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371Y1 - 고로노벽의 열간 보수장치 - Google Patents

고로노벽의 열간 보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371Y1
KR860001371Y1 KR2019840012780U KR840012780U KR860001371Y1 KR 860001371 Y1 KR860001371 Y1 KR 860001371Y1 KR 2019840012780 U KR2019840012780 U KR 2019840012780U KR 840012780 U KR840012780 U KR 840012780U KR 860001371 Y1 KR860001371 Y1 KR 8600013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blast furnace
repair
nozzle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127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간지 고도오
지요미 야마구찌
요리히도 미가미
로꾸로오 고마기네
Original Assignee
신닛본 세이데쓰 가부시기가이샤
다께다 도요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790003442A external-priority patent/KR830001381A/ko
Application filed by 신닛본 세이데쓰 가부시기가이샤, 다께다 도요시 filed Critical 신닛본 세이데쓰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20198400127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1371Y1/ko
Priority to KR2019850000126U priority patent/KR8600007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3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3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6Making or repairing linings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linings or breaking away linings
    • F27D1/1636Repairing linings by projecting or spraying refractory materials on the lining
    • F27D1/1673Repairing linings by projecting or spraying refractory materials on the lining applied centrifugally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04Blast furnaces with special refractories
    • C21B7/06Linings for furn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6Making or repairing linings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linings or breaking away linings
    • F27D2001/1605Repairing li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last Furnaces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로노벽의 열간 보수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수장치의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수장치의 정면도.
제3도는 제1도 장치의 아암부재와 가동장치간의 연결관계를 도시하는 부분단면도.
제4도는 제2도장치의 팬터그래프(pantograph)기구와 가동장치를 도시하는 부분정면도.
제5도는 고로에 제1도 장치를 삽입하는 과정을 순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제5a도는 삽입전상태, 제5b도는 제1아암을 고로내로 하향연장시킨 상태, 제5c도는 제2아암을 펴서 연장시킨 상태를 각각 도시한 부분정면도.
제6도 및 7도는 각기 수직 및 수평으로 배치된 다수의 분사노즐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8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수장치의 정면도.
본 고안은 고로의 내면에 부착된 내화라이닝을 보수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로에 부착된 내화라이닝의 두께는 고로조업을 함에 따라 점점 감소하게 되어, 로수명 말기에는 노벽내화물이 국부적으로 탈락 또는 마모손상하여 그 부분의 노벽에 큰 부하가 걸리게되고, 그 결과 노벽의 균열 또는 가스누설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로인해 고로의 가동율의 저하 또는 조업도의 저하가 초래되게 되고, 따라서 조급히 노벽을 수리해야만 하는데, 종래부터 실시되고 있는 노벽수리는 다음의 두가지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즉, 방식 “a” : 고로내의 장입물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장입물의 표면을 응고시켜 개스의 누출을 방지시키게 하고, 고로조업을 완전히 정지한 상태에서 고로동체를 냉각시킨 후에, 조업원이 고로내로 들어가서 수리작업을 하고, 보수한 내화라이링의 건조후에 고로온도를 정상수준까지 상승시켜 조업을 재개시킨다.
방식 “b” : 고로의 노벽에 열간 균열등이 발생하거나 노벽에 설치한 열전기쌍에 의해 비정상적인 온도상승이 검지되었을 경우에, 고로노벽의 손상부를 바깥쪽으로부터 개구하여 이 개구를 통해 노즐을 삽입하여 적당한 점도의 부정형(不定形)내화물을 요구되는 압력으로 압입한후 건조, 응고시킨다.
그러나, 방식 “a”의 경우는 하강된 장입물의 표면으로부터 개스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측정을 행하여야 할뿐만 아니라 고로의 온도를 조업원의 출입을 가능케하는 정도까지 감소시킨 후에야 보수작업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보수작업을 위한 준비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고, 비록 이와같이 고로개스나 온도에 대해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고는 하지만, 조업원의 고로내의 악환경하에서 보수작업을 해야한다는 문제점도 역시 있게된다. 또한, 고로의 작동을 다시 정상적으로 재개시키기 위해 고로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데에도 부가적으로 오랜시간이 걸리는데, 이 또한 상당한 경제적인 손실인 것이다.
