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976B1 - 왕복 펌프 - Google Patents

왕복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0976B1
KR860000976B1 KR8201758A KR820001758A KR860000976B1 KR 860000976 B1 KR860000976 B1 KR 860000976B1 KR 8201758 A KR8201758 A KR 8201758A KR 820001758 A KR820001758 A KR 820001758A KR 860000976 B1 KR860000976 B1 KR 860000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iprocating pump
pump
cartridge
valv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1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10301A (ko
Inventor
에스 크레들 2세 윌리엄
Original Assignee
로버트 에이 켈러
더 코카-콜라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버트 에이 켈러, 더 코카-콜라 캄파니 filed Critical 로버트 에이 켈러
Publication of KR830010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10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0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0Pump mechanism
    • B67D1/101Pump mechanism of the piston-cylinder type
    • B67D1/102Pump mechanism of the piston-cylinder type for one liquid component only
    • B67D1/103Pump mechanism of the piston-cylinder type for one liquid component only the piston being driven by a liquid or a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3/00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 F04B43/02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plate-like flexible members, e.g. diaphragms
    • F04B43/06Pumps having fluid dri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23/00Valves controlled by impact by piston, e.g. in free-piston mach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4Measures to avoid lubricant contaminating the pumped fluid
    • F04B39/041Measures to avoid lubricant contaminating the pumped fluid sealing for a reciprocating rod
    • F04B39/044Measures to avoid lubricant contaminating the pumped fluid sealing for a reciprocating rod sealing with a rolling diaphragm between piston and cylin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3/00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 F04B43/02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plate-like flexible members, e.g. diaphragms
    • F04B43/06Pumps having fluid drive
    • F04B43/073Pumps having fluid drive the actuating fluid being controlled by at least one valve
    • F04B43/0736Pumps having fluid drive the actuating fluid being controlled by at least one valve with two or more pumping chambers in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9/00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 F04B9/08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fluid
    • F04B9/12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fluid the fluid being elastic, e.g. steam or air
    • F04B9/129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fluid the fluid being elastic, e.g. steam or air having plural pumping chambers
    • F04B9/131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fluid the fluid being elastic, e.g. steam or air having plural pumping chambers with two mechanically connected pumping members
    • F04B9/135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fluid the fluid being elastic, e.g. steam or air having plural pumping chambers with two mechanically connected pumping members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pumping members being obtained by two single-acting elastic-fluid motors, each acting in one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504Removable valve head and seat unit
    • Y10T137/7559Pump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838Plural
    • Y10T137/7842Diverse ty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왕복 펌프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왕복 펌프와 여기에 사용되는 펌프 전환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조립된 상태의 횡단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에 표시한 펌프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전환장치와, 이 전환장치내에 장착되는 제어 밸브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4a도는 코드(code)화된 돌기를 나타내는 본 발명에 사용된 체크 밸브 카트리지의 측면도.
제4b도는 제4a도의 카트리지 오른쪽 끝에 인접해 있는 돌기 형상만을 나타내는 개략도.
제4c도는 제4a도의 카트리지의 왼쪽 끝에 인접해 있는 돌기 형상만을 나타내는 개략도.
제 5 도는 제4a도의 밸브 카트리지의 앞쪽 끝이나 뒷쪽 끝을 선택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코드화한 홈이 형성된 흡입구와 배출구로 되어 있는 제 1 도 및 제 2 도에 표시한 왕복 펌프의 끝부분을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2) :체크 밸브 카트리지 (123)(123F)(123R) : 돌기
(142) : 흡입구 (144) : 배출구
(146)(146F)(146R) : 홈 (200) :모듀율 하우징
(202) : 상부 하우징 (204) : 하부 하우징
(206) : 원통형 실 (210) : 슬로트(Slot)
(212) : 측벽 (220) : 스푸울 밸브 부재
(240) : 밸브 작동 부재 (242) : 제 1 돌출아암
(246) : 제 2 돌출아암 (252) : 압축 코일 스프링
본 발명은 포스트 믹스 음료시럽 분배장치에 사용되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서 작동시키는 격막식 왕복 펌프에 관한 것으로, 한층 더 상세하게로는 각 행정의 맨 끝에서 방향을 전환시키는 스프링 전환장치가 설치된 왕복 펌프에 관한 것이다.
격막식 왕복 펌프는 특히 용액과 고점성 물질을 펌프질하는데 널리 사용되며, 펌프질할 유체의 점성, 펌프 흡입부의 수두(水頭), 배출시의 배압 등이 펌프가 가동되는 상태에 따라 변하는 상태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펌프의 속도는 일반적으로 펌프에 인도되는 공기관에 조절 가능한 밸브를 끼워서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조절 방법은 펌프의 작동을 계속 관찰해야 하며, 또한 변화되는 상태에 따라서 밸브를 알맞게 조절해야만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펌프의 속도가 작동 상태에 따라서 현저히 변화하게 된다.
