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359B1 - 비데오 기록-재생장치의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비데오 기록-재생장치의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0359B1
KR860000359B1 KR1019850003069A KR850003069A KR860000359B1 KR 860000359 B1 KR860000359 B1 KR 860000359B1 KR 1019850003069 A KR1019850003069 A KR 1019850003069A KR 850003069 A KR850003069 A KR 850003069A KR 860000359 B1 KR860000359 B1 KR 860000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screw
disc
recording
coupling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3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8543A (ko
Inventor
엘 윌킨슨 리차아드
에스 윈스로우 죤
Original Assignee
디스커비젼 어소시에이츠
로늘드 제이 클라아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273441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86000035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디스커비젼 어소시에이츠, 로늘드 제이 클라아크 filed Critical 디스커비젼 어소시에이츠
Priority to KR1019850003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0359B1/ko
Publication of KR850008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8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0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02Driving or moving of heads
    • G11B21/04Automatic feed mechanism producing a progressive transducing traverse of the head in a direction which cuts across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recording medium, e.g. helical scan, e.g. by lead-screw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02Driving or moving of heads
    • G11B21/08Track changing or selec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Landscapes

  • Moving Of Head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Position Track Following On Tapes (AREA)
  • Recording O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데오 기록-재생장치의 구동장치
제1도는 비데오 기록-재생장치를 도시하는 부분 절개된 분해 사시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구동장치의 확대 사시도 이다.
제3도는 제2도의 3-3선을 따라 취한 확대된 수직 단면도이다.
제4도는 제3도의 4-4선을 따라 취한 수직 단면도이다.
제5도는 제4도의 5-5선을 따라 취한 수직 단면 분해도이다.
제6도는 구동장치의 확대 분해 평면도 이며, 부분적으로 개요가 도시되어 있다.
제7도는 구동장치의 일부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확대분해 평면도이다.
제8도는 제7도의 8-8선을 따라 취한 수직 단면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비데오 기록-재생장치의 개선에 관한 것이며, 특히 광학적 기록-재생 헤드를 포함하는 광학장치 운반체를 비데오 디스크에 대해 반경향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개선된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데오 기록-재생장치는 당해 기술분야에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신호를 저장하기 위하여 선택된 매개체를 사용하여 비데오 정보신호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기 위한 적절한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예를들면 한 종류의 장치에서, 비데오 신호는 기록 및 재생을 위해 소위 데비오 테이프상에 자기적으로 기록된다. 다른 종류의 장치에서는, 음반으로 부터 소리를 재생하는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비데오 신호를 디스크상에 바늘(stylus)로써 재생할 수 있도록 기록한다. 또 다른 장치에서는, 비데오 신호로 레이저 광선 같은 증폭된 광선을 주파수 변조시키고, 이 광선은 비데오 정보 디스크상의 감광성 코우팅(light-sensitive coating)의 표면 특성을 물리적으로 변경시킬만한 강력한 힘을 갖게하여, 이로써 신호를 디스크상에 기록한다.
재생할 때는, 낮은 힘을 갖는 광선을 디스크상에 반사시키고 얻어지는 신호를 복조하여 원래 기록된 신부를 재생한다. 이런 모든 종류의 장치에서, 오디오 신호가 비데오 신호와 함께 결합되어 통상적인 텔레비젼 방송등에 사용되는 오디오-비데오 복합 신호를 형성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는 간편성을 위해 비데오 정보신호라고 칭하기로 한다.
기록 및 재생을 위한 증폭 광선을 사용하는 비데오 기록-재생장치는 기록 및 재생장치 부품의 저장 매개체, 즉 정보 디스크와 모든 물리적 접촉이 제거된다는 점에서 매우 유리하다. 이같이 함으로써, 기계부품 및 디스크의 마모 및 저질화가 방지되고, 오랜기간에 걸쳐 선명하게 비데오 신호를 질이 떨어지지 않게 재생할 수 있다.
신호의 기록 및 재생을 위해 증폭광선을 사용하는 비데오 기록-재생장치에서, 기록 및 재생광선은 광학장치 운반체에 의해 비데오 정보 디스크상에 집중되는데, 광학장치 운반체는 디스크의 회전과 동시에 반경방향으로 디스크의 전장(全長)을 횡단한다. 이런 방식으로 디스크상에 비데오 정보를 나타내는 밀접하게 간격을 둔 나선형 트랙(track)이 형성된다. 각 디스크의 최대의 저장 용량을 위해, 그리고 최량의 신호재생을 위해, 정보 트랙은 약 0.5 미크론 정도의 좁은 폭을 가지며, 반경방향으로 인접한 두 나선형 트랙의 중심간의 거리는 1.5 미크론 정도이다. 기록 또는/및 재생시의 혼신 (cross talk)을 피하기 위해 광학장치 운반체의 반경방향 이동이 매우 정밀히 제어되고 일정한 속도를 갖도록해야 함은 절대 필요한 일이다.