방식 “b”의 경우는 고로의 작동을 정지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보수작업을 행할 수 있어 잇점을 제공하는 것이긴 하지만, 노벽을 개구시켜 외부로부터 내화재를 압입하는 방식이므로 노벽 손상부의 손상상태, 손상위치, 또는 그밖의 것을 정확히 파악하지 아니하면 정확한 보수를 할 수 없는 결점이 있다. 또한, 본 방식에 있어서는 노벽손상부의 손상상태 및 손상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다수의 열전기쌍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경제적인 것이 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단순히 부정형 내화물을 압입시키는 것에 의해 보수를 이루게하고 있기때문에 손상부에 대한 보수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파악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이외에도 노벽에 다수의 개구를 형성시켜야만 하기 때문에 강도저하의 문제점도 발생하게 된다.
고로에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게 구성된 보수장치도 일부에서는 사용하고 있었는데, 이 장치에 있어서는 삽입부가 고로외부로부터 원격제어토록 되어있고, 따라서 200 내지 400℃의 비교적 고온분위기 하에서 보수작업을 시행할 수 있게되어 있다. 그러나, 이 장치에 있어서는 고로의 상부에 근접하여 장치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 또는 맨혼을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개구와 보수할 손상부간의 거리가 약 15 내지 20m가 되고, 그러한 길이때문에 장치는 대형의 지지구를 필요로 하게되고, 그 결과 개구를 통한 장치의 삽입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같이 개구와 보수할 손상부간의 거리가 아주 길기때문에 고로외측에서 장치를 원격 제어하는 데에도 문제점이 있다.
즉, 손상부쪽으로 보수장치를 정확히 이동, 배치시키는 것이 어려울뿐만 아니라 내화물질을 보수할 손상부에만 경제적으로 정확히 분사시키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같은 기존장치의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도록, 고록의 작동을 정지시킴이 없이 고로의 손상된 라이닝을 연간 보수할 수 있는 고로노벽의 열간보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고로의 상부에 인접하여 제한된 크기로 형성한 개구를 통해 고로내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음과 동시에 고로외부에서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고로노벽의 열간 보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고로노벽 손상되에 정확히 배치되어 손상부만을 경제적으로 보수할수 있는 고로노벽의 열간 보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고안에 따라, 고로의 상부에 인접하게 위치한 개구를 통해 수평으로 삽입되는 지지부재와, 그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절첩식 아암부재와, 그 아암부재의 팁에 부착되어 보수할 고로 손상부에 부정형 내화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구비하는 고로노벽의 열간보수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게 된다.
아암부재는 고로내로 삽입될시 펴지게되고, 분사노즐은 고로노벽의 손상부로 향하게 배치됨과 동시에 고로축에 대해 회전하게 되며, 그러한 회전중에 노벽 손상부에 부정형 내화물을 분사하게 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보수작업이 완료되면 아암부재는 다시 접혀진후 고로로부터 제거되게 된다.
본 고안의 보수장치는 고로의 조업중에 가장 손상받기 쉬운 부분인, 고로내에 위치한 장입물의 중간부와 하부 사이의 노벽부분에 부착된 내화라이닝, 또는 장입물의 표면으로부터 약 15 내지 20m 떨어진 위치에 위치한 내화라이닝을 보수하는데 적합한 장치이다.
본 고안의 장치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장입물을 요구되는 위치까지 하강시켜 내화라이닝을 주기적으로 또는 필요시마다 노출시켜야만 한다.
그와같이 하여, 고로내의 온도를 약 200 내지 400℃로 유지시키고, 그러한 상태에서 노출된 냉각기의 표면온도를 측정하거나 내화라이닝 손상부의 위치 및 상태를 정확히 측정한후, 분사노즐에 의해 손상부에 부정형 내화물을 분사하여 열간보수를 행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겠다.
제1도에는 고로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보수장치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고로는 상부에 원료장입장치(1)를 가지고 있고 그의 동체는 강으로 된 쉘(2)과, 그 쉘의 내면에 부착되는 내화벽돌로된 내화라이닝(3)과, 그 내화 라이닝에 설비된 냉각기(4)로 구성되어 있다.
