
도 10은 제 2 실시예의 가요성 확장 구조체의 제 1 안내 메커니즘의 개략도,
도 11은 제 3 실시예의 가요성 확장 구조체의 제 1 안내 메커니즘의 개략도.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하의 기술적인 해결책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첨부 도면과 함께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요성 스크린 확장 구조체(100)를 제공한다. 가요성 스크린 확장 구조체(100)는 제 1 패널(10), 제 1 슬라이딩 요소(20), 제 2 패널(30), 제 2 슬라이딩 요소(40) 및 제 1 탄성 요소(50)를 포함한다. 제 1 패널(10)은 제 1 안내 메커니즘(10a)을 포함한다. 제 1 슬라이딩 요소(20)는 제 1 방향을 따라 제 1 안내 메커니즘(10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1 안내 메커니즘(10a)의 안내 하에서, 제 1 슬라이딩 요소(20)는 제 1 패널(10)과 중첩되는 제 1 위치와, 제 1 패널(10)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정렬되는 제 2 위치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제 2 패널(30)은 제 2 안내 메커니즘(20a)을 포함한다. 제 2 슬라이딩 요소(40)는 제 2 방향을 따라 제 2 안내 메커니즘(20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2 안내 메커니즘(20a)의 안내 하에서, 제 2 슬라이딩 요소(40)는 제 1 패널(10)에 인접하는 제 3 위치와, 제 1 패널(10)로부터 멀리 떨어진 제 4 위치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제 2 방향은 제 1 방향에 평행하다. 제 1 탄성 요소(50)는 제 1 슬라이딩 요소(20)와 제 2 슬라이딩 요소(40) 사이에 배치된다.
제 1 슬라이딩 요소(20)가 제 1 위치에 위치되고, 제 2 슬라이딩 요소(40)가 제 4 위치에 위치될 때, 제 1 패널(10) 및 제 2 패널(30)은 서로 중첩되고, 제 1 탄성 요소(50)는 제 1 슬라이딩 요소(20) 및 제 2 슬라이딩 요소(40)가 제 1 패널(10)로부터 제 2 패널(30)로의 방향으로 서로 접근하게 하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제 1 슬라이딩 요소(20)가 제 2 위치에 위치되고, 제 2 슬라이딩 요소(40)가 제 3 위치에 위치될 때, 제 1 패널(10) 및 제 2 패널(30)은 탄성력의 작용 하에서 나란하게 유지된다.
제 1 슬라이딩 요소(20)가 제 1 위치 또는 제 2 위치로 슬라이딩될 수 있고, 제 2 슬라이딩 요소(40)가 제 3 위치 또는 제 4 위치로 슬라이딩될 수 있는 것에 의해, 그리고 제 1 탄성 요소(50)가, 제 1 슬라이딩 요소(20) 및 제 2 슬라이딩 요소(40)가 서로 접근하게 하는 것에 의해, 제 1 패널(10)은 제 2 패널(30) 상에 적층될 수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 감소 및 휴대성을 실현한다. 게다가, 제 1 패널(10) 및 제 2 패널(30)은 서로 동일 평면 상에 있고, 나란히 배치되고,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를 증대시키고, 디스플레이 크기의 증대를 실현한다는 것이 또한 달성될 수 있다.
제 1 패널(10) 및 제 2 패널(30) 양자는 가요성 스크린의 지지 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고, 제 1 패널(10) 및 제 2 패널(30) 양자는 가요성 스크린과 중첩될 수 있어서, 가요성 스크린의 형상을 고정하는 것이 실현될 수 있고, 가요성 스크린 상의 터치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 1 패널(10) 및 제 2 패널(30)이 나란히 배치될 때, 가요성 스크린은 제 1 패널(10) 및 제 2 패널(30) 상에 펼쳐져서, 평판 디스플레이 스크린 구조를 나타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안내 메커니즘(10a)은 제 1 패널(10) 내에 형성된 슬라이딩 슬롯(sliding slot)일 수도 있고, 또한 제 1 패널(10) 상에 제공된 안내 레일(guiding rail)일 수도 있으며, 또한 제 1 패널(10) 내에 형성된 삽입 슬롯 또는 삽입 구멍일 수도 있다. 제 1 안내 메커니즘(10a)은 제 1 방향을 따라 제 1 패널(10)에 대해 슬라이딩되도록 제 1 슬라이딩 요소(20)를 안내할 수 있다. 제 1 방향은 가요성 스크린을 지지하는 제 1 패널(10)의 표면에 평행하다. 제 1 안내 요소(20)가 제 1 위치에 있을 때, 제 1 안내 메커니즘(10a)은 제 1 패널(10)의 지지면을 확장하도록 제 1 슬라이딩 요소(20)를 안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안내 메커니즘(20a)은 제 2 패널(30) 내에 형성된 슬라이딩 슬롯일 수도 있고, 또한 제 2 패널(30) 상에 제공된 안내 레일일 수도 있으며, 또한 제 2 패널(30) 내에 형성된 삽입 슬롯 또는 삽입 구멍일 수도 있다. 제 2 안내 메커니즘(20a)은 제 2 방향을 따라 제 2 패널(30)에 대해 슬라이딩되도록 제 2 슬라이딩 요소(40)를 안내할 수 있다. 제 2 방향은 가요성 스크린을 지지하는 제 2 패널(30)의 표면에 평행하다. 제 2 방향이 제 1 방향에 평행하기 때문에, 즉, 제 2 패널(30)이 제 1 패널(10)에 대해 슬라이딩될 수 있기 때문에, 제 2 패널(30) 및 제 1 패널(10)은 서로 중첩될 수도 있고, 또는 서로 엇갈릴 수도 있다. 즉, 제 2 안내 메커니즘(20a)은 제 2 패널(30)에 대해 슬라이딩되도록 제 2 슬라이딩 요소(40)를 안내할 수 있고, 또한 제 2 패널(30)이 제 1 패널(10)에 대해 슬라이딩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실시예가 제공된다. 제 1 패널(10)은 제 1 내측면(11), 이러한 제 1 내측면(11)에 대향하여 배치된 제 1 외측면(12), 및 제 1 내측면(11)과 제 1 외측면(12) 사이에 배치된 제 1 상부면(13)을 포함한다. 제 1 패널(10)은 제 1 상부면(13)으로부터 멀리 있는 측부 내에 형성된 제 1 슬라이딩 슬롯(14)을 더 포함한다. 제 1 슬라이딩 슬롯(14)은 제 1 내측면(11)으로부터 제 1 외측면(12)으로 연장된다. 제 1 슬라이딩 슬롯(14)의 연장 방향은 제 1 상부면(13)에 평행하다.
제 1 슬라이딩 요소(20)는 연결부(21) 및 지지부(22)를 포함한다. 연결부(21)는 제 1 슬라이딩 슬롯(1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지지부(22)는 연결부(21)의 측부에 고정되고, 제 1 슬라이딩 슬롯(14) 내로 또는 외부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제 2 슬라이딩 요소(40)는 지지부(22)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제 1 상부면(13)으로부터 멀리 있는 제 1 슬라이딩 요소(20)의 측부에 위치되며, 제 1 상부면(13)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제 1 슬라이딩 요소(20)로부터 멀어지거나 접근할 수 있다.