종래의 기술에서, 광학장치 운반체를 선형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리이드 스크류(lead screw)기구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구조에서, 정밀 리이드 스크류는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리이드 스크류 너트를 축방향 이동시킨다. 너트는 광학장치 운반체에 고정되어 있고, 이로써 기록-재생헤드(head)는 리이드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정보 디스크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리이드스크류 너트와 광학장치 운반체 사이에 직접적인 물리적 접속을 요구하였고, 이로써 조작중 부품 사이의 약한 결합으로 인한 진동력을 피하기 위하여 리이드 스크류와 광학장치 운반체 사이의 정밀한 정렬 및 대칭적으로 힘이 걸리게하는 배열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로써 종래 기술의 리이드 스크류 구동장치는 설계상 매우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들면, 만족할 만한 성능을 얻기 위하여는 고도의 제작 기술과 숙련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비데오 정보 디스크에 대해 광학적 기록-재생헤드의 위치를 반경방향으로 제어적으로 이동 시키는, 비데오 기록-재생 장치용의 개선된 구동장치를 제공하여, 종래의 단점과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광학적 기록-재생 헤드를 포함하는 광학장치 운반체를 회전하는 비데오 정보 디스크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유연하게 효과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비데오 기록-재생 장치용 구동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동장치는 디스크의 트랙간의 상호간섭을 일으키는 구동장치 부품의 진동이나 비대칭적부하가 없이, 비교적 유연하고 정확한 이동을 위한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갖도록 설계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동장치는 지지 브래킷(bracket)내에서 자체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장치된, 나사산이 새겨진 정밀 리이드 스크류로 구성되는데, 이스크류는 적당한 모우터장치에 의해 밀접하게 제어된 속도로 회전구동된다. 리이드 스크류는 너트는 플루우팅-센터 커플링(floating-center coupling)에 의해 슬리이브형의 푸쉬 블록(pushblock)에 연결되는데, 이 커플링은 푸쉬 블록과 리이드 스크류 너트를 고정시켜 상호간의 회전을 방지시키는 한편 부품들의 제한된 축방향 비정렬만을 허용한다. 푸쉬블록은 다시 광학장치운반체에 직접 연결되는데, 이 운반체는 기록-재생 헤드를 회전하는 비데오 정보 디스크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이동 하도록 지지한다.
광학장치 운반체는 반경방향 이동을 우해 선형 트랙 조립체 위에 설치되는데, 이 조립체에는 광학장치 운반체에 고정되어, 리이드 스크류 브래킷에 고정된 트랙부제를 따라 선형적으로 이동가능한 접동부재(slidemember)가 포함되어 있다. 스크류 브래킷과 접동부재 사이에 일정한 힘을 갖는 스프링이 연결되어, 접동부재와 광학장치 운반체로 하여금 푸쉬 블록을 밀도록 작동해, 이 로써 푸쉬블록이 플로우팅-센터 커플링과 축방향으로 베어링 결합되게 한다. 이런 방식으로, 푸쉬블록과 커플링은 리이드 스크류 너트와 축방향의 베어링 결합이 지속되게 된다.
리이드 스크류가 한 방향으로 회전 구동될 때, 리이드스크류 너트는 플로우팅-센터 커플링 및 푸쉬블록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광학장치 운반체를 반경반향으로 이동시키고 디스크에 대해 한 반경방향으로 기록-재생한다. 리이드 스크류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리이드 스크류 너트는 반대방향으로 축방향이동 하고, 이로써 푸쉬블록과 커플링은 일정한 힘을 갖는 스프링의 영향하에서 리이드 스크류 너트를 뒤따르게 된다. 중요한 점은, 이동방향에 무관하게, 플로우링 센터 커플링에 의해 리이드 스크류 너트와 푸쉬블록은 이들 사이의 정밀한 축방향 정렬이 없어도 상호간에 밀접하고도 정확하게 함께 이동된다는 점이며 너트도 축방향의 대칭적인 부하가 유지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장점들은 첨부한 도면과 함께, 다음의 실시예에 따른 설명에 의해 명백해 질 것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데오 정보 디스크(14)에 비데오 정보를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한 적당한 광학 비전자 요소를 갖는 비데오 기록-재생장치(10)으로 실시되었다.
