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949B1 - 1,4-디히드로피리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1,4-디히드로피리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949B1
KR860001949B1 KR1019860008103A KR860008103A KR860001949B1 KR 860001949 B1 KR860001949 B1 KR 860001949B1 KR 1019860008103 A KR1019860008103 A KR 1019860008103A KR 860008103 A KR860008103 A KR 860008103A KR 860001949 B1 KR860001949 B1 KR 860001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ed
dihydropyridine
type
chloroform
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8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지 무또오
도꾸유끼 구로다
아끼라 가라사와
고오지 야마다
노부히로 나까미조
Original Assignee
교오와 핫꼬오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기노시다 요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7180616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70667A/ja
Priority claimed from JP58011719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137461A/ja
Priority claimed from JP58098899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225162A/ja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30004886A external-priority patent/KR860001946B1/ko
Application filed by 교오와 핫꼬오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기노시다 요시오 filed Critical 교오와 핫꼬오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19860008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19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9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ydrogenated Pyrid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1, 4-디히드로피리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본발명은 새로운 1, 4-디히드로피리딘 유도체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다음 일반식(I)로 표시되는 2, 6-디메틸-4-(3-니트로페닐)-1, 4-디히드로피리딘-3, 5-디카르복시산-3-(1-벤질-3-피페리딜)에스테르-5-메틸에스테르의 디아스테레오머중에서 그의 염산 부가염의 융점이 196내지 202℃인 새로운 (±)-2, 6-디메틸-4-(3-니트로페닐)-1, 4-디히드로피리딘-3, 5-디카르복시산-3-(1-벤질-3-피페리딜)에스테르-5-메틸에스테르[±-α-형으로 지칭됨]와 (±)-α-형중(+)
Figure kpo00001
[(+)-α-형으로 지칭됨]의 선광도를 가진 광학이성체 또는 그염 그리고 그들의 제법에 관한 것이다.
본 화합물은 혈압을 강하시키고 관상동맥 및 모세혈관을 확장하는 효능을 갖고 있어 저협압증, 혈관확장신경증등의 심장혈관증용의 약으로 사용되기에 적당한 화합물이다.
또한, 그 염산부가염의 융점이 236내지 242℃인 (+)-2, 6-디메틸-4-(3-니트로페닐)-1, 4-디히드로피리딘-3, 5-디카르복시산-3-(1-벤질-3-피페리딜)에스테르-5-메틸에스테르는 (±)-β-형으로 지칭된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소55-301(A)는 일반식
Figure kpo00002
(식중 R은 동일 또는 상이한 저급알킬기를, R'는 수소원자, 저급알킬기 또는 아르알킬기를 의미한다)으로 표시되는 1, 4-디히드로피리딘-3, 5-디카르본산 에스테르 유도체 및 그의 제법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일본특허공개공보 소50-24277(B), 일본 특허공개공보 소53-92784(C) 및 일본특허공개공보 소57-62257(D)는 1, 4-디히드로피리딘-3, 5-디카르본산 에스테르 및 그의 제법을 개시하고 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소56-36455(E)는, 광학적활성의 1, 4-디히드로피리딘화합물 및 그의 제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외의 문헌(Chem. Pharm. Bull. 27(6) 1426-1440(1979))(F)는 수용성의 디히드로피리딘 혈관확장제의 합성을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우수한 혈압강하작용을 갖는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A)-(F)에는 본발명 방법에는 얻는 화합물, 및 이 화합물이 우수한 혈압 강하작용을 갖는 것에 대하여는 전혀 기재된 바나 시사된 바 없다.
다음에(±)-α-형 본 발명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제법]
(M. Iwanami 등, Chem. Pharm. Bull., 27 1426(1979))에 기재된 방법에 의한 제법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I(디아스테레오머(±)-α형, (±)-β-형))
위식에서 R1과 R2중 하나는 -CH3이고 나머지 하나는 :
Figure kpo00005
이다.
암모니아 대신 사용될 수 있는 암모늄염으로서는, 아세트산암모늄, 탄산암모늄등이 바람직하다.
화합물(VII), (IX) 및 암모니아의 몰비는 1.0 : 0.8 : 0.8 내지 1.0 : 4.0 : 4.0, 바람직하기는 1.0 : 0.9 : 0.9 내지 1.0 : 1.5 : 1.5이다.
