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138Y1 - 여 과 기 - Google Patents

여 과 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138Y1
KR860001138Y1 KR2019850013134U KR850013134U KR860001138Y1 KR 860001138 Y1 KR860001138 Y1 KR 860001138Y1 KR 2019850013134 U KR2019850013134 U KR 2019850013134U KR 850013134 U KR850013134 U KR 850013134U KR 860001138 Y1 KR860001138 Y1 KR 8600011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piece
support plate
cutou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31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죠오지 가따오까
Original Assignee
가따오까 붓산 가부시끼가이샤
죠오지 가따오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5185091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3041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175181U external-priority patent/JPS5925297Y2/ja
Priority claimed from JP4028681U external-priority patent/JPS607615Y2/ja
Application filed by 가따오까 붓산 가부시끼가이샤, 죠오지 가따오까 filed Critical 가따오까 붓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20198500131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11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1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1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3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suspended from the top of the beverage container so as to remain in contact with the prepared infus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2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securing the filter holder to the beverag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여 과 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여과기를 사용하여 코오피 포장체로한 접은 상태의 일부 절결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Ⅱ선 단면도.
제3도의 절반을 접은 상태를 도시하는 본 고안의 여과기의 사시도.
제4도는 전개상태의 본 고안의 여과기의 사시도.
제5도는 여과기의 분해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여과기에 사용하는 여지대(filter paper)의 전개도.
제7도 내지 제9도는 본 고안의 여과기의 사용상태의 설명도.
제10도 내지 제12도는 본 고안의 여과기의 각각 별도의 실시예의 평면도.
제13도는 본 고안의 여과기의 다른 또 하나의 실시예의 평면도.
제14도는 제13도의 여과기의 사용 상태의 설명도.
제15도 및 제16도는 여지대에 코오피 분말을 봉입하는 한 방법을 도시하는 여과기의 설명도로서,
제15도는 여과기의 사시도.
제16도는 제15도의 XVI-XVI선의 단면도.
제17도는 여지대의 한봉지(封止)방법을 도시하는 여과기의 사시도.
제18도 내지 제23도는 여과기, 특히 그 여지대의 별도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제18도는 평면도.
제19도는 정면도.
제20도는 제18도의 XX-XX선 단면도.
제21도는 여지대의 전개도.
제22도 및 제23도는 여과기의 사용상태의 설명도로서,
제22도는 사시도.
제23도는 제22도의 XXIII-XXIII선의 단면도.
제24도 내지 제27도는 본 고안의 여과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제24도는 절반으로 접은 여과기의 평면도.
제25도는 제24도의 XXV-XXV선의 단면도.
제26도는 여과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27도는 제26도의 XXVII-XXVII선의 단면도.
제28, 제29도 및 제30도는 각각 제4도의 실시예와는 다른 절결부를 도시한 실시예의 지지판 단편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포장대 2 : 여과기
3 : 코오피분말 4 : 지지판
5 : 여지대 6 : 절단부
7 : 개구부 6a : 절잔부(切殘部)
8 : 뚜껑부 9 : 절곡선
10 : 지지각편 11 : 길이방향중심선
12 : 절결부 12a : 세로절결부
12b : 가로절결부 13 : 횡단선
14 : 횡단선 15 : 측단부
16 : 첩착편 15a : 첩착편의 가장자리
17 : 컵 18 : 내측협지편
19 : 외측협지편 21 : 절결부
20 : 가로방향중심선 22 : 외측협지편
23 : 내측협지편 24 : 양단부
25 : 돌출부 26 : 절결부의단부
27 : 절결부 28 : 소돌출편
29 : 소돌출편 36 : 절곡선
38 : 내측협지편 41 : 개구단부
42 : 뚜껑부재 44, 45 : 부착편
43 : 손잡이 102 : 지지각편
103 : 주탕구 104 : 여지대
101 : 지지판 105 : 계지부
106 : 용기 107 : 절결부
108 : 내측협지편 109 : 외측협지편
110a, 110b : 측벽부 111a, 111b : 취부편
112 : 당편 113 : 중앙선
114 : 단부 116 : 양단벽부
202, 202 : 중앙부경사부 204 : 코오피분말
203 : 여지대 205 : 접속편
211, 212 : 절곡선
본 고안은 코오피등 피추출물의 여과기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을 하지 않을 때는 접어서 간수하고, 사용시에는 취급이 간편하고 값이 싼 코오피등의 여과기에 관한 것이다.
코오피를 만드는 방법은 여러가지 있으나 취급이 간편한 방법으로는 드립(drip)식이 알려져 있다.
