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356B1 - 콘베이어 체인 주유장치 - Google Patents

콘베이어 체인 주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0356B1
KR860000356B1 KR8201497A KR820001497A KR860000356B1 KR 860000356 B1 KR860000356 B1 KR 860000356B1 KR 8201497 A KR8201497 A KR 8201497A KR 820001497 A KR820001497 A KR 820001497A KR 860000356 B1 KR860000356 B1 KR 860000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piston
tank
hole
conveyor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1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10331A (ko
Inventor
시어그 프리드 케이 웨이스
챨리스 실 프로스터
Original Assignee
슈믿트 더블유 더베러
콘베이올 메인티낸스 앤드 서프레이 인코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슈믿트 더블유 더베러, 콘베이올 메인티낸스 앤드 서프레이 인코포레이숀 filed Critical 슈믿트 더블유 더베러
Publication of KR830010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10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0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7/00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 F16N7/14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the lubricant being conveyed from the reservoir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02Lubricating devices
    • B65G45/08Lubricating devices for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Nozzle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콘베이어 체인 주유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체인 주유 장치의 평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실예의 측면도.
제3도는 제1도의 Ⅲ-Ⅲ선상의 부분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포로켓트 치차의 평면도.
제5도는 제4도의 Ⅴ-Ⅴ선상의 단면도.
제6도및 제7도는 주유장치의 피스톤이 각각 최전단 위치 및 최후단 위치에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제4도의 Ⅵ-Ⅵ선상의 단면도.
제8도는 캠판 및 캠 안내홈의 평면도.
제9도는 1제도의 Ⅸ-Ⅸ선상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체인 주유장치 12 : 콘베이어
14 : I빔 16 : 구동체인
18 : 하부플랜지 20 : 트롤리 바퀴 아셈브리
22 : 지지판 24 : 상부플랜지
30 : 스포로켓트 아셈브리 32 : 바퀴(회전원판)
34 : 톱니 36 : 액체탱크(윤활유 저장탱크)
40 : 지지축 42 : 베아링 하우징
44 : 플랜지 46 : 보울트
48 : 상부 베아링 50 : 하부 베아링
52 : 간격부싱 54 : 너트
58 ; 원주홈 60 : 뚜껑
62 : 상부면 64 : 중심통공
66 : 원주스커트 68 : 액체충전구
70 : 충전관 72 : 캡
74 : 철망벽 80 : 피스톤 구동장치
82 : 실린더 84 : 브라켓트판
86 : 피스톤봉 88 : L형 브라켓트
90 : 홈 92 : 안내홈
110 : 몸체 112 : 결합부분
114 : 상부면 116, 118 : 측면
119 : 구멍(실린더실) 120 : 뒷면
122 : 전단부 124, 126 : 노즘구멍
130 : 분무노즐 132 : 계단식 구멍
134 : 분무공 150 : 실린더 슬리브
152 : 유입구 154 : 구멍
156 : 피스톤 158 : 전단부
160 : 후단부 162 : 구멍
164 : 유입홈 166 : 구멍
168 : 원주홈 170 : 배출구
180 : 윤활유 저장홈 186 : 공기 흡입통로
188 : 배출구 200 : 기름통로
201 : 화살표시 202 : 유입관
204 : 조절장치 206 : 유입구멍
208 : 통로 210 : 블럭
212 : 고정보울트 214 : 켐 로울러
216 : 축 218 : 켐 안내홈
220 : 켐판 222 : 스페이서
224 : 와샤 226 : 너트
232 : 직선부 234 : 직선부
236 : 정점 238 : 부분
205 : 깃발(액체수준 지시장치) 252 : 막대기
254 : 기 256 : 고정장치
260 : 깃발지지구 262 : S자고리
264 : 수직부 266 : 상부고리
268 : 하부고리 270 : 보울트
272 : 너트 274 : 브라켓트
280 : 부체장치 282 : 브라켓트
284, 286 : 단부 288 : 축
290 : 부체 292 : 이탈판
302 : 교반판 304 : 상단부
본 발명은 콘베이어 체인에 유류를 분무 또는 주유하는 장치. 좀더 상세히 말해서 저장식 체인 구동식으로 콘베이어 체인의 마찰부분에 윤활유 또는 기타 액체를 분무하여 주는 콘베이어 체인 주유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각종 형태의 천정 및 상형체인 콘베이어 장치가 있는데 이 콘베이어들은 제조 시설내에 있어서 조립라인, 창고 또는 각종 제조공장에서 부품운반을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천정형 콘베이어는 주로 길다란 I-빔상에 체인이 다수의 트롤이 아셈브리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콘베이어 시스템의 적절한 작동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체인연결부의 핀에 적절한 주유를 해주어야 한다. 주유시스템이나 분무장치에 있어서 중요한것은 액체를 적절히 공급시키고 과도한 분무를 피해야 한다는 점이다. 식품가공 공업의 경우에도 과도한 주유로 인하여 기름이 흘러내리는 것은 용납될 수 없는 것이다.
