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2347B1 - 디지탈 전자 교환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탈 전자 교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2347B1
KR840002347B1 KR8204751A KR820004751A KR840002347B1 KR 840002347 B1 KR840002347 B1 KR 840002347B1 KR 8204751 A KR8204751 A KR 8204751A KR 820004751 A KR820004751 A KR 820004751A KR 840002347 B1 KR840002347 B1 KR 840002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hange
multiplexer
output
address
demultiplex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4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2186A (ko
Inventor
신기수
박항구
Original Assignee
백영학
재단법인 한국전기 통신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영학, 재단법인 한국전기 통신연구소 filed Critical 백영학
Priority to KR8204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2347B1/ko
Publication of KR840002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2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9/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not involving centralised switching
    • H04M9/02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not involving centralised switching involving a common line for all pa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 Of Switch Circuits For Exchanges And Methods Of Control Of Multiplex Exchan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지탈 전자 교환장치
제1도는 종래의 디지탈 전화교환 장치의 계통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탈 전화 교환장치의 계통도.
제3도는 제2도에서의 멀티플렉서(MUX)의 입력타이밍 다이어그램.
제4도는 제2도에서의 멀티 플렉서(MUX)의 계통도.
제5도는 제2도에서의 타임스위치의 계통도.
제6도는 제5도의 타임스위치의 타이밍 다이어그램.
제7도는 종래의 구조를 갖는 디지탈 전화 교환장치의 교환 메모리 사용에.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구조를 갖는 디지탈 전화교환 장치의 교환메모리 사용예.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MUX1, MUX2 : 멀티플렉서 DMUX1, DMUX2 : 디멀티플렉서
T-SW1, T-SW2 : 시분할 스위치 Jn+1-J31: 정크터
본 발명은 디지탈 방식에 의한 전자교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탈 방식의 전화 교환장치의 실효용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전자교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디지탈 전화교환기는 가입자 회로와 국간 중 계회로를 동등하게 취급하고 있어 교환기가 처리하는 전화 가입자의 수가 반감될 뿐 아니라, 전화 통화시 한 통화에 반드시 2개의 통화로가 필요하게 되므로, 가입자 회선에 대한 교환기의 용량은 시분할 스위치의 전체 교환용량의 1/4밖에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메모리 소자의 동작속도가 증가하여 시분할 스위치의 용량이 증가하여도 중래의 디지탈 전화교환기의 구조로는 전체 교환용량의 1/4밖에 사용할 수 없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메모리 소자의 동작 속도는 한계가 있어 메모리 용량을 무한정 증가시킬 수 없으며, 즉 시분할 스위치 용량은 한계가 있으며, 따라서 상기 구조의 교환기는 저효율, 소용량 밖에 얻을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단점을 없이하고 송·수신에 각각 분리된 시분할 스위치를 사용함으로써, 같은 교환용량을 갖는 시분할스위치로 구성된 종래의 디지탈 전화교환장치에 비해 2배의 용량을 얻을 수 있는 디지탈 전화교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이하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1도를 참조하여 종래의 전자교환기의 구성을 설명하면, 가입자회로(SLC0-m)의 송신단자(T) 및 국간 중계회로(TRK0-n)의 송신단자(T)를 각각 멀티플렉서(MUX)의 입력단자(IN0-31)에 접속하고, 떠 수신단자(R)를 각각 디멀티플렉서(DMUX)의 출력단자(OUT0-31)에 접속하여 그 사이에 시분할 스위치(T-SW)를 개삽하여 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가입자회로(SLC)와 국간 중계회로(TRK)를 동등하게 취급하므로 가입자회선에 대한 교환기 용량은 시분할 스위치의 전체교환 용량의 1/4로 감소된다는 단점이 있게 된다. 제2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 의한 디지탈 전화 교환장치의 구조를 설명하면, 가입자회로(SLC0-31)의 송신단자(T)는 각각 멀티플렉서(MUX1)의 입력 단자(IN0-31)에 접속되고, 수신단자(R)는 각각 디멀티플렉서2(DMUX2)의 출력단자(OUT0-31)에 접속되며, 국간중계회로(TRK0-n)의 송신단자(T)는 멀티플렉서2(MUX2)의 입력단자(IN0-n)에 접속되고, 수신단자(R)는 디멀티플렉서1(DMUX1)의 출력단자(OUT0-n)에 접속되며, 타임 스위치(T-SW1,T-SW2)는 각각 멀티플렉서(MUX1,MUX2)의 출력(OUT)과 디멀티플렉서(DMUX1,DMUX2)의 입력(IN)간에 개삽되어 있고, 정크터(Jn+1-31)는 각각 멀티플렉서2(MUX2)의 입력단자(INn-31)와 디멀티플렉서1(DMUX1)의 출력단자(OUTn-31)간에 개삽된 것이다.