예컨대, 펌프에 가해지는 배압이 특별한 이유로 증가 혹은 감소되거나 펌프질할 액체의 점성이 변화되면, 이에 따라 단위시간당 작동속도와 펌프질할 액체의 양이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펌프가 다양한 변화 상태하에서도 일정한 속도로 작동할 수 있도록 조절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며, 필수적으로 펌프질할 물질이 일정한 농도로 확실하게 연속 운반되도록 펌프의 작동주기를 완전하게 하여야 한다.
상기한 필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펌프 작동주기를 완전하게 하는데 각각의 밸브 부재를 보조하는 대칭의 코일 스프링을 설치한 것이 미국특허 제 4,008,984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장치에서는 가압개스 시스템에서와 동일한 힘의 압축 코일 스프링이 최초 방향에서의 펌프 작동주기의 완료를 보조하고, 다음 다른쪽 스프링의 하나가 완전히 압축되면 정반대인 전환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 왕복 펌프를 위한 전환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나, 그와 같은 장치에는 본래부터 단점이 있었다.
예컨대, 어떠한 원인으로 인하여 펌프의 작동주기가 채 끝나기 전에 가압 시스템에 배압이 발생하여서 펌프의 작동주기가 전환되거나 혹은 장애를 받는다 해도, 그와 같은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해소토록 하는 방법이 없음은 물론, 스프링이 완전히 압축되지도 않는다. 따라서 압축 스프링의 존재에 관계 없이 펌프 작동주기가 완료되기 전에 기대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지도 못한 채 왕복 펌프의 펌프 작동주기가 전환되는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폐단을 제거하고저 하는 것으로서, 일정 압력하에서 시럽을 포스트 믹스 음료 분배장치로 운반하기 위한 왕복 격막 펌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행정의 맨 끝에서 펌프의 방향을 일정하고도 신속하게 전환시키도록 하는 전환장치가 설치된 왕복 펌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통축에 부착된 탄력부재에 의해서 작동되며, 각 격막에 가압개스를 교대로 공급하는 특수 밸브가 설치된 개스작동식 격막 펌프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펌프의 작동주기를 확실하게 완료시키며, 펌프 전환장치가 중도에 멈추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냅 작용 전환기구를 보유하는, 시럽을 배출구로 분배하는 왕복 압축공기식 펌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밸브와 밸브 작동부재와 스냅 작용 스프링 부재로 구성되며, 가압개스를 두 격막 중 한쪽 표면에 주기적으로 확실하계 공급하는 전환장치를 보유하는 압축공기식 왕복 펌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펌프의 양쪽 끝에 있는 두 개의 격실중 하나로부터 나온 유동체를 체계적으로 조절하여서 분배하는 전환 장치가 설치된 왕복 압축공기식 격막 펌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과 다른 적용범위는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 내지 제 5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왕복 펌프와 여기에 사용되는 전환장치 및 체크 밸브의 실시예가 표시된 것으로서, 제 1 도는 펌프의 조립에 대한 부품 분해도이며, 제 2 도는 제 1 도가 완전히 조립된 상태의 펌프의 단면도이다.
펌프 동체의 중심부는 유체 배출실(105)과 흡입구(142), 배출구(144)를 보유하는 끝부분(102)으로 구성되어 있으면 이 끝부분(102)의 각각은 그 둘레에 가요성 격막(118)을 수용하기 위한 원형의 홈 혹은 오목한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전기한 가요성 격막(118)에는 금속 혹은 플라스틱 부재(119)가 설치되어서 가요성을 더욱 더 부여한다.
전기한 펌프 동체 중심부의 끝부분(102)에는 또한 각각의 배출실(105) 내부로 연장되는 펌프축(104)을 미끄럼작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구멍(107)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펌프축(104)은 적당한 O-링(110)과 부싱(112)에 의해서 전기한 구멍(107)내에 장착된다. 전기한 펌프축(104)의 끝은 리테이너(114)와 와셔(116)에 의해 격막 조립체, 즉 플라스틱 부재(119)에 연결된다.
펌프 동체의 중심부인 두 끝부분(102)은, 이 끝부분(102)과 이것의 흡입구(142) 및 배출구(144)를 연결하는 흡입관(143)과 배출관(141)에 의해 하나의 물품으로서 주조된다.
전기한 흡입관(143)에는 유체의 입구인 유입구(139)가, 배출관(141)에는 유체의 출구인 유출구(140)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가요성의 고무호스용 연결체(132)가 O-링(134)과 나사(136), 리테이너훅(138)에 의해 각각의 유입구(139)와 유출구(140)에 장착된다.
제4a도, 제4b도, 제4c도와 함께 후술될 많은 체크 밸브가 끝부분(102)의 흡입구(142)와 배출구(144)에 삽입되며, 이러한 체크 밸브 카트리지(122)는 양쪽 끝에 O-링(124)이 달린 중심 원형 동체와, 중심 연결간에 가요성 원판이 부착된 유연한 플랩퍼(Flapper)형의 체크 밸브(125)로 구성된다.