지금까지 천정체인 시스템, 상형체인 또는 견인 라인 콘베이어 시스템을 위하여 여러가지 형태의 체인 주유기 또는 분무기가 제안되었으며, 그러한 시스템들은 주로 원격 윤활유 저장탱크, 모우터 구동식 펌프 및 액체분무를 위한 분무장치를 이용하였다. 그러한 종래의 장치들은 부피가 크고 값이 비싸며 한편 과도한 액체분무를 초래할 수 있는 위험을 안고 있고, 윤활유는 체인의 심한 마모 부분에 대하여 항상 적절히 공급시킬수 없는 단점이 있다.
1979.6.26일자로 프로스트(Frost)외 다수인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159,046(체인 주유장치 및 방법)에서 상기 종래의 문제중에 몇가지를 해결한 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의 한가지 실시예에서 체인주유장치는 천정콘베이어 트롤리 범상에 지지되는 기름탱크를 가지고 있고, 다수의 톱니를 갖는 하나의 스포로켓트 바퀴가 체인 근처에 지지되어 회전하므로서 톱니들이 체인과 맞물리게 되어있다. 각 톱니들은 한쌍의 분무노즐을 가지고 있으며, 기름탱크에 연결된 조절밸브가 각 노즐에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조절밸브는 공기 작동식으로 착설하여 고정시킨 공기밸브에 의하여 작동되며, 공기밸브는 스포로켓트상의 부분품에 의하여 작동된다. 상기 특허에서 발표된 또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한개의 기계작동식 피스톤이 내부의 통로를 통하여 액체를 톱니에 위치한 분무노즐로 압출하며 피스톤은 켐 안내홈에 결합된 켐 로울러에 의하여 작동된다.
또 다른 종래의 주유 또는 분무장치의 실시예들이 1977.5.25일자로 톱슨의 수명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4,024,930(주유장치 및 방법)과 1978.4.25일자로 카스트의 수명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 4,085,821(주유장치)에서 발표되었다. 상기 미국특허 제4,024,930에서 발표된 장치는 윤활유를 유입관을 통하여 축속으로 통과시켜 피스톤 실린더내에 주입한다. 그 다음 윤활유는 스포로켓트상에 위치한 배출장치로 배출된다. 상기 스포로켓트와 피스톤 실린더를 형성하는 펌프 몸체는 회전할 수 있게 착설되어 있다. 상기 펌프는 주유 흡입다기관을 통하여 고정탱크로 연결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4,085,821에서 발표된 장치는 윤활유를 다수의 배출구로 송유하여 주는 모우터 구동식 피스톤 조절펌프를 가지고 있고, 배출구들은 윤활유를 콘베이어 장치의 각 부분에 보내주는 개개의 유관과 연통되어 있다. 하나의 전기스위치와 감촉암으로 이루어진 제어장치가 전동모우터를 펌프축과 연결하여 주는 클러치를 제어한다.
지금까지의 당면한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간편하고 소형의 자장식이며 작동을 위하여 외부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체인주유장치의 필요성이 존재하였다. 본질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회전하게 지지된 액체탱크와 그 탱크에 결합되어 체인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탱크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체인과 맞물리게 되어있는 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분무장치들이 상기 회전장치에 위치되어 체인이 움직임에 따라 액체를 그 체인에 분무하여 주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한가지 특징으로서 상기 분무장치는 하나의 노즐과 그 노즐 및 액체탱크를 서로 연결하는 기계식 펌프로 이루어져 있고, 펌프는 하나의 왕복피스톤을 가지고 있으며, 그 피스톤은 고정된 켐 안내홈에 결합된 켐에 의해서 작동된다. 액체탱크의 회전은 윤활유를 체인의 심한 마모부분에 공급시키도록 분무장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탱크내의 액체수준이 떨어지는 것을 지지하기 위하여 하나의 지시장치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지시장치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탄력성이 있어서 구부릴 수 있는 깃발이 액체탱크내에 장치된 부체에 의하여 작동되면 탱크내의 액체를 적절히 혼합시키기 위하여 교반판을 장치하며, 어떤 윤활유는 분산제를 함유하고 있어서 기름탱크에 바닥에 분산제 입자들이 침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계속적으로 교반되어야하며 본 발명에 따라 장입된 교반판에 의하여 혼합작용은 탱크의 회전과 함께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체인 주유장치는 간단하고 소형이며 자장식 및 자동식이다. 상기 장치는 가동을 위하여 전기모우터와 같은 외부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지금까지 고정된 원격탱크로부피의 소유관상의 연결부에 있어서 나타나는 누출문제는 해소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설치에 용이하고 정비하기 쉽고 정비할때 또는 주유가 필요없을때 체인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으며 상기 장치는 체인을 세척할 필요가 있을때는 용재를 분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액체분무는 체인의 심한 마모부분에 공급될 수 있으며 과도한 분무를 피할수 있고 체인이 움직일때에만 작동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체인 주유장치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에서 번호(10으로 표시된 체인주유장치는 하나의 천정 트롤리 콘베이어(12)에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고, 트롤리 콘베이어(12)는 길다란 I 빔(14)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으며 I 빔(14)에는 구동체인(16)이 매달려 있다. 상기 구동체인(16)은 I 빔(14)의 하부플랜지(18)에 지지되어 있는 트롤리바퀴 아셈브리(20)에 메달려 있다.
