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0120B1 - 신호 기록매체가 수납된 카아트리지의 구동장치용 카아트리지 장착장치 - Google Patents

신호 기록매체가 수납된 카아트리지의 구동장치용 카아트리지 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0120B1
KR870000120B1 KR1019830001024A KR830001024A KR870000120B1 KR 870000120 B1 KR870000120 B1 KR 870000120B1 KR 1019830001024 A KR1019830001024 A KR 1019830001024A KR 830001024 A KR830001024 A KR 830001024A KR 870000120 B1 KR870000120 B1 KR 870000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cartridgeage
housing
hub
spi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1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4286A (ko
Inventor
마나부 와까바야시
도오루 산뻬이
가즈도시 곤노
이사오 우쓰기
도미요시 사또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40004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4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0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신호 기록매체가 수납된 카아트리지의 구동장치용 카아트리지 장착장치
제1도는 본원 발명의 카아트리지 장착장치의 주요부의 측면도.
제2도는 본원 발명의 카아트리지 장착장치의 주요부의 분해사시도.
제3a도, 제3b도, 제3c도는 카아트리지가 카아트리지 수납체에 장착되기 전의 상태, 장착된 상태, 카아트리지 수납체에서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제4a도, 제4b도는 제2도의 IV-IV선 단면도.
제5a도, 제5b도는 제2도의 V-V 선 단면도.
제6도는 본원 발명장치의 가동돌기의 제1실시예의 부부을 나타낸 사시도.
제7도, 제8도는 본원 발명장치의 가동돌기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9도, 제10도, 제11도, 제12도는 본원발명의 카아트리지 장착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본원 발명은 자기적, 광학적, 기계적 또는 기타의 유사한 수단에 의해 신호가 기록된 매체를 수납하는 카아트리지(카세트)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호가 기록된 매체를 수납하며, 매체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셔터를 구비한 카아트리지가 수납되는 카아트리지 장착장치로서, 이 장착장치는 카아트리지 수납체와 카아트리지 수납체 및 수납된 카아트리지를 비작동위치에서 작동위치로 이동하는 수단과 카아트리지 수납체에 형성되며, 카아트리지에 설치된 셔터를 열기 위한 돌기를 구비하고, 이 돌기는 이동이 가능하며 카아트리지가 비작동위치에서 작동위치로 이동할 때에 카아트리지와 함께 이동한다.
수평으로 배치된 카아트리지(카세트) 장착장치를 구비한 신호재생장치나 신호의 기록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들 장치는 통상 측면에서 카아트리지가 개구를 통해서 장착장치에 삽입되며, 에젝터(ejector)스프링의 탄성력에 대항해서 카아트리지가 완전히 장착되면, 매체는 구동장치와 결합된다. 그리고, 매체는 신호 재생장치의 기구에 의해서 구동된다. 통상 매체는 구동모우터에 결합된 스핀들에 의해서 회전되며, 필요하면 매체는 그 중심부에 허브(hub)를 가지며, 또 필요하면 허브는 스핀들과 가압판의 사이에 끼워져 지지되어 있다.
한편, 매체가 수납된 카아트리지에 있어서는, 그 케이스 안에 먼지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헤드 윈도우에 셔터가 설치된 것이 있다. 이 셔터는 당연히 카아트리지 장착장치에 장착되었을 때에는 열린다. 그러므로, 통상 장착장치는 셔터를 열기 위한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물론, 셔터를 여는 기구나 스핀들 또는 가압판이 장착장치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라도 카아트리지가 장착장치에 의해서 바르게 신호기록장치, 신호재생장치에 장착되지 않으면 안된다. 특히 카아트리지의 허브가 스핀들과 가압판의 사이에 지지될 경우에는 비작동위치와 작동위치에 있어서 카아트리지가 이동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셔터는 바르게 열려야 하며, 또한 매체도 바르게 구동되지 않으면 안된다.
