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743Y1 - 접속기 - Google Patents

접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743Y1
KR860001743Y1 KR2019830001813U KR830001813U KR860001743Y1 KR 860001743 Y1 KR860001743 Y1 KR 860001743Y1 KR 2019830001813 U KR2019830001813 U KR 2019830001813U KR 830001813 U KR830001813 U KR 830001813U KR 860001743 Y1 KR860001743 Y1 KR 8600017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or
present
shape
printed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18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5881U (ko
Inventor
가즈오 무라까미
Original Assignee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하시 도오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하시 도오루 filed Critical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58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58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7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7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접속기
제1도는 종래의 접속기 구조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부분 측단면도.
제2도 (a)(b)는 제1도의 단자형상을 개략적으로 표시한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품의 외관을 개략표시한 사시도.
제4도는 동 구조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부분 측단면도.
제5도(a)(b)는 본 고안 단자의 형상 및 그 변형상태의 설명도.
제6도는 본 고안에 관한 다른 실시예의 요부를 개략 표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핀 12 : 몸체
13 : 가동절편 14 : 고정절편
11a,13a,14a,111,131 : 단자 20 : 플러그
30,30' : 프린트기판 40 : 납땜
본 고안은 접속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부착대상인 프린트 기판의 두께치수가 예를 들면 1.2㎜와 1.6㎜의 어느 경우에서도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부착할 수 있는 단자를 갖춘 접속기를 제안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접속기 즉 재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부분 측단면도이며, 플러그(20)를 핀(11)에 2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감삽하므로서 가동절편(13 )에 접속대상이 고정절편(14)으로부터 플러그(20)의 외측 면에 절환하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핀(11), 가동절편(13) 및 고정절편(14)은 몸체(12)의 하측에 돌설된 설편형상을 이루는 단자(11a)(13a)(14a)에 각각 접속되어 있고, 이러한 접속기를 예를 들면 프린트기판(30)에 부착할 경우에는 단자(11a)(13a)(14a)를 프린트기판(30)에 개설된 부착구멍에 위쪽으로부터 삽통한 상태로 해서, 각 단자(11a)(13a)(14a) 및 프린트기판(30)의 뒷면에 형성된 전극에 납땜(40)을 실시해서 행해진다. 그래서, 납땜(40)을 실시할 경우에는 주로 프린트기판(30)을 뒤집어서 행하든가 또는 자동 납땜장치로 행할 것으로 하고 있으며, 단자(11a)(13a)(14a)가 제 1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곧게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프린트 기판에 삽통되어 있던 접속기가 프린트 기판(30)으로부터 빠져 나오기 쉽고 납땜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불편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서 상기 단자(11a)(13a)(14a) 중의 적당한 것을 제2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방향 중앙부로부터 선단에 걸쳐 두께방향으로 적당하게 굴곡시켜서 상기 부착구멍에 연결되기 쉽게 한 것, 혹은 제2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자 자체를 두 가닥으로 분기시킴과 동시에 대향방향의 외측 가장자리를 대략<형상으로 내밀게 형성해서 상기와 같은 효과를 얻도록 한 것이 이미 제안되어 있다. 그래서 이러한 종래의 단자를 갖춘 접속기는, 어느 일정한 종류의 두께치수를 가진 프린트 기판에는 연결되기 쉬우나, 두께가 다른 치수의 프린트 기판에 대해서는, 그 부착구멍에 연결되기 어렵고, 이 때문에 사용범위가 한정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두께치수가 예를 들면 1.2㎜와 1.6㎜인 어떠한 프린트 기판에 개설된 부착구멍에도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연결되어서 견고하게 자립시킬 수 있도록 한 단자를 갖추어서 사용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접속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에 본 고안을 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에 따라 상술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관한 접속기(이하 본 고안품이라 함)의 외관을 대략 표시한 사시도, 제4도는 동구조를 대략 표시한 부분 측단면도로서, 도면 중 종래품과 같은 것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어서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품에 있어서는 몸체(12)의 하측에 배설되어서 핀(11)에 접속된 단자(1 11) 및 가동절편(13)의 단자(131)의 구조에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단자(111)는 제 제5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 가닥으로 분기되어 있음과 동시에 대향방향의 외측 가장자리를 대략<형상으로 내밀게 형성하는 한편, 길이방향 중앙부로부터 선단부에 걸친 부분을 대향방향에 진각인 방향으로, 제5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형상으로 공국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이들의 내밀게 형성한 부분 및 굴곡형성부의 형상은, 프린트 기판의 두께치수가 예를 들면 1.2㎜정도인 경우에는 전자의 형상이, 1.6㎜정도의 경우에는 후자의 형상이 프린트 기판에 개설된 부착구멍에 당해 단자를 삽통하였을 때 각각 확실하게 연결될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내밀게 형성한 부분 및 굴곡형성부의 중앙부에 있어서의 굴절 부분의 몸체(12)의 하면으로부터의 간격이 떼어진 치수는 각각 상이하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자의 그것보다 후자의 쪽이 길게되어 있다. 또 단자(131)에 대해서도 단자(111)와 마찬가지로 형성되어 있고, 단자(131)는 그 형상이 측면에서 보아서 단자(111)의 형상과 대략 대칭이 되도록 몸체(12)의 하면에 단자(111)로부터 5㎜정도 사이가 떼어지게 해서 배설되어 있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은 방향의 대칭에 한하지 않고 반대방향의 대칭이라도 된다. 그리고, 단자(111)(131)는 다같이 그 길이 치수가 몸체(12)하면에서 3.6㎜정도가 되게, 선단부 사이의 간격이 떼어진 치수는 기단부 간의 그것보다도 약간 넓은 1㎜정도로 되어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품은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즉, 본 고안품의 단자(111)(131)(14a)를 두께치수가 12.㎜정도의 프리트 기판(30) 또는 1.6㎜정도의 같은 기판(30')에 소정의 개구치수로 개설된 부착구멍에 삽통하고, 몸체(12)의 하면을 프린트 기판(30) 또는 (30')의 윗면에 당접시킨다. 그렇게 하면 전자의 경우에는 단자(111) 및 단자(131)의 상기 대향방향의 외측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내밀게 형성한 부분의 상측 경사부분이, 상기 부착구멍의 하부 개구 가장자리에 당접해서 안쪽으로 좁혀져서, 상기 상축 경사부분이 상기 하부 개구 가장자리에 압접되게 되므로, 프린트 기판(30)을 뒤집어도 부착구멍으로부터 본 고안품이 빠져 나오는 일이 없다. 또 후자의 경우에는 단자(111) 및 단자(131)의 상기 대향방향에 직각인 방향에의 굴곡 형성부의 상측 경사부분이, 상기 하부 개구 가장자리에 당접해서 안쪽으로 굴곡되고, 단자(111)및 (131)이 탄성에 의해서 상반하는 방향으로 복귀하려고 하므로 상축 경사부분이 상기 하부 개구 가장자리에 압접되어서 본 고안품은 자립하게 되고, 전술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부착구멍으로부터 본 고안품이 빠져 나오는 일이 없다. 또한, 단자(111) 또는 (131)의 한쪽 만이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굴곡 형성되고, 다른 쪽의 단자는 종래의 곧은 형상의 단자로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12)의 하면의 1 또는 2개소에 돌설한 리브(140)를 프린트 기판(30')의 대응하는 개소에 개설한 삽입구멍(30a')에 삽입해서 몸체(12)를 고정시켜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할 경우는, 두께치수가 다른 2종류의 프린트 기판에 개설된 부착구멍에 접속기를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연결시켜서 견고하게 자립시킬 수 있으므로 프린트 기판의 전국에의 납땜작업도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서 사용범위가 확대되게 되는 등 본 고안은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단자(111)(131)에 금속판을 타발성형한 것을 사용하였으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몸체(12)의 하면에 , 두 가닥으로 배설한 2본의 금속선에 상기와 같은 내밀게 형성한 부분 및 굴곡형성부를 형성해서 단자(111)(131)를 구성하기로 하여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짐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접속기로서 전기 제품에 있어서의 외부 급전용 등의 재크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이어폰 재크 등의 소형재크, 기타의 대형재크, 핀제크 등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1)