반응은, 메탄올, 에탄올 및 이소프토판올등의 알코올 ; 벤젠 및 톨루엔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및 클로로벤젠등의 할로겐화탄화수소 ; 데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및 디메톡시메탄, 아세토니트릴 및 디메틸포름 아미드 등의 비프로톤성의 극성용매 ; 또는 물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실온 내지 150℃의 온도, 바람직하기는 30 내지 100℃의 온도에서 행한다.
본 제법으로 얻어진 반응혼합물중에는 그의 염산 부가염의 융점이 196내지 202℃인 화합물((±)-α-형)과 그의 염산부가염의 융점이 236 내지 242℃인 화합물((±)-β-형)이 존재한다.
이들은 디아스테레오머의 관계에 있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LC 플레이트, Merck, Art 11796 ; 전개 용매, 디클로로메탄, : 아세트산에틸 : 프리에틸아민=50 : 50 : 1(용적비)에 의해 서로 구별되는 데 높은 치를 보이는 화합물이 (±)-α-형이다.
(±)-α-형과 (±)-β-형을 함유하는 혼합물로부터의 목적으로 하는 (±)-α형의 단리는 예컨대 다음 방법으로 행한다.
반응혼합물을 추출, 농축 및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등의 관계적 조작을 받게한 다음에는 염화수소가스 또는 적당한 용제에 용해된 염화수소를 반응혼합물에 가하여 염산염을 생성시킨다.
필요에 따라 용제를 제거한 후에는 적당한 단일 또는 혼합용제로부터 분별결정을 행하며 그러면(±)-α-형이 석출되고 (±)-β-형은 용액내에 잔류한다.
분별결정에 적당한 단일 또는 혼합용제로서는 에탄올, 클로로포름, 에탄올-아세톤, 클로로포름-아세톤, 클로로포름-에테르, 클로로포름-아세트산에틸등을 들 수 있다. 에탄올-아세톤 및 클로로포름-아세톤의 혼합용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화합물의 염으로서는 염산염 브롬화수소산염, 인산염 및 황산염등의 무기염과, 포름산염, 아세트산염, 푸마르산염, 말레산염 및 말산염과 같은 유기산염등을 들 수 있다. (±)-α-형 본 발명화합물의 혈압저하 효과를 아래에 설명한다.
[시험방법]
펜토바르비톨나트륨 30mg/kg을 정맥내 주사하여 성숙한 몬그렐 개(8내지 15kg)을 마취시켰다.
좌측 대퇴동맥내에 캐눌러를 각각 삽입하고 압력변환기(닛뽄 고오덴)로 혈압을 측정하여 폴리그라프상에 기록했다.
그 결과를 제 1 에 표시했다.
[표 1]
Figure kpo00006
표 1에 나타난 바와같이 (±)-α-형은 투여 1분후 상당한 혈압저하효과를 나타내어 이 효과는 90분 이상 지속했다.
[시험방법]
몬그렐개(9내지 18kg) 각각의 좌측 신동맥을 티오팬탈나트륨투여로 마취시켜 협착되게 함으로써 신성(○性) 고혈압인 개가 되게하였다.
좌측 경동맥(頸動脈)을 통해 하행 대동맥내에 폴리에틸렌캐눌라(뒷목에 고정)를 삽입하여 혈액계로 비마취상태하의 혈압을 측정하였다. 0 3% 카르복시메틸셀루로오스내에 현탁시킨 약을 경구투여용 튜우브를 사용하여 체중 kg 당 0.5m의 투여양으로 경구 투여했다.
그 결과는 표 2에 표시되어 있다.
[표 2]
Figure kpo00007
주 : 사용된 약 ; ((±)-α-형
다음에는, ((+)-α-형 (-)-α-형 및 (±)-α-형간에 있어서 혈압저하 효능 및 급성 독성의 비교시험에 대해 아래에 설명한다.
혈압저하효과
1. SHR에 정맥내투여(비 마취법)
자연 고혈압성 쥐(SHR)(오까모도 계통, 나이 20내지 30주, 숫컷)를 티오펜탈나트륨으로 마취시켰다(50mg/kg.i.p).