본원발명의 목적은 셔터를 여는 기구를 구비하며, 카아트리지가 바르게 장착장치에 삽입되고, 또한 기록매체가 바르게 스핀들 등의 구동장치에 의해서 구동되는 카아트리지 장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또한 셔터를 여는 기구에 더해서 가압판을 구비하며, 카아트리지가 바르게 장착장치에 삽입되는 카아트리지 장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다음에 도면에 의하여 본원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에 파선으로 나타낸 상자형으로 형성된 하우징(1)에는 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장치가 배설되며, 하우징(1)안에는 샤시(2)와 샤시(2) 위에 장착된 본원 발명의 카아트리지 장착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카아트리지 장착장치의 주요부는 카아트리지 수납체(9), 안내판(12) 및 슬리이드판(14)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카아트리지 수납체(9)는 카아트리지가 수납되는 하우징으로서 형성되며, 그 앞면은 열려 있다. 안내판(12)은 샤시(2)에 고정되거나 또는 샤시(2)와 일체로 형성된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카아트리지 수납체(9)의 양측벽에 핀(10)이 설치되며, 또한 돌기(9a)가 설치되어 있다. 필요하면 핀(10)에는 회전 가능한 슬리이브(11)가 장착된다. 핀(10)은 안내판(12)에 형성된 가이드채널(12a)에 장착된다. 카아트리지 수납체(9)의 양측벽에 설치된 돌기(9a)에는 인장스프링(13)의 한끝부가 걸리며, 인장스프링(13)의 다른 끝부는 샤시(2)에 설치된 돌기(5)에 걸리고, 인장스프링(13)은 비스듬하게 설치된다. 슬리이드판(14)은 그것에 설치된 긴구멍(14a)에 샤시(2)에 설치된 핀(3)이 삽입되며, 샤시(2)상을 제2도의 화살표 A방향으로 슬리이드 할 수 있게 지지된다. 그리고 슬리이드판(14)은 슬리이드판(14)상에 형성된 돌기(14c)와 샤시(2)상에 형성된 돌기(4)에 걸린 인장스프링(15)에 의해서 제1도의 화살표 C방향으로 인장되어 있다. 카아트리지(8)는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되어, 가이드(9f)에 따라서 카아트리지 수납체(9)에 형성된 개구(6)를 통해서 수납체(9)에 삽입된다.
제2도에 나타낸 카아트리지(8)는 하아드셀(8g)을 가지며, 그 안에는 예를들면 자기디스크(7)가 수납되어 있다. 자기디스크(7)에는 중심구멍(7a)이 형성되며, 필요하면 중심구멍(7a)의 주위에는 허브(7b)가 설치된다. 카아트리지(8)에도 중심구멍(8f)이 형성되어 있고, 디스크는 이 중심구멍(8f)을 통해서 회전된다. 또, 카아트리지(8)에는 긴구멍(8a)이 형성되며, 긴구멍(8a)을 통해서 디스크(7)에 기호가 기록되며, 또한 기록된 신호가 재생된다. 또 카아트리지(8)의 긴구멍(8a)에는 셔터(8b)가 설치되어 있고, 긴구멍(8a)은 셔터(8b)에 고정된 벨트(8d)의 앞끝부에 형성된 돌기(8e)가 카아트리지(8)의 측부에 형성된 홈(8c)을 미끄러져 이동함으로써 개폐된다. 돌기(8e)는 예를들면 카아트리지(8)가 수납체(9)에 수납될때에 홈(8c)에 수납체(9)에 형성된 돌기(20a)가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미끄러져 이동한다. 이 카아트리지(8)의 상세는 선원인 특허출원 제1982-4624호에 기재되어 있다.