비데오 디스크(14)는 기록 및 재생 동작중에 디스크를 고속으로 회전, 제어하기 위한 스핀들 조립체(18)위에 제거할 수 있도록 지지되었다. 클램프 조립체(20)은 스핀들 조립체(18)과 협동 작용하여 디스크(14)를 정확한 중심위치로 고정시키어, 디스크가 편심되거나 미끄러지지 않고 정확하게 고속 회전하도록 해준다. 기록-재생 헤드(34)은 광학장치 운반체(30)상에 설치되어, 디스크의 회전과 동시에 본 발명의 선형 구동장치(38)에 의해 디스크(14)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선형적으로 이동 한다. 작동시, 이후에 설명되겠지만, 적절한 광학적 신호가 기록-재생 헤드(34)에 의해 디스크(14)상에 집중되어, 비데오 정보신호를 디스크상에 기록 및/또는 재생시킨다.
본 발명의 선형 구동장치(38)을 포함하는 장치(10)은 종래의 기술에 비해, 구동 요소와 피구동 요소사이의 정밀한 정렬이 요구됨이 없이 광학장치 운반체(30)과 기록-재생 헤드(34)를 비교적 부드럽게 선형 이동 및 제어하도록 구동장치(38)이 설계되었다는 점이다. 더우기, 구동장치(38)은 비교적 간단하고 값싼 장치들로 되어 있으면서도, 구동 요소들이 대칭적으로 부하를 받도록 하여, 이로써 요소들 사이의 비교적 약한 결속으로 인한 진동등과 같은 비데오 신호의 기록, 재생의 저질화를 야기시킬 수 있는 요인을 제거하고 있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비데오 기록-재생장치(10)은 정해진 비데오 정보신호를 디스크상에 기록하기 위해 사용되는, 아르곤 이온 레이저(argon ion laser)와 같은 비교적 고출력의 레이저 발생기 유니트(16)을 지지하는 기계기판(12)를 포함한다. 고출력 레이저 발생기 유니트(16)으로부터 발생된 고도로 증폭된 조준광선은 적당한 거울 조립체(22)에 의해 방향을 바꿔 전자적으로 구동되는 변조기(24)로 들어간다. 변조기(24)는 입력선(26)을 통해 공급되는 적당한 주파수 변조된 전자신호에 의해 구동되는데, 이 전자신호는 원하는 비데오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변조기(24)는 전자신호에 반응하여 증폭 광선을 적절히 방해하여, 대응하는 변조된 광학적 신호 광선을 만든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얻어지는 광학 신호광선을 정해진 비데오 신호를 나타내게 된다. 통상적으로 여러 경우에 전자신호는 보통 텔레비젼 방송에 사용되는 형태의 오디오-비데오 복합 신호이며, 이것이 변조기(24)에 공급되어, 복합적인 오디오 및 비데오 정보를 나타내는 광학신호 광선을 발생시킨다. 그러나, 성명을 쉽고 명확하게 하기 위해, 본 명세서 상에서는 모두 비데오 정보로 칭하기로 한다.
변조된 신호 광선은 제2거울 조립체(28)에 입사되어, 광학장치 운반체(30)으로 방향이 변경된다. 이 광학장치 운반체(30)은 경사져 있는, 이색성(二色性) 거울(32)를 포함하는데, 신호광선은 여기서 윗 방향으로 반사되어 기록-재생 헤드(34)를 통한 통로로 보내진다.
기록-재생 헤드(34)는 대물렌즈 조립체(36)를 갖고 있는데, 이 것은 신호광선을 비데오 정보 디스크(14)의 아랫면상의 정확한 지점에 집중시킨다.
광학장치 운반체(30)은 선형 구동장치(38)에 의해 디스크(14)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선형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이런식으로, 대물렌즈 조립체(36)은 디스크의 반경을 따라 디스크에 대해 이동가능하도록 장치되어, 신호광선의 디스크상의 집중점을 조절한다. 동시에 그리고 기록-재생 헤드(34)의 반경방향 이동과 동기(同期)되어, 비데오 정보 디스크(14)는 스핀들 조립체(18)에 의해 수직축 주위로 회전 구동된다.
더욱 특별히, 디스크(14)는 화전구동 스핀들(72)상에 수직으로 지지되는데, 스핀들(72)에는 디스크를 수직으로 지지하기 위한 상향 연장된 환형 쇼울더(4)와 디스크에 형성된 중앙개구(15)를 통해 수용되는 축 상부(上部)(16)가 포함된다. 구동 스핀들(72)은 직립의 스핀들 하우징(78)내에서 운반되는데, (78)은 장치기관(12)에 고정되어 있고, 또한 스핀들(72)를 그 수직 축 주위로 약 1800r. p. m. 정도의 고속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구동 모우터(도시되지 않음)는 스핀들(72)에 구동적으로 연결되어 스핀들을 비교적 고속으로 회전시킨다. 클램프 조립체는 고속 회전중에 디스크를 정확한 중심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스핀들(72)의 축 상부(76)위에 수체될 수 있다.