이 방법에 있어서는 통상, 천이나 플라스틱, 도자기등의 드리퍼(dirpper)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사용후의 세정이나 보관등이 번잡하기 때문에 값이싸고 취급이 간단한 종이제품 또는 합성수지 필름제의 여과기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여과기의 한예로서 실공소 52-2703호가 알려져 있다.
이 여과기는 중앙에 주탕공을 천설한 지지판의 양측부에 주름을 개재하여 절곡 지지편을 형상하고, 이 절곡 지지편의 단부에 돌출편을 연설하고, 다시 상기 주탕공의 가장자리 이면에 여과지로된 대체(袋體)의 외주단부를 첩착해서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절곡 지지편을 주름을 기점으로 절곡하고, 단부의 돌출편을 컵등의 용기의 가장자리에 놓아서 기립상태로 설치하도록한 것이다.
그리고, 사용할때는 상기 대체에 코오피 분말을 투입하고, 주탕공으로 부터 더운물을 주입하므로써 여과액, 즉 코오피액을 직접 용기에 받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의 여과기는 용기에 대하여 돌출편을 놓은 상태만으로 설치되는 것이므로, 용기에 대한 결합관계가 약하고, 단순히 얹혀있는 것에 불과하므로 극히 불안정하고, 더운물을 주입할때 더운물의 중량으로 전도되거나, 용기의 가장자리로부터 지지편이 이탈되는 위험이 있었다. 또 용기의 가장자리에 기립할때, 지지편을 절곡하여 기립시키기 때문에, 상시 이 지지편이 평평하게 복귀하기 위하여 외방으로 열리고저 작용하기 때문에 돌출편의 개입만으로는 지탱할수 없고, 따라서 주의하면서 기립시켜야할 번잡함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특히 컵등의 용기에 대한 계합의 안정성을 높혀서 기립상태의 확보를 확립하는 동시에 기립작업을 쉽게하여 간편하게 사용할수 있는 여과기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여과기는 주탕구를 설치하는 중앙부와 이 중앙부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접속하는 한쌍의 지지각부로 구성되는 지지판과, 지지판의 주탕구를 가리는 여지대로 구성되는 여과기에 있어서 지지각부에 각각 지지판의 길이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되는 절결부를 형성하고 복수의 계지편을 형성하므로써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계지편은 지지각편의 각단부에 연결되는 한쌍의 절결부를 형성하여 양 절결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내측협지편과 상기 양절결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한쌍의 외측 협지편의 형식을 취할수 있다. 또 지지각편의 각 단부에서 간격을 두고 U자형의 절결부를 형성하여 U자형의 내측에 형성되는 혀모양의 내측협지편과 U자형의 외측에 형성되는 벨트모양의 외측협지편으로 해도 된다. 이들 내측 및 외측의 협지편은 컵등의 용기에 장치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안정된 기립상태를 얻을수 있고, 사용에 있어서 더운물을 주입해도 전도하거나 이탈되는 염려는 없다. 다소 위에서 눌러도 용기속으로 들어가는 일도 없다.
주탕구는 지지판 중앙부에 미리 개구해놓으면 되지만, 여지대의 개구를 닫지 않고 코오피분말을 수용하고 여과기를 포장대에 밀봉할 경우에는 주탕구는 지지판에 개구를 완전히 설치하지 않고 주탕구의 입구 가장자리에 절취선을 형성하여 중앙부에 쉽게 절취가능한 뚜껑을 형성해도 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과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 명백해질 것이다.
제1도 내지 제5도에서는 본고안의 여과기를 코오피등의 포장체에서 코오피분말을 수용하는 역할도 겸하는 실시예로서 도시했다.
(1)은 포장대, (2)는 이 포장대에 코오피분말(3)과 함께 봉입한 본 고안의 여과기를 도시한다.
본 고안의 여과기(2)는 두꺼운 종이 또는 합성수지제의 시이트등소요의 강성을 지닌 시이트를 대략 직사각형으로 오려내서 형성한 기판 내지는 지지판(4)과, 이 지지판의 배면에 첩착해서 일체로 형성되는 비스코우스등의 여과대(5)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판(4)은 그 중앙부에 대략 원에 가까운 형의 연속되지 않는 절단선(6)을 형성하여 주탕구인 개구부(7)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 부분에 지지판과 절잔부(切殘部)(6a)를 개재하여 접속되는 뚜껑부(8)를 일체로 형성하여, 또 뚜껑부(8)를 사이에 두고 좌우에 복수개의 절곡선(9)을 형성하여 이 절곡선으로 지지판(4)의 양측연부를 가르고 여기에 대칭을 이루는 한쌍의 지지각편(10)을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주탕구는 이미 개구해도 되고, 또 그 형상은 정사각형이라도 좋고, 다각형도 좋다. 정삼각형등은 더운물 주입에 있어서 좋지 않다.