제3a도, 제3b도, 제3c도에 카아트리지(8)가 수납체(9)에 수납되기 전의 상태, 수납된 상태 및 카아트리지(8)가 수납체(9)에서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다. 제3a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카아트리지(8)는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되며, 수납체(9)의 개구(6)로부터 삽입된다. 카아트리지(8)가 수납체(9)에 충분히 삽입되면, 카아트리지(8)는 수납체의 안쪽벽(9d)에 닿는다. 인장스프링(13)의 인장의 X방향성분에서, 더욱 강한 힘으로 카아트리지(8)가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되면, 인장스프링(13)이 신장되어 핀(10)이 수평가이드채널(12b)을 이동시켜, 카아트리지(8) 및 수납체(9)가 모두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한다. 핀(10)이 수평가이드채널(12b)의 끝부분에 도달하면, 인장스프링(13)의 인장의 Y방향성분의 힘에 의해, 핀(10)이 수직가이드채널(12c)안으로 낙하하여 이 인장스프링(13)이 축소되고, 수납체(9)도 역시 강하한다. 그리고, 핀(10)이 수직가이드채널(12c)의 최하단에 도달하면, 수납체(9)의 이동(강하)는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 카아트리지(8) 수납된 매체, 예를들면 자기디스크(7)의 허브(7b)는 에핀들(16)에 결합된다. 그리고 커버(17)안에는 가압판이 설치되어 있고, 허브(7b)는 가압판과 스핀들(16) 사이에 끼워져 지지된다. 핀(10)이 수직가이드채널(12c)내에 있으면, 수납체(9)는 화살표 A방향으로도, 그 반대방향으로도 이동할 수 없다. 그리고, 수납체(9)는 인장스프링(13)의 인장의 Y방향성분에 의해, 강하한 위치에 유지된다.
즉, 본원발명의 카아트리지 장착장치는 카아트리지(8)가 수납체(9)에 수납되고, 또한 누르는 것만으로 카아트리지(8)에 수납된 매체가 용이하게 구동장치에 장착되며, 카아트리지(8)가 확실하게 수납체(9)에 유지된다.
한편, 제3c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슬리이드판(14)에 사람의 힘이 가해지고, 슬리이드판(14)이 인장스프링(13)의 인장에 대항해서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되면, 인장스프링(13)이 신장되어, 카세트 수납체(9)에 설치된 핀(10)에 끼워 맞추어진 슬리이브(11)와 슬리이드판(14)의 경사부(14b)가 맞닿으며, 또한 슬리이드판(14)이 이동되면, 인장스프링(13)이 신장하여 슬리이브(11), 핀(10)은 경사부(14b)를 따라서, 또한 수직가이드채널(12c)을 따라서 상승한다. 그리고, 핀(10)이 수평가이드채널(12b)의 위치에 도달하면, 다시 인장스프링(13)이 축소되어, 핀(10)이 수평가이드채널(12b)내를 화살표 C방향을 이동하고, 그 때문에 수납체(9), 카아트리지(8)도 역시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그 결과로 카아트리지(8)는 수납체(9)에서 꺼낼수 있게 된다. 슬리이드판(14)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인장스프링(13)이 축소되어, 슬리이드판(14)은 제3a도에 나타낸 위치로 다시 되돌아온다.
이 카아트리지 장착장치의 상세한 것은 선원인 특허출원 제1982-5578호에 기재되어 있다.
그런데, 본원발명의 카아트리지 장착장치의 수납체(9)에는 나사 또는 리벳(9b)에 의해 판스프링(20)이 설치되어 있고, 돌기(20a)는 이 판스프링(20)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수납체(9)에는 구멍(9c)이 형성되며, 나사 또는 리벳(9b)에 의해서 판스프링(19)이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판스프링(19),(20)의 기능을 설명한다.