미설명 부호 CHO-1023 : 가입전화의 일련버호, CABLE0-n: 타교 환국과의 접속 회선.
제3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입자 회로(SLC)는 각각 32개의 가입전화 회설의 송신 음성 신호를 각각 펄스부호변조(PCM)화하여 멀티플렉서1(MUX1)에 시분할로 송신하고 또 디멀티플렉서2(DMUX2)의 시분할 PCM신호를 복조하여 음성신호를 만들어 각 가입전화에 보내는 기능을 가진 것으로 그 송신타이밍 다이어그램은 제3도와 같으며, 여기서 음성 신호는 1프레임(1/8000초)마다 한번씩 샘프링되어 8비트의 디지탈 신호로 변조되며, 32개 채널의 전체 디지탈 신호는 직렬 데이터로 송출된다. 이 직렬 데이퍼는 멀티플렉서1(MUX1)에서 다른 가입자 회로(SLC)의 직렬 데이터와 같이 다시 다중화되는데, 이때 각 채널(총 32CH/SLC×32LC=1024CH)의 직렬 데이터는 멀티플렉서1(MUX1)내부의 쉬프트레지스터에 의해 8비트의 병렬 데이터로 변환되어, 멀티플렉서(MUX1)의 출력은 8개의 병렬출력이 된다. 이러한 다중화된 병렬데이터 출력은 시분할 스위치1(T-SW1)에 입력된다.
이러한 멀티플렉서(MUX)는 제4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직렬/병렬 변환기(S/P Converter)가 가입자 회로로부터 들어오는 직렬 데이터를 8비트의 병렬 데이터로 변환하며, 이 8비트의 병렬데이터는 출력래치(Output lath)에 의하여 모든 가입자 회선에 대하여 동시에 래치된다.
여기서, 1-32복호기(1 of 32 Decoder)와 각 출력래치(Out Latch)의 출력제어단자(OE)를 이용하여 래치의 출력문을 차례로 개방시키면 모든 가입자 회선으로부터 변환된 병렬데이터가 시스템 출력에 의해 정해진 차례대로 타임스위치(T-SW)로 전송되게 된다. 출력래치(Out Latch)들의 단자(CP)들에는 래치클럭(Latch CP)신호가 각각 인가되어, 출력 래치들을 동기시킨다.
또한 직렬/병렬 변환클릭(S/P CP)신호는 직렬/병렬 변환기(S/P Conv)들의 단자 (CP)들에 공통인가되어 직렬/병렬 변환기들을 동기시킨다.
제5도에서는 교환 메모리(T-MEM), 제어메모리(C-MEM), 래치(LATCH),데이터 셀렉터(SEL1,SEL2),시스템클록 발생기(1), I/O포트(2)로 구성된 시분할 스위치를 도시하고 있으며, 시스템 버스(3)를 통해 도시되지 않은 교환기 제어용 컴퓨터에 접속된다. 시스템클록 발생기(1)는 내부에서 발생된 클록을 카운터로 분주하여 11비트의 2진 클록신호(C0-C10)를 발생하게 되며 각 메모리 소자(T-MEM, C-MEM)의 어드레스로 사용된다.
클록신호 C0는 최하위 비트로서 C00일 때, 셀렉터1(SEL1)의 출력은 클록신호(C1C10)가 되며, C0가 1일때에는 셀렉터1(SEL1)의 출력은 제어메모리(C-MEM)의 데이터 출력과 같게 되므로 교환 메모리(T-MEM)의 어드레스는 제6도와 같이 클록신호 C0의 한 주기동안 클록신호(C1-C10)와 제어메모리(C-MEM)의 데이터 출력으로 반복되는 것이다.