상기 체인주유장치(10)는 I 빔(14)의 상부플랜지(24)에 고정된 지지판(22)를 구성하고 다수의 톱니(34)를 주연에 구성한 바퀴(32)로 이루어지는 스포로켓트 아셈브리(30)가 장치되고 액체탱크(36)가 상기 스포로켓트 바퀴(32)상에 부착되어 있다. 제2도 및 제3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체탱크(36)와 스포로켓트 아셈브리(30)는 하나의 길다란 지지축(40)에 의하여 지지판(22)에 지지되어 회전하게 되어 있다. 길고 관모양의 베아링하우징(42)은 플랜지(44)를 구성하고 플랜지(44)는 보울트(46)로 스포로켓트 바퀴(32)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베아링하우징(42)은 상부 베아링(48)과 하부 베아링(50)을 끼우고 있고 지지축(40)은 간격부싱(52)과 너트(54)에 의하여 지지판(22)에 고정되어 있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지지축(40)은 고정되어 있고, 스포로켓트 바퀴(32)는 상부 및 하부베아링(48)(50)이 유삽된 지지축(40)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베아링(48)(50)은 쉽게 구할수 있는 종래의 볼 베아링 또는 로울러베라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액체저장탱크(36)는 원통형의 실린더 벽으로 이루어져있고, 그 실린더벽은 스포로켓트 바퀴(32)위에 원주홈(58)내에 끼워져서 결착되어 액체가 누출되지 않게 고정되어 있으며 지지판(22)에는 고정된 뚜껑(60)이 부착되어 있다. 뚜껑(60)은 지지축(40)이 통과할 중심통공(64)(제9도에 표시됨)을 뚫어서 설치한 상부면(62)을 형성하고, 뚜껑(60)에는 결합되었을때 액체저장탱크(36)의 상부 주위를 둘러싸는 원주스커트(6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뚜껑(60)에는 액체 충전구(68)가 부착되어 있으며 충전구(68)는 뚜껑(60)상의 적절한 구멍을 통하여 삽입되어 있는 충전관(70)으로 구성되고 충전구(68)를 막아주는 켓(72)이 있고 충전관(70)내에는 철망벽(74)(제 9 도)이 삽입되어 있어서 액체속에 있는 오염물질을 여과하여 주는 역활을 한다.
제 1 도에만 도시된 체인주유장치는 탱크(36)및 스포로켓트 아셈브리(30)를 체인(16)쪽 또는 반대쪽으로 움직여주기위한 장치를 할 수 있다. 압축공기피스톤 구동장치(80)는 지지판(22)상의 브라켓트판(84)에 고정된 실린더(82)와 L형 브라켓트(88)에 고정된 피스톤봉(86)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판(22)에는 길다란 홈(90)이 있고, 그 홈을 통하여 지지축(40)의 상단부가 연장되며, 지지축(40)은 L형브라켓트(88)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L형 브라켓트(88)는 적절한 안내홈(92)속에 위치하며 피스톤봉 (86)의 신장 및 수축에 의하여 체인주유장치 전체를 체인(16)쪽 또는 그 반대쪽으로 움직여 준다. 상기 피스톤 구동장치(80)는 생략될 수 있고 홈(90)은 스포로켓트 아셈브리(30)와 톱니(34)의 위치를 구동체인(16)에 맞추는데 이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포로켓트의 톱니(34)들은 각기 모두 펌프 및 분사장치를 가지고 있어서 액체 또는 윤활유를 체인의 핀부분으로 분무시켜 주게 되어 있다. 제4도-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톱니(34)는 스포로켓트와 결합되는 결합부분(112), 상부면(114)및 측면(116)(118)을 갖는 몸체(110)로 이루어지고 각 톱니(34)속에는 실린더 모양으로 끝이 막힌 구멍(119)이 형성되어 톱니몸체(110)의 뒷면(120)으로 내통되어 있고, 전단부(122)가 막혀 있다. 제 4 도 및 제 5 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톨니 몸체(110)의 측면(116)(118)으로 통하는 노즐구멍(124)(126)이 천공되고 이 노즐구멍(124)(126)은 단부가 폐쇄된 중앙구멍(119)으로 통하고 노즐구멍(124)(126)내에는 각각 분무노즐(130)이 끼워져 있으며 분무노즐(130)에는 각각 계단식구멍(132)을 구성하고 그 끝이 분무공(134)을 형성하며 노즐(130)과 노즐구멍(124)(126)들은 톱니몸체(110)의 종축에 대하여 위쪽으로 경사각도를 이루며 이것은 미국특허 제,1449,046에서 기술된 바와같이 액체의 분무방향이 구동체인(16)의 핀부분에 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실린더구멍(119)속에는 실린더슬리브(150)이 접속되며 슬리브(150)는 유입구(152) 가 천공되고 그 유입구(152)는 톱니(34)의 상부면(114)에 형성된 구멍(154)와 통하고 슬리브(150)내에는 피스톤(156)이 접속되어 왕복운동을 하게 되어있다. 상기 피스톤(156)은 전단부(158)와 후단부(160)를 구성한 실린더 모양과 같으며 피스톤몸체는 한쪽끝이 막힌 구멍(162)을 가지고 있으며 그 구멍(162)은 전단부(158)쪽이 개방되어 있고 피스톤(159)은 원주상에 윤활유 유입홈(164)이 형성되어 있으며 윤활유 유입홈(164)은 피스톤의 외주면을 한바퀴 돌면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156)은 원주면상에 다수의 유입구멍(166)이 형성되어 피스톤구멍(162)과 통하고 피스톤(156)은 앞쪽의 외주상에 위치한 원주홈(168)을 구성하고 피스톤구멍(162)으로부터 원주홈(168)으로 통하는 다수의 배출구(170)들이 형성되어 있다.