제 1 탄성 요소(50)는 지지부(22)와 제 2 슬라이딩 요소(40) 사이에 연결되고, 제 2 슬라이딩 요소(40)가 지지부(22)에 접근하게 하는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제 2 패널(30)은 제 2 내측면(31), 이 제 2 내측면(31)에 대향하여 배치된 제 2 외측면(32), 및 제 2 내측면(31)과 제 2 외측면(32) 사이에 배치된 제 2 상부면(33)을 포함한다. 제 2 상부면(33)은 제 1 상부면(13)에 평행하다. 제 2 패널(30)은 제 2 상부면(33)으로부터 멀리 대향하는 측부 내에 형성된 제 2 슬라이딩 슬롯(34)을 더 포함한다. 제 2 슬라이딩 슬롯(34)은 제 2 내측면(31)으로부터 제 2 외측면(32)으로 연장된다. 제 2 슬라이딩 슬롯(34)의 연장 방향은 제 1 슬라이딩 슬롯(14)의 연장 방향에 평행하다. 제 2 슬라이딩 요소(40)는 제 2 슬라이딩 슬롯(3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지지부(22)가 제 1 슬라이딩 슬롯(14)의 외부로 슬라이딩될 때, 지지부(22) 및 제 1 패널(10)은 오정렬된다. 즉, 제 1 슬라이딩 요소(20)는 제 2 위치로 슬라이딩되고, 제 1 탄성 요소(50)의 탄성력의 작용 하에서 제 2 슬라이딩 요소(40)에 접근하며, 그동안에, 제 2 슬라이딩 요소(40)는 제 2 패널(30)의 제 2 내측면(31)에 접근하도록 슬라이딩된다, 즉, 제 2 슬라이딩 요소(40)는 제 2 패널(30)이 제 1 패널(10)에 근접하는 위치로 슬라이딩된다. 다시 말하면, 제 2 슬라이딩 요소(40)가 제 3 위치로 슬라이딩될 때, 제 2 패널(30)은 제 1 패널(10)에 대해 펼쳐질 수 있다, 즉, 제 2 패널(30) 및 제 1 패널(10)은 나란히 배치된다. 제 2 내측면(31)은 제 1 내측면(11)과 끼워맞춤될 수도 있고, 제 2 상부면(33)은 제 1 상부면(13)과 동일 평면 상에 있다.
지지부(22)가 제 1 슬라이딩 슬롯(14) 내로 슬라이딩될 때, 지지부(22)는 제 1 패널(10)과 중첩된다, 즉, 제 1 슬라이딩 요소(20)는 제 1 위치로 슬라이딩되고, 제 2 슬라이딩 요소(40)는 제 2 패널(30)의 제 2 외측면(32)에 접근하도록 슬라이딩된다, 즉, 제 2 슬라이딩 요소(40)는 제 2 패널(30)이 제 1 패널(10)로부터 멀리 있는 위치로 슬라이딩된다. 즉, 제 2 슬라이딩 요소(40)가 제 4 위치로 슬라이딩될 때, 제 2 슬라이딩 요소(40)는 제 1 패널(10)과 중첩되어서, 제 2 패널(30) 및 제 1 패널(10)이 서로 중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패널(10)은 직사각형 플레이트이다. 특히, 제 1 패널(10)은 하우징이고, 제 1 패널(10)은 제 1 수용 공동(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하도록 비어있다. 제 1 수용 공동의 개구 단부는 제 1 내측면(11) 상에 형성되고, 그에 따라 제 1 슬라이딩 요소(20)가 개구 단부를 통해 제 1 수용 공동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제 1 수용 공동 내에 2개의 제 1 슬라이드 안내 스트립(102)이 수용된다. 제 1 슬라이드 안내 스트립(102)은 제 1 수용 공동의 내부면에 고정되고, 제 1 내측면(11)으로부터 제 1 외측면(12)으로 확장된다. 제 1 슬라이딩 슬롯(14)은 2개의 제 1 슬라이드 안내 스트립(102) 사이에 제공되고, 제 1 슬라이딩 슬롯(14)의 삽입 개구부(도시되지 않음)는 제 1 내측면(11) 상에 형성된다. 제 1 슬라이딩 요소(20)는 제 1 수용 공동의 개구 단부를 통해 제 1 슬라이딩 슬롯(14) 내로 삽입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슬라이딩 슬롯(14)은 또한, 제 1 내측면(11) 및 제 1 외측면(12)을 통해 연장되는 관통 구멍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슬라이딩 요소(20)는 직사각형 플레이트이고, 제 1 슬라이딩 요소(20)는 제 1 상부면(13)에 평행하다. 제 1 슬라이딩 요소(20)가 제 1 위치로 슬라이딩될 때, 제 1 슬라이딩 요소(20)는 제 1 내측면(11)과 제 1 외측면(12) 사이에 위치된다. 제 1 슬라이딩 요소(20)가 제 2 위치로 슬라이딩될 때, 제 1 슬라이딩 요소(20)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 1 외측면(12)으로부터 멀리 있는 제 1 내측면(11)의 측부에 위치된다. 특히, 제 1 슬라이딩 요소(20)는 제 1 슬라이딩 슬롯(14) 내로 삽입될 수 있고, 연결부(21) 및 지지부(22)는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연결부(21)가 제 1 슬라이딩 슬롯(14)의 삽입 개구부로부터 멀어질 때, 지지부(22)는 제 1 슬라이딩 슬롯(14) 내로 슬라이딩되고, 제 1 슬라이딩 슬롯(14)의 삽입 개구부에 인접, 즉, 제 1 내측면(11)에 인접하다. 연결부(21)가 제 1 슬라이딩 슬롯(14)의 삽입 개구부에 접근할 때, 지지부(22)는 제 1 슬라이딩 슬롯(14)의 외부로 슬라이딩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슬라이딩 요소는 또한 봉 요소(rod element)일 수도 있고, 연결부 및 지지부는 제 1 슬라이딩 요소의 2개의 단부 상에 각각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슬라이딩 요소(40)는 직사각형 플레이트이고, 제 2 슬라이딩 요소(40)는 제 1 슬라이딩 요소(20)에 평행하고, 제 1 슬라이딩 요소(20)와 함께 제 2 슬라이딩 요소(40)는 제 1 패널(10)에 대해 슬라이딩될 수 있다. 지지부(22)가 제 1 슬라이딩 슬롯(14) 내에 위치되고, 그동안에, 제 2 패널(30)이 지지부(22)로부터 제 2 패널(30)에 수직인 방향으로 멀어지게 하는 힘이 제 2 패널(30)에 인가될 때, 제 2 패널(30)은 제 1 상부면(13) 상에 적층된다. 지지부(22)가 제 1 슬라이딩 슬롯(14)의 외부로 슬라이딩되고, 그 동안에, 제 2 슬라이딩 요소(40)가 제 1 탄성 요소(50)의 탄성력의 작용 하에서 지지부(22)에 접근할 때, 제 2 슬라이딩 요소(40)는 제 1 외측면(12)으로부터 멀리 있는 제 1 내측면(11)의 측부에 위치되고, 제 2 슬라이딩 요소(40)는 제 2 패널(30)이 이러한 제 2 패널(30)에 수직인 방향으로 제 1 패널(10)에 접근하게 하며, 마지막으로, 제 2 패널(30) 및 제 1 패널(10)은 나란히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슬라이딩 요소는 또한 봉 요소일 수도 있고, 제 2 슬라이딩 요소는 또한 슬라이딩 블럭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탄성 요소(50)는 직사각형 스프링일 수도 있고, 또한 비틀림 스프링(torsion spring)일 수도 있으며, 또한 불규칙한 스프링(irregular spring)일 수도 있다. 특히, 제 1 탄성 요소(50)는 비틀림 스프링이고, 제 1 탄성 요소(50)는 제 2 슬라이딩 요소(40)가 지지부(22)에 접하게 하도록, 사전 인장된 상태에 있다. 제 2 슬라이딩 요소(40)가 제 1 슬라이딩 요소(20)로부터 멀어지게 하도록, 제 2 슬라이딩 요소(40) 또는 제 1 슬라이딩 요소(20)에 외력이 인가될 필요가 있다. 외력이 제거된 후에, 제 2 슬라이딩 요소(40)는 제 1 탄성 요소(50)의 복원력의 작용 하에서 제 1 슬라이딩 요소(20)에 접근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탄성 요소는 또한 텔레스코픽 로드(telescopic rod) 상에 슬리브-결합(sleeve)된 직사각형 스프링일 수도 있고, 텔레스코픽 로드는 제 2 슬라이딩 요소와 지지부 사이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패널(30)은 직사각형 플레이트이고, 제 2 패널(30)의 형상은 제 1 패널(10)과 동등하다. 