제4a도, 제4b도는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수납체(9)에 설치된 커버(17)의 안쪽에는 가압판(21)이 설치되어 있으며, 가압판(21)은 가압판(21)에 고정된 샤프트(22)에 의해서 커버(17)에 걸려 있으며, 가압판(21)은 스프링(18)에 의해서 아래쪽으로 내려눌려져 있어서, 수납체(9)로부터 거리(H)만큼 돌출되어 있다. 여기서 수납체(9)의 내부두께(L1)가 카아트리지(8)의 두께(L2)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으면, 카아트리지(8)가 수납체(9)에 삽입될때에, 카아트리지(8)는 가압판(21)에 충돌하고, 그때문에 카아트리지(8)가 원활하게 수납체(9)에 삽입되지 않는다. 그래서 본원발명의 장치에서는 거리(L1)가 거리(L2)보다도 충분히 크게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거리(L1)는 거리(L2)와 거리(H)와의 합과 거의 동일하게 선정된다. 그리고 그 결과 카아트리지(8)는 가압판(21)에 약간 접촉하면서, 원활하게 수납체(9)에 삽입된다. 특히 본원발명의 장치에서는 판스프링(19)이 수납체(9)에 설치되어 있으며, 판스프링(19)은 카아트리지(8)를 가이드(9f)를 향해 누르므로, 카아트리지(8)는 더욱 원활하게 수납체(9)에 수납된다. 그리고 카아트리지(8)가 안쪽벽(9d)에 닿아서, 상술한 바와같이 수납체(9) 및 카아트리지(8)가 가이드채널(12c)에 따라서 낙하하면, 카아트리지(8)의 허브(7b)는 스핀들(16)에 충돌하여, 허브(7b)가 상승하며, 허브(7b)는 가압판(21)에 닿아서 스프링(18)이 압축되어, 허브(7b)는 스핀들(16)과 가압판(21)사이에 지지된다. 허브(7b)가 상승할 때에, 허브(7b)가 카아트리지(8)의 상부 뒷면에 닿아서, 카아트리지(8)는 판스프링(19)의 탄성력에 대항해서 수납체(9)내에 상승하며, 판스프링(19)이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스핀들(16)은 샤시(2)에 지지된 모우터(도시생략)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모우터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한다. 스핀들(16)은 회전할 뿐이며, 그 높이위치는 변화하지 않는다. 그리고 스핀들(16)은 수납체(9)가 가이드채널(12c)의 최하단에 위치한 상태에 있어서, 카아트리지(8)의 허브(7b)와 끼워맞추는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허브(7b)는 스핀들(16)과 가압판(21)의 사이에 지지되며, 스핀들(16)이 회전하면 허브(7b)와 자기디스크(7)가 회전한다.
또한, 제5a도, 제5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본원발명의 장치에서는 카아트리지(8)가 수납체(9)내부에서 상승, 하강하면 판스프링(20)이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돌기(20a)는 판스프링(20)에 고정되어 있으며, 돌기(20a)는 카아트리지(8)의 측부에 형성된 홈(8c)과 끼워 맞추어진다. 그리고, 카아트리지(8)가 수납체(9)에 삽입될 때에, 돌기(20a)는 카아트리지(8)의 벨트(8d)의 앞끝부에 형성된 돌기(8e)에 충돌하여, 벨트(8d)를 미끄러져 움직여서, 그 결과 셔터(8b)가 열린다. 그런데, 예를들면 돌기(20a)가 수납체(9)에 고정되어 상하로 이동할 수 없다고 하면, 카아트리지(8)는 수납체(9) 내부에서 당연히 상하로 이동할 수 없으며, 그 결과 허브(7b)는 스핀들(16)과 가압판(21) 사이에 바르게 끼워져 지지되지 않는다. 본원 발명 장치에서는 돌기(20a)가 판스프링(20)에 고정되어 있으며, 판스프링(20)은 탄성적으로 변형할 수 있으므로, 카아트리지(8)는 수납체(9)의 내부에서 약간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카아트리지(8)가 수납체(9)에 삽입되면, 홈(8c)과 돌기(20a)가 서로 끼워 맞추어진다. 이때, 판스프링(20)은 변형되어 있지 않다. 또 판스프링(19)도 변형되어 있지 않으며, 판스프링(19)은 카아트리지(8)를 가이드(9f)측으로 누른다. 그리고, 카아트리지(8)가 더 수납체(9)에 삽입되면, 상술한 바와같이 카아트리지(8)의 셔터(8b)가 열린다. 또한 이 카아트리지(8)가 수납체(9)안으로 삽입되면, 카아트리지(8)가 안쪽벽(9d)에 닿아서, 수납체(9) 및 카아트리지(8)는 낙하한다. 