또, 제어메모리(C-MEM)의 어드레스는, 클록신호(C1-C10)와 I/O포트의 어드레스 출력(ADDR)을 셀렉터2(SEL2)롤 선택하여 결정되는데 클록신호 C0가 0인 기간동안에는 I/O포트(IN-O)축으로 전환되어, 컴튜터에서 제어메모리(C-MEM)의 내용을 변경하고자 할 때 교환 어드레스의 데이터를 제어메모리(C-MEM)에 기록케 된다. 교환작용은 교환 메모리(T-MEM)의 기입 및 판독시 어드레스의 교환에 의해 일어나게 되는 것으로 클록신호 C0가 0인 기간동안은 클록신호(C1-C10)로 지정된 어드레스에 의하여, 메티플렉서1(MUX1)의 출력이 교환메모리(T-MEM)에 기입하고, C0가 1인 기간동안은 제어메모리((C-MEM)의 데이터 출력으로 지정된 어드레스에 의하여 교환메모리(T-MEM)에 이미 기입되어 있는 데이터가 출력되어 교환 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제7도와 같이 제어메모리(C-MEM)의 Y번지에 컴퓨터의 전송에 의해 미리 X가 기억되어 있다면, 클록신호 C0가 0인 기간중에도 클록신호(C1-C10)에 의해 채널X(CHX)의 데이터가 교환메모리(T-MEM)의 X번지에 기억되게된다. 한편, 채널 Y(CHY)의 데이터가 송출되며, 동시에 클록신호C0가 1인 기간중에는 제어메모리(C-MEM)의 어드레스 Y의 데이터인 X가 교환메모리(T-MEM)의 어드레스로 되어 X번지의 데이터가 송출되므로 채널 X는 채널 Y로 접속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채널수가 교환된 신호는 디메티플렉서1(DMUX1)에서 다시 32개 채널로 분리되어 판독된 순서에 따라 차례로 출력단자(OUT0-31)에 나타나게 되는데, 이때에는 디메티플렉서1(DMUX1) 내부의 쉬프트레리스터에 의해 8비트의 직렬데이터로 변환되어 각 국간 중계회로(TRK0-n)를 통해 타국과의 접속회선(CABLE0-n)으로 통화 상대방 가입전화에 송출된다.
접속회선 CABLE에서 수신된 상대방의 음성데이터는 국간 중계회로(TRK)의 송신단자(T)에 나타나게 되는데, 이는(메티플렉서2(MUX2)시분할 스위치(T-SW2), 디메티플렉서(DMUX2)를 통해 상기에서와 같은 작용으로 교환되어 가입자회로(SLC)의 수신단자(R)에 연결되는 것이다.
만약 가입자가 동일 교환국내의 타가입자와 통화하는 경우에는 디메티플렉서1(DMUX1)과 메티플렉서2(MUX2)간에 개삽된 정크터(Jn+1-J31)를 통해 통화하게 된다.
정크터(J)와 국간 중계회로(TRK)의 수는 그 교환국의 특성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이제 종래의 구조를 갖는 다지탈 전화교환 장치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탈 전화 교환장치에 있어서 전화 교환상의 메모리 사용을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동일 교환기내의 두 가입자 채널 X, 채널 Y가 통화한다고 가정하면, 종래의 디지탈 전화교환 장치에서는 제7도에서처럼 시분할 스위치(Y-SW)의 X번지에 교환번지 Y를, Y번지에 교환번지 X를 써줌으로써 가능하다. 즉, 메티플렉서(MUX)의 채널 X로 들어오는 음성 데이터는 시분한 스위치를 거쳐 채널Y로 전달되며 채널Y로 들어오는 음성 데이터는 시분할 스위치를 거쳐 채널 X로 전달되므로 채널 X와 채널 Y가 상호 통화토록 되어 있다.
반면에 본 발명에 의한 디지탈 전화 교환 장치에서는 정크터를 통하여 상호 접속되므로, 현재 사용되고 있지 않은 정크터 Jn+n'와 Jn+m'를 먼저 선택한다.
제8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시분할 스위치1(T-SW1)의 제어메모리(C-MEM)의 Jn+n'번지에 교환번지 X를, Jn+m'번지에 교환 번지 Y를 써주면, 채널 X의 음성 데이터는 정크터 Jn+n'를 통하여, 채널Y의 음성 데이터는 정크터 Jn+m'를 통하여 메티플렉서2(MUX2)로 전달된다.
이들 음성 데이터는 시분할 스위치2(T-SW2)의 교환메모리(T-MEM)의 Jn+n'번지에 채널X의 음성데이터가, Jn+m' 번지에는 채널Y의 음성 데이터가 각각 써지게 된다. 이때 시분할 스위치2(T-SW2)의 제어 메모리(C-MEM)의 X번지에는 교환번지 Jn+m'가, Y번지에는 교환번지 Jn+n' 가 각각 써 넣어져 있어야 한다.
시분할 스위치2(T-SW2)에서는 채널X가 할당된 시간 동안에 교환 메모리(T-MEM)의 Jn+m'번지의 채널Y의 음성데이터가, 채널 Y가 할당된 시간 동안에는 교환 메모리(T-MEM)의 Jn+n'번지의 채널 X의 음성데이터가 출력되므로, 상호 통화또록 한다. 따라서, 동일 교환국내의 가입자의 경우는 교환메모리의 사용에 있어서 기존의 경우와 마찬가지가 된다.