작동시, 신호 광선은 광학장치 운반용(30)위에 설치되어 반경방향으로 횡단하는 대물렌즈 조립체(36)에 의해 디스크의 고속 회전과 동시에 비데오 정보 디스크(14)의 밑면상에 집중된다. 반경방향의 횡단속도와 회전속도와의 관계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광학 신호광선은 디스크상의 밀접하게 간격을 둔 나선형 트랙을 따라 집중된다.
중요한 점으로, 디스크(14)는 금속 박층 같은 감광성 코우팅이나 광 저항성 물질을 포함하는데, 이 물질은 고출력 신호광선에 의해 물리적 성질이 변화되도록 되어 있어서, 신호광선은 규정된 비데오 정보를 나타내는 불연속의 형태로 디스크상에 기록된다.
실제적으로, 밀접히 간격을 둔 트랙의 폭은 0.5 미크론 정도이며, 인접한 트랙의 중심 사이의 간격은 약 1.5 미크론 정도이다.
제1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헬륨-네온 레이저(helium neon laser)와 같은 비교적 저 출력 레이저 발생기 유니트(80)이 광학장치 운반체(30)의 바로 위에 설치되어, 기록된 비데오 정보를 디스크(14)로 부터 재생해 내는데 사용된다. 이 저출력 이레저 발생기 유니트(80)으로 부터 증폭, 조준된 광선이 방출되어 디스크(14)로 부터 반사되며, 이때 반사광선을 기록된 비데오 정보에 따라 교대로 반사되는 변조된 재생광선을 이룬다. 이 변조된 반사 광선은 디스크(14)상의 감광 코우팅의 물리적 성질을 변화시키지 않을 정도의 낮은 출력을 갖는다.
저출력 레이저 발생기 유니트(80)으로 부터 발생된 증폭된 광선은 광학장치 운반체(30)상의 적당한 거울 조립체(82)에서 방향이 변경되어 경사진 거울(84)에 입사되어, 이 거울(84)에서 반사된 광선은 위로 올라가 이색성 거울(32)을 통해 대물렌즈 조립체(36)에서 디스크(84)상에 집중된다. 반사된 변조된 재생광선은 렌즈 조립체(36)을 통해 복귀되어 거울(84)에 반사되어 적당한 광학 및 전자요소(86)에 전달되어, 이곳에서 재생 광선을 복조하여 정해진 비데오 정보를 나타내는 전자적인 신호를 형성한다. 이 전자신호는 텔레비젼 수상기와 같은 적당한 비데오 디스플레이 장치에 공급되어 기록된 비데오 정보를 재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재새은 기록 기능과는 별개로 수행될 수 있으며, 따라서 기록 기능과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어 기록의 정밀도를 점검하는 역할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형 구동장치(38)은 광학장치 운반체(30)과 광학적 기록-재생 헤드(34)를 지지하여 비데오 정보 디스크(14)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선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장치(38)은 또한 결속(binding)이나 구동요소 및 피구동요소의 정밀한 정렬이 요구되지 않으면서도, 운반체(30)과 헤드(34)를 매끈하게 제어하며 구동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광학장치 운반체(30)은 선형 트랙 조립체위에 선형 트랙 조립체위에 선형 이동하도록 지지되는데, 이선형 트랙 조립체는 다수의 볼트(42)에 의해 장치기판(12)에 고정되는 지지 프레임(40)에 의해 운반된다. 이 선형 트랙 조립체는 핀(62)에 의해 광학장치 운반체(30)의 직립벽(44)에 고정되는 선형 접동부재(64)로 구성된다.
접동부재(64),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지지 프레임(40)에 적절히 고정된 트랙부제(70)위에서 선형운동을 하도록 안내된다.
적당한 선형 접동 혹은 로울링(rolling) 접촉 영역, 예를들면 볼 혹은 로울러 구조(도시되지 않음), 이 접동부재(64)와 트랙부재(70) 사이에 설치되어, 접동부재(64)가 거의 진동없이 매끈한 선형 운동을 할 수 있게 한다. 중요한 것은, 이 선형 운동 방향이 헤드(34)의 원하는 반경방향 이동과 평행하게 정렬되어 있어서, 헤드(34)는 디스크(14)의 반경을 따라 선형 이동하도록 속박된다.
거의 일정한 장력을 갖는 밴드 스프링의 형태인 장력 스프링(66)이 설치되어 접동부재(64)를 압박하여, 이로써 또한 광학장치 운반체(30) 및 관련된 기록-재생 헤드(34)를 허용된 선형이동범위의 한 단부 한계 위치로 압박한다. 이 스프링(66)은 접동부재(64)의 한 단부와 장력 배럴(tension barrel)(68) 사이에 적당히 연결되어 있으며 배럴(68)은 지지 프레임(40)상에 장치되아 자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있다. 밴드 스프링(66)의 정상 스프링 장력은 스프링을 배럴(68) 주위로 감으려고 작용하며, 따라서 접동부재(64)를 트랙부재(70)을 따라 선형적으로 배럴(68)을 향해 이끌려 한다. 따라서 이것은 광학장치 운반체(30) 및 기록-재생 헤드(34)를 선형 경로를 따라 정보 디스크(14)의 축 중심을 향해 이끌려는 힘을 작용한다.