전기한 원통형 체크 밸브 카트리지(122)의 외면에는 제4a도-제4c도에서 후술되는 바와 같이 코드화한 돌기가 형셩되어 있으며, 이 코드화한 돌기(123)는 흡입구(142)와 배출구(144)의 각각에 형성되어져 있는 코드화한 홈(146)에 삽입되며, 각각의 돌기(123)와 홈(146)의 형상은 전기한 체크 밸브 카트리지(122)가 흡입구(142)와 배출구(144)에 상위하게 되는 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전기한 격막(118), 체크 밸브 카트리지(122), 펌프축(104) 등의 각 부재는 모두 펌프 동체 중심부의 끝부분(102)에 삽입 설치되며, 외부 캡(100)은 이 외부 캡(100)의 가장자리의 둘레에 있는 구멍을 통하여 여러개의 나사(126)에 의해서 전기한 끝부분(102)에 부착된다.
따라서 펌프 동체 중심부의 끝부분(102)과 이것에 부착되는 외부 캡(100)에 의해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유체 배출실(105)이 각각을 형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주지할 것은 본 발명의 체크 밸브 카트리지(122)가 펌프 동체의 끝부분(102)과 외부 캡(100) 사이에 삽입되며, 끝부분(102)과 외부 캡(100)의 양쪽 모두 전기한 체크 밸브 카트리지(122)의 외부 표면에 있는 코드화한 돌기(123)를 수용하기 위한 코드화한 홈(146)을 갖추고 있다는 점이다.
제 3 도와 같이 후술될 제어밸브와 전환기구 모듀율 하우징(200)은 나사(130)에 의해 펌프의 분기관부분에 알맞게 고정 부착되어, 가스운반용 분기관에 접합된 브라켓(201A) 위의 펌프축(104) 바로 위에 인접 배치된다. 개스 분기관은 모듀율 하우징(200)내의 제어밸브 배출부와 배출실 양쪽을 연통한다. 브라켓(201B)은 제 1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펌프 하우징의 밑바닥부에 설치되어 전기한 브라켓(201A)으로부터 반대방향에 면해 있다.
제 2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어밸브와 전환장치 모듀율 하우징(200)은 리테이너링(108)에 의해서 펌프축(104)에 안전하게 고정된 와셔(106)와 같이 계합 작동되게 배치되며, 그 와셔(106)의 기능은 후술되는 제 3 도에서 명백하게 될 것이다.
제 3 도는 제1,2도의 펌프에 사용되는 전환기구와, 이 전환기구내에 장착되는 제어밸브에 대한 분해도를 표시한 것으로서, 전환장치를 구성하는 모듀율 하우징(200)은 상부 하우징(202)과 하부 하우징(204)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부 하우징(204)은, 그 하부 하우징(204)으로부터 윗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215)를 수용하는 슬로트(214)에 의해 조립되어 상부 하우징(202)에 미끄럼 작동가능하게 끼워진다.
상부 하우징(202)의 아래쪽에는 그 상부 하우징(202)의 전체를 직각으로 가로지르는 슬로트(210)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슬로트(210)의 측벽(212)은 후술될 요크형상 밸브 작동부재(240)의 가장자리가 그 측벽(212)에서 펌프축(104)에 평행하게 미끄럼작동하도록 하는 베어링 표면을 제공한다.
상부 하우징(202)은 또한 본 발명의 제어밸브를 수용하는 실이 설치되어 있다. 즉, 상부 하우징(202)에 형성된 제어밸브 기구가 수용되는 원통형 실(206)은 상호 연결된 많은 부싱부재와, 제어밸브 동체 구멍의 각 다른 부분을 한정하는 분리 O-링(230)을 받도록 형성된다.
전기한 많은 부싱부재는 중앙 흡입부싱(228)과 배출부싱(226)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부싱(226)(228)은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원형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기한 부싱(226)(228) 내부에는 분리 O-링(222)이 부착된 스푸울 밸브 부재(220)가 왕복 작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이 스푸울 밸브 부재(220)는 상부 하우징(202)에 형성된 원통형 실(206)의 한쪽 끝에 부착된 나사형 리테이너(224)에 의해 원통형 실(206)과 전기한 각 부싱(226)(228)내에 배치된다.
나사형 리테이너(224)와 원통형 실(206)의 반대쪽 끝을 둘 다 밸브가 왕복 작동되는 동안 배기개스를 방출시키도록 열쇠형 구멍(218)을 보유하는 확대된 날개부(219)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날개부(219)의 구멍(218)에 의해 밸브로부터 배기가스가 잘 방출되며, 또한 스푸울 밸브부재(220)의 자체 소제 작업도 용이하게 된다.
