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374Y1 - H형 조적 블록 - Google Patents

H형 조적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374Y1
KR860001374Y1 KR2019840004320U KR840004320U KR860001374Y1 KR 860001374 Y1 KR860001374 Y1 KR 860001374Y1 KR 2019840004320 U KR2019840004320 U KR 2019840004320U KR 840004320 U KR840004320 U KR 840004320U KR 860001374 Y1 KR860001374 Y1 KR 8600013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onry block
block
shaped
masonry
occlus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43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10138U (ko
Inventor
서건희
Original Assignee
서건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건희 filed Critical 서건희
Priority to KR20198400043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1374Y1/ko
Priority to EP19850902171 priority patent/EP0191104A4/en
Priority to PCT/KR1985/000010 priority patent/WO1985005140A1/ja
Priority to AU42375/85A priority patent/AU579052B2/en
Priority to US06/826,492 priority patent/US4703600A/en
Publication of KR8500101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101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3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3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39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 E04C1/395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for claustra, fences, planting walls, e.g. sound-absorb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H형 조적 블록
제1도는 본 고안의 조적 블록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조적 블록의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조적 블록이 조적된 상태를 보인 일부 파상 절결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A선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조적 블록을 조적하여 판상 담장을 시공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조적 블록과 함체형 조적 블록으로 시공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a)는 구멍 담벽을 시공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b)는 울타리를 시공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조적 블록의 다른 실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H형 조적 블록 2 : 요입부
3 : 교합요홈 4 : 교합돌조
5 : 고정공.
본 고안의 담장에 콘크리트제 벽체를 이용하여 조립식으로 축조함에 있어서 기둥을 형성하는 H형 조적 블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측면에 요입부가 형성된 조적 블록을 조적하면서 콘크리트제 벽체의 양측단부를 상기의 요입부 내에 끼워 축조하도록 한 H형 조적 블록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조립식 담장을 축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기둥이 고안. 사용되어 왔으나, 이들의 대부분은 일체로 형성된 H형 또는 여러 가지 형상의 기둥을 입설시키고, 무거운 콘크리트제 벽체를 들어올려 기둥의 상단부로부터 기둥의 양측면에 형성된 요입부 내에 콘크리트제 벽체의 양측단부를 끼워야 하므로,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였을 뿐만 아니라, 기둥을 입설하여 타설된 시멘트 모르타르가 완전히 경화되기 전에는 콘크리트제 벽체를 끼울 수 없어 공기가 길어지게되는 결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H형 조적 블록의 양측면에 형성된 요입부 내에 콘크리트제 벽체의 양측단부를 끼우면서 상부로 조적. 시공하고 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면에 각각 적당한 크기의 ″ㄷ″자형 요입부(2)가 형성된 H형 조적블록(1)의 상. 하단부에는 각각 H형의 교합요홈(3)과 교합돌조(4)를 형성하고, 네 모서리 또는 적당한 위치에는 보강철심(6)과 시멘트 모르타르(7)를 충전할 수 있도록 고정공(5)을 천설한 것으로, 상기에서 요입부(2)의 크기는 조립되는 콘크리트제 벽체(8), 구멍담벽(9) 및 울타리용 기초블록(10) 등의 두께에 따라 여러 가지의 크기로 제작할 수 있고, H형 조적블록(1)의 형상은, 제7도의 (a),(b) 및 (c)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둥을 시공하려는 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의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미설명 부포 10'는 울타리용 지주이고, 11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83-8404호의 함체형 조적 블록이며, 12와 13은 기초 공사를 하기위한 철근과 시멘트 콘크리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3도와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에 필요한 굴토를 하여 철근(12)과 시멘트 콘크리트(13)를 충전하고, 함체형 조적 블록 (11)을 매립시켜 기초 공사를 한 후, 함체형 조적 블록(11)의 상단부에는 H형 조적블록(1)의 하단부에 형성된 교합돌조(4)를 끼우고, H형 조적블록(1)의 상단부에는 또 하나의 H형 조적블록(1′)을 조적하되 교합돌조(4)를 교합요홈(3)과 결합하도록 조적하며, 요입부(2)내에는 조립식 콘크리트제 벽체(8)의 양측단부를 끼우면서 상부로 시공하여 쌓을 수 있다. 조적이 끝나면, 삽입공(5)내에는 보강철심(6)과 시멘트 모르타르( 7)를 충전시켜 일체로 형성시키면 된다. 또한, H형 조적 블록(1)을 조적하면서 적당 개소에 함체형 조적 블록(11)을 교합, 조적하면 제6도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 담벽(9)이나 울타리용 기초블록(10)등을 조립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요입부(2)내에 콘크리트제벽체(8)의 양측단부를 끼우면서 상부로 시공하게 되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 속도가 빨라 공기가 단축됨은 물론 고정공(5) 내에는 철근(6)과 시멘트 모르타르(7)를 충전하므로 견고하게 구축되고, H형 조적블록(1)을 조적하면서 적당 개소에 함체형 조적블록(11)을 교합. 조적하면 구멍담벽(9) 또는 울타리용 기초블록(10)등을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Claims (1)