광학장치 운반체(30) 및 기록-재생 헤드(34)의 선형 이동은 구동장치(38)의 구동 부분을 이루는 리이드 스크류 기구에 의해 제어되며, 이것은 제2도-제6도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이드 스크류기구는 부싱(41)내에서 자체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지지 운반되는 나사산이 새겨진 정밀 리이드 스크류(48)으로 구성되는데, 부싱(41)은 지지 브래킷(50)의 즉면으로 돌출된 아암(43)내에 수용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이 지지 브래킷(50)은 트랙 조립체를 운반하는 지지 프레임(40)의 윗면에 설치되며, 다수의 볼트(42)에 의해 프레임(40)을 따라 장치의 기판(12)에 고정된다.
리이드 스크류 너트(52)는 브래킷 아암(43) 사이에서 리이드 스크류(48)상에 나사적으로 수용되어 있으며 리이드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리이드 스크류(48)을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중요한 것은, 이후에 그 이유가 더욱 명백해지겠으나, 리이드 스크류(48)은 운반체(30) 및 헤드(34)의 선형 이동방향과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브래킷 아암(40) 사이의 간격은 리이드 스크류 너트(52)의 축방향 이동이 운반체(30) 및 헤드(34)의 원하는 선형 이동 거리보다 최소한 약간 초과하도록 하는 길이를 갖는다는 것이다.
리이드 스크류 너트(52)는 플로우팅-센타 커플링(53)를 통해 슬리이브 형의 푸쉬 블록(46)에 연결되며, 푸쉬 블록(46)은 리이드 스크류(48) 주위로 동심적으로 수용되어 있다. 이 푸쉬 블록(48)은 나사들(도시되지 않음)을 수용하기 위한 한 쌍의 나사산이 새겨진 개구(49)를 포함하는데, 이 나사들은 푸쉬블록(46)을 광학장치 운반체(30)의 직립벽(44)에 직접 연결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도시된 대로, 푸쉬블록(46)은 리이드 스크류(48) 주위에 반경반향 틈새가 형성되도록 하는 내부 반경을 가지며, 이 틈새는 제3도에 화살표(51)에 의해 나타나 있다. 이 틈새는 운반체(30) 및 헤드(34)의 선형 트랙 조립체에 대한 선형 이동한 충분한 틈새가 유지되며, 이로써 푸쉬블록(46)의 리이드 스크류(48)에 대한 대응하는 선형이 이루어진다. 중요한 점은, 이 틈새로 인해 리이드 스크류(48)과 푸쉬블록(46)의 이동경로 사이의 정밀한 정렬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는 점이다.
플로우팅-센터 커플링(54)는 푸쉬블록(46)을 리이드 스크류 너트(52)에 대해 회전치 못하도록 커플링하기 위해 설치되며, 이와 동시에 푸쉬블록(46)과 리이드 스크류 너트(52) 사이의 축방향 비정렬을 조정, 수용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더욱 특별히, 이 커플링(54)는 리이드 스크류(48) 주위에 수용된 커플링 블록(61)의 형태를 갖는 올드햄(Oldham) 형식의 커플링으로 구성된다.
푸쉬블록(46)과 마찬가지로, 커플링 블록(61)은, (63)으로 표시한 것과 같이, 축방향 이동중에 리이드 스크류(48)과의 접촉을 피하기 위한 충분한 틈새를 갖는다.
커플링 블록(61)에는 리이드 스크류 너트(52)를 향한 축방향 표면(67) 및 푸쉬블록(46)을 향한 축방향 표면(65)가 있다. 축방향 표면(65)는 제4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서로 반대의 반경반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홈(69)를 포함한다. 이 홈(69)들 각각은 수직 및 수평방향 성분을 가지며, 한 쌍의 커플링 볼(71)을 밀접하게 수용하기 위한 크기를 갖는다.
이 커플링 볼(71)은 나사산이 세겨진 축(73)과 일체로 형성되며, 축(73)은 리이드 스크류 너트(52) 내의 나사산이 새겨진 구멍(75) 내에 고정된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커플링 블록(61)의 축방향 표면(67)에도 반대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수직 및 수평방향 성분을 갖는 한 쌓의 홈(77)이 있다. 그러나 홈(77)은 대향표면(65)의 홈(69)에 대하여 각도적으로, 예를들어 제4도에 도시된 대로 90°어긋나 있다.
이 홈(77)은 둘째 커플링 볼(71)쌍을 밀접하게 수용하기 위한 크기를 가지며, 이 볼(71)들은 나사산이 새겨진 축(73)에의해 푸쉬 블록(46)내의 나사산이 새겨진 구멍(81)내에 고정된다.