제4도, 제5도및 제6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슬리브(150)에는 내주면상에 축방향으로 폭이 넓은 액체 또는 윤활유 저장홈(180)이 형성되며 유입구(152)의 뒤쪽 근처까지 연장된 공기흡입통로(186)가 형성되어 있다. 슬리브(150)는 노즐구멍(124)(126)과 일치하는 지점에 배출구(188)가 형성되어 있다.
제 3 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스포로켓트 바퀴(32)에는 다수의 기름통로(200)가 형성되고 유입관(202)은 윤활유탱크(36)의 내부와 기름통로(200)를 연통시켜주며, 각 기름통로(200)속에는 조절장치(204)가 장치되어 있고 조절장치(204)는 기름유입구멍(206) 및 관통된 통로(208)를 갖는 구멍이 천공된 보울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조절장치(204)는 스포로켓트 바퀴의 톱니(34)에 있는 구멍(154)속으로 끼워지도록 위치되어 있다. 도면에서 알수있는 바와 같이 탱크(36)로부터 액체가 중력에 의하여 유입관(202), 기름통로(200), 조절장치(204)의 통로(206)(208)를 통하여 슬리브(150)의 유입구(152)속으로 흘러들어간다. 제6도 및 제7도에서 확실하게 도시된 바와같이 유입구(152)가 윤활유 유입홈(164)와 일치하도록 피스톤(156)을 위치시키면, 윤활유가 유입홈(164)으로 흘러들어가서 슬리브(15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있는 윤활유 저장홈(180)에 모이게 된다. 그다음 피스톤(156)을 뒤쪽으로 즉 제6도에서 왼쪽으로 움직이면 피스톤(156)에 형성된 유입구멍(166)들은 저장홈(180)과 통하게 되고 피스톤(156)이 후퇴하면 피스톤 실린더실의 전단부, 즉 실린더실(119)의 폐쇠단부에 진공이 이루어져서 윤활유가 유입구멍(166)들을 통하여 흡입된다. 그 다음 상기 윤활유 유입홈(164)이 공기흡입통로(186)과 통하게 되면 진공이 해소된다. 이때의 피스톤(156)위치를 제 7 도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위치에 있을때 공기가 화살표시(201)가 된 공기흡입통로(186)를 통하여 흡입되며 이때 공기는 공기흡입통로(186)를 통하여 유입홈(164)으로 흡입되어서 윤활유(액체)와 혼합되어 상기 윤활유 저장홈(180)및 유입구멍(166)을 거쳐서 피스톤구멍(162)속으로 통하게 되어있다. 이와같이 공기가 흡임되는 동안 저장홈(180)내에 있는 윤활유와 혼합되고 따라서 콘베이어체인(16)들을 주유할때 윤할유가 안개처럼 분무되어 훌륭한 주유효과를 얻을 수 있다.
공기가 윤활유속에 혼합되어 피스톤구멍(162)속으로 흡입된 후에 피스톤(156)을 배출구(170)들이 노즐구멍(124)(126)및 슬리브배출구(188)와 일치할 때까지 전진시키면 압축된 윤활유가 노즐(130)로부터 분무된다.