수납체(9) 및 카아트리지(8)가 낙하하면, 스핀들(16)이 허브(7b)에 충돌하며, 스핀들(16)은 허브(7b) 및 카아트리지(8)를 수납체(9) 내부에서 약간 상승시켜, 허브(7b)는 가압판(21)고 스핀들(16)사이에 끼워져 지지된다. 이때 홈(8c)에 끼워 맞추어져 있는 돌기(20a)는 카아트리지(8)로부터 상향의 힘을 받으며, 그 결과 판스프링(20)은 용이하게 변형하며, 돌기(20a)는 카아트리지(8)와 함께, 홈(8c)에 끼워 맞추어진 채 약간 윗쪽으로 변형한다. 그래서 허브(7b)는 바르게 가압판(21)과 스핀들(16) 사이에 끼워져 지지된다. 물론 상술한 바와같이 판스프링(19)도 변형한다. 제6도에 판스프링(20) 및 돌기(20a)의 주요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20a)는 수납체(9) 내부로 돌출하여, 상하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본원발명의 카아트리지 장착장치에 있어서 돌기(20a)는 가동돌기이다.
제7도, 제8도에 가동돌기의 제2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가동돌기(24a)는 예를들면 플라스틱에 의해서 형성된 단면이 H형의 소편(24)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소편(24)은 그 측부에 홈(24b)이 형성되는 동시에 중심부에 돌기(24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소편(24)은 수납체(9)에 설치된 한쌍의 가이드(23)에 그 홈(24b)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소편(24)의 상면(24c)이 판스프링(20)에 의해서 눌려진다.
물론, 소편(24)은 판스프링(20)을 탄성 변형시켜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그래서, 돌기(24a)도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돌기(24a)는 제5a도, 제5b도에 나타낸 돌기(20a)와 똑같이 작용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돌기(24a)는 소편(24)이 가이드(23)를 따라서 이동하므로, 바르게 상하로 움직인다. 판스프링(20)은 구멍(20b)에 리벳(9b)이 삽입되어 수납체(9)에 고정된다.
제9도, 제10도, 제11도, 제12도의 본원발명장치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는 판스프링(19), (20)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가압판(21)도 판스프링(19), (20)과 일체적으로 형성된 판스프링(25)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판스프링(19), (20), (25)이 일체적으로 형성되면, 당연히 구조가 간단해진다. 판스프링(20), (25)은 비교적 작은 힘으로 용이하게 변형하도록 하기 위해 구멍(2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판스프링(19)은 수납체(9)의 안쪽으로 돌출하도록 굽혀있다. 제1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카아트리지(8)가 수납체(9)에 단지 삽입된 상태로는 판스프링(19), (20)은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있지 않다. 카아트리지(8)가 수납체(9)에 충분히 삽입되어서, 수납체(9)가 가이드채널(12C)을 따라서 낙하하면, 판스프링(19), (20)은 제1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탄성적으로 변형한다. 그리고 제9도, 제10도, 제11도, 제12도에 있어서의 소편(24)은 제7도, 제8도에 나타낸 것과 약간 형상이 다르지만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구조의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원발명에 의하면 셔터를 구비한 카아트리지는 바르게 카아트리지 장착장치에 삽입되며, 셔터는 바르게 열리고, 카아트리지가 비작동위치에서 작동위치로 이동되었을 경우에 카아트리지에 수납된 매체는 바르게 스핀들에 의해서 구동되며, 물론 작동위치에 있어서도 셔터는 바르게 열려 있다.