각도가 어긋나 있는 대향하는 홈(69), (77) 쌍내에 수용된 커플링 볼(71)은 커플링 블록(61)을 일반적으로 리이드 스크류(48) 주위에 동심으로 지지하며, 또한(61)을 리이드 스크류 너트(52) 및 푸쉬 블록(46)과의 축방향 정렬상태로 지지하도록 작용한다. 너트(52)와 푸쉬블록(46)이 상호간에 축방향으로 정렬되지 못했을때, 커플링 블록(61)은 너트(52)와 푸쉬블록(46)의 상호간의 회전을 방지하는 동시에 이러한 비(非)정렬상태를 조정한다.
제1도에서, 일정한 장력을 갖는 밴드 스프링(66)은 운반체(30)를 디스크(14)의 축 중심을 향해 미는 힘을 가한다. 플로우링-센터 커플링(54)와 리이드 스크류 너트는 푸쉬블록(46)은 적당한 측면에 위치하며, 이때 푸쉬블록(46)의 항상 스프링(66)에 의해 커프링(54)와의 축방향 베어링 결합상태로 밀리며, 커플링(54)는 다시 너트(52)에 밀린다. 이러한 스프링 힘의 작용은 제6도에 잘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스프링(66)에 의해 푸쉬블록(46)과 리이드 스크류 너트(52)는 평상시 결합된 상태로 되며, 따라서 푸쉬블록(46)은 리미드 스크류 너트(52)의 축방향 이동을 추종하게 된다.
작동시, 리이드 스크류(48)는 비교적 저속의 전기 모우터(56)에 의해 자체축을 중심으로 회전구동되는데, 모우터(56)로는 스크류(48)을 일정한 속도로, 또한 회전방향을 바꾸어 구동할 수 있도록 회전방향이 가역인 직류 모우터 등이 사용된다.
이 모우터(56)은 지지 브래킷(50)의 측면 돌출 아암(55)상에 설치되며, 또 모우터 축(57)을 갖고 있어 이축은 금속 벨로우 커플링(bellows coupling) 같은 적당한 플렉서블 커플링(flexible coupiing)(59)에 고정된다. 커플링(59)는 또한 클러지 유니트(60)에 고정되어, 이 클러치는 알려진 방식대로 모우터 축(57)의 회전을 리이드 스크류(48)에 한 단부에 연결하도록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리이드 스크류(48)을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리이드 스크류 너트(52)는 커플링(54) 및 푸쉬플록(46)으로 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축방향 이동한다. 일정한 장력을 갖는 스프링(66)에 의해 커플링(54) 및 푸쉬블록(46)는 너트(52)의 축방향 이동을 따라가며, 이로써 광학장치 운반체(30) 및 기록-재생 헤드(34)도 비데오 정보 디스크(14)에 대해 안쪽으로 반경반향으로 횡단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디스크(14)가 회전하게 되면, 장치(10)은 비데오 정보를 기록 및 -또는 재생하도록 동작된다.
리이드 스크류(48)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리이드 스크류 너트(52)는 커플링(54) 및 푸쉬블록(46)을 향해 축방향 이동한다. 이로써 운반제(30) 및 헤드(34)는 비데오 디스크(14)에 대해 바깥쪽 반경방향으로 선형 횡단한다. 장치(10)의 작동에서, 이 횡단방향은 비데오 정보의 역방향 재생에 해당하는데, 다르게는 헤드(34)를 디스크상의 기록 및 재생을 위한 출발위치로 되돌리는 것이다. 편리를 위해, 리이드 스크류가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든, 적당한 기어(37)을 통해 리이드 스크류(48)에 연결된 계수기 유니트(35)는 헤드(34)의 디스크(14)에 대한 반경방향 위치를 표시한다.
회전방향 가역의 직류 모우터와 같은 비교적 고속 전기 모우터(58)이 설치되어 리이드 스크류(48)을 비교적 고속으로도 회전방향을 가역으로 구동시킨다. 이 고속 모우터(58)는 코그 벨트(cog belt) 같은 벨트(84)을 통해 클러치 유니트(60)에 연결된 모우터 축(83)을 포함한다.
클러치 유니트(60)은 원할 때 고속 모우터(58)의 출력을 리이드 스크류(48)에 연결하여, 리이드 스크류를 어느 방향으로든 신속히 축방향 이동시키도록 적당히 작동된다.