부호 “5”는 고로의 중앙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고로위에 임시적으로 대체로 수평으로 설치되는 안내프레임으로, 원료장입장치(1)과 내화라이닝(3) 사이에서 쉘(2 )에 형성된 맨홀(6)과 같은 개구를 통해 이동할수 있게 되어있으며, 스탠드(7)에 고정되어 있다. 부호(8)은 안내프레임(5)에 부착된 레일과 같은 안내부재를 따라 휘일등에 의하여 이동 가능하게 되어있는 가동장치이다.
가동장치(8)에는 안내프레임(5)을 따라 연장되는 절첩식 아암부재(9)가 장착되어 있는데, 그 아암부재(9)는 일단이 샤프트(11)을 통해 가동장치(8)의 하면에 피벗연결되어 상하 이동가능한 제1아암(10)과, 그 제1아암(10)의 타단에 샤프트(13)을 통하여 피벗 연결된 제2아암(12)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아암(10)은 일례로 내관(14)과 외관(15)으로 구성된 망원경식 관의 형태를 가진것으로, 내관(14)과 외관(15)을 상대이동시킴에 의해 길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되어있다.
제2도 및 4도에는 다른 형식의 절첩식 아암부재(9)가 도시되어 있는데, 그에 있어서 제1아암(10)은 샤프트(19)(20)에 의하여 가동장치(8)의 하단에 장착된 팬터그래프(pantograph)기구(16)와, 그 팬터그래프기구(16)에 샤프트(17)에 의하여 피벗 연결된 지지부재(18)로 구성되어 있다.
절첩식 아암부재(9)는 샤프트(11), (13)을 중심으로 하여 접을 수 있게 되어있어, 그러한 접음에 의하여 제5(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동장치(8)를 따라 맨혼(6)을 통해 출입 가능하게 될 수 있게 된다.
가동장치(8)은 고로의 외측에 위치한 작업대(21)에 설치된 구동장치(22)에, 와이어(23)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어, 구동장치(22)의 전, 후방향 작동에 의하여 안내프레임(5)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있다.
부호(24)는 작업대(21)에 설치된 승강구동장치로서, 와이어(25)에 의하여 제1아암(10)의 외관(15)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어, 와이어(25)를 끌어당기고 풀고함에 따라 제1아암(10)을 신축시키도록 되어있고, 또한 그에 의하여 제1아암(10)은 샤프트 (11)을 중심으로 접혀질 수 있게 되어있다.
또한, 승강구동장치(24)는 와이어(26)에 의하여 제2아암(12)의 중간부분에 연결되어 있어, 와이어(26)를 당기고 풀고함에 따라 제2아암(12)을 샤프트(13)을 중심으로 하여 요구되는 각도(θ)로 피벗 이동시켜 접을 수 있게하고 있다.
제4도에는 팬터그래프기구(16)와 지지부재(18)로 구성된 제1아암(10)의 상부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는데, 본 도면에 있어서 팬터그래프기구(19)는 접혀진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팬터그래프기구(16)의 최상측 링크아암(27), (27)은 샤프트(19), (20)에 의하여 가동장치(8)에 피벗 장착되어 있으며, 특히 샤프트(20)이 장착된 링크아암(28)의 단부는 일례로 실린더 등에 의하여 가동장치(8)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범위로 미끄럼 이동하게 되어있어, 그러한 미끄럼 이동에 의하여 팬터그래프기구(16)는 제2도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같이 신장할 수 있게 되어있다.
부호(29)는 보수를 요하는 라이닝(41)쪽으로 분사노즐(30)을 향하게 하기위한 회전기구를 나타낸다.