제 2 내측면(31)과 제 2 외측면(32) 사이에 제 3 위치 및 제 4 위치가 제공된다. 제 3 위치는 제 2 내측면(31)에 인접하고, 제 4 위치는 제 2 외측면(32)에 인접하다. 제 2 패널(30)은 제 1 패널(10)에 평행하다. 특히, 제 2 패널(30)은 하우징이고, 제 2 패널(30)은 제 2 수용 공동(301)을 형성하도록 비어있다. 제 2 수용 공동(301)의 개구 단부는 제 2 내측면(31) 상에 형성되고, 그에 따라 제 2 슬라이딩 요소(40)는 개구 단부를 통해 제 2 수용 공동(301)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제 2 수용 공동(301) 내에 2개의 제 2 슬라이드 안내 스트립(302)이 수용되고, 제 2 슬라이드 안내 스트립(302)은 제 2 수용 공동(301)의 내부면에 고정되어, 제 2 내측면(31)으로부터 제 2 외측면(32)으로 확장된다. 2개의 제 2 슬라이드 안내 스트립(302) 사이에 제 2 슬라이딩 슬롯(34)이 제공되고, 제 2 슬라이딩 요소(40)는 제 2 내측면(31)과 제 2 외측면(32) 사이에서 전후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제 2 슬라이딩 요소(40)가 제 2 내측면(31)에 접근하고, 즉, 제 2 슬라이딩 요소(40)가 제 3 위치로 슬라이딩되고, 그 동안에, 제 2 슬라이딩 요소(40)가 제 1 탄성 요소(50)의 탄성력의 작용 하에서 제 1 슬라이딩 요소(20)의 지지부(22)에 접근할 때, 제 2 패널(30)은 제 1 외측면(12)으로부터 멀리 있는 제 1 내측면(11)의 측부에 위치되고, 제 2 상부면(3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상부면(13)과 동일 평면 상에 있다. 제 2 슬라이딩 요소(40)가 제 2 외측면(32)에 접근하고, 즉, 제 2 슬라이딩 요소(40)가 제 4 위치로 슬라이딩될 때, 제 2 패널(30)의 제 2 내측면(31)은 제 1 상부면(13)이 제 1 내측면(11)에 인접한 위치에 위치되고, 제 1 슬라이딩 요소(20)의 지지부(22)는 제 1 슬라이딩 슬롯(14) 내로 슬라이딩되어서, 제 1 패널(10)의 제 1 상부면(13)과, 제 2 상부면(33)으로부터 멀리 있는 제 2 패널(30)의 표면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중첩된다. 제 2 패널(30)은 상부 커버 플레이트 및 하부 커버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제 2 수용 공동(301)은 2개의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 제공될 수도 있다. 2개의 커버 플레이트를 분리하는 것에 의해, 제 2 슬라이드 안내 스트립(302)을 장착하는 것이 실현될 수 있고, 제 2 슬라이딩 요소(40)를 제 2 슬라이딩 슬롯(34) 내로 삽입시키는 것이 실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슬라이딩 슬롯(34)은 또한 제 2 내측면(31) 및 제 2 외측면(32)을 통해 연장되는 관통 구멍일 수도 있다.
게다가,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패널(10)은 제 1 상부면(13)에 대향하여 배치된 제 1 하부면(15)을 더 포함한다. 제 2 패널(30)은 제 2 상부면(33)에 대향하여 배치된 제 2 하부면(35)을 더 포함한다. 제 2 하부면(35)은 홈(351)을 형성한다. 제 1 슬라이딩 요소(20)의 지지부(22)는 제 1 슬라이딩 슬롯(14)의 외부로 슬라이딩되고, 즉, 제 1 슬라이딩 요소(20)는 제 1 슬라이딩 슬롯(14)의 외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슬라이딩되고, 제 1 슬라이딩 요소(20)의 지지부(22)는 홈(351) 내에 수용된다. 제 1 상부면(13)은 제 2 상부면(33)과 동일 평면 상에 있고, 제 1 하부면(15)은 제 2 하부면(35)과 동일 평면 상에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패널(10)의 두께는 제 2 패널(30)의 두께와 동등하다. 제 1 슬라이딩 요소(20)의 지지부(22)가 제 1 슬라이딩 슬롯(14)의 외부로 슬라이딩될 때, 제 2 슬라이딩 요소(40)는 제 1 슬라이딩 요소(20)의 지지부(22)에 접근하고, 제 2 패널(30) 및 제 1 패널(10)은 나란히 배치된다. 제 1 슬라이딩 요소(20)의 지지부(22)가 홈(351) 내에 수용되고, 제 1 하부면(15)이 제 2 하부면(35)과 동일 평면 상에 있는 것에 의해, 제 1 패널(10) 및 제 2 패널(30)은 편평면을 갖는 플레이트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가요성 스크린의 지지 장치는 보다 큰 치수를 가질 수 있고, 가요성 스크린은 또한 편평 방식으로 지지 장치 상에 위치될 수 있다.
게다가, 도 7,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패널(10)의 제 1 상부면(13)은 제 1 슬라이딩 슬롯(14)을 통해 확장되는 제 1 안내 슬롯(131)을 형성하고, 제 1 안내 슬롯(131)은 제 1 패널(10)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제 1 슬라이딩 요소(20)의 지지부(22)는 제 1 슬라이딩 슬롯(14) 내로 슬라이딩되고, 제 1 슬라이딩 요소(20)에 인접한 제 1 탄성 요소(50)의 단부는 제 1 안내 슬롯(13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2 패널(30)은 제 2 안내 슬롯(331)을 형성한다. 제 2 안내 슬롯(331)은 제 2 패널(30)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제 2 슬라이딩 요소(40)에 인접한 제 1 탄성 요소(50)의 단부는 제 2 안내 슬롯(33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특히, 제 2 안내 슬롯(331)은 홈(351)을 통해 연장된다. 제 2 패널(30)이 제 1 패널(10)에 대해 슬라이딩될 때, 제 2 슬라이딩 요소(40)에 인접한 제 1 탄성 요소(50)의 단부는 제 2 안내 슬롯(33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안내 슬롯(131)의 연장 방향은 제 1 슬라이딩 요소(20)의 슬라이딩 방향에 평행하고, 제 1 안내 슬롯(131)의 개구부(도시되지 않음)는 제 1 내측면(11) 상에 형성된다. 제 1 슬라이딩 요소(20)에 인접한 제 1 탄성 요소(50)의 단부는 개구부를 통해 제 1 안내 슬롯(131)의 내로 또는 외부로 슬라이딩되어서, 제 1 슬라이딩 요소(20)는 매끄럽게 슬라이딩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 2 안내 슬롯(331)의 연장 방향은 제 2 슬라이딩 요소(40)의 슬라이딩 방향에 평행하고, 제 2 안내 슬롯(331)의 개구부는 제 2 내측면(31) 상에 형성되고, 제 1 탄성 요소(50)는 개구부를 통해 제 2 안내 슬롯(331) 내로 슬라이딩된다. 제 2 안내 슬롯(331)에는 제 2 내측면(31)으로부터 멀리 있는 위치에 한정부(도시되지 않음)가 제공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제 1 탄성 요소(50)가 제 2 안내 슬롯(331)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한정부에 접할 때, 한정부는 제 2 패널(30)이 제 1 패널(10)의 제 1 외측면(12)을 향해 이동하도록 밀어내고, 그 다음에 한정부는 제 1 탄성 요소(50)가 제 1 외측면(12)을 향해 이동하도록 밀어내고, 그렇게 함으로써, 제 1 슬라이딩 요소(20)가 제 1 슬라이딩 슬롯(14) 내로 슬라이딩되게 한다. 따라서, 가요성 스크린 확장 구조체(100)가 노력(labor)을 절약하고 안정적인 구조를 구비하도록, 제 1 패널(10) 및 제 2 패널(30)을 적층시키는 것이 편리하다.