이러한 너트(52)의 신속한 이동으로 인해 운반체(30) 및 헤드(34)도 저속 모우터(56)에 대해 기술한 것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신속히 반경방향으로 이동한다. 작동시, 고속 모우터(58)은 기록-재생 헤드(34)를 고속-전진(fast-forward)으로, 혹은 고속-후진(fast-reverse)으로 반경방향 이동시키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클러치 유니트(60)은 저속 모우터(56)이나 고속 모우터(58)을 리이드 스크류(48)에 연결하도록 작동될 수 있으며, 혹은 모우터(56)(58)을 둘다 리이드 스크류(48)로 부터 뗄 수 있다. 중요한 것은 클러치유니트(60)은 그 설계나, 구조나, 제어적으로 통상적이므로, 여기서 상세히 기술되거나 도시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구동장치(38)은 구동요소, 즉 리이드 스크류(48) 및 리이드 스크류 너트(52)와 피구동 요소, 즉 푸쉬블록 형태의 피구동 요소 사이에 정밀한 축방향 정렬이 요구되지 않는다는 점을 종래 기술에 대한 실제적인 개선점으로 갖는다.
플로우링-센터 커플링(54)은 축방향으로 비정렬 상태를 교정하며, 이로써 부품들은 틈새가 극소화되도록 극도로 밀착되게 제조될 필요없이 조립될 수 있다. 한편, 축방향의 비정렬이 허용됨에도 불구하고, 푸쉬블록(46) 및 커플링(54)이 리이드 스크류 너트(52)에 대해 스프링 부하되어 있어 축방향 힘은 너트(52)에 환형으로 균일하게 인가된다. 축방향 힘이 이같이 균일하게 가해지기 때문에 너트(52)와 리이드 스크류(48)사이에 접촉 영역에로 대칭적으로 부하가 걸리며, 따라서 기계 작동도중 너트(52)와 스크류(48) 사이의 결속(binding)이나 약한 진동등이 방지되게 된다. 이로 인해 디스크(14)의 인접 트랙간의 혼신(cross-talk)이 없는 고급의 신호기록 및 재생이 가능하게 된다.
리이드 스크류(48)을 회전구동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의 모우터 구동장치가 제7,8도에 도시되어 있는데, 제1도-6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것과 같은 부품들은 같은 숫자로 지정된다.
제7도,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이드 스크류(48)은 속도 및 회전방향을 변경할 수 없는 단일의 모우터(100)에 의해 회전 구동되며, 여기서 제1-6도의 클러치 유니트(60)은 빠져 있다.
속도 가변 모우터(100)은 리이드 스크류(48)을 저속부터 고속까지 양쪽 어느 방향으로나 회전 구동시킬수 있는 회전방향 가역의 직류 모우터로 구성된다. 모우터(100)은 그 상단부에 웜기어(worm gear)(104)를 갖고 있는 수직으로 연장된 모우터 축(102)를 포함한다. 웜기어(104)는 피니언 기어(106)와 구동 결합되어 있으며, 피니언(106)은 수평 연장돈 전동 축(110)상에 칼라(108)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전동 축(110)은 볼베어링등과 같은, 보호 커버 하우징(113)내에 장치된 한쌍의 저어널 베어링(journal bearing)(112)에 의해 실려 있으며, 한 단부에서 플렉서를 커플링(59)에 연결되어 있다. 플랙서블 커플링은 한편 리이드 스크류(48)의 인접 단부에 고정되며, 이에 상기 인접 단부는 감소된 단면을 갖는 축 부분(114)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가의 의해 본 발명 구동장치에 대한 다양한 수정과 개선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장치기관(12)에 대해 선형 이동하도록 이 장치기관(12)에 장착되어 있으며 광학헤드(34)와 함께 선형이동하는 접동부제(64)와, 자체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장치기판(12)상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접동부재(64)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뻗어나가는 리이드 스크류(48)와 이 리이드 스크류(48)의 회전에 따라서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리이드 스크류의 주위에 나선 수용되어 있는 리이드 스크류 너트(52)와, 상기헤드(34)와 함께 선형이동 하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리이드 스크류(48)의 주위에 배치되어서 상기 리이드 스트류를 따라 이 리이드 스크류와 물리적 접촉을 하지 않고 상기 헤드(34)와 함께 축방향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푸쉬블록(46)과, 상기 리이드 스크류 너트(52)와 상기 푸쉬블록(46)을 서로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결합시키고 상호간의 축방향 비정렬을 조정하도록 되어 있는 수단(54)과, 상기 리이드 스크류(48)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단일 가역 가변속 D.C. 모우터로 구성된, 광학헤드를 장치기판에 대하여 선형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
KR1019850003069A 1980-10-20 1985-05-06 비데오 기록-재생장치의 구동장치 KR860000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3069A KR860000359B1 (ko) 1980-10-20 1985-05-06 비데오 기록-재생장치의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198,696 US4337538A (en) 1980-10-20 1980-10-20 Drive assembly for a video recorder-playback machine
US198,696 1980-10-20
KR1019810002037A KR850001484B1 (ko) 1980-10-20 1981-06-08 비데오 기록-재생 장치의 구동 장치
KR1019850003069A KR860000359B1 (ko) 1980-10-20 1985-05-06 비데오 기록-재생장치의 구동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2037A Division KR850001484B1 (ko) 1980-10-20 1981-06-08 비데오 기록-재생 장치의 구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8543A KR850008543A (ko) 1985-12-18
KR860000359B1 true KR860000359B1 (ko) 1986-04-12

Family

ID=2273441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2037A KR850001484B1 (ko) 1980-10-20 1981-06-08 비데오 기록-재생 장치의 구동 장치