제3도에는 가동장치(8)와 제1아암(10)간의 연결부분에 부착된 회전기구(29)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샤프트(11)에 의하여 베어링부재(43)이 가동장치(8)의 하부에 고착된 브래킷(42)에 연결되어 있고, 제1아암(10)에는 베벨기어(31)가 고착되어 있고, 그 베벨기어(31)는 전동샤프트(32)를 통하여 고로외부에 설치된 회전장치(33)에 연결된 기어(34)와 맞물리도록 되어있다. 특히 베벨기어(31)는 제1아암(10)의 내관(14)의 상단에 고착되어 있고, 그 베벨기어(31)과 맞물리도록 되어있는 기어(34)는 회전장치(33)의 전동샤프트(32)의 단부에 고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회전장치(33)가 회전하게 되면 제1아암(10)이 전동샤프트(32), 기어(31), (34)를 통하여 자체축에 대하여 회전하게 된다. 기어(31)과 기어( 34)간의 결합은 아암부재(9)를 기어(31)가 기어(34 )에 접할때까지 제5(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로내로 진입시킴에 의해 이어루지게 되며, 이러한 순서를 역으로 행하여 제5(c)도의 상태로부터 제5(a)도의 상태로 아암부재(9)를 접은 후에 고로로부터 인출해냄에 따라 기어(31)와 기어(34)가 분리되게 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아암부재(9)의 회전기구(29)로는 체인및 스프로켓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부호(35)는 고로의 외부에 위치한 작업대(21)에 설치된 단일물질 이송기로서, 그 이송기(35)에는, 아암부재(9)를 통하여 분사노즐(30)에 연결된 암력호스(36)의 후방단이 연결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2 아암(12)에는 유압식으로 작동하는 실린더(37)와 같은 신축장치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37)에는 분사노즐(30)이 연결되어 있어, 고로의 손상된 표면으로의 노즐의 위치조정을 실린더(37)의 신축 작동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루게할 수 있다. 또한, 제2 아암(12)의 반대측에서, 제1 아암( 10)의 하부에는 평형추(38)가 설치되어 있어, 보수작동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평형상태를 계속 유지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부호(39)는 연결부재(40)에 의하여 가동장치(8)에 연결된 보조 트롤리로서, 이 보조 트롤리(39)는 아암부재(9)가 고로에 진입되기전에 안내프레임(5)에 대체로 평행하게 접혀진 상태로 있는 아암부재(9)를 지지하게 된다. 가동장치(8)이 고로의 중앙부로 이동하게 되면, 아암부재(9)를 펴서 신장 하강시키고, 그상태에서 보조 트롤리(39)를 연결부재(40)로 부터 분리해내고 그 에이어 연결부재(40)의 단부를 안내프레임(5)에 고착시키도록 하여, 가동장치(8)를 고로의 중앙부에 고정시키도록 한다.
분사노즐(30)은 아암부재(9)의 제2 아암에 여러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는데 일례로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3개의 분사노즐(30)을 적당한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배치시킬 수 있을 것인데, 이와같이 배치하는 것은 넓은 폭에 걸쳐 물질을 분사하는데 유용하고, 그에 의해 작업시간을 상당히 단축시킬 수 있게된다. 또한,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3개의 분사 노즐을 수평으로 배치시킬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이 배치 하는 것은 분사물질을 두껍게 피복하는데 유용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분사노즐을 설치하게 되면 노즐의 일부가 막히게 되는 경우라도 다른 노즐에 의해 분사가 진행되므로, 분사는 중단점이 없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물질 분사용으로 사용되는 분사노즐(30)은 통상의 것으로, 제6도 및 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급수링(44)을 통해 압력 호스(36)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급수링(44)은 급수호스(45)에 연결되어 있다. 압축공기에 의하여 급수링(44)에는 분말로된 분사물질이 이송기(35)로 부터 공급되게 되고, 그곳에서 분사물질은 물과 혼합되어 반죽 상태로된 후 분사노즐(30)로 공급되게 된다. 그러면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의 보수장치를 고로에 어떠한 방식으로 진입시키고, 또한 그에의해 손상된 고로의 라이닝을 어떠한 방식으로 보수하는 가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고로에 보수장치를 진입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안내프레임(5)을 제5(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로상부에 위치한 개구(6)위에 수평으로 고정시키고, 그뒤에 작업대( 21 )에 미리 조립되어 있던 가동장치(8), 보조트롤리(39), 제1아암(10), 제2아암(12 ), 분사노즐(30)을 안내프레임(5)에 부착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2아암(12 )를, 제5(a)도에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제1 아암(10)에 대하여 접어 제1 아암(10 )을 가동장치(8)와 보조 트롤리(39)에 의하여 안내프레임(5)에 대하여 대체로 평행하게 지지시킨다. 즉, 제1 아암(10)을 샤프트(1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시키고, 제2 아암(12)이 접힌 상태로 지지되어 있는 제1 아암(10)의 측부를 보조 트롤리(39)에 의하여 지지시키게 한다. 그뒤에, 구동장치(22)에 의하여 가동장치(8)를 이동시키게 하여, 보조 트롤리(39)를 제2 아암(12)을 지지시킨 채로 가동장치(8)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고로내의 소정위치(제5(a)도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같이 안내프레임의 장입측에 근접한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의 이동을 정지시키도록 한다.
