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626Y1 - 엘리베이터케이지의 도어록크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케이지의 도어록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626Y1
KR860001626Y1 KR2019840007045U KR840007045U KR860001626Y1 KR 860001626 Y1 KR860001626 Y1 KR 860001626Y1 KR 2019840007045 U KR2019840007045 U KR 2019840007045U KR 840007045 U KR840007045 U KR 840007045U KR 860001626 Y1 KR860001626 Y1 KR 8600016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age
elevator
bracket
lock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70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1658U (ko
Inventor
부창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20198400070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1626Y1/ko
Publication of KR8600016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6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6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6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케이지의 도어록크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구성요부를 확대한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폐문상태 정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개문상태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도어에 있어서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개폐문짝의 일측상단에 전자석 개폐기를 부착시켜주어 정전시에는 탄발력에 의해 진퇴봉이 튀어나가 캐이지의 일측문짝을 협지고정시킴으로 인해 강제적으로 문을 열지 못하게 한 도어의 록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케이지에부설된 개폐문짝은 별도의 록크장치가 없으므로 도어는 5ㅡ30kg의 힘을 강제적으로 가하면 개문되도록 되어 있어 갑작스런 정전 혹은 비상시 엘리베이터가 층과 층 사이에 멈추어 버리는 경우 케이지도어는 열려야 하는 위치 즉 오픈죤(OPEN ZONE)에 있지 않을 경우가 허다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에는 자동으로 문이 열리지 않게 되므로서 케이지내에 승차하고 있는 승객들은 당황한 나머지 강제적으로 문을 열게되고 문이 열리면 오픈죤인지를 확인하지도 않고 뛰어나오게 되어 승강로 안으로 추락절명하거나 중상을 입게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되었던 것이다.
또한 정상가동시에도 엘리베이터가 오픈죤에 있지 않을 때 접점에 습기가 들어가던지 오물이 끼이게 되면 접점이 오동작하여 문이 열리게 되는 경우도 있어서 예기치 못한 사고가 발생되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문제점을 시정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정전시 혹은 비상정전시에 엘리베이터가 오픈존에 있지 않을 때에는 케이지 안에 갇혀 있던 사람들이 도어를 강제적으로 열고 나오려고 하여도 전자석식 도어록크장치에 의해 열리지 않게하므로써 반드시 케이지가 오픈죤에서만 열리도록 하여 엘리베이터 승객들의 안전을 도모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내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도어(1)일측상단에 브라켈(3)에 의해 장착되는 로울러(2)가 접동되도록 레일(4)을 설한 후레임(5)에 있어서, 그 일측에 전자석 (6)에 의해 진퇴케 된 진퇴봉(7)이 탄발스프킹(8)에 의해 탄지케하며 그 선단에는 괘정면(9')을 가진 과돌출방지판(9)을 고착시키며 그 하부양측에는 과돌출억제구(10)가 브라켈(11)에 나착되며 케이지도어(1)의 일측상단변에 괘정홈(12)을 설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도어록크장치인 것이다.
미설명부호 13은 록크너트를 표시한다.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엘리베이터의 출입구는 각층마다 한세트씩 벽에 취부되는 해치도어와 케이지에 고정되는 케이지도어(1)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통례로서 해치도어에는 도어크장치가 구성되어 안전성이 고려되어 있으나 케이지 도어(1)에는 도어록크장치가 없으므로 안전에 상당한 위협을 느껴왔던 것이다.
따라서 케이지 도어(1)에 취부되어 있는 레일후레임에 도어록크장치를 부착시키면 안전사고를 미연에 막을 수 있는 것으로서 오픈죤에 엘리베이터가 위치하지 않으면 오픈죤을 감지하는 장치에 의해 감지되어 전자석(6)에 전류가 차단되므로써 단발스프링(8)의 탄발력에 의해 진퇴봉(7)이 튀어나가게 되고 그 선단에 설한 괘정편(9')이 케이지도어(1)의 상단벽에 삭설시킨 괘정홈(12)내로 끼워지므로써 도어가 강제적으로 열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엘리베이터가 오픈죤에 위치하게 되면 전자석(6)에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서 전자석(6)이 동작되어 진퇴봉(7)을 당겨주게 되므로 탄발스프링(8)이 긴축한 상태로 진입되므로 도어록크장치의 괘정편(9')을 괘정홈(12)으로부터 이탈시켜 풀어주게 되는 것이다. 이때에는 엘리베이터가 정지하더라도 일정한 힘을 가해주어 케이지 도어(1)를 열고 밖으로 나올 수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과돌출억제구(10)은 브라켓(11)에 의해 나착고정되고 레일 후레임(5)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상부에 합성고무를 입혀주어 괘정편(9')을 가진 과돌출 방지판(9)이 하강할 때 충격을 억제시키고 록크니트(13)에 의해 과돌출억제구(10)의 위치를 조정시켜 주어 괘정홈(12)과 괘정편(9')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일정한 높이를 유지시켜 주게한다.