혈압측정용캐눌라를 우측 대퇴동맥으로 부터의 하행동맥내에 삽입하고, 정맥내 투여용 캐눌라를 좌측 경정맥내에 삽입하고 이들 캐눌라를 각각 뒷목에 고정하였다.
각각의 약을 정맥내에 투여함에 의한 혈압변화를 전연 마취시키지 않고, 그 다음날에 측정했다. 약으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 400내에 약을 녹인 용액을 쥐체중 100g 당 0.1mι의 투여양으로 정맥내에 투여했다.
표 3에 그 결과가 나타나 있다.
[표 3]
Figure kpo00008
2. SHR에 경구투여(비 마취법)
자연 고혈압성쥐(SHR)(오까모도 계통, 나이 15 내지 26주, 숫컷)에 경구투약했을 때의 수측기혈압의 변화를 혈량계 테일법(plethysmographic tail method)(우에다 세이사꾸쇼, USM-105R)에 의해 측정했다.
약은 0.3%카르복시메틸 셀루로오스내의 현탁액형으로 쥐의 체중 100g 당 0.5mι의 투여량으로 위관을 사용하여 강제적으로 경구투여했다.
결과는 표 4에 표시되어 있다.
[표4]
Figure kpo00009
주 : 상기표의 α, β-형은 공지의 것으로서 비교목적으로 기재한 것임.
급성독성
생쥐(ddy형, 체중 20내지 24g, 숫컷)에 강제 경구투여하여 투약 72시간후의 생존율을 조사했다. 소량의 튀인 80이 첨가된 물에 약을 투입한 현탁액을 생쥐체중 10g 당 0.1mι의 투여량으로 위관을 사용하여 경구 투여했다.
Figure kpo00010
본 발명의 화합물은 그의 의약효과를 고려하여 원하는 투여에 따라 의약제제로 사용될 수 있는데, 특히 정제나 산제와 같은 경구제로 사용되면 좋다.
정제의 경우에는 본발명 화합물은 1정당 1내지 30중량% 양으로 함유되면 적당할 것이다. 다른 성분(담체)으로서는, 통상 사용되는 부형제, 붕해제, 윤활제, 결합제, 피복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글루코오스 및 락토오스등의 부형제, 전분 및 카르복시메틸셀루로오스의 붕해제,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활석등의 윤활제, 단순한 시럽, 폴리비닐 알코올, 젤라틴 및 히드록시프로필 셀루로오스등의 결합제, 그리고 분산제(예컨대, 메틸셀루로오스 및 에틸셀루로오스) 및 가소제(예컨대, 글리셀린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피복제를 열거할 수 있다. 미세결정 셀루로오스는 결합제와 부형제의 붕해제적 성질을 갖고 있다.
산제의 경우에는, 본발명의 화합물이 1내지 2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면 적당하다. 담체로서는, 글루코오스와 락토오스와 같은 부형제, 히드록시프로필 셀루로오스와 같은 결합제등이 사용될 수 있다.
숫쥐의 경구투여시의 (±)-α형의 LD50은 127mg/kg 이다. 투여량은 대략 체중 60kg의 성인인 경우 1일당 1내지 100mg 정도가 적당하다.
또한 숫쥐의 경구투여시(±)-α-형의 LD50은 95mg/kg이다. 60kg 정도의 체중을 가진 성인의 경우 1일당 1내지 50mg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발명의 다음의 실시예 및 참고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실시예]
Figure kpo00011
이 실시예에서는, 3-니트로벤질리덴 아세토아세트산 메틸 4.98g과, 아세토아세트산-1-벤질-3-피페리딜 에스테르 6.05g과 29% 암모니아수용액 1.76g을 에탄올 20mι에 가하고 환류하에 12시간동안 교반시켰다.
반응혼합물을 몰 50mι 속에 투입했다.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 30mι로 2회 추출했다. 아세트산에틸층을 모두 한데 합치고 거기에 4N 염산 10mι를 가했다.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강 교반한 뒤, 20mι의 염수로 다음에는 10mι의 물로 아세트산 에틸층을 세척했다.
혼합물을 무수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시킨 뒤 감압하에서 혼합물을 농축했다. 농축액에 클로로포름과 아세톤(1 : 9 용적비)의 혼합용제 10mι를 가하고 이 혼합물을 교반하여 2, 6-디메틸-4-(3-니트로페닐)-1, 4-디히드로피리딘-3, 5-디카르복시산-3-(1-벤질-3-피페리딜)에스테르-5-메틸 에스테르염산염((±)-α-형) 3.02 g 을 얻었다.