상부 하우징(202)에는 또 모듀율 하우징(200) 전체를 배출관(141)과 알맞게 연통 설치되노록 하기 위하여 펌프 조립체에 부착되는 나사(130)용 나사구멍(216)을 보유하는 수직 플랜지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격막(118) 내부의 배출실(105)의 어느 한쪽에 작동개스를 공급하는 것에 의하여 펌프가 왕복 작동되도즉 구동시킨다. 구동개스 공급은 상부 하우징(202)의 흡입구(208)를 경유하여 제 3 도의 모듀율 하우징(200)으로 공급된다.
전기한 흡입구(208)에는 나사(136)에 의해 리테이너훅(138)과 O-링(134)이 부착된 아답터(132)(전기한 제 1 도의 아답터 구조와 동일하다)가 부착되며, 이 아답터(132)는 제 3 도의 제어밸브 유니트가 가요성 호스나 가요성관에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 모듀율 하우징(200)은 상부 하우징(202)과 하부 하우징(204) 사이에 설치되는 밸브 작동부재(240)를 갖추고 있으며, 이 밸브 작동부재(240)는 측벽(212)에 의해서 제공되는 미끄럼작동 표면 위인 상부 하우징(202)의 슬로트(210)내에서 미끄럼 작동하고, 또한 그 밸브 작동부재(240)는 금속판으로 제조되며, 스푸울 밸브부재(220)가 펌프축(104)와 함께 왕복 운동할때 스푸울 밸브부재(220)의 양쪽 끝에 작용되도록 앤빌부(241)가 형성된 양쪽 끝의 제 1 돌출아암(242)이 갖추어져 있다.
이에 따라 한쌍의 분리된 제 2 돌출아암(246)이 제 2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펌프축(104)의 와셔(106)에 작용하도록 밸브 작동부재(240)으로부터 하향 연장 설치되어 있으며, 이 밸브 작동부재(240)에는 또한 후술될 스냅 작용 스프링 기구의 핀(254) 끝에 있는 구멍(258)에 삽입되는 하향 연장되는 핀(244)을 갖추고 있다.
전기한 하부 하우징(204)은 밸브 작동부재(240)의 제 2 돌출아암(246)의 왕복운등을 허용하도록 된 슬로트(264)를 갖추고 있으며, 제 2 도의 모듀율 하우징(200)에 사용되는 대칭의 압축 스프링 스냅작용 전환장치는 압축 코일 스프링(252)과 이것의 지지핀(254)을 수용하는 구멍(250)으로 구성된 한쌍의 판형상 스프링 지지소켓(248)으로 이루어진다.
전기한 압축 코일 스프링(252)이 구멍(250)에 삽입된 후 핀(254)이 압축 코일 스프링(252)에 삽입되어서 신속하고도 용이한 스냅 작용기구의 조립이 이루어지고, 스프링 지지소켓(248)의 상, 하부에서 연장되는 회동 핀(249)은 하부 하우징(204)의 구멍(262)에 상부 하우징(202)과 일직선이 되게 삽입된다.
따라서 지지소켓(248)은 모듀율 하우징(200)의 상, 하부 하우징(202)(204) 사이에 삽입되고, 상, 하부 하우징(202)(204)의 각각에 있는 구멍(262)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전기한 상부 하우징(202)의 구멍(262)은 도면표시하지 않았으나, 하부 하우징 (204)에 표시된 구멍(262)위인 슬로트(210)내에 하부의 것과 일직선으로 위치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지지핀(254)은 또한 아치형 베어링 플랜지(260)와 원형 단부(256)를 갖추고 있는 독특한 베어링 구조를 보유하고 있으며, 원형부재(256)와 아치형 베어링 플랜지(260)를 보유하는 두개의 베어링 구조가 일체로 조립될 때, 이것의 다른 한 벌과 원형단부(256) 각각은 서로 대향하는 지지스프링기구의 플랜지(260)에 대하여 지지된다.
이러한 구조는 특히 스냅 작용기구의 수명을 높이고, 간결하게 조립된다는 점이 특이하다. 이와 같은 베어링 부분의 증가와 다른 한 벌의 설치로 인해 베어링의 수명이 길어진다. 또한 이러한 베어링의 설치가 더욱 효과적이며, 코일 스프링이 전술한 스냅 작용과 같이 중앙상부로 이동할 때 감기거나, 고정부착될 가능성을 없게 한다.
전기한 밸브 작동부재(240), 압축 코일 스프링(252),·스푸울 밸브부재(220), 부싱(226)(228)을 제외한 제 3 도의 모듀율 하우징(200)의 모든 부분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물론 상, 하부 하우징(202)(204) 부분을 부착하는 나사(266)는 금속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모든 부분을 필요로 할 때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밸브의 원통형 실(206)내의 스풀울 밸브부재(220)가 왕복 작동될 때, 그 스푸울 밸브부재(220)의 위치에 따라 구동개스가 격막(118)의 내부에 있는 펌프의 배출실(105)에 교대로 공급되며, 격막(118)의 작동에 의해 펌프 작용이 생기는 동시에 펌프축(104)이 왕복 작동되고 펌프축(104)에 일체로 설치된 와셔(106)이 밸브 작동부재(240)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제 2 돌출아암(246)중의 하나와 작용하게 된다.