도면중, (11)은 상기 뚜껑부(8) 및 한쌍의 지지각편(10)을 설치한 지지판(4)을 둘로 접을때의 기선(基線)이 되는 길이방향 중심선으로서, (12)는 양 지지각편(10)의 각단부에 상기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한 절결부이고, 이 절결부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여과기를 컵등의 용기위에 설치할 때 사용된다.
이 절결부(12)는 단부에서 시작되는 세트절결부(12a)와 이 세로 절결부에서 계속하여 이것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의 단부와 평행으로 연장하는 절결부(12b)를 갖는다. 도시와 같이 세로 절결부(12a)는 가로절결부(12b)의 중앙에 접속해서 T자형의 절결부(12)가 형성된다. 이 절결부(12)는 이것을 L자형(제28도 참조), 키이 호울형(제 29도 참조), 또는 사다리꼴형(제30도 참조)등 단부에 접속하는 부분의 폭이 작고 내단부가 넓어지는 형상이면 같은 작용을 한다.
한편 상기 여지대(5)는 수용하는 코오피 분말을 여과하는 것이나, 이 실시예에서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여지(濾紙)를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하여 그 중앙의 횡단선(13)에서 이 여지를 둘로접어, 다시 이 횡단선(13)과 상하의 단부의 대략 중간에 위치하는 횡단선(14)사이의 양측단부(15)를 접착하고, 이것에 의하여 상기 양횡단선 (14)을 개구단부로하는 평평한 대(袋)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횡단선(14), 즉 대의 개구단부에서 여지의 상하의 단부에 이르는 부분을 접착편(16)으로 하여 이 첩착편을 상기 지지판(4)의 배면에 대고, 양 접착편의 가장자리(15a)를 지지판(4)에 접합하고, 보통의 상태에 있어서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개구단부를 병행상으로 정돈시켜서 개구를 폐쇄한 상태로 지지판(4)의 하면에 장치한다. 그리고 보통상태에 있어서 여지의 개구부의 지지판길이 방향의 폭을 상기 지지판(4)에 형성하는 절곡선(9)의 간격보다 길게 형성하고, 또 이 개구부로부터 연설(延設)되는 첩착편(16)의 단부간의 폭을 지지판(4)에 형성하는 뚜껑부(8)의 구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지지판(4)의 배면에 첩착할때, 상기 병행상으로 정돈된 개구단부, 즉 횡단선(14)을 지지판의 길이 방향 중심선(11)에 일치시키고, 여지대의 개구부를 지지판 길이 방향 중심선에 따라 뚜껑부(8)의 아래에 오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첩착편(16)의 단부를 뚜껑부(8)의 주위를 싸는 지지판(4)의 배면에 첩착시켜서 대의 개구를 이 뚜껑부(8)와 지지판(4)로서 막도록 구성한다.
또, 본 실시예와 같이 코오피등의 포장체에 본발명의 여과기를 사용하는 경우, 이 지지판(4)에 대한 여지대(5)의 접착에 앞서서 여지대(5)에는 미리 소정량의 상기 코오피 분말(3)을 수용하고, 상기 여지대의 접착에 의한 대의 폐색으로 이 코오피 분말을 내부에 봉합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여과기는 코오피분말(3)을 여지대(5)에 수용한 상태로 포장대(1)에 봉합하도록 하는 것이나, 이 실시예에서는 여과기를 지지판(4)의 길이방향 중심선(11)에서 둘로 절곡하여 코오피 분말(3)을 수용한 여지대(5)를 둘로 접은 지지판(4)의 사이에 삽입하여 포장대(1)에 봉함한다.
그와같이한다음, 포장대내의 공기를 탈기시켜서 진공으로 하거나, 또는 탈기후 불활성 가스를 충전해서 기밀 밀봉한다.
