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3124Y1 - 연소기에서의 급기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연소기에서의 급기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3124Y1
KR860003124Y1 KR2019830004585U KR830004585U KR860003124Y1 KR 860003124 Y1 KR860003124 Y1 KR 860003124Y1 KR 2019830004585 U KR2019830004585 U KR 2019830004585U KR 830004585 U KR830004585 U KR 830004585U KR 860003124 Y1 KR860003124 Y1 KR 8600031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edge portion
amount
vent hole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45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6231U (ko
Inventor
요시히로 이시가와
Original Assignee
린나이 가부시기 가이샤
나이또오 스스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 가부시기 가이샤, 나이또오 스스무 filed Critical 린나이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62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2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31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31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1/00Regulating fuel supply
    • F23N1/02Regulating fuel supply conjointly with air supply
    • F23N1/025Regulating fuel supply conjointly with air supply using electrical or electromechan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3/00Construction of valves or dampers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 F23L13/02Construction of valves or dampers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pivoted about a single axis but having not other movement
    • F23L13/04Construction of valves or dampers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pivoted about a single axis but having not other movement with axis perpendicular to 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 Air Suppl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연소기에서의 급기조절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제2도는 공기조절기의 측면도.
제3도는 그 정면도.
제4도는 공기를 조절하는 고정판의 측면도.
제5도는 특성선도.
제6도는 종래의 공기조절기의 측면도.
제7도는 그 특성선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기조절기 2 : 공기공
2a : 닫침연부 2b,2c : 연부
3 : 고정판 4 : 회동판
5 : 가스공급로 6 : 비례제어변
7 : 제어기 a : 전반부
b : 중간부 c : 후반부
본 고안은 급기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연소용 공기량을 제어하는 공기조절기에 있어서는 통기공을 뚫은 고정판과 그 고정판의 통기공과 중합되는 통기공을 뚫은 회동판에 의하여 상기한 통기공의 개폐도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되어있고 그 공기조절기와 가스공급로에 개재시킨 비례제어변을 제어기로 제어하며 연소용 공기량과 가스량의 바란스를 마추는 형식의 연소장치가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고정판(제6도 참조)(x)에 형성한 통기공(y)은 부체형상이므로 그 통기공(y)과 중합되는 회동판(z)과의 중합도를 변화시켜서 개구면적을 조절할 때의 풍량변화율은 제7도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완전히 닫았을 때는 크고, 또 전부 열게되면 감소하는 특성을 나타낸다. 이에 대하여 가스량의 변화율은 비례 제어변에 의한 가스통로의 조임도가 클때에는 가스량의 변화율은 적을수록 가스통로를 열면 급격하게 그 변화율이 증대하고 가스통로를 전부 열면 제5도의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다시 변화율이 감소되는 특성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비례제어변의 조임량이 커서 가스량이 적게되면 공기가 많아져서 립팅 또는 백화이어 등이 발생하고 연소상태가 불안정하게 되어 이에 따라 열효율이 악화되는 불합리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불합리점을 개선할 수 있는 장치를 얻는것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 연소용 공기량을 제어하는 공기조절기(1)를 통기공(2)이 뚫린 고정판(3)과, 그 고정판(3)의 통기공(2)과 중합하고, 통기공(2)의 개폐도를 조절하는 모우터 드라이브되는 회동판(4)으로 구성하고, 그 공기조절기(1)와 부하에 비례하여 가스량을 증감시키는 비례제어변(6)을 제어기(7)로 제어하여 연소용 공기량과 가스량의 바란스를 마추는 형식의 연소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공기조절기(1)의 통기공(2)을 전부닫는측의 연부(2a)의 적어도 일부를 회동판(3)이 열리는 측의 회동방향으로 앞이 기울어지게한 경사연부(2a')로 형성한 전반부(a)와 상기한 연부(2a)의 양단과 계속되는 일측연부(2b)를 타측연부(2c)에 대하여 회동판(4)의 회동방향으 넓게 열리도록 형성한 중간부(b)와 이에 계속되는 부채형상의 후반부(c)로 구성하고, 또 고정판(3)에 최소의 풍량을 확보하는 통공(8)을 형성한 것이다.
도시한 통기공(2)은 전부 닫처지는 측의 연부(2a)를 회동판(4)의 회동측(9)의 반경방향의 직선(2a)와 상기한 경사연부(2a)를 형성하여 전반부(a)를 구성하고, 중간부(b)를 구성하는 일측연부(2b)와 타측연부(2c)와는 일측연부(2b)를 직선으로 하고, 타측연부(2c)는 회동축(9)의 회전중심을 축으로한 동심원으로 구성하여 일측연부(2b)를 타측연부(2c)에 대하여 넓게 열리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제1도에 도시한 실시예는 급탕기에 본 고안을 적용시킨 경우의 실시예인데, 여기에서는 탕수의 배출온도를 부하로하고 그 배출온도를 감온소자(10)로 검출하여 그 감온소자(10)에서의 신호를 제어기(7)에 개입시켜서 비례제어변(1)의 구동전류를 제어하는 동시에 공기조절기(1)의 회동판(4)을 구동하여 통기공(2)의 개폐도를 조절하는 포텐시오계를 가진 직류모우터(11)의 계자전류를 제어하는 탕수온도를 바라는 일정온도로 유지할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통공(8)을 고정판(3)의 측판(3a)에 뚫었으나 고정판(3)의 통기공(2)과 같은 일면상에 뚫는 것도 가능하다.