그런 다음, 밸브 작동부재(240)가 왕복 작동되고 그 밸브 작동부재(240)에서 스프링 지지핀(254)의 끝에 있는 구멍(258)에 하향 연장되는 핀(244)이 지지소켓(248)의 핀(249)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핀(254) 및 그 위의 압축 코일 스프링(252)이 중심(밸브 작동부재(240)의 세로축에 수직한 라인을 통과)을 넘어서 이동할 때, 코일 스프링(252)은 스프링을 스냅 작동시키고 또한 전기한 밸브 작동부재(240)를 가속시킨다.
그런 후 주행로 끝(Trailing and) 위의 제 1 돌출아암(242)이 스푸울 밸브부재(220)의 관렬된 끝에 대하여 밸브를 반대의 쌍안정 위치로 전환한다.
따라서 밸브 작동부재(240)가 진행도중에 멈추는 일이 없으므로, 핀(254)의 끝에 있는 베어링 구조인 원형단부(256)와 플랜지(260)에 의해 전환기구가 멈추거나 엉킬 가능성이 감소된다.
제 4 도와 제 5 도는 왕복 펌프의, 흡입구와 배출구에 연결 수용되어 있는 신규의 코드화한 밸브 카트리지를 표시한 것으로, 제4a도는 앞쪽 끝 혹은 오른쪽 끝에 정반대로 위치한 돌기(123F)와, 뒷쪽 끝 혹은 왼쪽 끝은 세개의 분리된 돌기(123R)로 구성된 밸브 카트리지에 대한 측면도를 나타낸다.
여기서 주의할 것은 제4a도의 제 3 돌기(123R)가 측면에서는 나타나지 않으나, 후술될 제4c도에 나타난다는 것이다. 따라서 제4b도,제4c도는 각각 제4a도에 표시한 카트리지의 왼쪽, 오른쪽 측면의 돌기 형상을 나타내는 것이다. 즉, 제4b도는 정반대로 위치한 두 돌기(123F)를 제4c도는 세개의 분리된 돌기(123R)를 나타낸다.
제 5 도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하여 표시한 제1,2도 왕복 펌프의 끝부분(102)과, 이 끝부분(102)에 형성된 흡입구(142), 배출구(144)를 나타낸다.
흡입구(142)에는 제4c도의 세개로 분리된 돌기(123R)만을 수용할 수 있도록 된 세개의 분리된 홈(146R)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4a도에 있는 카트리지의 뒷쪽 혹은 왼쪽만이 흡입구(142)에 삽입될 수 있는 바, 제4a도의 밸브 카트리지내에 있는 체크 밸브가 흡입구(142)에 거꾸로 삽입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배출구(144)의 정반대로 위치한 홈(146F) 한쌍은 제4b도의 정반대로 위치한 돌기(123F)만을 수용하며, 제4a도에 있는 밸브 카트리지의 앞끝 혹은 오른쪽 끝만이 본 발명 펌프의 끝부분(102)의 배출구(144)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4a도의 코드화한 돌기 형상을 보유한 밸브 카트리지 하나가 펌프에 있는 흡입구(142), 배출구(144)의 네 구멍중 어느 부분에도 삽입 가능하며, 또 한짝이 안맞는 카트리지의 삽입이 불가함을 명백히 알 수 있다.
제1,2도 펌프의 외부 캡(100) 역시 제 5 도의 흡입구(142), 배출구(144)에 수용되지 않은 제4a도의 밸브 카트리지의 끝부분을 수용하도록 코드화한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술하면, 제4a도의 카트리지가 흡입구(142)에 삽입될 경우, 세개의 분리된 돌기(123)가 흡입구(142)에 수용되는 반면, 카트리지의 맞은편 끝에 정반대로 위치한 돌기(123F)는 흡입구(142) 밖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펌프의 외부 캡(100)에 있는 실(147)이 정반대로 위치한 한 쌍의 돌기(123F)를 받기 위한 홈도 형성된다. 같은 방법으로 정반대로 위치한 돌기(123F)가 배출구(144)의 홈(146F)에 삽입될 경우, 카트리지의 세개로 분리된 돌기(123R)가 배출구(144) 밖으로 연장될 것이다. 따라서 제 1 도 펌프의 외부 캡(100)에 있는 실(149)도 돌기(123R)를 수용하기 위한 세개의 분리된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전기한 부품의 이중 코딩(Coding)에 의해 밸브 카트리지가 배출구(144)와 흡입구(142)에 거꾸로 삽입될 수 없으며, 체크 밸브 카트리지가 배출구(144)와 흡입구(142)에 알맞게 삽입되어야 외부 캡(100)이 끝부분(102)에 조립 가능하게 된다.