이상 본 고안의 코오피 분말을 수용하는 여과기를 코오피등의 포장체에 봉합해서 사용할 경우를 설명했으나, 이 여과기는 사용시에 여과지에 적정량의 코오피 분말을 수용해서 사용할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7-9도는 본 고안에 의한 상기 구성의 여과기의 사용의 실제를 도시하는 일예로서, 우선 포장대(1)를 개봉하여 여과기(2)를 꺼낸후, 그 지지판(4)을 제4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평평하게 전개하여, 다음에 절잔부(6a)에서 접속된 뚜껑부(8)를 손가락으로 절단하여 코오피분말(3)이 수용된 여지대(5)의 개구부(14)를 개방한다. 그 다음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지지판(4)에 형성되는 절곡선(9)에 따라서 양쪽의 지지각편(10)을 대략 직각모양으로 절곡하여 이 지지각편에 형성한 절결부(12)를 사용하여 컵(17)의 가장자리에 기립시키고, 다음에 더운물을 주입하면 된다.
그러나, 상기 제7-제9도는 코오피컵(17)의 구경(口徑)의 차이에 대응시켜서 지지판(4)에 형성하는 절곡선(9)을 선택하여, 대소로 차이지는 구경의 컵에 사용가능한 예를 도시한 설명도이고, 제7도는 소구경의 컵에 대응해서 가장 내측의 절곡선(9a)을 따라 절곡한 경우이고, 제8도는 비교적 대구경의 컵에 대응해서 외측의 절곡선(9c)을 따라서 절곡 지지각편(10)을 기립시킨 경우이고, 또 컵의 구경이 어느 절곡선에도 맞지 아니하는 경우에도 제9도의 도시와 같이 절곡선(9a)에서 절곡하여 다시 중간의 절곡선(9b)과 외측의 절곡선(9c)을 약간씩 절곡해서 지지각편(10) 을 호(弧)상곡면으로 하여 장치할수가 있다. 특히 제9도의 장치 방법은 컵의 가장자리가 밖으로 넓어진 형의 컵에 대해서 유효하고, 이와같이 기립시킨 지지각편(10)은 그 단부에 형성하는 절결부 (12)를 이용해서 내측협지편(18)을 컵의 가장자리의 내측에 삽입하고, 외측협지편(1 9)을 컵의 밖으로 내서 양측에서 협지하므로써 컵의 가장자리에 확실히 고정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용기의 가장자리가 바깥쪽으로 확장된 경우에도 이가장자리가 절결부(12)를 돌려서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그 밑에 외측 협지편(19)의 내측 협지편( 18)과 대향해서 협지하기 때문에 한층더 안정된 결합상태가 얻어진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절곡선(9)을 호상의 곡선으로 형성하므로써 지지각편 (10)을 기립시키면 지지편(4)는 자동적으로 만곡되고, 확고한 기립을 이루는 동시에 지지편(4)의 중앙부가 휘어져서 여지대(5)의 양단이 지지각편의 배면에 걸쳐서 첩착이 되어 있으므로, 지지각편을 절곡해서 기립시키면, 이 양단이 서로 닿기 때문에 폐색 경향을 이루는 여지대(5)의 개구부는 자동적으로 개방되어 더운물 주입에 편리해진다. 또 이 절곡선은 길이 방향중심선(11)에 직교하는 평행선이라도 좋고, 또 원호 대신에 다각형의 형상을 선택할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여과기는 간단한게 조립해서 컵위에 자립 설치할수 있고, 코오피액의 추출은 단순한 더운물만으로 자동적으로 컵에 받을 수 있으므로 그 취급은 극히 간편하다. 그리고, 이 경우에 여과기는 컵위에 기립하여 지지각편의 사이에서 여지대와 컵의 안을 볼 수 있으므로 코오피의 추출 상태를 지켜볼 수 있어서, 편리하다.
제10도 내지 제12도는 본 고안의 여과기의 지지각편의 단부의 협지부분의 별도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제10도에서는 지지각편(10)의 단부의 근방에서 간격을 두고 지지판의 길이방향 중심선(11)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거의 U자형의 가로 절결부 내지 절결부(21)를 형성하고, 이 절결부(21)에 의하여 U자형의 내측에 혀 모양의 내측 협지편(23)이 절기(切起)되고, U자형의 외측에는 띠 모양의 외측 협지편(22)이 형성된다. 절결부(21)는 지지판(4)의 횡방향중심선(20)에 대해서도 대칭형으로 형성된다. 여과기를 용기에 장치할 때는 외측 협지편(22)을 용기의 가장자리의 외측에 당접시켜서 내측 협지편(23)을 내부쪽으로 돌출시키는 조작에 의해 절결부(21)의 양단부 (24)가 내측 협지편을 쉽게 용기의 가장자리에 당접시켜서 확실하게 한손으로 결합이 가능하다.
제4도의 실시예와 같이, 용기의 가장자리가 외측으로 확대되는 경우에도 외측 협지편(22)이 아래쪽으로 들어가서 내측 협지편(23)과 협동해서 확실한 협지를 달성한다.