  1. 울타리 지주용의 상자형 조적 블록에 있어서, 인접 또는 대향하는 양측면에 요입부(2)를 형성하고, 상. 하단면에는 각각 H형의 교합요홈(3)과 교합돌조(4)를 형성하며, 네 모서리 또는 적당한 위치에 고정공(5)을 마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H형 조적블록.
KR2019840004320U 1984-04-30 1984-05-10 H형 조적 블록 KR8600013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4320U KR860001374Y1 (ko) 1984-05-10 1984-05-10 H형 조적 블록
EP19850902171 EP0191104A4 (en) 1984-04-30 1985-04-30 BOX TYPE VERTICAL ASSEMBLY BLOCKS.
PCT/KR1985/000010 WO1985005140A1 (en) 1984-04-30 1985-04-30 Vertically assembling box type blocks
AU42375/85A AU579052B2 (en) 1984-04-30 1985-04-30 Vertically assembling box type blocks
US06/826,492 US4703600A (en) 1984-04-30 1985-04-30 Vertically assembling box type block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4320U KR860001374Y1 (ko) 1984-05-10 1984-05-10 H형 조적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10138U KR850010138U (ko) 1985-12-12
KR860001374Y1 true KR860001374Y1 (ko) 1986-07-09

Family

ID=19234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4320U KR860001374Y1 (ko) 1984-04-30 1984-05-10 H형 조적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137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10138U (ko) 1985-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4103A (en) Building system with interlocking blocks
US3435567A (en) Wall construction
EP0191104A1 (en) Vertically assembling box type blocks
KR860001374Y1 (ko) H형 조적 블록
JP6667850B2 (ja) べた基礎用の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製造方法、及びべた基礎の構築方法
US4155210A (en) Process for building up towers, particularly water towers
US4038793A (en) Wall structure
KR200273410Y1 (ko) 조립식콘크리트단열블록
JPH0211476Y2 (ko)
JPH0332580Y2 (ko)
JPS5926741B2 (ja) 基礎築造装置
JPS6244954Y2 (ko)
JP3514501B2 (ja) 遊水池装置
EP0050625A1 (en) Bricks or blocks
JPH04319147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及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を使用した壁構造の構築工法
JPH07116749B2 (ja) 半プレキャストrc造建築物の柱または梁と壁の接合部
KR200334292Y1 (ko) 주택 기초용 조립식 프리캐스팅 블록
JPH078588Y2 (ja) 組立て式地下タンク基礎
JPH0446004Y2 (ko)
JPS6013834Y2 (ja) サイロ
JP2003096792A (ja) べた基礎構築ブロック及びべた基礎の構築方法
KR840000304Y1 (ko) 울타리용지주의 조립식 기초 콘크리트 블록
JPH0648009Y2 (ja) 空洞コンクリートブロツク
JPH0352822Y2 (ko)
JP2547884Y2 (ja) 組立式水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62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