융점은 196.5℃ 내지 198℃(에탄올)였다. 이 실시예에서 얻어진 화합물의 TLC, IR 및 NHR 스팩트럼은 실시예 1에서 얻은 (±)-α-형의 것과 동일하였다.
[참고실시예 1]
Figure kpo00012
이 실시예에서는, 2, 6-디메틸-4-(3-니트로페닐)-1, 4-디히드로피리딘-3, 5-디카르복시산 모노메틸 에스테르 3.31g을 디클로로메탄과 N, N-디메틸포름아미드(4 : 1, 용적비)와의 혼합 용제 23mι 속에 현탁시키고, 다시 빙냉하에 염화티오닐 1.32g을 현탁액에 가했다.
혼합액을 빙냉하에 1시간동안 교반한 다음 3-히드록시피페리딘 염화수소 1.51g을 가하고 혼합액을 빙냉하에 다시 1시간 20분동안 교반했다.
반응 완결후 반응혼합액을 클로로포름 50mι 속에 녹이고 용액을 40mι의 물로 세척했다.
그 다음 1M의 수산화나트륨 40mι를 가하고 혼합액을 강교반했다.
클로로포름층을 분리해 내었다. 클로로포름층을 물 20mι로 2회 세척한 다음 클로로포름층을 농축했다.
농축액을 아세톤 20mι 속에 용해하고 이 용액에 농염산 2mι를 가했다.
빙냉하게 교반하여 2, 6-디메틸-4-(3-니트로페닐)-1, 4-디히드로피리딘-3, 5-디카르복시산-3-메틸-5-(3-피페리딜)에스테르 염산염(±)-α'-형) 2.97g을 얻었다.
융점 : 236-238℃
IR(Mujol, cm-1) : 1695, 1530, 1350
NMR(DMSO-d6, δ) : 1.4-2.1(4M, 넓음), 2.32(3H, s), 2.35(3H, s), 2.7-3.3(4H, 넓음) 3.56(3H, s), 4.7-5.2(1H, 넓음), 5.05(1H, s), 7.4-8.1(4H, m), 9.33(1H, s)
원소분석치(C21H25N3O6. HCl로서)
C H N
실측치(%) 55.73 5.74 9.42
이론치(%) 55.81 5.80 9.30
다시 상기결정의 모액으로부터 2, 6-디메틸-4-(3-니트로페닐)-1, 4-디히드로피리딘-3, 5-디카르복시산-3-메틸-5-(-3-피페리딜)에스테르염산염((±)-β'-형) 1.27g이 얻어졌는데 이 화합물의 융점은 248.5℃ 였다.
[참고실시예 2]
Figure kpo00013
(-)-3-히드록시피페리딘 8.53g, 염화벤질 7.72g 및 트리에틸아민 6.17g을 톨루엔 70mι에 투입한 용액을 환류하에서 5시간동안 교반한 다음에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잔사를 감압하에서 증류하여 비점 103.8℃/0.5mmHg의 유분 5.49g을 얻었다.
(α)D23+11.9(c=2.14 메탄올)
[참고실시예 3]
Figure kpo00014

Claims (1)

  1. 일반식(VII)으로 표시된 화합물을 일반식(IX)으로 표시된 화합물 및 NH3(또는 암모늄염)와 반응시켜 일반식(I)로 표시된 디아스테레오머를 얻는 단계와 상기 디아스테레오머를 분별 결정시키는 단계로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의 염잔부가염의 융점이 196℃ 내지 202℃인 (±)-2, 6-디메틸-4-(3-니트로페닐)-1, 4-디히드로피리딘-3, 5-디카르복시산-3-(1-벤질-3-피페리딜)에스테르-5-메틸 에스테르 또는 그의 염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15
    상기식에서
    R1과 R2중의 하나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다른 하나는 벤질 피페리딜기를 나타낸다.