본 발명에 따라 실린더실(119)내부에서 피스톤(156)의 왕복운동을 제 3도 및 제 8 도에서 도시한 켐장치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켐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블럭(210)이 피스톤(156)후단에 고정볼트(212)와 같은 적절한 방법으로 고정되어 있고 블럭(210)의 하부면에는 축(216)이 주위를 회전하는 켐로울러(214)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켐로울러(214)는 통상 원형의 켐판(220)상에 형성된 켐안내홈(218)내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 켐판은 적절한 스페이서(222), 와샤(224)및 너트(226)(제 3 도)를 이용하여 지지축(40)에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되고 제 8 도에서 보는바와같이 켐안내홈(218)은 대략 원형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켐안내홈(218)의 직선부(232)는 피스톤(156)이 적절한 왕복운동을 하도록 켐로울러(214)를 동작시킨다. 상기 켐안내홈(218)은 윤활유 유입홈(164)이 유입구(152)와 일치하도록 피스톤(156)를 실린더실(119)내에 적절히 위치시키도록 설계되어있다. 윤활유탱크(36)와 스포로켓트 바퀴(32)가 회전하고 이에따라 켐로울러(214)가 켐안내홈(218)내에서 움직임에 따라 켐로울러(214)가 켐안내홈(218)내에서 움직이면서 켐로울러(214)가 상기 켐안내홈(218)의 직선부(234)에 위치되고 피스톤(156)이 왼쪽(제 7 도 참조)으로 움직이면서 공기통로(186)가 피슨톤의 유입홈(164)과 일치하게 된다. 그 다음 직선부(234)가 끝나고 원형부분으로 이동하면 피스톤(156)이 오른쪽(제 7 도)으로 움직이게되어 피스톤(156)의 펌프작용을 가능케하여 준다. 상기 펌프작용은 피스톤(156)이 실린더실(119)내의 최전단부(제 6 도)에 위치하였을 때, 켐안내홈(218)의 정점(236)에서 끝난다. 상기 위치에서 피스톤(156)과 슬리브(150)의 배출구들이 노즐구멍(124)(126)과 일치하게 된다. 켐안내홈(218)은 또한 피스톤(156)을 최초 출발위치로 복귀시키는 부분(238)을 가지고 있다. 윤활유탱크(36)이 회전함에 따라 피스톤은 상기 위치에서 켐로울러(214)가 켐안내홈(218)의 직선부(234)로 들어갈때 까지 머문다. 이렇게하여 스포로켓트 바퀴톱니(34)가 콘베이어체인(16)과 맞물릴때에만 연속적으로 윤할유분무가 이루어진다.
제1도 및 제2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탱크(36)속에 윤활유 높이가 낮아졌을때 이것을 가르키기 위한 특별한 지시기가 장치되어 있다.
상기 지시기는 유연하게 구부릴 수 있는 막대기(252)와 기(254)를 형성하고 있는 깃발(250)로 이루어져 있다. 막대기(252)는 주로 코일스프링으로 만들어져서 지지판(22)에 적절한 고정장치(256)로 고정되어 있고 탱크(36)의 뚜껑(60)위에는 회전하도록 되어있다 깃발지지구(260)가 장치되며 깃발지지구(260)는 길다란 수직부(264)와 상부고리(266)및 하부고리(268)로 형성된 통상 길다란 S자형고리(262)로 이루어지고 S자형고리(262)는 구멍이 뚫린 보울트(270)속에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보울트(270) 뚜껑(60)상의 적절한 구멍속에 너트(272)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S자형고리(262)에 바로 인접된 부분에 브라켓트(274)가 위치하고 있다.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깃발(250)의 막대기(252)는 아래쪽으로 꾸부려서 상기 브라켓트(274)와 S자형고리(262)의 상부고리(266)사이에 걸게되어 있다. 상기 S자형고리(262)가 회전하면 깃발(250)이 상부고리(266)로부터 풀려서 일어서게 되며, 이때 윤할유 높이가 낮아진 상태를 가르키도록 되어있다.