또 제1도에 있어서 비례제어변(1)을 우회하는 바이패스로(12)에 개재시킨 오리피스에 의하여 최소 가스량을 확보한다.
이와같은 본 고안장치에 의하면 제2도에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통기공(2)의 면적변화율, 즉 풍량변화율을 전반부(a)에서는 적게, 중간부(b)에 있어서는 크게, 후반부(c)에 있어서는 다시 적게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실선으로 표시된 가스량변화율에 가급적으로 가깝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연소용 공기량을 제어하는 공기조절기(1)와 닫는측 및 전부열리는측에서 가스량의 변화율이 적고, 중간에서 그 변화율이 크게되는 특성을 가진 비례제어변(6)을 제어기(7)로 제어하여 연소용 공기량과 가스량과 가스량의 바란스를 마추는 형식의 연소기에 있어서, 상기한 공기조절기(1)의 통기공(2)을 전부 닫는측의 연부(2a)의 적어도 일부를 회동판(4)이 열리는 측의 회동방향으로 앞이 경사지게 한 경사연부(2a)를 형성한 전반부(a)와 상기한 연부(2a)의 양단과 계속되는 일측연부(2b)를 타측연부(2c)에 대하여 회동판(4)의 회동방향으로 넓게 열리도록 형성한 중간부(b)와 여기에 계속하여 부채형상의 후반부(c)로 구성하므로서 통기공(2)에서의 풍량 변화율을 전부닫는 측 및 전부여는 측에서 적게하고, 중간부에서는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이에 의하여 가스변화율에 가급적으로 풍량변화율을 가깝게 할 수 있게 하므로서 종래예에서와 같은 불합리점을 배제할 수 있고 더욱 최소의 풍량을 확보하는 통공(8)을 별도로 형성하였으므로 종래 시행하고 있는 통기공(2)이 전부 닫치지 않도록 회전각도를 규제하여 최소의 풍량을 확보하는 것에 비하여 최소풍량의 설정이 간단하고 또 확실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연소용 공기량을 제어하는 공기조절기(1)를 통기공(2)이 뚫린 고정판(3)과 그 고정판(3)의 통기공(2)과 중합하고 통기공(2)의 개폐도를 조절하는 모우터 드라이브되는 회동판(4)으로 구성하고 그 공기조절기(1)와 부하에 비례하여 가스량을 증감시키는 비례제어변(6)을 제어기(7)로 제어하여 연소용 공기량과 가스량의 바란스를 마추는 형식의 연소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공기조절기(1)의 통기공(2)을 전부 닫는 측의 연부(2a)의 적어도 일부를 회동판(4)이 열리는 측의 회동방향으로 앞이 기울어지게한 경사연부(2a')로 형성한 전반부(a)와 상기한 연부(2a)의 양단과 계속되는 일측연부(2b)를 타측연부(2c)에 대하여 회동판(4)의 회동방향으로 넓게 열리도록 형성한 중간부(b)와 이에 계속되는 부채형상의 후반부(c)로 구성하고, 또 고정판(3)에 최소의 풍량을 확보하는 통공(8)을 형성하여서 된 연소장치에서의 급기조절장치.
KR2019830004585U 1982-05-25 1983-05-25 연소기에서의 급기조절장치 KR86000312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7-75675 1982-05-25
JP1982075675U JPS58181144U (ja) 1982-05-25 1982-05-25 燃焼装置に於ける給気調節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231U KR840006231U (ko) 1984-11-30
KR860003124Y1 true KR860003124Y1 (ko) 1986-11-08

Family

ID=30085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4585U KR860003124Y1 (ko) 1982-05-25 1983-05-25 연소기에서의 급기조절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8181144U (ko)
KR (1) KR860003124Y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6982B2 (ko) * 1974-03-06 1980-11-27
JPS596340B2 (ja) * 1976-07-07 1984-02-10 三菱電機株式会社 液体燃料燃焼機
JPS54136651U (ko) * 1978-03-17 1979-09-21
JPS5546982U (ko) * 1978-09-19 1980-03-2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231U (ko) 1984-11-30
JPS58181144U (ja) 1983-12-03
JPH0245630Y2 (ko) 1990-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5960A (en) Direct gas-fired heating and ventilation system with passive control damper
US6422181B1 (en) Cooling system with electrically adjustable control element
KR860003124Y1 (ko) 연소기에서의 급기조절장치
GB2083610A (en)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ventilating air flow
US1292132A (en) Draft-regulating mechanism.
JP2564722B2 (ja) ガス燃焼装置
JPH0893938A (ja) 混合弁および湯水混合装置
JPH0113950Y2 (ko)
JPS6115397Y2 (ko)
JPH03236540A (ja) エアハンドリングユニットのダンパー制御装置
US2388073A (en) Fluid flow control
JP3067498B2 (ja) 給湯器
JPH0345051Y2 (ko)
JP3263983B2 (ja) 湯水混合装置
JPH0339227B2 (ko)
JPH0112103Y2 (ko)
JPH0215772B2 (ko)
JPH04131655A (ja) 集中式空気調和装置
JPS60164115A (ja) ガス燃焼制御装置
JPS6410734B2 (ko)
JPH02157562A (ja) 風量制御装置および風量制御システム
JPH065138B2 (ja) 温風暖房器
JPS59138806A (ja) 強制通風式燃焼装置
KR880004145Y1 (ko) 연소제어장치
HU176241B (hu) Lineárisjelleggörbéjű forgóhengeres gázmennyiség szabályozó elsősorban blokk gázégőkhöz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104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