제11도의 실시예는 제10도의 실시예의 변형으로 주탕구(7)은 미리 설치한 것을 도시한다. 또, 지지각편(10)의 단부의 가까이에 지지판의 길이 항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U자형의 절결로 형성되는 내측 협지편(23)의 중앙을 다시 절결한 형상의 절결부(21)에 의하여 지지각면 단부에는 띠모양의 계지편 내지는 외측 협지편(22)이 형성되고, 내측의 협지편(23)에는 외측 협지편(22)에 대향해서 절결부의 단부(26)에서 돌출하는 한쌍의 돌출부(25)가 형성된다. 내측 협지편(23)에 형성된 한쌍의 돌출부(25)는 지지판(4)의 길이방향 중심선(11)을 사이에 두고 대칭적으로 설치된다.
이것에 의하여 용기의 내측면에 대하여 2개의 돌출부(25)로 접촉 지지하고, 외주면에 대해서는 그 곡면에 따라 대상으로 형성한 외측 협지편(22)이 감겨붙도록 접촉시켜 내의 3개 지점에서 긴밀히 협지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용기에 대하여 더욱 안정된 유지상태 내지는 기립 상태를 얻을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한 접촉은 용기의 구경의 변화에 영향을 받는 일없이 언제나 안정된 기립 상태를 얻을 수 있다.
제12도의 실시예는 제11도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지지각편 단부 협지부분의 개선된 변경예이고, 내측 협지편(23)의 기단부에 한쪽 방향으로 부터 절결부(27)를 형성하고, 이 내측 협지편의 돌출부(25)의 일부를 잘라내어서 탄성을 가지는 소돌출편(28)을 형성한다. 이 절결부(27)가 내측 협지편(23)의 돌출부(25)를 휘기 쉽게하여 구경이 작은 용기에도 합치되도록 한다.
또 제12도에는 내측 협지편(23)에 대향해서 외측 협지편(22)의 측연부에 소돌출편(29)을 돌출하여 설치하고 있으나, 이것에 의하여 내측, 외측의 협지편으로 4개의 기점에서의 지지가 이루워지고 또한 협지력을 높인다. 이 소돌출편(29)는 제10도 및 제11도의 경우에도 형성할 수 있다.
제13도 및 제14도에 있어서 (36)은 지지각편(10)의 각각의 단부(22a)에 병행하여 설치한 절곡선으로, (37)은 이 절곡선(36)의 양단에 접속하도록 대략 V자형의 저변이 지지각편의 단부에서 떨어지는 쪽으로 오도록 오려낸 절결부이고, (38)은 이 절결부(37)에 의하여 절기된 혀모양의 내측 협지편이다.
내측 협지편(38)은 단부(22a)와 절곡선(36)의 간격보다 길이를 길게하여 절곡선(36)을 기선에단부(22a) 방향으로 절곡했을때, 그 자유단부가 단부(22a)를 넘어서 돌출하도록 한다.
상기 내측 협지편(38)은 절곡선(36)을 기선으로 바깥방향을 향해서 180℃되접어져서 동일하게 복원력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컵의 내측에 대하여 압착하게 되어 안정된 지지를 이루는 동시에, 또 이 내측 협지편(38)을 되접으므로써 지지각편(10)에는 창(窓)이 설치되기 때문에 코오피액을 추출할때, 컵내의 액이 고이는 모양을 더 자세히 볼수 있다.
제15도 및 제16도에 의하면, 여지대(5)는 대본체의 개구단부(41)에서 2개의 접착편(16)을 연설하고, 이 접착편을 지지판의 배면에 접면시켜 그 가장자리(15a)를 접착 제등으로 접착하므로써 부착한다. 그리고 상기 개구단부(41)는 내주면 끼리를 접면시켜서 접착제 또는 여지상호의 압착, 히이트시일등의 방법으로 박리 가능으로 접합하여 개구를 봉합하고, 대의 내부에 소정량의 코오피 분말등의 피추출물(3)을 봉합하도록 한다.
제1도 내지 제9도의 실시예에서는 주탕구는 뚜껑(8)로 폐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뚜껑(8)을 제거한 개구를 가지는 지지판(4)에 대해서는 개구단부(41)의 접착이 필요하다. 뚜껑(8)을 제거한 지지판(4)을 가지고도 여과기 그 자체로서 사용하여, 사용시에 코오피 분말을 넣을 경우에는 여지대의 개구단부(41)의 봉지가 필요없는 것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포장대 내부를 진공으로 포장할 경우에는 여지대의 개구가 봉합되어 있으므로 내용물이 진공흡인되는 일이 없고 여지를 통해서 대내부의 공기만이 흡출되므로 이와같은 포장방식을 취할 경우, 더욱 본 고안의 여과기는 유리하다.