이상으로 구성 및 작동과정을 설명한 바와 같이 어떠한 고점성의 액체를 분해하더라도 펌프 작동주기 완료 전에 펌프가 멈추어서 액체 분배에 악영향을 끼치는 일이 없으며, 더구나 전환장치와 체크 밸브 설치로 인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펌프 작동으로 액체 분배를 일정하고 균일하게 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도중에 펌프가 멈추어서 액체 분배에 좋지 못한 영향의 끼친다고 하는 결점을 해소한 것으로서, 우수한 효과를 갖고 있는 것이다.

Claims (10)

  1. 왕복 펌프로부터 제거 가능한 모듀율 하우징내에 설치되는 왕복 펌프에 있어서, 모듀율 하우징(200)은 상, 하부 하우징(202)(204)과 한 쌍의 대향측벽(212)을 보유하며, 전기한 모듀율 하우징(200)은 한 쌍의 대향측벽(212)에 의해서 기 모듀율 하우징(200)을 통하는 안내 슬로트(210)가 제공되고, 요크형상 밸브 작동부작(240)가 2개의 끝부분 사이에서 왕복 작동 가능하게 전기한 슬로트(210)내에 장착되며, 밸브 작동부재(240)는 이 부재의 양쪽 끝에서 윗쪽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 1 돌출아암(242)(242)과, 이것과 대향축인 아래쪽으로 연장 돌출되는 한 쌍의 제 2 돌출아암(246)(246)을 보유하고, 스냅 작용 전환기구는 전기한 모듀율 하우징(200)내에 장착되며, 전기한 밸브 작동부재(240)가 이미 다른쪽 끝부분 위치로 일부 멀리 이동된 후 2개의 끝부분 위치중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전기한 밸브 작동부재(240)를 신속히 완료 작동시키기 위하여 그 밸브 작동부재(24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압축 코일 스프링(252)을 보유하며, 왕복 펌프에 구동유체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밸브 기구는 그 왕복 펌프의 구동부에 교대로 구동유체가 도입되도륵 교번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스푸울 밸브부재(220)를 부유하고, 이를 인하여 전기한 펌프가 왕복 작동되며, 전기한 스푸울 밸브부재(220)는, 전기한 요크형상 밸브 작동부재(240)에 설치된 한 쌍의 제 1 돌출아암(242)(242)과 계합 작용되도록 하기 위하여 전기한 모듀율 하우징(200)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대향 접촉단부를 보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펌프.
  2. 제 1 항에 있어서, 한쌍의 제1,2돌출아암(242)(242),(246)(246)은 전기한 모듀율 하우징(20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펌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전기한 제어밸브 기구는 전기한 요크형상 밸브 작동부재(240)의 상부이며, 전기한 모듀율 하우징(200)의 상부 하우징(202)에 있는 원통형 실(206)내에 배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펌프.
  4. 제 3 항에 있어서, 전기한 스냅작용 전환기구인 압축 코일 스프링(252)은 전기한 요크형상 밸브 작동부재(240)의 하부에 배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펌프.
  5. 유체 흡입 및 배출통로용인 흡입구와 배출구가 설치되어 있는 배출실과 오직 한쪽의 소정된 방향으로 유체가 유동되도록 전기한 흡입구와 배출구에 붙었다 떼었다 하는 것이 가능하게 배치한 체크 밸브를 갖춘 왕복 펌프에 있어서, 전기한 체크 밸브 카트리지(122)를 한쪽의 소정유체 유동방향과 일치했을 때만 전기한 흡입구(142)나 배출구(144)에 삽입되는 형상으로 하고, 전기한 체크 밸브 카트리지(122) 위의 코드형상을 한쪽의 소정유체 유동방향과 일치하지 않았을 때에는 전기한 흡입구(142)나 배출구(144)에 삽입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펌프.
  6. 제 5 항에 있어서, 전기한 흡입구(142)와 배출구(144)는 전기한 체크 밸브 카트리지(122)가 소정의 유체 유동방향과 일치할 때 그 체크 밸브 카트리지(122) 위의 코드형상과 일체로 되는 코드형상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펌프.
  7. 제 6 항에 있어서, 전기한 카트리지(122) 위의 코드형상은 돌기(123)이고, 전기한 흡입구(142)와 배출구(144)내의 코드형상은 전기한 돌기(123)에 적합하게 맞도록 일체로 되는 홈(14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펌프.
  8. 제 5 항에 있어서, 전기한 카트리지(122) 위의 코드형상은 전기한 흡입구(142)에만 삽입되는 카트리지의 제 1 단부(단부) 위의 제 1 형상과, 전기한 배출구(144)에만 삽입되는 카트리지의 제 2 단부 위의 제 2 형상으로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펌프.