  1. 평판형상의 기판에 개설된 부착구멍에 그 단자를 삽통해서 이 기판에 부착되는 접속기에 있어서, 상기 단자(111)(131)는 두 가닥으로 분기되어 있음과 동시에 대향방향의 외측 가장자리가 대략 <형상으로 내밀게 형성되어 있고, 한편 상기 대향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대략 <형상으로 굴곡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기.
KR2019830001813U 1982-03-20 1983-03-02 접속기 KR86000174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7-39694 1982-03-12
JP1982039694U JPS58142863U (ja) 1982-03-20 1982-03-20 接続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5881U KR840005881U (ko) 1984-11-10
KR860001743Y1 true KR860001743Y1 (ko) 1986-07-31

Family

ID=30050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1813U KR860001743Y1 (ko) 1982-03-20 1983-03-02 접속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8142863U (ko)
KR (1) KR860001743Y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7788B2 (ko) * 1975-01-23 1980-12-02
JPS5547788U (ko) * 1978-09-25 1980-03-2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5881U (ko) 1984-11-10
JPS58142863U (ja) 1983-09-26
JPS6316140Y2 (ko) 1988-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8637B1 (ko) 인쇄 회로 기판 장착용 전기 커넥터
KR950034926A (ko) 표면실장형 전기 커넥터
US3951494A (en) Electrical connector
US5800204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able
KR20020051838A (ko) 전기 커넥터
KR960016024A (ko) 표면실장형 컨넥터 및 그 전기 콘택트
KR970031104A (ko)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KR860001743Y1 (ko) 접속기
KR950024377A (ko) 회로기판용 전기 커넥터
EP0724782B1 (en) Gang modular jack
JP2021114399A (ja) 端子
JPH0224222Y2 (ko)
JPH0310622Y2 (ko)
JPS596624Y2 (ja) プリント板直付用コンタクト
JPS6041647Y2 (ja) コネクタ装置
JPH0126064Y2 (ko)
JP2005019053A (ja) 電気コネクタ
KR920002172Y1 (ko)
KR20210117457A (ko) 플러그 커넥터
JPH0350638Y2 (ko)
KR920008712Y1 (ko) 프린트 기판용 전기콘텍트
CN117199861A (zh) 免焊接连接端子及电子设备
KR920000797Y1 (ko) 전선연결용 코넥터
JPS5816755B2 (ja) コネクタ
KR0116849Y1 (ko) 인쇄회로기판용 점프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720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