제 3 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S자형고리(262)는 부체장치(280)에 의하여 회전된다. 상기 부체장치(280)는 베아링하우징(42)의 플랜지(44)에 고정되어 있는 브라켓트(282)를 가지고 있다. 상기 브라켓트(282)는 상하수직으로 위치하고 있는 단부(284),(286)를 가지고 있고 이들 단부(284),(286)의 구멍들이 상하로 정열되어 있어서 그 구멍을 통하여 부체축(288)이 끼워져있고 부체축(288)의 하단부에는 적당한 부체(290)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축(288)의 상단부에는 이탈판(292)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이탈판(292)는 원형와샤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면에서 상세된 바와같이 탱크(36)내에 윤활유 높이가 낮아지면 상기 부체(290)가 아래쪽으로 내려오고 스포로켓트 바퀴의 톱니(34)가 콘베이어체인(16)에 맞물려서 탱크(36)를 회전시킬때 부체(290)는 탱크(36)의 밑바닥을 이루는 바퀴(32)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부체(290)가 낮은 위치로 떨어지게되면 이탈판(292)이 S 자형고리(262)의 하부고리(268)와 충돌하여 S 자형고리(262)를 회전시키게되고 따라서 깃발(250)의 막대기(252)를 풀어주게 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체인주유장치는 탱크(36)내에 있는 윤활유 또는 기타 액체가 적절히 혼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교반판을 장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교반기는 고정된 뚜껑(60)의 상단부(304)를 부착한 길다란 교반판(302)으로 구성되며 상기 교반판(302)은 탱크(36)속에 아래쪽으로 바퀴(회전원판)(32)바로 위쪽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제 1 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교반판(302)은 통상 탱크(36)의 중앙회전축(40)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위치하고 있고 탱크(36)가 고정된 뚜껑(60)에 대하여 회전하기 때문에 윤활유가 계속적으로 교반판(302)에 부딪치게 되어 윤활유가 교반됨으로 윤활유속에 있는 분산제가 가라앉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유장치(10)는 사용시 체인(16)에 인접하여 설치하므로서 개개의 톱니(34)가 체인과 맞물려서 구동되게 되며 체인이 이동함에 따라서 스포로켓트 바퀴의 톱니(34)가 이동하게 되고 바퀴(32)와 탱크(36)도 회전한다. 피스톤(156)은 켐판(220)상의 켐안내홈(218)안에서 움직이는 켐로울러(214)에 의하여 작동되며 피스톤(156)들은 오직 톱니(34)가 체인(16)과 맞물려 있을 때에만 작동하게 되어있다. 탱크(36)내에 있는 윤활유 또는 액체는 그때 그때 해당 톱니(34)속으로 일정하게 조절되면서 유입되고 노즐(130)을 통하여 압축분사되어 체인(16)의 연결핀에 분무된다. 상기 장치는 윤활유를 안개상태로 체인에 분무시키도록 되어있다.
탱크(36)내의 액체높이가 너무 낮아지면 부체장치(280)가 S자형고리(262)를 작동시켜 풀러주게되고 이때 튕겨져 일어선 깃발(250)은 운전요원에게 탱크에 윤활유 추전을 지시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본질적으로 자동식이며, 외부로부터 작동에 필요한 동력을 공급받을 필요가 없으며, 펌프 및 분무작용은 톱니와 체인이 맞물려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장치는 동력을 체인으로부터 얻게되고 펌프작용이 체인의 이동시에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종래에 비하여 과도한 주유, 방울져서 흘러내리는 폐단 및 기타 문제들이 해결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콘베이어 시스템에 있어서 중간 톱니바퀴로서 사용될수 있고 본 장치는 세척 작업시에는 용재를 체인에 분무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으며 공기와 혼합하지 않고 압축된 용제를 분사하기 위해서는 공기흡입구(186)를 폐쇄하므로서 가능하다.
상술한 설명에 따라 이 분야의 전문기술자는 본 발명의 개념에서 벗어남이 없이 여러가지의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예를들어 펌프 피스톤(156)과 노즐(130)을 포함한 분무장치를 반드시 스포로켓트 바퀴의 톱니에 착설하거나 또는 톱니의 일부로서 형성시킬 필요가 없다. 상기 분무장치는 톱니에 의하여 지지되는 별도의 장치에 착설할 수도 있고 윤활유 수준이 낮은것은 지시하는 기시기도 튕겨져 일어나는 깃발구조 이외에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내용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한가지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 명백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정신과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Claims (15)

  1. 콘베이어 체인과 맞물리게 되어있고, 그 체인에 윤활유 및 용제등을 불무하게 되어있는 자동식, 자장식 주유장치로서 다수의 톱니가 원판에 착설되어 함께 회전하게 되어있는 액체탱크, 바퀴(회전원판)를 체인에 인접하여 회전하도록 지지하여 주기 위한 지지장치, 톱니속에 위치하고 있는 최소한 한개의 분무노즐 및 탱크로부터 액체를 노즐로 펌프하여 주기 위하여 액체탱크와 분무노즐 사이를 서로 연결하여주는 펌프장치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톱니가 체인과 맞물려서 움직임에 따라 상기 바퀴가 회전하도록 되어있는 콘베이어 체인 주유장치.
  2. 청구범위 1에서 상기 펌프장치는 실린더실을 형성하고 액체탱크와 연결되어있는 액체유입통로를 가지고 있는 하우징, 상기 실린더안에서 왕복운동을 하게되어 있는 피스톤과 원판이 회전함에 따라 피스톤을 상기 실린더실내에서 왕복운동을 시키므로서 액체를 분무노즐쪽으로 펌프하여 주도록 피스톤을 작동시키는 켐장치로 이루어지는 콘베이어 체인 주유장치.
  3. 청구범위 2에서 상기 피스톤은 길다란 원통형 몸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몸체속에는 구멍이 천공되어 내부끝은 막혀있고 전단부는 열려있으며 몸체의 후단부 근방에는 외주둘레에 액체 유입홈이 구성되어 있고 몸체 내부의 구멍으로 통하여 유입구와 몸체의 내부 구멍으로부터 외주상으로 통하는 배출구가 뚫려있고, 피스톤 하우징은 몸체의 배출구와 일치시켜 정렬될 수 있으며 노즐과 연결되는 분무구를 가지고 있는 콘베이어 체인 주유장치.