이와같이 작동되는 본고안은 정전시나 비상시에 엘리베이터가 오픈죤에 있지 않을 때 케이지에 갇혀 있던 승객들이 도어를 강제로 열고 나오려다가 당하는 불시의 추락사고와 접점의 오동작시 열림위치가 아닌 곳에서 도어가 운행도중 열리는 것을 방지하므로서 안전성을 높이는 효과를 얻게 되는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도어(1)일측상단에 브라켈(3)에 의해 장착되는 로울러(2)가 접동되도록 레일(4)을 설한 후레임(5)에 있어서, 그 일측에 전자석 (6)에 의해 진퇴케 된 진퇴봉(7)이 탄발스프링(8)에 의해 탄지케하며, 그 선단에는 괘정편(9')을 가진 과돌출방지판(9)을 고착시키며, 그 하부양측에는 과돌출억제구(10)가 브라켈(11)에 나착되며, 케이지도어(1)의 일측상단변에 괘정홈 (12)을 설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도어록크장치.
  2.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엘리베이커의 레일후레임(5)에 고정하는 브라켓(11)상의 과돌출억제구(10)은 상부에 합성고무로 되어 있어 충격을 방지하고 진퇴봉(7)의 하부에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록크너트(13)에 의해 괘정편(9')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고정하여 주게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도어록크장치
KR2019840007045U 1984-07-23 1984-07-23 엘리베이터케이지의 도어록크장치 KR8600016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7045U KR860001626Y1 (ko) 1984-07-23 1984-07-23 엘리베이터케이지의 도어록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7045U KR860001626Y1 (ko) 1984-07-23 1984-07-23 엘리베이터케이지의 도어록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1658U KR860001658U (ko) 1986-03-05
KR860001626Y1 true KR860001626Y1 (ko) 1986-07-23

Family

ID=19236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7045U KR860001626Y1 (ko) 1984-07-23 1984-07-23 엘리베이터케이지의 도어록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162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1658U (ko) 1986-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35315B1 (en) Elevator having a shallow pit and/or a low overhead
US8136637B2 (en) Safety device for securing minimum spaces at the top or bottom of an elevator shaft being inspected, and elevator having such safety devices
HUE032077T2 (en) Anti-Fall Elevators
EP2328826B1 (en) Safety devices for elevators with reduced clearances
CA2464590A1 (en) Elevator landing door broken chain safety device
KR860001626Y1 (ko) 엘리베이터케이지의 도어록크장치
EP1524234B1 (en) Elevator system
KR20010027076A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도어 슈 및 도어 실 이탈방지구조
JP6971902B2 (ja) エレベーターの戸開走行保護装置
JP6229943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開閉装置
KR102000390B1 (ko) 세이프티슈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KR200332674Y1 (ko) 승강기도어끼임방지장치
KR100963495B1 (ko) 안전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용 방화도어
US858390A (en) Safety device for elevators.
KR960008533Y1 (ko) 엘리베이터의 승장문턱과 카문턱 간격 보상장치
JPH0423889Y2 (ko)
KR0135709Y1 (ko) 엘리베이터의 가동형 에이프런
JP2713673B2 (ja) エレベータの扉安全装置
KR970004190Y1 (ko) 엘리베이터 해치도어(Hatch Door) 인터록장치의 레버구조
JPS6246706Y2 (ko)
KR19980057297U (ko) 엘리베이터 추락 방지 장치
JPH0133579Y2 (ko)
JPH0427905Y2 (ko)
JP2003012257A (ja)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JP2015168508A (ja) エレベータのドア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02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