  9. 제 8 항에 있어서, 전기한 흡입구(142)와 배출기(144)도 전기한 체크 밸브 카트리지(122)가 소정의 유체 유동방향과 일치할 때 그 체크 밸브 카트리지(122) 위의 코드형상인 돌기(123)와 일체로 되는 코드형상인 홈(146)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펌프.
  10. 제 9 항에 있어서, 전기한 체크 밸브 카트리지(122) 위의 제 l, 제 2 형상은 돌기(123F)(123R)이고, 전기한 흡입구(142)와 배출구(144)내의 코드형상은 절기한 돌기(123F)(123R)에 적합하게 맞게 일체로 되는 홈(146F)(146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펌프.
KR8201758A 1981-11-12 1982-04-21 왕복 펌프 KR8600009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20584 1981-11-12
US06/320,584 US4436493A (en) 1979-09-21 1981-11-12 Self contained pump and reversing mechanism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10301A KR830010301A (ko) 1983-12-30
KR860000976B1 true KR860000976B1 (ko) 1986-07-24

Family

ID=23247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1758A KR860000976B1 (ko) 1981-11-12 1982-04-21 왕복 펌프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4436493A (ko)
JP (3) JPS5885379A (ko)
KR (1) KR860000976B1 (ko)
AR (1) AR227598A1 (ko)
AU (2) AU549223B2 (ko)
BR (1) BR8204306A (ko)
CA (1) CA1185481A (ko)
DE (2) DE3249907C2 (ko)
ES (1) ES8308397A1 (ko)
GB (3) GB2109477B (ko)
GR (1) GR75501B (ko)
IT (1) IT1205256B (ko)
MX (2) MX159429A (ko)
NL (2) NL8201434A (ko)
NZ (1) NZ200058A (ko)
PH (1) PH2051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4350A (en) * 1981-11-12 1987-01-06 The Coca-Cola Company Double acting diaphragm pump and reversing mechanism therefor
US4550624A (en) * 1981-11-12 1985-11-05 The Coca-Cola Company Reversing mechanism module for a double acting reciprocating pump and method for repairing the pump
US4540349A (en) * 1984-05-16 1985-09-10 Du Benjamin R Air driven pump
US4681518A (en) * 1985-02-19 1987-07-21 The Coca-Cola Company Single-acting, gas operated pump
US4708827A (en) * 1986-03-17 1987-11-24 The Cornelius Company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king and dispensing carbonated water with a double diaphragm pneumatic water pump
NL8602971A (nl) * 1986-11-24 1988-06-16 Volvo Car Bv Koelsysteem voor een turbocompressor.
DE3706351C3 (de) * 1987-02-27 1994-04-14 Kopperschmidt Mueller & Co Durch einen Druckluft-Kolbenmotor angetriebene Flüssigkeits-Kolbenpumpe
JP2544399B2 (ja) * 1987-09-22 1996-10-16 山田油機製造 株式会社 ダイアフラムポンプの圧力チャンバ―
US5021219A (en) 1988-12-08 1991-06-04 The Coca-Cola Company Gas generator for a carbonated drink dispenser
JP2583738Y2 (ja) * 1990-07-03 1998-10-27 エスエムシー株式会社 ダイヤフラム形ポンプ
US5183396A (en) * 1991-09-27 1993-02-02 Cook James E Double acting simplex plunger pump
EP0630444B1 (en) * 1992-03-05 1997-06-04 JOE SANTA & ASSOCIATES PTY. LTD. A pump and diaphragm
US5257914A (en) * 1992-06-24 1993-11-02 Warren Rupp, Inc. Electronic control interface for fluid powered diaphragm pump
US5664940A (en) * 1995-11-03 1997-09-09 Flojet Corporation Gas driven pump
US5816778A (en) * 1996-01-16 1998-10-06 Micron Technology, Inc. System for controlling the stroke length of a double-diaphragm pump
US6099264A (en) * 1998-08-27 2000-08-08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Pump controller
US6062427A (en) * 1998-08-27 2000-05-16 Du Investments L.L.C. Beer keg and pre-mixed beverage tank change-over device
US6343539B1 (en) 1999-11-10 2002-02-05 Benjamin R. Du Multiple layer pump diaphragm
GB2366335B (en) * 2000-08-22 2004-09-01 Imi Cornelius Valve
US6672481B2 (en) 2001-02-22 2004-01-06 The Coca-Cola Company On demand carbonation system
US7367785B2 (en) * 2004-03-19 2008-05-06 Ingersoll-Rand Company Reduced icing valves and gas-driven motor and reciprocating pump incorporating same
US20060171827A1 (en) * 2004-04-14 2006-08-03 Smith Steve C Crossover switching and pump system
ES2380260B2 (es) * 2010-05-18 2013-02-14 Samoa Industrial S.A. Bomba de doble membrana de flujo central
US9316216B1 (en) 2012-03-28 2016-04-19 Pumptec, Inc. Proportioning pump, control systems and applicator apparatus