  4. 첨구범위 3에서 상기 피스톤하우징은 액체 유입구(152)이 하우징유입구인 구멍(154)와 일치하도록 피스톤이 위치할 때 액체가 흘러들어 가도록 되어있는 윤활유 저장홈(180)을 가지고 있는 콘베이어 체인 주유장치.
  5. 청구범위 4에서 상기 하우징은 실린더실(119)로 통하는 공기흡입통로(186)를 가지고 있으며, 피스톤이 뒤로 후퇴하여 그 전단부(158)에 진공을 만들어주고, 공기흡입구는 윤활유저장홈(180)과 유입구(152)를 통하여 피스톤 내부구멍(162)과 연통하게 놓일 수 있도록 공기흡입통로(186), 윤활유저장홈(180)및 피스톤의 유입구멍(166)를 위치시키므로서 펌프장치에 의하여 분무노즐(130)로 펌프된 액체를 공기와 혼합되도록 하는 콘베이어 체인 주유장치.
  6. 청구범위 1에서 상기 장치는 액체탱크(36)의 액체수준이 낮아졌을 때 자동적으로 지시하기 위한 액체수준 지시장치인 깃발(250)을 가지고 있는 콘베이어 체인 주유장치.
  7. 청구범위 6에서 액체수준 지시장치인 깃발(250)은 지지판(22)에 부착되어 있는 회전식 깃발 지지구(260), 부체(290)및 그 부체가 탱크(36)내에서 수직운동을 하도록 부체를 지지하여주며 상기 부체가 낮은 액체수준 때문에 내려갈때 회전식 깃발 지지구를 작동시키는 탈리 장치인 이탈판(292)를 가지고 있는 부체를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트(282)와 깃발지지구에 의하여 통상 구부려 놉혀서 지지되며, 한편 상기 깃발지지구(260)가 상기 탈리장치인 이탈판(292)에 의하여 회전될 때는 다시 일어선 상태로 튕겨져 일어나는 유연한 막대기(252)를 구성하고 있는 자동직립식 깃발(250)로 이루어지는 콘베이어 체인 주유장치.
  8. 청구범위 7에서 상기 장치는 또한 상기 액체탱크의 액체수준이 낮아질때 자동적으로 지시하여 주는 액체수준 지시장치를 가지고 있는 콘베이어 체인 주유장치.
  9. 청구범위 9항은 삭제함.
  10. 청구범위 1에서 상기 탱크내에 있는 액체를 교반하기 위하여 그 탱크내에 장치한 교반판(302)를 갖는 콘베이어 체인 주유장치.
  11. 청구범위 10에서 상기 교반판은 상기 지지판(22)에 고정되어 상기 탱크속으로 연장되어 있는 콘베이어 체인 주유장치.
  12. 청구범위 12항은 삭제함.
  13. 청구범위 13항은 삭제함.
  14. 이동하는 체인에 고압액체 윤활유를 분무하기 위하여 액체공급원 및 그 액체공급원에 연결되어 작동하는 기계식 분무장치로 이루어지는 장치로서 상기 기계식 분무장치는 전단부(122), 뒷면(120) 및 측면(116)(118)으로 형성되는 몸체(110)를 가지고 있고 내부에는 전단부(122)가 막힌 실린더실(119)이 형성되어 있고 그 후단부는 열려있으며 액체탱크(36)에 연결된 액체유입구 및 실린더로 통하는 구멍과 실통되어 있는 노즐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실린더실 내부에는 길다란 원통형으로된 피스톤(156)을 끼워넣고 외주상에 액체 유입홈(164)이 있으며 내부는 실린더실(119) 전단부(122)쪽으로 열려있으며 피스톤구멍(162)에는 액체유입구인 구멍(166)이 있으며 내부는 실린더실(119) 전단부(122)쪽으로 열려있으며 피스톤구멍(162)과 그 외주표면 사이에 구멍이 천공된 배출구 (170)와 내측면에 윤활유 저장홈(180)을 가지고 있고 상기 피스톤이 실린더 실내에서 왕복운동을 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콘베이어 체인 주유장치.
  15. 청구범위 14에서 상기 실린더실의 내측면에는 후단부를 통하여 천공된 공기흡입통로(186)이 구성되어 피스톤이 뒷쪽으로 후퇴할 때 공기가 윤활유 저장홈(180)속으로 흡입되도록 위치하고 있는 콘베이어 체인 주유장치.