게다가, 제 1 내측면(11)과 제 1 상부면(13) 사이의 끼인각은 둔각이다. 제 2 내측면(31)은 제 1 내측면(11)에 평행하다. 제 2 내측면(31)은 제 1 내측면(11)에 접할 수 있고, 제 2 내측면(31) 및 제 1 내측면(11)은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될 수 있어서, 제 1 상부면(13)이 제 2 상부면(33)과 동일 평면 상에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슬라이딩 요소(20)가 제 2 위치로 슬라이딩될 때, 즉, 지지부(22)가 제 1 슬라이딩 슬롯(14)의 외부로 슬라이딩될 때, 제 2 패널(30)의 제 2 내측면(31)은 제 1 내측면(11)의 에지부를 향해 제 1 상부면(13) 상에 슬라이딩된다. 제 1 슬라이딩 요소(20)가 제 2 위치로 슬라이딩될 때, 제 2 내측면(31)은 제 1 내측면(11)의 에지부로 슬라이딩된다. 제 1 내측면(11)과 제 1 상부면(13) 사이의 끼인각이 둔각이고, 또한 제 2 내측면(31)이 제 1 내측면(11)에 평행하기 때문에, 제 2 내측면(31)은 제 1 탄성 요소(50)의 힘 하에서 제 1 내측면(11)에 대해 자동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 2 상부면(33)은 제 1 상부면(13)에 접근할 수 있고, 마지막으로, 제 2 상부면(33)은 제 1 상부면(13)과 동일 평면 상에 있어서, 가요성 스크린 확장 구조체(100)는 노력을 절약하고 안정적인 구조를 구비한다.
게다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가요성 스크린 확장 구조체(100)는 제 3 안내 메커니즘(60)을 포함한다. 제 3 안내 메커니즘(60)은 제 1 슬라이딩 요소(20)와 제 2 슬라이딩 요소(40) 사이에 연결되고, 그에 따라 제 1 슬라이딩 요소(20) 및 제 2 슬라이딩 요소(40)는 제 1 패널(10)에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3 안내 메커니즘(60)은 제 1 로킹 바(first rocking bar)(61) 및 제 2 로킹 바(62)를 포함한다. 제 1 로킹 바(61)는 제 1 회전 단부(611)와, 이러한 제 1 회전 단부(611)에 대향하여 배치된 제 1 슬라이딩 단부(612)를 포함한다. 제 1 회전 단부(611)는 제 1 슬라이딩 요소(20)의 지지부(2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1 슬라이딩 단부(612)는 제 2 슬라이딩 요소(4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 1 로킹 바(61)의 회전면은 제 1 상부면(13)에 수직이다. 제 2 로킹 바(62)는 제 2 회전 단부(621)와, 이러한 제 2 회전 단부(621)에 대향하여 배치된 제 2 슬라이딩 단부(622)를 포함한다. 제 2 회전 단부(621)는 제 2 슬라이딩 요소(4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1 회전 단부(611)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제 2 슬라이딩 단부(622)는 제 1 슬라이딩 요소(20)의 지지부(2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1 슬라이딩 단부(612)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제 2 로킹 바(62)의 회전면은 제 1 로킹 바(61)의 회전면에 평행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하부면(15)으로부터 멀리 있는 제 1 슬라이딩 요소(20)의 지지부(22)의 측부에는 제 1 회전 샤프트(221) 및 제 1 클램핑 홈(222)이 제공된다. 제 1 회전 샤프트(221)의 축방향은 제 1 패널(10)에 평행하고, 제 1 슬라이딩 요소(20)의 슬라이딩 방향에 수직이다. 제 1 로킹 바(61)의 제 1 회전 단부(611)는 제 1 회전 샤프트(22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1 클램핑 홈(222)은 제 1 회전 샤프트(221)의 측부에 배치된다. 제 1 클램핑 홈(222)의 연장 방향은 제 1 슬라이딩 요소(20)의 슬라이딩 방향에 평행하고, 제 1 로킹 바(61)의 회전면 내에 위치된다. 제 2 슬라이딩 단부(622)는 제 1 클램핑 홈(22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2 상부면(33)으로부터 멀리 있는 제 2 슬라이딩 요소(40)의 측부에는 제 2 회전 샤프트(401) 및 제 2 클램핑 홈(402)이 제공된다. 제 2 회전 샤프트(401)의 축방향은 제 2 패널(30)에 평행하고, 제 2 슬라이딩 요소(40)의 슬라이딩 방향에 수직이다. 제 2 로킹 바(62)의 제 2 회전 단부(621)는 제 2 회전 샤프트(40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2 클램핑 홈(402)은 제 2 회전 샤프트(401)의 측부에 배치된다. 제 2 클램핑 홈(402)의 연장 방향은 제 2 슬라이딩 요소(40)의 슬라이딩 방향에 평행하고, 제 2 로킹 바(62)의 회전면 내에 위치된다. 제 1 슬라이딩 단부(612)는 제 2 클램핑 홈(40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1 로킹 바(61) 및 제 2 로킹 바(62)가 제 1 회전 샤프트(221) 및 제 2 회전 샤프트(401) 각각 주위로 회전되고, 제 1 슬라이딩 단부(612) 및 제 2 슬라이딩 단부(622)가 제 2 클램핑 홈(402) 및 제 1 클램핑 홈(221) 각각 내에서 슬라이딩되는 것에 의해, 제 2 슬라이딩 요소(40)에 대한 제 1 슬라이딩 요소(20)의 슬라이딩 방향은 제 1 패널(10)에 수직이다. 제 1 로킹 바(61) 및 제 2 로킹 바(62)는 제 1 슬라이딩 요소(20) 및 제 2 슬라이딩 요소(40)를 안내하는 기능을 하고, 그에 따라 가요성 스크린 확장 구조체(100)의 구조는 보다 안정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슬라이딩 요소(20)는 또한 안내 구멍을 형성할 수도 있고, 제 2 슬라이딩 요소(40)에는 안내 포스트(guiding post)가 제공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슬라이딩 요소(20)와 제 2 슬라이딩 요소(40) 사이에 제 1 로킹 바(61)가 단독으로, 또는 제 2 로킹 바(62)가 단독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게다가, 제 1 탄성 요소(50)는 비틀림 스프링이다. 제 1 탄성 요소(50)의 일단부는 제 1 로킹 바(61)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제 2 로킹 바(62)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탄성 요소(50)는 휘어진 철선(bent iron wire)으로 형성되고, 제 1 탄성 요소(50)는 제 1 포스 아암(force arm)(51)(도 4 참조) 및 제 2 포스 아암(52)(도 5 참조)을 포함한다. 제 1 포스 아암(51)과 제 2 포스 아암(52) 사이의 끼인각은 예각이다. 제 1 포스 아암(51)은 제 1 로킹 바(61)에 고정되고, 제 1 회전 단부(611)에 인접한다. 제 2 포스 아암(52)은 제 2 로킹 바(62)에 고정되고, 제 2 회전 단부(621)에 인접한다. 확실히,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탄성 요소(50)가 직사각형 스프링이라면, 제 1 탄성 요소(50)의 일단부는 또한 제 1 회전 샤프트(221)에 고정될 수 있고, 타단부는 제 2 회전 샤프트(401)에 고정된다.