그뒤에, 아암부재(9)를 보조 트롤리(39)로 부터 분리시키고, 그에이어 승강 구동장치(25)에 의하여 와이어(25)를 이동시켜 아암부재(9)를 제5(b)도에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하향 회전시킨다. 이때 제1아암(10)의 하향 길이가 충분히 길지않다면, 외관(15)을 하향 이동시켜 상기의 길이를 증가시키게 한다. 그뒤에는 와이어( 25)를 이동시켜 제2 아암(12)을 축(13)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θ)로 회전시키도록하여, 분사노즐(30)의 팁을 제1도에 도시된 손상부(41)쪽으로 향하게 한다.
분사노즐(30)과 손상부(41)간의 최적 거리는 분사물질의 성질, 첨가시킬 물의 양, 분사압력, 라이닝의 온도 등등을 고려하여 선택하도록 하고, 거리의 조정은 실린더( 37)의 조정에 의하여 이루게할 수 있다.
부분적인 보수를 요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거리를 실린더(37)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가동장치(8)에 의해서도 조정할 수 있다.
이상의 순서에 의해 분사노즐(30)은 물질을 분사시킬 수 있는 위치에 도달하게 되는데, 소정의 고로에 있어서는 부분적인 보수가 아니라 전체적인(원형상태) 보수를 요하기도 하기 때문에 분사노즐(30)의 위치를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아암(10)을 제5(c)도에 위치시킨 상태에서도 부분적인보수는 가능하게 되나, 보수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하는 것에 관계없이 제1아암(1)을 가동장치(8)에 의하여 제5(b)도에 실선으로 표시한 위치로부터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로 중앙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제1 아암(10)을 그러한 위치에 고정시켜 두고, 제2 아암(12)을 회전시켜 분사노즐(30)을 물질 분사에 적당한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게 한다. 보수를 원형적으로 실시하는 경우, 즉 전체적으로 실시하는 경우에는 승강 구동장치 (24)에 의하여 아암부재(9)의 길이를 조정하도록 하면 되고, 이에 의하여 라이닝의 모든 손상부분을 보수하는것이 가능하게 된다.
분사노즐(30)은 공급기(35)로 부터 압력호스(36)을 통해 공급되는 분사물질을 분사시키게 되는데, 그러한 분사시 노즐(20)부근에서 상기 분사물질에 물이 첨가됨으로써 압력호스(36)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 아암(12)의 팁에는 분사노즐(30)과 함께 노내면의 형상을 감지하는 센서를 설치하며 손상상태및 보수상태를측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보수를 시행할 수 있게할 수도 있으며, 또한 그러한 센서를 분사물질 공급기(35) 및 아암부재(9)의 구동장치(24)에 연결시켜, 전체보수작업을 완전히 기계화및 자동화 시키게 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보수장치는고로를 열간 보수 하는데 사용하는 것이고, 따라서 그의 소정부품, 특히 고로내에 삽입되는 아암부재(9)는 적당한 장치에 의하여 냉각되게 될 것이다.
손상된 고로 내부에 대한 보수가 완료되게되면 상기한 바와 같은 순서의 역으로, 제2 아암(12)을 접고, 가동장치(8)를 개구(6)쪽으로 이동시키고, 그런후에 제1 아암( 10)을 회전 시키면서 들어올려 안내 프레임(5)에 평행하게 접고, 그에이어 제1 아암(1 0)의 일단을 보조트롤리에 지지시킨 후 가동장치(8)에 의하여 고로로부터 인출해낸다.