또한 여지대의 개구부의 접착은 손가락끝으로 간단히 박리할수가 없고, 박리할때 여지가 파손되지 않는 정도의 약한 접착상태가 좋다.
또한, 여지대(5)의 개구부를 막는 뚜껑부재(42)에 대해서는 제1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대편상으로 형성해서 주탕구(7)에 위치하게 되는 대부의 개구단부(41)에 따라 그 부착편(44), (45)의 상면에 박리가능으로 접착하여 봉지해도 좋고, 또 이 대편상의 뚜껑부재의 일단을 주탕구(7)에서 돌출시켜서 손잡이(43)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특히 뚜껑부재의 단부에 손잡이(43)를 형성한 경우에는 박리 동작이 쉬워지기 때문에 더욱 사용에 편리하다.
제18도 내지 제23도에 도시하는 실시예에 있어서는 지지판의 구조는 제10도의 실시예와 동일하고(102), (102)는 지지판(10)중앙부의 양측단부에 접속한 지지각편이고, (103)은 지지판의 중앙부에 설치한 주탕구, (104)는 이 주탕구에 개구부를 오게하고 지지판의 하부면에 첩착한 여지대이다.
상기 지지 각편(102)은 지지판(101)을 형성할때, 뚜꺼운 종이를 가로로 길게 직사각형으로 오려내어서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또 이것을 오려내는데 맞추어서 각 각단부에 계지부(105)를 설치하도록 한다. 이 계지부(105), (105)는 본 고안 여과기를 후술하는 용기(106)에 설치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여기에서는 각 지지각편의 단부에 대략 U자형의 절결부(107)를 형성하고 이 절결부에 의하여 혀모양의 내측 협지편( 108)과 각단부의 절잔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띠모양의 외측협지편(109)으로 구성하고 있다.
한편, 본실시예에 있어서의 여지대(104)는 서로 대향하는 측벽부(110a), (110b)와 이 측벽부로부터 연설되는 취부편(111a),(111b)와 측벽부 상호를 접속하는 당편(片)(11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당편(112)의 중앙선(113)을 중심으로 이 당펴을 철상(凸狀)으로 접고, 다음에 그 양단부(114)를 요상(凹狀)으로 접어서 2중첩하여 당편을 사이에 접촉시켜서 또 이 전후편의 한 측단부(115)를 철상으로 접어서 취부편(111a), (111b)을 바깥쪽으로 절곡한 다음에, 상기 접촉시킨 측벽부(110a), (110b )의 양단 벽부(116)를 여기에 중접하는 당편(112)의 단부와 함께 일체로 접합하여 당편(112)를 저부로하는 평평한 대로 형성하도록한다. 또, 이 대의 형성에 의하여 당편(1 12)의 단부(114)는 측벽부(110a), (110b)의 하단부가 되고, 한편 측벽부의 상단부(1 15)는 개구단부가 되고, 이것에 의하여 취부편(111a),(111b)이 연설되게 된다.
이와같이 형성된 여지대는 도시와 같이 상기 측벽부(110a), (110b)의 정돈된 상단부(115)를 지지판(101)의 중심선에 정돈하여, 그 각 단부에서 연설된 취부편(111a)(111b)을 지지판(101) 및 지지각편(102), (102)의 하면에 접촉형태로 덧대고, 그주단부(117)를 접착하므로써 지지판에 부착된다.
본 고안의 여과기는 사용을 안할 때는 여지대(104)의 측벽부(110a), (110b)는 접촉으로하고, 이 사이에 당편(112)를 접어 넣어서 평평한 상태를 이루는 동시에 어느 부착편측의 한쪽으로 접으므로써 기판의 하면에 접촉되어 여과기전체를 평평하게 할수가 있다.
그리고, 이 여과기는 전후의 구성으로 지지판(101)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설치한 양지지각편(102)을 하면측으로 휘어서 굴곡시키면 여지대의 측벽부(110a), (110b)의 상단부(115)가 늘어나기 때문에 자동적으로 개구하고 아울러 이 전후의 편이 양단벽구(116), (116)가 서로 근접하기 때문에 대의 내부가 부풀어 확장하게 된다.