Claims (1)

  1. 신호기록매체가 수납된 카아트리지를 모우터에 결합된 스핀들에 의해 구동하고, 상기 카아트리지가 하아드셀을 가지며, 이 하아들셀내에 허브에 지지된 자기디스크를 수납하고, 또한 하아드셀에 자기디스크가 외부로 노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셔터를 구비하고 있는 카아트리지가 장착되는 장착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측면에 그곳에 카아트리지가 삽입되는 개구를 갖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며, 이 카아트리지 수납체는 높은 위치와 낮은 위치 사이를 상하로 이동 가능하고, 이 카아트리지 수납체는 카아트리지가 카아트리지 수납체안에서 비작동위치에서 작동위치로 상하로 약간 이동가능한 크기로 형성된 카아트리지 수납체와, 카아트리지 수납체가 높은 위치에서 낮은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카아트리지 수납체 안에 수납된 카아트리지의 허브에 충돌하여 카아트리지 수납체 안에서 카아트리지를 비작동위치에서 작동위치로 약간 이동시키는 동시에 카아트리지의 작동위치에 있어서, 카아트리지의 허브와 끼워 맞추어지는 스핀들과 카아트리지 수납체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카아트리지 수납체가 낮은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과 함께 카아트리지의 허브를 탄성적으로 그 사이에 끼워 지지하는 가압판과 카아트리지 수납체의 내부로 돌출하며, 카아트리지가 카아트리지 수납체내에 삽입될 때, 카아트리지의 셔터를 열고, 또한 카아트리지 수납체에 대하여 약간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카아트리지가 비작동위치에서 작동위치로 이동할 때, 셔터를 연채 카아트리지 수납체에 대해 카아트리지와 함께 아래쪽 위치에서 윗쪽위치로 이동하는 돌기와, 카아트리지 수납체상에 지지되며, 상기 돌기에 대하여 아래쪽 위치로 힘을 가하는 판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신호기록매체가 수납된 카아트리지의 구동장치용 카아트리지 장착장치.
KR1019830001024A 1982-03-19 1983-03-15 신호 기록매체가 수납된 카아트리지의 구동장치용 카아트리지 장착장치 KR8700001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7042727A JPS58161171A (ja) 1982-03-19 1982-03-19 カセツト装着装置
JP57-42727 1982-03-19
JP42727 1986-0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4286A KR840004286A (ko) 1984-10-10
KR870000120B1 true KR870000120B1 (ko) 1987-02-11

Family

ID=12644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1024A KR870000120B1 (ko) 1982-03-19 1983-03-15 신호 기록매체가 수납된 카아트리지의 구동장치용 카아트리지 장착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8161171A (ko)
KR (1) KR8700001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8140U (ja) * 1983-12-07 1985-07-04 日本マランツ株式会社 コンパクトデイスクプレ−ヤのデイスククラン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4286A (ko) 1984-10-10
JPS58161171A (ja) 1983-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6929B1 (ko) 기록매체를수납하는카트리지용기록재생장치
CA1319192C (en) Tape cassette with recording reproducing apparatus with a hook
US5062099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0327460B1 (ko) 전자장치의섀시구조
US6717769B2 (en) Eject button for disk drive with light pipe
US5537271A (en) Apparatus for loading a data recording disk
KR870000120B1 (ko) 신호 기록매체가 수납된 카아트리지의 구동장치용 카아트리지 장착장치
JP2861793B2 (ja) ディスク装置
US5481520A (en) Disk player door assembly
JP3036350B2 (ja) フローティング機構
US6954937B2 (en) Disc guide device for disc player
KR100277610B1 (ko) 기록매체의 기록 및 재생 장치
KR100282009B1 (ko) 디스크 장치
JP3525459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のイジェクト機構
EP0561041A2 (en) Mounting device of a container of a recording medium in an information reproducing device
KR20040046270A (ko)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
JP2526910B2 (ja) 記録再生装置
JP3644040B2 (ja) 携帯電子機器
KR960005651B1 (ko) 미니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카트리지 로딩장치
JP2916659B2 (ja) ディスク装置
KR0113722Y1 (ko) 디스크 카트리지 수납장치
JPH04195762A (ja) ディスク装置
KR100346708B1 (ko)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
JP3383443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H10143964A (ja) ディスク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12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