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509B1 - 분리형 디지탈전화교환기의 자국통화시 채널지연 및 위상지연의 보정방법 - Google Patents

분리형 디지탈전화교환기의 자국통화시 채널지연 및 위상지연의 보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0509B1
KR860000509B1 KR8204752A KR820004752A KR860000509B1 KR 860000509 B1 KR860000509 B1 KR 860000509B1 KR 8204752 A KR8204752 A KR 8204752A KR 820004752 A KR820004752 A KR 820004752A KR 860000509 B1 KR860000509 B1 KR 860000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delay
phase delay
bits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4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2187A (ko
Inventor
신기수
박항구
Original Assignee
경상현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현,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filed Critical 경상현
Priority to KR8204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0509B1/ko
Publication of KR840002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0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 Of Switch Circuits For Exchanges And Methods Of Control Of Multiplex Exchan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분리형 디지탈전화교환기의 자국통화시 채널지연 및 위상지연의 보정방법
제 1도는 본 발명을 실시한 분리형 디지탈 전화교환기의 계통도.
제 2(a)도~제 2(f)도는 본 발명의 위상 지연 보정방법에 의한 교환기 주요부의 신호의 타이밍 다이어그램.
제 3도는 본 발명의 위상지연 보정방법을 실시한 정크터의 회로도.
제 4도는 본 발명의 채널지연 보정 원리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FF1~FF8: 플립플럽 J : 정크터
T-MEM : 교환메모리 (-MEM : 제어메모리
본 발명은 분리형 디지탈 전화교환기장치에서의 자국 통화시 발생되는 신호의 채널지연 및 위상지연의 보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디지탈 전화 교환장치분리형 디지탈 전화교환장치에서는 송신측과 수신측을 각각 분리하여 2조의 멀티플렉서, 시분할 스위치 및 디멀티플렉서로 통상 구성되어 있다.
이경우 장치 내부의 직, 병렬 변환이나 교환등 각종 처리 과정에서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게 되므로 채널 지연이 발생하고, 또 구성소자의 전달 지연으로 인하여 위상지연이 발생하게 되어 자국 통화를 위해 디멀티플렉서의 출력을 직접 멀티플렉서에 접속하면, 채널지연으로 인해 각 채널의 송·수신이 서로 일치되지 않게되고 또 위상지연으로 인해 각 채널간의 데이터 비트가 서로 혼합되어 수신 음성에 전혀 다른 내용이 나오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단점을 없이하여, 분리형 디지탈 전화교환기가 정확하게 음성신호를 상호교환토록 채널 및 위상지연을 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도에는 본 발명 방법을 실시한 분리형 디지탈 전화 교환장치의 계통도로서 그 구성은 멀티플렉서(MUX),시분할 스위치(T-SW), 및 디멀티플렉서(DMUX)로 구성된 송신측과 멀티플렉서(MUX2) 시분할스위치(TSW2) 및 디멀티플렉서(DMUX)로 구성된 수신측 그리고 송신측의 디멀티플렉서(DMUX)와 수신측의 멀티플렉서(MUX2) 사이에 연결된 자국통화를 위한 정크터(Jn+1, ‥‥J31)로서 되어 있다. 따라서 가입자회로(SLCψ~SLC31)의 송신단자(T)는 송신측의 멀티플렉서(MUX1)의 입력(INψ~IN31)에 연결되어 있으며, 가입자회로(SLCψ~SLC31)의 수신단자(R)들은 수신측의 디멀티플렉서(DMUX2)의 출력(Outψ~Out31)에 연결되고 가입자회로(SLCψ~SLC31)에는각각 32개의 채널들이 접속되어 진다. 또한 송신측의 디멀티플렉서(DMUX1)의 출력(OUTψ-OUTn)은 국간 중계회로(TEKψ~TRKn)의 수신단자(R)에 접속되고 나머지 출력(OUTn+1~OUT31)은 정크터(Jn+1~J31)를 통하여 수신측의 멀티플렉서(MUX2)의 입력(INn+1~IN31)에 연결된다. 물론 국간 중계회로(TRKψ~TRKn)의 송신단자(T)는 수신측의 멀티플렉서(MUX2)의 입력(INψ~INn)에 연결된다. 국간 중계회로(TEKψ~TRKn)는 중계선(ABLEψ~CABLEn)에 연결되어 있다.