제8도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안내프레임(5)이 고로를 가로질러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되어 있는 제1도 및 2도의 실시예와는 달리 외팔보식 수평아암(47)을 구비하고 있다. 이 외팔보수 수평아암(47)은 안내프레임(5)의 기능을 대신하는 것이긴 하지만 고로를 완전히 교차하여 연장되고 있는 것은 아니고, 따라서 이에 의해 보수 장치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신축가능한 수평아암(47)은 작업대(21)상에 위치한 가동 지지체(46)로 부터 고로중앙부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의 팁에는 아암 지지부재(48)가 장착되어 있어 신축 가능한 제1 아암(49)을 매달린 상태로 지지함과 동시에 아암축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고 있다. 즉, 제1 아암(49)의 상단은 아암 지지부재(48)에 힌지되어 있고, 그에 의해 제1 아암은 화살표 “R”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되어 있다. 아암 지지부재(48)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 아암(49)을 회전및 힌지 운동 시키기 위한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아암(49)의 하단에는 커플링 부재(50)가 장착되어 있고, 그 커플링 부재( 50)에는 신축가능한 한 쌍의 제2 아암(51)이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각각의 제2 아암( 52)의 팁에는 분사노즐(30)이 고정되어 있다. 제2 아암(51)의 팁에 인접하여서는 와이어 또는 체인으로된 케이블 부재(52)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는데, 이 케이블 부재(52 )의 타단측은 아암 지지부재(48)에 내장된 권취드럼(도시안됨)에 감겨져 있고, 그리하여 케이블부재(52)를 풀거나 감음에 의해 제2 아암(51)을 요구되는 각도“θ”로 경사지게 위치시키거나 제1 아암(49)에 대해 평행하게 접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1도 및 2도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고로에 제2아암(51)을 진입시키는 경우, 수평아암(47), 제1 아암 (49), 제2 아암(51)은 모두 축소된 상태에 있으며, 특히 제2 아암(51)은 제1 아암 (49)에 평행하게 접혀진 상태에 있고, 제1 아암(49)는 수평아암(47)로부터 수평으로 돌출한 상태에 있는데, 그러한 상태로 부터 지지체(46)을 전진 시키게 되면 제1아암(4 9)이 그의 팁으로부터 고로내로 삽입되게 된다. 제1 아암(49)이 요구되는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제1아암(49)을 하방으로 회전시키고, 그에이어 수평아암(47)을 신장시켜 제1 아암(49)을 고로에 중앙에 위치시키도록 한다. 그뒤에는 커플링부재(50)에 의해 제1 아암(49)로 부터 제2 아암(51)을 펴게하여, 분사노즐(30)을 손상부분(41)에 대면시키도록 하고, 이와같이 하여서 작업준비가 완료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1아암(49)와 제2 아암(51)을 고로로 부터 제거시켜야 할때는 상기의 순서를 역순으로 행하면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는 두세트의 분사노즐(30)이 설치되어 있고, 따라서 분사율을 전술한 실시예의 2배로 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고, 또한 전체장치의 평형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
분사물질은 고로의 외부에 위치한 이송기로 부터 호스(도시안됨)를 통해 분사노즐(30)에 공급되게 되는데, 상기 호스는 수평아암(47), 제1 아암(49), 그리고 제2 아암(51)을 관통하여 연장되게 되어 있어, 고로내의 고온 개스와 직접 접촉하지 않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2 아암을 두개 구비하고 있으나, 하나만을 설치할 수도 있고, 또는 제1도 및 2도의 실시예와 같이 신축성을 갖지 않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역으로 제1도 및 2도의 실시예의 경우에도 제2 아암을 하나가 아닌 두개로 하여 그리고 신축성을 가진것으로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보수장치는 열간 보수를 행할 수 있도록 고로내로 삽입되게 되어있는 것으로서, 기존의 보수방식 “A”와 같이 고로의 비 작동시간이 오랜동안 요구되지 않고, 단순히 고로내의 장입물을 하강시켜 단기간에 행할 수 있고, 그러한 보수후 즉시 정상작동을 다시 행하게할 수 있게 되어있다. 또한, 조업자의 고로내 작업이 필요치 않아 조업자가 유해한 고로내 분위기의 영향을 받지 않게된다. 또한, 기존보수방식 “B”의 경우와 같이 고로에 많은 구멍을 형성시키지 않고도 고로내측에서 손상부까지 연장되어 정확히 위치 선정시켜 보수를 행할 수 있게 해줄 수 있다.