게다가, 제 1 안내 메커니즘(10a)은 제 2 탄성 요소(25)를 포함한다. 제 2 탄성 요소(25)는 제 1 위치 또는 제 2 위치로 슬라이딩하는 제 1 슬라이딩 요소(20)에 추진력을 제공하기 위해, 제 1 슬라이딩 요소(20)와 제 1 패널(10) 사이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슬라이딩 요소(20)의 연결부(21)는 개구(31a)를 형성한다. 개구(31a)의 하단부는 제 2 탄성 요소(25)의 일단부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제 2 탄성 요소(25)의 타단부는 제 1 슬라이딩 슬롯(14) 내에 고정된다. 개구(31a)에 의해, 제 2 탄성 요소(25)를 수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2개의 이러한 제 2 탄성 요소(25)는 연결부(21)와 제 1 패널(10) 사이에 연결된다. 제 2 탄성 요소(25)는 불규칙한 스프링이다. 제 2 탄성 요소(25)는 "S" 곡선을 따라 확장된다. 2개의 탄성 요소(25) 각각의 단부는 개구(31a)의 하단부에 고정되고, 2개의 제 2 탄성 요소(25)의 타단부는 2개의 제 1 슬라이드 안내 스트립(102) 각각에 고정된다. 제 1 슬라이딩 요소(20)의 연결부(21)는 제 2 탄성 요소(25)의 힘 하에서 제 1 내측면(11)에 접근할 때, 제 1 슬라이딩 요소(20)의 지지부(22)는 제 1 슬라이딩 슬롯(14)의 외부로 자동으로 슬라이딩되고, 즉, 제 2 탄성 요소(25)의 탄성력의 작용 하에서, 제 1 슬라이딩 요소(20)는 제 2 위치로 자동으로 슬라이딩되고, 그에 따라 제 1 패널(10)은 제 2 패널(30)에 대해 펼쳐진다. 제 1 슬라이딩 요소(20)의 연결부(21)가 제 2 탄성 요소(25)의 힘 하에서 제 1 외측면(12)에 접근할 때, 제 1 슬라이딩 요소(20)의 지지부(22)는 제 1 슬라이딩 슬롯(14)으로 자동으로 슬라이딩되고, 즉, 제 1 슬라이딩 요소(20)는 제 1 위치로 자동으로 슬라이딩되고, 그에 따라 제 1 패널(10)은 제 2 패널(30)과 중첩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탄성 요소는 또한 직사각형 스프링일 수도 있다.
게다가, 제 2 안내 메커니즘(20a)은 제 3 탄성 요소(45)를 포함한다. 제 3 탄성 요소(45)는 제 2 패널(30)과 제 2 슬라이딩 요소(40) 사이에 연결되고, 제 3 탄성 요소(45)는 제 3 위치 또는 제 4 위치로 슬라이딩되는 제 2 슬라이딩 요소(40)에 추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3 탄성 요소(45)는 비틀림 스프링이고, 2개의 이러한 제 3 탄성 요소(45)는 제 2 슬라이딩 요소(40)와 제 2 패널(30) 사이에 연결된다. 2개의 제 3 탄성 요소(45) 각각의 일단부는 제 2 슬라이딩 요소(40)에 고정되고, 2개의 제 3 탄성 요소(45)의 타단부는 제 2 슬라이드 안내 스트립(302) 각각에 고정된다. 제 2 슬라이딩 요소(40)는 제 3 탄성 요소(45)의 힘 하에서 제 2 내측면(31)에 접근할 때, 제 2 슬라이딩 요소(40)는 제 2 내측면(31)에 자동으로 접근하고, 그에 따라 제 1 패널(10)은 제 2 패널(30)에 대해 자동으로 펼쳐진다. 제 2 슬라이딩 요소(40)가 제 3 탄성 요소(45)의 힘 하에서 제 2 외측면(32)에 접근할 때, 제 2 슬라이딩 요소(40)는 제 2 외측면(32)에 자동으로 접근하고, 그에 따라 제 1 패널(10)은 제 2 패널(30)과 자동으로 중첩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 3 탄성 요소는 또한 직사각형 스프링일 수도 있다.
게다가, 도 1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 2 실시예가 제공된다.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제 1 안내 메커니즘(10a)은 나란히 배치된 2개의 제 1 슬라이딩 로드(17)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2개의 제 1 슬라이딩 로드(17)는 제 1 패널(10)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확장된다. 제 1 슬라이딩 로드(17)의 단부는 제 1 상부면(13)으로부터 멀리 있는 제 1 패널(10)의 측부 상에 제공된 제 1 보스(17a)에 고정된다. 제 1 슬라이딩 요소(20)는 2개의 평행한 삽입 구멍(201)을 형성한다. 제 1 슬라이딩 로드(17)는 삽입 슬롯(201) 각각 내로 삽입되고, 그에 따라 제 1 슬라이딩 요소(20)는 제 1 슬라이딩 로드(17)를 따라 슬라이딩된다. 제 1 슬라이딩 요소(20)가 제 1 보스(17a)에 접근할 때, 제 1 슬라이딩 요소(20)는 제 1 패널(1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즉, 제 1 슬라이딩 요소(20)는 제 1 위치로 슬라이딩된다. 제 1 슬라이딩 요소(20)가 제 1 보스(17a)로부터 멀어질 때, 제 1 슬라이딩 요소(20)는 제 1 패널(10)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정렬된다, 즉, 제 1 슬라이딩 요소는 제 2 위치로 슬라이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안내 메커니즘(20a)의 배치는 제 1 안내 메커니즘(10a)의 배치와 동일하고, 이는 본 명세서에 반복되지 않는다.
게다가, 도 1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 3 실시예가 제공된다. 제 3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제 1 안내 메커니즘(10a)이 제 1 스크류 로드(17b) 및 제 1 드라이버(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는 점이 상이하다. 제 1 스크류 로드(17b)는 제 1 패널(10)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확장된다. 제 1 스크류 로드(17b)는 제 1 패널(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1 드라이버는 제 1 스크류 로드(17b)가 회전되게 한다. 제 1 슬라이딩 요소(20)는 제 1 나사형 구멍(202)을 형성한다. 제 1 나사형 구멍(202) 및 제 1 나사형 로드(17b)는 나사 연결(threaded connection)되어 있다. 제 1 드라이버는 제 1 스크류 로드(17b)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하여, 제 1 패널(10)에 대해 제 1 슬라이딩 요소(20)의 슬라이딩을 실현하고, 그에 따라 제 1 위치 또는 제 2 위치로의 제 1 슬라이딩 요소(20)의 슬라이딩이 실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안내 메커니즘(20a)의 배치는 제 1 안내 메커니즘(10a)의 배치와 동일하고, 이는 본 명세서에 반복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가요성 스크린 조립체(도시되지 않음)를 더 제공한다. 가요성 스크린 조립체는 가요성 스크린 확장 구조체(100)를 포함한다. 가요성 스크린 조립체는 가요성 스크린(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한다. 가요성 스크린은 제 1 에지부(도시되지 않음)와, 이러한 제 1 에지부에 대향하여 배치된 제 2 에지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제 1 에지부는 제 1 외측면(12)에 고정된다. 제 2 에지부는 제 2 외측면(32)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 1 패널(10)이 제 2 패널(30)에 대해 펼쳐질 때, 가요성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면이 펼쳐지고,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 크기를 증대시킨다. 제 1 패널(10)은 제 2 패널(30)에 대해 펼쳐질 때, 가요성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면은 절첩되고,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 크기를 저감시키고, 휴대성을 실현한다.