중계선(TRK)을 통한 타교환기의 가입자와의 통화시에는 기조의 디지탈 교환장치의 경우는 자국통화와 마찬가지로 연결되나, 본 발명에 의한 구조를 갖는 디지탈 전화 교환장치의 경우에는 국간 중계회로(TRK)로의 송신측과 수신측이 각각 시분할 스위치 1,2를 통하여 따로따로 연결되므로 교환메모리의 사용을 기존의 경우에 비하여 1/2로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구조를 갖는 디지탈 전화 교환장치는 국간중계회로(TRK)를 통한 전화통화시 기존의 디지탈 전화교환장치에 비하여 교환용량을 2배로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도와 제2도를 비교하여 보면, 기존의 디지탈 전화 교환장치는 가입자회선(SLC0-m)과 국간중계회로(TRK0-n)가 같은 멀티플렉스(MUX) 및 디멀티플렉스(DMUX)에 연결되나, 본 발명에 의한 구조를 갖는 디지탈전화교환 장치는 멀티플렉스1(MUX1)과 디멀티플렉스2(DMUX2)에 모두 가입자 회선을 연결할 수 있으므로 교환장치에 대한 가입자 회선의 수가 상대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디지탈 전화 교환장치는 기존의 디지탈 교환장치에 비하여 총교환 용량의 2배를 얻을 수 있게된다.

Claims (2)

  1. (정정) 시분할 스위치와 멀티플렉서, 디멀티플렉서로 전화를 교환토록된 것에 있어서, 가입자 회로(SLC)의 송신단자(T)는 멀페플렉서(MUX1)에, 수신단자(R)는 디멀페플렉서2(DMUX2)에 각각 접속하고 국간중계회로(TRK)의 송신단자(T)는 멀티플렉서2(MUX2)에, 수신단자(R)은 디멀티플렉서1(DMUX1)에 각각 접속하며, 멀티플렉서(MUX1,MUX2)출력(OUT)과 디멀티플렉서(DMUX1,DMUX2)의 입력(IN)간에 시분할 스위치(T-SW1,T-SW2)를 각각 개삽하여된 것을 특징으로 한 디지탈 전화교환 장치.
  2. (정정) 제1항에 있어서, 디멀티플렉서1(DMUX1)의 출력단자(OUTn+1-OUT31)와 멀티플렉서2(MUX2)의 입력단자(INn+1-IN31)간에 정크터를 개삽하여 동일 교환국내의 타가입자와 통화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 디지탈 전화 교환장치.
KR8204751A 1982-10-23 1982-10-23 디지탈 전자 교환장치 KR840002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8204751A KR840002347B1 (ko) 1982-10-23 1982-10-23 디지탈 전자 교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8204751A KR840002347B1 (ko) 1982-10-23 1982-10-23 디지탈 전자 교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186A KR840002186A (ko) 1984-06-11
KR840002347B1 true KR840002347B1 (ko) 1984-12-20

Family

ID=19225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4751A KR840002347B1 (ko) 1982-10-23 1982-10-23 디지탈 전자 교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23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114A (ko) * 2002-04-19 2003-10-30 한국원자력연구소 시분할 방식을 이용한 고정형 망 교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186A (ko) 1984-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22843A (en) Control information communication arrangement for a time division switching system
US4583218A (en) Control communication in a switching system having clustered remote switching modules
US4280217A (en) Time division switching system control arrangement
EP0125605B1 (en) Channel selection in a switching system having clustered remote switching modules
US3643030A (en) Method for transferring information in the form of time separated signal elements between subscribers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a telecommunication system, etc.
US4558444A (en) Switching system having selectively interconnected remote switching modules
SE312587B (ko)
US410911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conference calls in a time division multiplex pulse code modulation switching system
GB2212028A (en) Speech/data communication systems
US4224688A (en) Digital conference circuit
WO1985000262A1 (en) Control information communication arrangement for a time division switching system
US4296492A (en) Continuity verification arrangement
US4301531A (en) Three-party conference circuit for digital time-division-multiplex communication systems
CA1160372A (en) Trilateral duplex path conferencing system with broadcast capability
US4550404A (en) Switching system having remote switching capability
US4484323A (en) Communication arrangements for distributed control systems
CA1207924A (en) Control information communication arrangement for a time division switching system
IE4336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a plurality of simultaneous conferences in a pcm switching system
US4602363A (en) Expansion apparatus for use in communication systems
US4245339A (en) Telecommunication switching network having a multistage reversed trunking scheme
KR840002347B1 (ko) 디지탈 전자 교환장치
US4472798A (en) Telecommunication path substitution arrangement
US3632884A (en) Time division communication system
US5079761A (en) Circuit arrangement for a centrally-controlled, time-division multiplex telephone switching system having a central switching matrix network and decentralized terminal groups
KR920005064B1 (ko) 타임 스위치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