EP3152440B1 (en) 2014-06-06 2024-03-27 Flow Control LLC. Single piston foundation bag-in-box (bib) pump
CN105889154A (zh) * 2014-11-28 2016-08-24 陕西鼎基能源科技有限公司 高压气压力能等熵增压机
US10760557B1 (en) 2016-05-06 2020-09-01 Pumptec, Inc. High efficiency, high pressure pump suitable for remote installations and solar power sources
US10823160B1 (en) 2017-01-12 2020-11-03 Pumptec Inc. Compact pump with reduced vibration and reduced thermal degradatio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15886A (en) 1951-01-10 1952-10-28 Astra Apotekarnes Kem Fab 10-pyrrolidinoacyl-phenothiazines and salts thereof
DE1138637B (de) 1959-07-21 1962-10-25 Grundstuecksverwaltungsgesells Doppelmembranpumpe, insbesondere Kraftstoffpumpe
US3589839A (en) * 1969-06-23 1971-06-29 Roger C Johnson Fluid feeder for pressurized fluid system
US3741689A (en) * 1971-08-05 1973-06-26 Rupp Co Warren Air operated diaphragm pump
US3782863A (en) * 1971-11-16 1974-01-01 Rupp Co Warren Slide valve apparatus
JPS5169203A (ja) * 1974-12-11 1976-06-15 Yoichi Nishioka Daiyafuramuhonpu
US4021149A (en) * 1975-12-15 1977-05-03 Tmb Industrial Maintenance Ltd. Fluid driven reciprocating pump
CA1155711A (en) * 1979-09-21 1983-10-25 William S. Credle, Jr. Reciprocating pump and reversing mechanism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8221319A0 (it) 1982-05-17
GB2154671A (en) 1985-09-11
NZ200058A (en) 1987-02-20
CA1185481A (en) 1985-04-16
DE3249907C2 (ko) 1991-07-04
GB2154670A (en) 1985-09-11
NL8402441A (nl) 1984-12-03
GB2109477B (en) 1985-12-04
GB8507849D0 (en) 1985-05-01
AU8178882A (en) 1983-05-19
GB2154670B (en) 1986-05-08
NL8201434A (nl) 1983-06-01
ES511888A0 (es) 1983-08-16
JPS62223481A (ja) 1987-10-01
AU4921185A (en) 1986-03-13
GB2154671B (en) 1986-05-08
MX159429A (es) 1989-05-30
GB2109477A (en) 1983-06-02
ES8308397A1 (es) 1983-08-16
AU549223B2 (en) 1986-01-23
BR8204306A (pt) 1983-07-19
AR227598A1 (es) 1982-11-15
JPS5885379A (ja) 1983-05-21
US4436493A (en) 1984-03-13
JPH02556B2 (ko) 1990-01-08
DE3223473A1 (de) 1983-05-19
IT1205256B (it) 1989-03-15
KR830010301A (ko) 1983-12-30
MX155872A (es) 1988-05-16
JPS6026193A (ja) 1985-02-09
GR75501B (ko) 1984-07-24
PH20511A (en) 1987-01-26
GB8507850D0 (en) 1985-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0976B1 (ko) 왕복 펌프
US4682937A (en) Double-acting diaphragm pump and reversing mechanism therefor
US10080466B2 (en) Sequentially activated multi-diaphragm foam pumps, refill units and dispenser systems
US20170156550A1 (en) Sequentially activated multi-diaphragm foam pumps, refill units and dispenser systems
US20210214080A1 (en) Diaphragm pump and agriculture unmanned aerial vehicle
KR102591031B1 (ko) 액체공급장치 및 액체공급방법
US20210207592A1 (en) Diaphragm pump and agriculture unmanned aerial vehicle
KR940008167B1 (ko) 단동식(單動式) 가스작동펌프
JP4598377B2 (ja) 複数成分の計量及び分配装置
US4634350A (en) Double acting diaphragm pump and reversing mechanism therefor
KR850000419B1 (ko) 왕복 펌프장치
US4480969A (en) Fluid operated double acting diaphragm pump housing and method
CN110972486B (zh) 隔膜泵及农业无人机
CN209195651U (zh) 隔膜泵及农业无人机
CN208950821U (zh) 隔膜泵及农业无人机
US20210197969A1 (en) Diaphragm pump and agricultural unmanned aerial vehicle
US20210062799A1 (en) Agricultural plant protection machines and diaphragm pumps thereof
US20220298709A1 (en) Modular chemical dispenser and pump for same
CA1184433A (en) Universal check valve cartridge coded to ensure correct insertion
US4550624A (en) Reversing mechanism module for a double acting reciprocating pump and method for repairing the pump
CN113944614B (zh) 隔膜泵及农业无人机
EP0408083B1 (en) Aggressive liquids dosage membrane pump
WO2023188488A1 (ja) 液体供給装置
CN212418506U (zh) 用于透析器生产的注胶阀
NZ212074A (en) Pump housing for double acting pneumatically operated diaphragm pum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