본 발명은 단말기(도시되지 않음)를 더 제공한다. 단말기는 가요성 스크린 조립체, 배터리, 신호 입력 장치, 및 중앙 처리 장치를 포함한다. 모든 배터리(도시되지 않음), 신호 입력 장치(도시되지 않음) 및 중앙 처리 장치(도시되지 않음)는 가요성 스크린 조립체 내에 장착된다. 신호 입력 장치는 신호를 수신하고 이 신호를 중앙 처리 장치로 전송하기 위해, 중앙 처리 장치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가요성 스크린 조립체는 중앙 처리 장치로부터 신호를 획득하고 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중앙 처리 장치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중앙 처리 장치는 신호 입력 장치로부터 신호를 획득하고, 신호를 처리하며, 처리된 신호를 신호 출력 장치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배터리는 중앙 처리 장치, 가요성 스크린 조립체 및 신호 입력 장치에 전력을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기는 휴대폰이다. 중앙 처리 장치로부터 지시 신호를 획득한 후에, 가요성 스크린 조립체는 이미지 신호를 출력한다. 신호 입력 장치는 가상 키(virtual key)일 수도 있고, 또한 물리 키(physical key)일 수도 있다. 사용자가 신호 입력 장치를 작동시켜서 이 신호 입력 장치에 지시를 입력할 때, 신호 입력 장치는 지시 신호를 중앙 처리 장치에 입력한다. 중앙 처리 장치는 지시 신호에 기초하여 처리되는 작업을 수행하고, 이에 의해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실현한다. 분명히,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기는 또한 블루투스 이용가능한 스피커, 또는 태블릿 컴퓨터일 수도 있고, 신호 입력 장치는 블루투스 리시버(Bluetooth receiver)일 수도 있으며, 신호 출력 장치는 또한 트럼펫(trumpet)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가요성 스크린 확장 구조체, 가요성 스크린 조립체 및 단말기에 대해서, 지지부가 제 2 슬라이딩 요소로부터 멀어질 수 있고, 제 1 슬라이딩 슬롯 내로 슬라이딩될 수 있는 것에 의해, 제 1 패널은 제 2 패널 상에 적층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의 저감을 실현하고, 휴대성을 실현한다. 지지부가 제 2 슬라이딩 요소에 접근할 수 있고, 제 1 슬라이딩 슬롯의 외부로 슬라이딩될 수 있는 것에 의해, 제 1 패널은 제 2 패널과 동일 평면 상에 있을 수 있고,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를 증대시키고, 디스플레이 크기의 증대를 실현한다.
상술된 것은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위한 것이다. 당업자는 여전히 본 발명의 원리 내에서 일부 개선예 및 변경예를 취할 수 있고, 이러한 개선예 및 변경예는 또한 본 발명의 보호의 범위로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이 나타날 것이다.

Claims (15)

  1. 가요성 스크린 확장 구조체에 있어서,
    제 1 수용 공동을 형성하도록 비어있으며, 상기 제 1 수용 공동 내에 제 1 안내 메커니즘이 수용되는 제 1 패널과,
    제 1 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안내 메커니즘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1 수용 공동 내에 수용되는 제 1 슬라이딩 요소로서, 상기 제 1 안내 메커니즘의 안내 하에서, 상기 제 1 슬라이딩 요소는, 상기 제 1 슬라이딩 요소가 상기 제 1 패널과 중첩되는 제 1 위치, 및 상기 제 1 슬라이딩 요소가 상기 제 1 패널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정렬되는 제 2 위치로 슬라이딩 가능한, 상기 제 1 슬라이딩 요소와,
    제 2 수용 공동을 형성하도록 비어있으며, 상기 제 2 수용 공동 내에 제 2 안내 메커니즘이 수용되는 제 2 패널과,
    제 2 방향을 따라 상기 제 2 안내 메커니즘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2 수용 공동 내에 수용되는 제 2 슬라이딩 요소로서, 상기 제 2 안내 메커니즘의 안내 하에서, 상기 제 2 슬라이딩 요소는, 상기 제 2 슬라이딩 요소가 상기 제 1 패널에 인접하는 제 3 위치, 및 상기 제 2 슬라이딩 요소가 상기 제 1 패널로부터 멀리 떨어진 제 4 위치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제 2 방향은 상기 제 1 방향에 평행한, 상기 제 2 슬라이딩 요소와,
    상기 제 1 슬라이딩 요소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요소 사이에 배치된 제 1 탄성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패널의 두께는 상기 제 2 패널의 두께와 동등하며, 상기 제 2 패널은 상기 제 1 패널 상에서 전후로 슬라이딩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슬라이딩 요소가 상기 제 1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슬라이딩요소가 상기 제 4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제 1 패널 및 제 2 패널은 서로 중첩되고, 상기 제 1 탄성 요소는 상기 제 1 슬라이딩 요소 및 제 2 슬라이딩 요소가 상기 제 1 패널로부터 상기 제 2 패널을 향하는 방향으로 서로 접근하게 하는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 1 슬라이딩 요소가 상기 제 2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제 2슬라이딩 요소가 상기 제 3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제 1 패널 및 제 2 패널은 상기 탄성력의 작용 하에서 나란하게 유지되는
    가요성 스크린 확장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널은 제 1 내측면과, 상기 제 1 내측면에 대향하여 배치된 제 1 외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슬라이딩 요소가 상기 제 1 위치로 슬라이딩될 때, 상기 제 1 슬라이딩 요소는 상기 제 1 내측면과 상기 제 1 외측면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슬라이딩 요소가 상기 제 2 위치로 슬라이딩될 때, 상기 제 1 슬라이딩 요소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 1 외측면으로부터 멀리 있는 상기 제 1 내측면의 측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패널은 제 2 내측면과, 상기 제 2 내측면에 대향하여 배치된 제 2 외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내측면과 상기 제 2 외측면 사이에 상기 제 3 위치 및 제 4 위치가 제공되고, 상기 제 3 위치는 상기 제 2 내측면에 인접하고, 상기 제 4 위치는 상기 제 2 외측면에 인접하는
    가요성 스크린 확장 구조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내 메커니즘은 제 1 슬라이딩 슬롯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슬라이딩 슬롯은 상기 제 1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제 1 외측면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 1 슬라이딩 요소는 상기 제 1 슬라이딩 슬롯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 2 안내 메커니즘은 제 2 슬라이딩 슬롯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슬라이딩 슬롯은 상기 제 2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제 2 외측면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 2 슬라이딩 요소는 상기 제 2 슬라이딩 슬롯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요성 스크린 확장 구조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널은 제 1 상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상부면은 상기 제 1 내측면과 상기 제 1 외측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패널은 제 2 상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상부면은 상기 제 2 내측면과 상기 제 2 외측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패널 및 제 2 패널이 나란히 배치될 때, 상기 제 1 상부면은 상기 제 2 상부면과 동일 평면 상에 있는
    가요성 스크린 확장 구조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측면과 상기 제 1 상부면 사이의 끼인각은 둔각이고, 상기 제 2 내측면은 상기 제 1 내측면에 평행하고, 상기 제 2 내측면은 상기 제 1 내측면에 대해 접하도록 작동가능하며, 상기 제 2 내측면 및 제 1 내측면은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여, 상기 제 1 상부면이 상기 제 2 상부면과 동일 평면 상에 있을 수 있게 되는
    가요성 스크린 확장 구조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널은 상기 제 1 상부면에 대향하여 배치된 제 1 하부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패널은 상기 제 2 상부면에 대향하여 배치된 제 2 하부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하부면은 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슬라이딩 요소는 상기 제 1 슬라이딩 슬롯의 외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홈 내에 수용되고, 상기 제 1 상부면은 상기 제 2 상부면과 동일 평면 상에 있으며, 상기 제 1 하부면은 상기 제 2 하부면과 동일 평면 상에 있는
    가요성 스크린 확장 구조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널은 제 1 안내 슬롯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안내 슬롯은 상기 제 1 패널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 1 슬라이딩 요소에 인접한 상기 제 1 탄성 요소의 단부는 상기 제 1 안내 슬롯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 2 패널은 제 2 안내 슬롯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안내 슬롯은 상기 제 2 패널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 2 슬라이딩 요소에 인접한 상기 제 1 탄성 요소의 단부는 상기 제 2 안내 슬롯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요성 스크린 확장 구조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스크린 확장 구조체는 제 3 안내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안내 메커니즘은, 상기 제 1 슬라이딩 요소 및 제 2 슬라이딩 요소가 상기 제 1 패널에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되게 하기 위해, 상기 제 1 슬라이딩 요소와 상기 제 2 슬라이딩 요소 사이에 연결되는