다음, 이상태에 있어서 상기 양지각편(102)의 각단을 용기(106)의 상방으로부터의 개구단부에 오도록하고, 이 각단에 형성하는 외측 협지편(109)을 개구단부의 외측에, 내측 협지편(108)을 그 내측에 삽입하면, 이 양편이 개구단부를 협지하기 때문에 제22도의 도시와 같이 이 지지각편의 지지에 의하여 여과기는 용기위에 확고하게 고정된다.
이와같이하여 용기위에 여과기를 고정한 다음 상기 여지대에 코오피 분말을 투입하고 더운물을 넣으면 제23도의 도시와 같이 그 중량으로 접어진 당편(112)이 측벽부(110a), (110b)의 하단부로부터 팽출하기 때문에 평평했던 여지대가 공기(木宛)모양으로 변형된다.
이상과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여과기는 전체를 평평하게 접을수 있는 한편, 사용시에는 평평하게 접은 여지대가 개구하여, 다시 코오피 분말의 투입에 의하여 그 저부가 공기 모양으로 팽출하여 거꾸로선 원추 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더운물을 주입하므로서 여과 추출되는 코오피액은 중앙의 일점에 집중하여 적하하게 된다. 따라서 작은 용기에 사용했을 경우에 있어서 코오피액이 측방으로 흘러나가는 일은 없는 동시에 당편의 확산에 의해서 여과면적이 확장해서 효율적인 여과가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당편(112)을 접어넣은 폭은 자유이나 그 양단부는 측벽부의 양측단부(116)에 접합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측벽부(110a), (110b)는 접은 상태에 있어서 지지판(101) 및 양 지지각편(102), (102)의 하면으로부터 하단부가 돌출되지 않는 것이 좋다.
제24도 내지 제27도의 실시예를 설명하면(201), (202)는 산형(山形)의 지지판(200)중앙부 경사부이고, (203)은 코오피 분말(204)을 수용하기 위한 여지대이다.
상기의 쌍을 이루는 중앙부 경사부(201), (202)는 직사각형의 동일형상으로 형상하여 그 상단부(201')(202')상호를 접속편(205)을 개재하여 일체로 연설하고, 이 접속부를 각각 절곡을 자유롭게 하여 대략 단면도 V자형으로 하도록 조립되어 있다. 그리고 이 중앙부(201), (202)는 절곡선(211), (212)을 개재하여 지지각편(214)에 접속되고, 이 지지각편(214)에는 각단부 가까이의 동일위치에 U자형의 절결부(206)를 형성하고, 이 절결부의 형상에 의해 혀 모양의 내측 협지편(207)과 띠 모양의 외측 협지편(208)을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한쪽의 경사부(201)에 직사각형의 주탕구(209)를 설치하여 그 배면에 상기 여지대(203)를 취부하도록 되어있다.
여지대(203)는 개구단부를 상기 주탕구(209)의 개구부를 따라서 이것을 싸는듯이 첩착해서 대의 저부가 밑으로 처지도록 취부하고, 둘로 접은 지지판(200)사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대의 측면과 이것에 대면하는 한쪽의 중앙부 경사부(202)의 배면을 부분적으로 접착하여 양 경사부에서 매달리도록 구성한다.
또, 도면중(211), (212)는 중앙부와 지지각편(214)의 경계에 형성한 절곡선이다.
본 고안 여과기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것으로서, 휴대시등 사용을 안할때는 지지판을 둘로접어서 이 사이에 여지대(203)를 수용하여 평평한 상태로 하여 취급하고 사용시에는 지지판을 얻어 그 지지각편(214)을 코오피컵(213)등의 용기의 개구단부상에 설치 고정하므로써 사용된다.
제26도 및 제27도는 본 여과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우선 평평하게 접은 지지판(200)을 열면, 그 사이에 수용된 여지대(203)가 접착점(210)의 인장에 의하여 내부가 자동적으로 팽창하게 된다.
이 상태로 용기(213)의 상부로부터 먼저 양지지각편(214)에 형성하는 외측 협지편(208)을 용기의 가장자리의 외측에 당접시키고, 다음에 혀 모양의 내측 협지편(2 07)을 가장자리의 내측에 넣고, 이 내의 양협지편으로 용기의 가장자리를 중간에 끼워서 용기에 대한 고정을 한다. 그 다음에 주탕구(209)에서 소정량의 코오피분말(204)을 투입하고, 이것에 더운물을 주입하여 여과하여 코오피액을 직접 용기에 받는다. 또 지지각편의 개각(開脚)은 용기의 크기에 따라서 임의로 결정되지만 또 각단에 형성한 내의 협지편(207), (208)이 가장자리의 기립방향에 따라 가급적 똑바로 되도록 절곡선(21 1), (212)을 이용하여 양중앙부 경사부(201), (202) 및 지지각편(214)로 구성되는 지지판(200)을 중간이 접히도록 절곡하면 용기에 대한 고정이 안정된다.