제 2(a)도~제 2(f)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자면, 제 2(a)도와 같은 가입자회로(SLC)의 클럭펄스를 기준 위상으로 하여 송신측 멀티플렉서(MUX1)에ㅐ 입력되는 데이터는 제 2(b)도와 같이 된다. 이 데이터는 시분할 스위치(T-SW1)를 통하여 교환이 이루어진 다음 디멀티플렉서(DMUX1)에 의하여 국간 중계회로(TRK)나 정크터(J)에 입력된다.
이때 멀티플렉서 내부의 직·병렬 변환이나 시분할 스위치내에서의 데이터의 교환 및 디멀티플렉서에서의 병·직렬 변환등의 처리에 의하여 채널지연이 발생하고, 소자의 전달 지연으로 인하여 위상 지연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제 2(c)도에서와 같이 채널 지연은 2채널이 되고, 위상지연은 약 1비트가 된다. 그러므로 전체 지연량은 약 2 채널 1비트 즉, 17비트가 된다(1채널은 8비트로 구성됨).
이러한 지연은 국간 중계회로를 통한 타국 통화의 경우에는 국간 중계회로에서 보정하나, 자국 통화의 경우에는 정크터를 통하여 디멀티플렉서(DMUX1)의 출력이 다시 멀티플렉서(MUX2)에 입력되어야 하므로 이러한 지연을 보정해 주어야 한다.
먼저 위상지연의 보정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c)도에서 위상지연은 대략 1비트 이므로 제 2(a)도의 가입자회로 클럭펄스와 같은 제 2(d)도의 클럭신호를 이용하여 디멀티플렉서(DMUX1)의 출력신호를 약 1비트 지연시킨다. 약 1비트 지연되어 위상지연이 보정된 데이터는 제 2(e)도와 같다.
제 2(e)도의 데이터는 위상지연은 보정되어 있으나 송신측 멀티플렉서(MUX1)에 인가되는 데이터와는 7비트의 데이터 비트 차이가 생기게 된다. 그런데, 1채널의 데이터는 8비트로 구성되므로, 제 2(f)도에서와 같이, 제 2(e)도의 위상지연이 보정된 데이터를 다시 7비트 지연시키면 각 데이터 비트간의 위상은 채널에 관계없이 일치되게 된다. 만약 위상지연이 제 2(c)도와 같이 대략 1비트가 아니고, 제 2(a)도의 클럭펄스를 기준으로 하여 정확히 1비트라면 7비트만 지연시켜도 된다. 그러나 실제로 위상지연은 정확한 1비트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위상지연을 보정하여 각 데이터 비트간의 위상을 채널에 관계없이 일치시키기 위해서는 디멀티플렉서(DMUX1)의 출력데이터를 가입자회로 클럭펄스에 동기시켜 8비트 지연시키게 된다.
이렇게 채널비트의 위상을 지연시키기 위하여 정크터(J)를 제 3도에서와 같이 D플립플럽(FF1~FF8)을 종속 접속한 쉬프트 레지스터로 구성한다. 이때 D플립플럽(FF1~FF8)의 제어클럭은 제 2(a)도의 가입자 회로클럭펄스와 같다. 이러한 정크터를 사용하면 위상지연을 보정할 수 있는 반면 1채널 지연이 부수적으로 더 생기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채널지연 보정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b)도와 제 2(f)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디멀티플렉서 1(DMUX1)의 출력데이터와 정크터를 통하여 멀티플렉서2(MUX2)의 입력으로 되는 데이터 사이에는, 제 2(c)도에서와 같이 본래의 2채널 1비트의 지연과 정크터에 의한 7비트의 지연이 합쳐져서, 총 3채널의 채널 지연이 생기게 된다.
한편, 시분할 스위치(T-SW1, T-SW2)의 교환 메모리(T-MEM)의 어드레스(ADDR)는 시스템클럭신호와 이 신호로 판독된 제어메모리(C-MEM)의 기억내용(Data out)을 선택기(SEL)로 전환하여 결정되는데 각 채널의 데이터 내용이 교환 메모리에 기입될 때에는 시스템클럭 신호로 지정된 어드레스에 기입되고 판독될 때에는 제어 메모리의 데이터로 지정된 어드레스에 의해서 판독되므로, 시분할 스위치(T-SW1)에서 채널 N으로 전송된 신호가 디멀티플렉서1(DMUX1)과 정크터(J) 및 멀티플렉서2(MUX2)를 거쳐 시분할 스위치(T-SW2)의 교환 메모리(T-MEM)에 기입될때에는 위에서와같이 3채널이 지연되어 채널번호N+3에 기록된다.