    가요성 스크린 확장 구조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안내 메커니즘은 제 1 로킹 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로킹 바는 제 1 회전 단부와, 상기 제 1 회전 단부에 대향하여 배치된 제 1 슬라이딩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회전 단부는 상기 제 1 슬라이딩 요소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1 슬라이딩 단부는 상기 제 2 슬라이딩 요소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 1 로킹 바의 회전면은 상기 제 1 슬라이딩 요소가 상기 제 2 슬라이딩 요소에 접근하는 방향에 평행한
    가요성 스크린 확장 구조체.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안내 메커니즘은 제 2 로킹 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로킹 바는 제 2 회전 단부와, 상기 제 2 회전 단부에 대향하여 배치된 제 2 슬라이딩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회전 단부는 상기 제 2 슬라이딩 요소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2 슬라이딩 단부는 상기 제 1 슬라이딩 요소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 2 로킹 바의 회전면은 상기 제 2 슬라이딩 요소가 상기 제 1 슬라이딩 요소에 접근하는 방향에 평행한
    가요성 스크린 확장 구조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내 메커니즘은 제 2 탄성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탄성 요소는 상기 제 1 슬라이딩 요소와 상기 제 1 패널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위치 또는 제 2 위치로 슬라이딩되는 상기 제 1 슬라이딩 요소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가요성 스크린 확장 구조체.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안내 메커니즘은 제 3 탄성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탄성 요소는 상기 제 2 패널과 상기 제 2 슬라이딩 요소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 3 위치 또는 제 4 위치로 슬라이딩되는 상기 제 2 슬라이딩 요소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가요성 스크린 확장 구조체.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성 요소는 비틀림 스프링인
    가요성 스크린 확장 구조체.
  14. 가요성 스크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스크린 조립체는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가요성 스크린 확장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스크린 조립체는 가요성 스크린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스크린은 제 1 에지부와, 상기 제 1 에지부에 대향하는 제 2 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에지부는 상기 제 1 패널에 고정되며, 상기 제 2 에지부는 상기 제 2 패널에 고정되는
    가요성 스크린 조립체.
  15.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제 14 항에 기재된 가요성 스크린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배터리, 신호 입력 장치 및 중앙 처리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신호 입력 장치 및 중앙 처리 장치 모두는 상기 가요성 스크린 조립체 내에 장착되고, 상기 신호 입력 장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를 상기 중앙 처리 장치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중앙 처리 장치에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가요성 스크린 조립체는 상기 중앙 처리 장치로부터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상기 중앙 처리 장치에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중앙 처리 장치는 상기 신호 입력 장치로부터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신호를 처리하며, 처리된 신호를 신호 출력 장치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중앙 처리 장치, 가요성 스크린 조립체 및 신호 입력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말기.
KR1020177019307A 2014-12-23 2014-12-23 스크린 확장 구조체, 가요성 스크린 조립체 및 단말기 KR1019785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4/094601 WO2016101123A1 (zh) 2014-12-23 2014-12-23 柔性屏扩展结构、柔性屏组件及终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5957A KR20170095957A (ko) 2017-08-23
KR101978586B1 true KR101978586B1 (ko) 2019-05-14

Family

ID=55725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9307A KR101978586B1 (ko) 2014-12-23 2014-12-23 스크린 확장 구조체, 가요성 스크린 조립체 및 단말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0114420B2 (ko)
EP (2) EP3273322A4 (ko)
JP (1) JP6403891B2 (ko)
KR (1) KR101978586B1 (ko)
CN (2) CN105518769B (ko)
CA (1) CA2971912C (ko)
WO (2) WO20161011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5299A1 (en) * 2015-10-28 2017-05-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ragrance compositions comprising ionic liquids
US20200168132A1 (en) * 2016-09-29 2020-05-28 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Electronic device
CN106601129B (zh) * 2016-12-02 2019-02-22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滑动式柔性显示装置
WO2018139996A1 (en) * 2017-01-25 2018-08-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urved modular display
CN106951033A (zh) * 2017-03-28 2017-07-14 上海摩软通讯技术有限公司 柔性屏移动终端
CN106971673B (zh) * 2017-05-26 2019-07-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
CN108399861B (zh) * 2018-03-07 2020-04-21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柔性显示设备支撑组件及柔性显示设备
KR102468068B1 (ko) * 2018-07-13 2022-11-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76054B1 (ko) * 2018-07-23 2022-03-18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휴대용 전자 장치 및 이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TWI713433B (zh) * 2018-12-18 2020-12-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伸縮式鉸鏈及具有其的電子裝置
CN111615276B (zh) * 2019-02-23 2021-07-1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限位组件、滑动连接机构和可折叠电子设备
CN111615275B (zh) * 2019-02-23 2021-07-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限位组件、滑动连接机构和可折叠电子设备
CN111090299A (zh) * 2019-04-19 2020-05-01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双屏护眼平板
CN110113454B (zh) * 2019-04-25 2023-10-27 海信电子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具有全面屏的智能设备
CN110047384B (zh) * 2019-04-30 2024-02-20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CN110033708B (zh) * 2019-05-06 2023-12-0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可折叠显示装置
CN110620835B (zh) * 2019-09-03 2023-09-19 深圳传音控股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CN112750367B (zh) * 2019-10-31 2022-10-1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的装配方法与拆卸方法、电子设备
CN112929474B (zh) * 2019-11-06 2023-04-0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折叠屏组件和电子设备
CN110995899B (zh) * 2019-11-30 2021-09-03 Tcl 移动通信科技(宁波)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CN211118419U (zh) * 2019-12-04 2020-07-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支撑结构
CN113068336A (zh) * 2019-12-16 2021-07-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
CN113141425B (zh) * 2020-01-19 2022-08-09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显示模组和终端
CN111243438B (zh) * 2020-02-07 2022-01-2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CN111399593B (zh) * 2020-03-19 2022-03-2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折叠组件及电子设备
CN111508355B (zh) * 2020-04-16 2021-06-0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CN111510536A (zh) 2020-05-26 2020-08-0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1587016B (zh) * 2020-05-29 2021-12-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US10904371B1 (en) * 2020-07-24 2021-01-2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KR102278840B1 (ko) * 2020-08-31 2021-07-16 정민우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를 접는 방법