이상과 같이 이러한 여과기의 실시예는 불사용시에는 평평하게 접을수 있으므로 휴대할때나 또는 보관에 있어서 취급이 간편하고 동시에 사용에 있어서는 지지판을 용기의 크기에 맞추어서 개각하고, 다음에 각 지지각부(214)에 구비되는 내외의 협지편( 207), (208)으로 용기의 가장자리를 협지하면 용기위에 자립하므로 쉽게 고정할 수 있다.

Claims (5)

  1. 주탕구를 형성하는 중앙부와 중앙부의 양측과 일체화 되어있고 지지판의 양말단부에 자유단이 있는 한쌍의 지지각편을 가지고 있는 납작하고 손으로 구부릴 수 있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지지판상의 시이트와, 중앙부의 주탕구를 가지는 여지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지지각편은 적어도 하나의 대략 U자형인 절결부를 그 안에 형성하며, 상기 절결부는 각 지지각편의 자유단에 평행하게 뻗쳐 있는 바닥부와 각각 상기 중앙부쪽으로 대략 뻗쳐 있는 한쌍의 날개부를 갖고 있고, U자형 절결부의 상기 한쌍의 날개부의 바닥부는 혀 모양의 내측 협지부재를 형성하고, U자형상 절결부의 상기 바닥부는 각 지지 각편의 상기 자유단과 협동하여 측부와 측부가 연속되는 단일의 외측 협지부재를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등을 위한 여과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외측 협지부재는 그 안에 한쌍의 돌출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혀모양의 내측 협지부재는 그 안에 한쌍의 돌출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
  4. 제3항에 있어서 각 돌출부는 그의 외측 기단부에 뻗쳐 있는 절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는 횡방향으로 뻗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
KR2019850013134U 1980-12-27 1985-10-10 여 과 기 KR8600011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3134U KR860001138Y1 (ko) 1980-12-27 1985-10-10 여 과 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5-18501 1980-12-27
JP55185091A JPS5930411B2 (ja) 1980-12-27 1980-12-27 コ−ヒ−の包装体
JP???56-031751 1981-03-07
JP3175181U JPS5925297Y2 (ja) 1981-03-07 1981-03-07 濾過器
JP4028681U JPS607615Y2 (ja) 1981-03-24 1981-03-24 濾過器
JP56-040286 1981-03-24
JP56-053789 1981-04-16
JP56-109766 1981-07-25
JP56-118711 1981-08-12
JP56-118712 1981-08-12
JP56-1119955 1981-08-14
JP56-130371 1981-09-03
KR1019810005140 1981-12-26
KR2019850013134U KR860001138Y1 (ko) 1980-12-27 1985-10-10 여 과 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5140 Division 1980-12-27 1981-12-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1138Y1 true KR860001138Y1 (ko) 1986-06-14

Family

ID=27521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3134U KR860001138Y1 (ko) 1980-12-27 1985-10-10 여 과 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113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60475A (en) Filter assembly with supporting edges
US3895118A (en) Infusion bag
KR860001138Y1 (ko) 여 과 기
US3047397A (en) Compressible infusion package
GB2229991A (en) Infusion packages
KR101699403B1 (ko) 물티슈 포장용기용 접착 커버
JPH10165309A (ja) コーヒー,茶等の濾過器
KR860002392Y1 (ko) 여과기가 포함된 코오피의 포장체
JP3841159B2 (ja) ドリップ式簡易濾過器
JPS607623Y2 (ja) コ−ヒ−の濾過器
JPS5925297Y2 (ja) 濾過器
JP3998852B2 (ja) ドリッパー
KR101821283B1 (ko) 드립 백 임시 보관 겸용 포장 상자
JPH0321701Y2 (ko)
JP4061177B2 (ja) ドリッパー
KR100255123B1 (ko) 커피 패키지
JP2000325236A (ja) 紙製フィルター保持器
JPS607622Y2 (ja) コ−ヒ−の濾過器
JPS5828975Y2 (ja) 流動物充填袋付き保持器
JPH0331238Y2 (ko)
JPS607615Y2 (ja) 濾過器
JPS607621Y2 (ja) コ−ヒ−の濾過器
WO2014192110A1 (ja) 包装体の収納容器
JP3008913U (ja) 簡易花瓶
JPH11178719A (ja) コーヒー抽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510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