따라서, 도시되지 않은 교환기 제어용 컴퓨터에서 시분할 스위치(T-SW2)의 제어 메모리(C-MEM)의 내용을 기록할때 하위 5비트만 +3(십진수)만큼 증가시켜 주어 기록하면, 멀티플렉서2(MUX2) 입력측에서 볼때 3채널 지연된 것을 올바른 채널로 보정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정크터(J)에는 32개의 채널이 입력되는데 위상지연이나 채널지연이 생겨도 채널 번호의 상위 5비트인 정크터 번호는 변화하지 않으며 동일 정크터내에서 채널수만 3만큼 지연되는 것으로 채널번호 내의 상위 5비트는 그대로 두고 하위 5비트만 +3(십진수)만큼 증가시켜 주면 올바른 채널로 보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채널 번호내의 하위 5비트만 +3(십진수)만큼 증가시키면 되는 것은 다음과 같다.
한 정크터내에는 32개의 채널이 차례대로 입력되는데, 어떤 정크터번호 N가 정해졌을 경우, 그 정크터내에 존재하는 채널번호는 N×32+n=N×25+n이 된다.
단, n은 정크터 N내에서의 채널번호로서 ψ에서 31까지의 자연수이다. 그런데, 채널수가 +3만큼 지연된 채널번호는 N×25+3에서 N×25+31+3으로 되어야 하나, 이것도 역시 정크터 N내에 존재해야 하므로, 실제의 채널본호는 N×25+M(n+3)32로 되어야만 한다.
단, 여기서 M(n+3)32는 (n+3)의 모듈로(Modulo)를 나타낸다.
이를 2진수(Binary Number)로 표시하면,
N×(00001 00000)b+{M(n+3)32}b
로 된다. 여기서 ( )내의 숫자는 2진수임을 나타낸다.
이때, 두번째항 {M(n+3)32}b는 (n+3)의 32모듈로를 2진수로 표현한 것이므로 5비트만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정크터 N내에서 채널수가 +3만큼 지연된 채널번호는, 2진수로 표시된 본래의 채널 번호에서 하위 5비트만 +3 즉, (11)b만큼 증가시켜주면 되는 것이다.
실시예를 들어보면, 정크터(J31)에 입력되는 채널은 시분할 스위치(T-SW1)의 출력채널(31×25+ψ=992)~채널(31×25+31=1023)까지인데, 시분할 스위치2(T-SW2)의 교환 메모리(T-MEM)에서는 본래의 채널 번호보다 +3만큼 하위 5비트가 증가된 어드레스에 각 채널의 데이터가 기록되므로, 출력채널(992=31×25+ψ)는 31×25+M(ψ+3)32=995번지에, 출력채널(993=31×25+1)은 31×25+M(1+3)32=996번지에 출력채널(1020=31×25+28)은 31×25+M(28+3)32=1023번지에, 출력채널(1021=31×25+29)은 31×25+M(29+3)32=31×25+M(32+ψ)32=31×2+ψ=992번지에, 출력채널(1022=31×25+30)은 31×25+M(30+3)32=31×25+1=993번지에, 출력채널(1023=31×25+31)은 31×25+M(31+3)32=31×25+2=994번지에 각각 기록되는 것이다.