CN112201169B (zh) * 2020-11-02 2021-07-27 山西穿越光电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
CN112863331B (zh) * 2020-12-31 2022-08-1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3023409B (zh) * 2021-03-09 2023-05-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支撑组件和柔性显示面板的收纳展开装置
CN113098995B (zh) * 2021-03-18 2022-05-1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可滑动的柔性显示设备
DE102021118526A1 (de) * 2021-07-19 2023-01-19 Audi Aktiengesellschaft Verkleidungsanordnung für eine Rückseite einer zwischen einem eingefahrenen und einem ausgefahrenen Zustand verfahrbaren flexiblen Anzeigeeinheit sowie Anzeigevorrichtung mit der Anzeigeeinheit und der Verkleidungsanordnung sowie Kraftfahrzeu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32000A1 (ja) * 2011-03-31 2012-10-04 富士通株式会社 スライドアシスト装置
JP2013192082A (ja) * 2012-03-14 2013-09-26 Fujitsu Ltd 表示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
US20140194165A1 (en) 2013-01-10 2014-07-10 Richard Hwang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Rolled-Up Screen and Display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5687A (en) * 1995-11-20 1997-10-0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eamless multi-section visual display system
KR100284342B1 (ko) * 1998-05-30 2001-03-02 김순택 플렉시블한액정표시소자를구비한휴대용액정표시장치
FI111998B (fi) * 1999-12-08 2003-10-15 Nokia Corp Käyttöliittymä
JP2002099226A (ja) * 2000-07-19 2002-04-05 Seiko Epson Corp 表示装置
GB2420905B (en) * 2003-06-23 2006-12-27 Simon Richard Daniel Display device having an extendible screen
KR101098618B1 (ko) * 2005-01-03 2011-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 개폐형 이동통신 단말기
US7558057B1 (en) * 2005-06-06 2009-07-07 Alex Naksen Personal digital device with adjustable interface
EP1796351B1 (en) * 2005-12-12 2016-10-19 LG Electronics Inc. Slid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O2008133510A2 (en) * 2007-04-25 2008-11-06 Polymer Vision Limited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flexible display with edge protectors
KR101458659B1 (ko) * 2007-05-09 2014-11-05 크리에이터 테크놀로지 비.브이. 가요성 디스플레이용 세척 유닛을 구비한 전자 장치
US20090009423A1 (en) * 2007-07-07 2009-01-08 Yuming Huang Variable size electronic display based on slide-out and slide-in mechanism
JP4729545B2 (ja) * 2007-09-13 2011-07-20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通信端末機
TWI417821B (zh) * 2007-11-23 2013-12-01 Creator Technology Bv 具改進功能的電子裝置
TWI338491B (en) * 2007-12-06 2011-03-01 Htc Corp Electronic device and sliding mechanism thereof
US7986983B2 (en) * 2007-12-28 2011-07-26 Motorola Mobility, Inc. Methods and slider form factor devices with continguous surfaces when open
TWI441116B (zh) * 2008-04-22 2014-06-11 Creator Technology Bv 附加具有能有進一步功能之本體的可撓性顯示器之電子裝置
JP2010054977A (ja) 2008-08-29 2010-03-11 Nec Personal Products Co Ltd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3325312A (zh) 2008-11-24 2013-09-25 柳相圭 用于可折叠便携终端的软性显示装置
KR20110029089A (ko) * 2009-09-14 2011-03-22 유상규 표시영역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CN102033573B (zh) * 2009-09-30 2013-04-24 英业达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滑动结构
KR20110038560A (ko) * 2009-10-08 2011-04-14 김시환 휴대용 표시장치
US8379377B2 (en) * 2010-01-20 2013-02-19 Creator Technology B.V. Electronic device with at least one extendable display section
JP5944095B2 (ja) * 2010-07-26 2016-07-05 三菱製鋼株式会社 開閉装置
KR20120079493A (ko) * 2010-12-23 2012-07-13 주식회사 팬택 휴대 단말기
KR101273182B1 (ko) * 2011-02-18 2013-06-17 주식회사 팬택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TWI449991B (zh) * 2011-03-21 2014-08-21 Wistron Corp 顯示器及具有該顯示器的電子裝置
US9286812B2 (en) * 2011-06-07 2016-03-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lexible display extendable assembly
US8787016B2 (en) * 2011-07-06 2014-07-22 Apple Inc. Flexible display devices
US8711566B2 (en) * 2011-09-02 2014-04-29 Microsoft Corporation Expandable mobile device
US20130120912A1 (en) * 2011-11-15 2013-05-16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a flexible display
EP2595029A1 (en) * 2011-11-15 2013-05-22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a flexible display
CN102622053A (zh) * 2012-02-02 2012-08-01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屏幕装置
US9013864B2 (en) * 2012-11-02 2015-04-21 Blackberry Limited Support for a flexible display
KR102020659B1 (ko) * 2013-06-03 2019-09-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KR102125757B1 (ko) * 2013-06-13 2020-06-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도너 필름의 프레임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CN203352631U (zh) * 2013-07-01 2013-12-18 张建文 屏幕可扩展的手机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32000A1 (ja) * 2011-03-31 2012-10-04 富士通株式会社 スライドアシスト装置
JP2013192082A (ja) * 2012-03-14 2013-09-26 Fujitsu Ltd 表示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
US20140194165A1 (en) 2013-01-10 2014-07-10 Richard Hwang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Rolled-Up Screen and Display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39967B1 (en) 2021-03-10
JP6403891B2 (ja) 2018-10-10
EP3273322A4 (en) 2019-01-09
JP2018508806A (ja) 2018-03-29
US10114420B2 (en) 2018-10-30
KR20170095957A (ko) 2017-08-23
EP3273322A1 (en) 2018-01-24
CN105518769B (zh) 2018-10-02
CA2971912C (en) 2019-08-06
WO2016101123A1 (zh) 2016-06-30
CA2971912A1 (en) 2016-06-30
EP3239967A4 (en) 2018-08-22
WO2016101897A1 (zh) 2016-06-30
US20170364121A1 (en) 2017-12-21
US20170371371A1 (en) 2017-12-28
EP3239967A1 (en) 2017-11-01
CN107533822A (zh) 2018-01-02
CN107533822B (zh) 2020-05-05
CN105518769A (zh) 2016-04-20
US9971383B2 (en) 201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8586B1 (ko) 스크린 확장 구조체, 가요성 스크린 조립체 및 단말기
US11907026B2 (en) Rotatable connector assembly and foldable terminal device
KR102056721B1 (ko) 접이식 컴퓨팅 장치 및 디스플레이부를 세우는 방법
KR200493314Y1 (ko) 휴대용 단말기 및 pc 장치용 스탠드
TWI358983B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6717943B2 (ja) モバイル端末
CN108604109B (zh) 具有支起功能的电子设备
CN109171193B (zh) 会议桌
US8353083B2 (en) Tilt mechanism for electronic device
US9110637B2 (en) Electronic device
US9304552B2 (en) Protection device capable of rotatably support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3197732A (zh) 可携式电子装置及其扩充座
CN210007730U (zh) 移动终端
CN211344498U (zh) 电子设备
CN110769089A (zh) 折叠式移动终端
US9739413B2 (en) Electronic device and device-securing structure thereof
US20160170449A1 (en) Electronic Device
JP2006304064A (ja) アンテナ装置
US9185814B2 (en) Electronic device with rotation mechanism
CN211403922U (zh) 显示装置
KR20100021256A (ko) 힌지 모듈
TWM468699U (zh) 電子裝置及其容置結構
WO2012017526A1 (ja) 情報機器保持台
CN111526230A (zh) 柔性机壳组件与电子设备
TWM364892U (en) Elastic supporting r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