KR1019860008103A 1982-10-15 1986-09-27 1,4-디히드로피리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KR860001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8103A KR860001949B1 (ko) 1982-10-15 1986-09-27 1,4-디히드로피리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7180616A JPS5970667A (ja) 1982-10-15 1982-10-15 1,4−ジヒドロピリジン誘導体
JP57-180616 1982-10-25
JP58-11719 1983-01-27
JP58011719A JPS59137461A (ja) 1983-01-27 1983-01-27 1,4−ジヒドロピリジン誘導体
JP58098899A JPS59225162A (ja) 1983-06-03 1983-06-03 1,4−ジヒドロピリジン誘導体
JP58-98899 1983-06-03
KR1019830004886A KR860001946B1 (ko) 1982-10-15 1983-10-15 1, 4-디히드로피리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19860008103A KR860001949B1 (ko) 1982-10-15 1986-09-27 1,4-디히드로피리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4886A Division KR860001946B1 (ko) 1982-10-15 1983-10-15 1, 4-디히드로피리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1949B1 true KR860001949B1 (ko) 1986-11-01

Family

ID=33314475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8105A KR860001951B1 (ko) 1982-10-15 1986-09-27 1,4-디히드로피리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19860008103A KR860001949B1 (ko) 1982-10-15 1986-09-27 1,4-디히드로피리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19860008102A KR860001948B1 (ko) 1982-10-15 1986-09-27 1,4-디히드로피리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19860008104A KR860001950B1 (ko) 1982-10-15 1986-09-27 1,4-디히드로피리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19860008101A KR860001947B1 (ko) 1982-10-15 1986-10-15 1,4-디히드로피리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8105A KR860001951B1 (ko) 1982-10-15 1986-09-27 1,4-디히드로피리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8102A KR860001948B1 (ko) 1982-10-15 1986-09-27 1,4-디히드로피리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19860008104A KR860001950B1 (ko) 1982-10-15 1986-09-27 1,4-디히드로피리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19860008101A KR860001947B1 (ko) 1982-10-15 1986-10-15 1,4-디히드로피리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5) KR86000195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1950B1 (ko) 1986-11-01
KR860001951B1 (ko) 1986-11-01
KR860001947B1 (ko) 1986-11-01
KR860001948B1 (ko) 1986-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1946B1 (ko) 1, 4-디히드로피리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US4220649A (en) 1,4-Dihydropyridine-3,5-dicarboxylic acid ester derivatives
JPS6354321A (ja) 血糖降下剤
US4446325A (en) 1,4-Dihydropyridine compounds
EP0197488A2 (en) 1,4-Dihydropyiridine derivative, a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as well as the use thereof
JPH0688973B2 (ja) 1,4−ジヒドロピリジン誘導体
EP0511790A1 (en) 1,4-Dihydropyridine derivatives useful against tumour cells
US4501748A (en) 1,4-Dihydropyridine derivatives
US4166855A (en) 1,4-Dihydro-2,6-dimethyl-4-(3-nitrophenyl)-3,5-pyridinedicarboxylic acid ester, and its use as a peripheral vasodilator
US4874773A (en) 3-Aminocarbonyl-1,4-dihydropyridine-5-carboxylic acid compound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EP0093945B1 (en) 1,4-dihydropyridine derivatives
KR860001949B1 (ko) 1,4-디히드로피리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EP0106276B1 (en) 1,4-dihydropyridine derivatives
US4992451A (en) 1,4-dihydropyridine derivatives
US5616715A (en) Dihydropyridine-3, 5-dicarboxylic acid ester derivatives
JP2640245B2 (ja) 1,4−ジヒドロピリジン誘導体
EP0160451B1 (en) Dihydropyridine-3,5-dicarboxylic acid ester derivative isomers, their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JPS58201764A (ja) ジヒドロピリジン誘導体
JPS6352031B2 (ko)
US4675329A (en) Isopropyl 2-(3-trifluoromethylphenoxy)-ethyl 1,4-dihydro-2,6-dimethyl-4-(3-nitrophenyl)-pyridine-3,5-dicarboxylate as vaso-dilators
US5494923A (en) Method of ameliorating cerebral circulation
US4769374A (en) Tetrahydroisoquinoline ethyl esters of 1,4-dihydropyridines and antihypertensive compositions
US4252956A (en) Derivatives of 1,4-dihydropyridine-3-carbothiol acids
KR860000583B1 (ko) 광학적 활성 1,4-디하이드로피리딘 화합물의 제조방법
JPS6261030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3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87111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