본 고안의 보수장치는 절첩식으로 되어 있어 고로의 상부에 형성한 개구내로 작은 크기로 삽입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개구의 크기를 적게하는 것이 가능한반면, 사용시에는 크기를 늘려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장치는 현존하는 고로에 변경없이도 사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바와같은 고안의 범위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고로 장입물을 노벽손상부 이하로 내린 상태에서 고로 노벽(3)을 열간 보수하는 장치에 있어서, 고로상부에 근접하여 설치된 개구(6)를 통해 삽입이 가능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재(8), (25), (39), (40)을 포함하는 지지장치(5), (7)와, 상기 지지부재(8), (25), (39), (40)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수평위치로부터 로내로 하향 연장되는 수직위치까지 수평축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일단이 지지장치(5), (7)에 장착되고 자체축선에 대해 회전 가능한 제1 아암(10)과, 그 제1 아암(10)을 상기 수평축에 대해 회전시키는 구동장치(22), (23)와, 제1아암(10)을 자체축선에 대해 회전시키는 구동장치(33), (39)와, 제1아암(10)의 타단에 장착되어 제1 아암(10)의 축선에 대해 요구되는 각도로 경사질 수 있고 접혀질 수 있는 제2아암(12)과, 그 제2아암(12)의 말단에 장착되어 노벽 손상부에 부정형 내화물을 분사하는 노즐(30)과, 그분사노즐(30)에 고로 외부로 부터 상기 내화물을 공급하는 장치(35), (3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고로 노벽의 열간 보수장치.
KR2019840012780U 1979-10-08 1984-12-06 고로노벽의 열간 보수장치 KR8600013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2780U KR860001371Y1 (ko) 1979-10-08 1984-12-06 고로노벽의 열간 보수장치
KR2019850000126U KR860000709Y1 (ko) 1984-12-06 1985-01-09 고로노벽의 열간 보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3442A KR830001381A (ko) 1979-10-08 1979-10-08 고로(高爐)노벽의 열간 보수장치
KR2019840012780U KR860001371Y1 (ko) 1979-10-08 1984-12-06 고로노벽의 열간 보수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3442A Division KR830001381A (ko) 1979-10-08 1979-10-08 고로(高爐)노벽의 열간 보수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0126U Division KR860000709Y1 (ko) 1984-12-06 1985-01-09 고로노벽의 열간 보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1371Y1 true KR860001371Y1 (ko) 1986-07-09

Family

ID=26626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12780U KR860001371Y1 (ko) 1979-10-08 1984-12-06 고로노벽의 열간 보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137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1799A (ko) * 2014-02-27 2015-09-04 현대제철 주식회사 고로 내부 장입물 분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1799A (ko) * 2014-02-27 2015-09-04 현대제철 주식회사 고로 내부 장입물 분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53646A (en) Hot blast-furnace-lining repairing apparatus
US4690327A (en) Hot gunning robot for furnace lining
US5601051A (en) Apparatus for repairing the refractory lining of a refractory vessel
US4185158A (en) Apparatus for electric furnace capable of effecting electrode connection and refractory lining repairs independently of each other
KR860001371Y1 (ko) 고로노벽의 열간 보수장치
KR860000709Y1 (ko) 고로노벽의 열간 보수장치
CN105806051A (zh) 一种真空干燥炉
CN107116671B (zh) 一种马桶储水箱用自动喷釉设备
US3853204A (en) Apparatus for and methods of lining a furnace
KR200223042Y1 (ko) 래들필러 자동투입장치
KR960016781B1 (ko) 케이블 행거장치
KR102469935B1 (ko) 스프레이건 장치 및 래들 라이닝 내화재료 분사장치
JP4307675B2 (ja) ガス捕集マンテルの内面耐火物補修方法
JP2941735B2 (ja) 転炉用地金除去装置
JPH0618226Y2 (ja) 炉内壁吹付け補修装置
JPS6356473B2 (ko)
JPS6333945Y2 (ko)
KR960016780B1 (ko) 케이블 행거장치
JPS5943524B2 (ja) 高炉炉壁熱間補修装置
JPS6029585A (ja) 耐火物の熱間吹付け補修装置
SU115433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торкретировани футеровки конвертера
JPH04359706A (ja) 煙突保全用のロボット
KR101774947B1 (ko) 고로노벽 보수장치
JPS584272B2 (ja) 耐火ライニングの吹付補修装置
KR19980015036U (ko) 자동필러 투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8906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