KR1019850003069A KR860000359B1 (ko) 1980-10-20 1985-05-06 비데오 기록-재생장치의 구동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2037A KR850001484B1 (ko) 1980-10-20 1981-06-08 비데오 기록-재생 장치의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4337538A (ko)
EP (1) EP0050369B1 (ko)
JP (1) JPS5778676A (ko)
KR (2) KR850001484B1 (ko)
AT (1) ATE11086T1 (ko)
AU (1) AU545167B2 (ko)
BR (1) BR8104927A (ko)
DE (1) DE3168072D1 (ko)
HK (1) HK51486A (ko)
MY (1) MY870003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159150A (en) * 1980-10-20 1983-12-20 Richard L. Wilkinson Video recorder-playback machine
JPS6029969B2 (ja) * 1982-06-18 1985-07-13 富士通株式会社 タッチ検出装置
US4788677A (en) * 1986-02-05 1988-11-29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Disk support mechanism in a player
US4947481A (en) * 1987-05-09 1990-08-07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Information reader for disk player
US5590102A (en) * 1995-01-12 1996-12-31 Discovision Associates Recording informatioin on an optical disc without using pre-manufactured tracks
US5978329A (en) * 1995-06-07 1999-11-02 Discovision Associates Technique for closed loop servo operation in optical disc tracking control
ATE201277T1 (de) * 1995-12-06 2001-06-15 Discovision Ass Gerät und verfahren zum regeln der fokussierung
US5689485A (en) * 1996-04-01 1997-11-18 Discovision Associates Track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CN110350739B (zh) * 2017-12-14 2021-01-22 佛山市拓赛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可精准下料的马达组装机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00638A (en) * 1956-04-23 1961-09-19 James R Dennis Record recording and playing device
GB1230851A (ko) * 1967-05-08 1971-05-05
US3852816A (en) * 1972-08-01 1974-12-03 Zenith Radio Corp Carriage assembly for a video disc playback deck
US3969768A (en) * 1974-07-05 1976-07-13 Tri-Data Magnetic disk head carriage
US4005493A (en) * 1975-02-25 1977-01-25 Sycor, Inc. Method and means for moving recording heads in disc-type recorders
US3977269A (en) * 1975-05-05 1976-08-31 Universal Thread Grinding Company Anti-backlash, self-aligning nu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778676A (en) 1982-05-17
EP0050369B1 (en) 1985-01-02
KR850001484B1 (ko) 1985-10-10
DE3168072D1 (en) 1985-02-14
EP0050369A1 (en) 1982-04-28
HK51486A (en) 1986-07-11
BR8104927A (pt) 1982-08-31
AU7249881A (en) 1982-04-29
JPS6156579B2 (ko) 1986-12-03
US4337538A (en) 1982-06-29
KR850008543A (ko) 1985-12-18
ATE11086T1 (de) 1985-01-15
AU545167B2 (en) 1985-07-04
MY8700037A (en) 1987-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349293B2 (ko)
JPS6030017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KR860000359B1 (ko) 비데오 기록-재생장치의 구동장치
EP0050365B1 (en) Spindle clamp assembly for a video recorder-playback machine
KR980011109A (ko) 광 기록 재생 장치
KR850001017B1 (ko) 비데오 녹화-재생 장치용 스핀들 조립체
KR850001481B1 (ko) 비데오 기록-재생 장치용 렌즈 조립체
JPH0335748B2 (ko)
KR850001019B1 (ko) 비데오 녹화-재생장치용 스핀들 조립체
KR850001018B1 (ko) 비데오 녹화-재생 장치용 스핀들 조립체
JP2537767B2 (ja) 光学式記録再生装置
KR850001482B1 (ko) 비데오 기록-재생 장치용 렌즈 조립체
JPS5930268A (ja) 円盤状記録媒体再生装置
JPH0348728Y2 (ko)
KR200201711Y1 (ko)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
KR0162388B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용 스핀들모터
JPH0192960A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H01199331A (ja) 光テープ装置の光ヘッド
JPS6332738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S6332735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S6139943A (ja) 光学式デイスク再生装置
JPS6332737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H1011888A (ja) 信号記録再生装置
JPS6139944A (ja) 光学式デイスク再生装置
JPH01263950A (ja) 光ヘ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