제 4도는 타임스위치2(T-SW2)의 교환 메모리(T-MEM) 및 제어 메모리(C-MEM)의 사용예를 보인 것이다. 여기서, 시분할 스위치1(T-SW1)의 출력채널(992,1020,1023)을 시분할 스위치(T-SW2)의 출력채널(X,Y,Z)에 각각 접속하려고 하면, 시분할 스위치2(T-SW2)의 제어 메모리(C-MEM)의 X번지에는 992+3=995를, Y번지에는 1020+3=1023을, Z번지에는 1023+3=31×25+M(31+3)32=31×25+2=994를 기록해 두면 교환 메모리(T-MEM)를 판독할때 채널(X)의 판독순서에는 교환 메모리(T-MEM)의 995번지에 있는 채널(992)의 데이터가, 채널(Y)의 판독순서는 교환 메모리(T-MEM)의 1023번지에 있는 채널(1020)의 데이터가, 채널(Z)의 판독순서에는 교환 메모리(T-MEM)의 994번지에 있는 채널(1023)의 데이터가 각각 판독되므로 정확한 채널에 접속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간단한 방법으로 분리형 디지탈 전화 교환장치에서의 자국내 통화시 발생하는 채널 및 위상지연을 올바르게 보정하여 항상 정확하게 채널을 접속되게 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분리형 디지탈 전화교환기의 자국 통화시 디멀티플렉서(DMUX1)의 출력을 클럭신호가 가입자회로(SLC)의 클록 신호와 동위상의 신호인 8비트의 쉬프트 레지스터로된 정크터(J)을 통과시켜, 데이터의 각 비트를 8비트씩 지연시켜 위상지연을 보정하고, 시분할 스위치(T-SW2)의 제어 메모리(C-MEM)에 기록되는 교환 메모리(T-MEM)의 어드레스중 하위 5비트를 +3만큼 증가시켜 채널지연을 보정토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 분리형 디지탈 전화 교환기의 자국 통화시 채널지연 및 위상지연 보정방법.
KR8204752A 1982-10-23 1982-10-23 분리형 디지탈전화교환기의 자국통화시 채널지연 및 위상지연의 보정방법 KR860000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8204752A KR860000509B1 (ko) 1982-10-23 1982-10-23 분리형 디지탈전화교환기의 자국통화시 채널지연 및 위상지연의 보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8204752A KR860000509B1 (ko) 1982-10-23 1982-10-23 분리형 디지탈전화교환기의 자국통화시 채널지연 및 위상지연의 보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187A KR840002187A (ko) 1984-06-11
KR860000509B1 true KR860000509B1 (ko) 1986-05-02

Family

ID=19225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4752A KR860000509B1 (ko) 1982-10-23 1982-10-23 분리형 디지탈전화교환기의 자국통화시 채널지연 및 위상지연의 보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050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187A (ko) 1984-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18995A (en) Parallel transmission system
US4584690A (en) Alternate Mark Invert (AMI) transceiver with switchable detection and digital precompensation
US4301531A (en) Three-party conference circuit for digital time-division-multiplex communication systems
US5014271A (en) Pulse insertion circuit
CA1062372A (en) Digital data signalling systems and apparatus therefor
JPS6143895A (ja) 電話交換装置用の同期方法および装置
ES2117040T3 (es) Dispositivo de sincronizacion para equipamiento de terminal de una red de telecomunicaciones digital con transferencia en modo asincrono.
EP0532914B1 (en) Delay correcting system in a multi-channel PCM switching system
KR860000509B1 (ko) 분리형 디지탈전화교환기의 자국통화시 채널지연 및 위상지연의 보정방법
GB2128450A (en) Time-division switching unit
US4230911A (en) Carrier terminal unit
US5481215A (en) Coherent multiplexer controller
US3806654A (en) Arrangement for transmitting digital pulses through an analog tdm switching system
US5165092A (en) Method of processing the signalling information within configurable multiplexers
JPS61174857A (ja) 分岐回路
KR840002347B1 (ko) 디지탈 전자 교환장치
SU150658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асинхронной коммутации цифровых сигналов
US4525831A (en) Interface arrangement for buffering communication information between a transmitting and receiving stage of a time-space-time digital switching system
USRE31814E (en) Three-party conference circuit for digital time-division-multiplex communication systems
KR100247416B1 (ko) 반향 제거기의 시험을 위한 채널별 데이터 지연 장치
JPH01263566A (ja) 伝送遅延差測定方式
KR890000843B1 (ko) 타임 스위치의 인워드 동작회로
JPS6190597A (ja) 空間分割型スイツチ回路網における通話信号識別再生方式
GB2129657A (en) Circuit arrangement for transmitting digital signals in a communication system, particularly in a PCM telephone private branch exchange
CA1283726C (en) Switching arrangement with automatic data alignment over a + 3.5-bit r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