KR8201497A 1981-04-06 1982-04-01 콘베이어 체인 주유장치 KR8600003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51334 1981-04-06
US06/251,334 US4401188A (en) 1981-04-06 1981-04-06 Chain spray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10331A KR830010331A (ko) 1983-12-30
KR860000356B1 true KR860000356B1 (ko) 1986-04-12

Family

ID=22951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1497A KR860000356B1 (ko) 1981-04-06 1982-04-01 콘베이어 체인 주유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401188A (ko)
EP (1) EP0063446A1 (ko)
JP (1) JPS57180518A (ko)
KR (1) KR860000356B1 (ko)
AU (1) AU8191782A (ko)
BR (1) BR8201945A (ko)
CA (1) CA118101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41658C2 (de) * 1983-11-18 1986-07-10 GerroKaiser Dosenwerk GmbH & Co KG, 4350 Recklinghausen Vorrichtung zum Schmieren einer Kette
DE3610973A1 (de) * 1986-04-02 1987-10-08 Linde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zeugung von stickstoff
US5186280A (en) * 1991-05-03 1993-02-16 Mattcheck Donald L High temperature oven conveyor chain lubrication system
US7935390B2 (en) * 2006-02-02 2011-05-03 Spraying Systems Co. Electrostatic lubricant dispensing system
CN115027749A (zh) * 2022-06-22 2022-09-09 重庆上口佳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豆干加工用自动包装机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147A (en) * 1896-08-18 Frank bella torre
US807731A (en) * 1904-05-17 1905-12-19 Link Belt Engineering Company Lubricator for sprocket-wheels.
US919668A (en) * 1907-11-09 1909-04-27 Archie Williams Vegetable-washer.
CH98134A (de) * 1921-11-04 1923-03-01 Blumer Heinrich Zahnrädergetriebe.
US1933464A (en) * 1931-10-28 1933-10-31 Wests Gas Improvement Co Ltd Means for lubricating conveyers
US1914093A (en) * 1932-03-24 1933-06-13 Charles R Adams Chain oiler
US1990408A (en) * 1933-03-24 1935-02-05 Proctor & Schwartz Inc Oiling device for conveyer chains
US2543495A (en) * 1946-12-20 1951-02-27 Granville C Henry Mixing machine
US2570179A (en) * 1947-05-07 1951-10-02 Babcock & Wilcox Co Device for fluid flow between relatively moving objects
US2558370A (en) * 1947-06-26 1951-06-26 Charles R Miller Automatic oiler for slat conveyers
US2684733A (en) * 1951-02-21 1954-07-27 George A Freiman Lubricating device for conveyers
US2624423A (en) * 1951-02-26 1953-01-06 Marlin C Moore Lubricating device
US2675098A (en) * 1952-03-31 1954-04-13 Electrical Engineering And Mfg Worm gear lubrication
US2848068A (en) * 1954-05-07 1958-08-19 J N Fauver Co Inc Conveyor lubricator
US2920720A (en) * 1954-06-01 1960-01-12 Clarke Chapman Ltd Lubricators for sprocket chains
GB767219A (en) * 1954-06-11 1957-01-30 Clarke Chapman And Company Ltd Improvements in lubricators for sprocket chains
US2800199A (en) * 1954-11-16 1957-07-23 Walter F Mlynarek Lubricator for articulated conveyor belts
US2813599A (en) * 1955-03-11 1957-11-19 Westfield Mfg Company Lubricating device for bicycle sprocket chain
US2908355A (en) * 1957-06-26 1959-10-13 Marlin C Moore Automatic chain lubricator
US2909937A (en) * 1957-09-03 1959-10-27 William A Williams Chain lubricator and dust guard
US2951557A (en) * 1958-02-18 1960-09-06 Oscar H Jung Oil applicator
US2998865A (en) * 1958-03-20 1961-09-05 Limon Fluhme & Co De Lubricating device
US2990916A (en) * 1958-08-25 1961-07-04 Aro Equipment Corp Automatic trolley lubricator
US3073415A (en) * 1960-06-08 1963-01-15 Olsen Mfg Company Conveyor lubricating apparatus
GB937154A (en) * 1961-08-01 1963-09-18 Alec Patrick James Means for lubricating the bearings of endless conveyor spindles, rollers, trolleys and the like
US3116810A (en) * 1961-10-17 1964-01-07 Gene R Olson Lubricating devices
US3113337A (en) * 1962-01-08 1963-12-10 Frank J Lyden Brush assembly
GB1022476A (en) * 1963-11-11 1966-03-16 Newall Eng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lubricating devices
US3229808A (en) * 1964-03-25 1966-01-18 Gene R Olson Conveyor chain cleaning device
US3424022A (en) * 1967-01-23 1969-01-28 Babcock & Wilcox Co Hydrostatic gearing
US3430927A (en) * 1967-11-06 1969-03-04 Edward G Pouzar Receptacle moving mixer
GB1272967A (en) * 1968-07-30 1972-05-03 Tokyo Shibaura Electric Co Apparatus for supplying lubricant to chain links
US3599753A (en) * 1969-07-14 1971-08-17 Warren J Walsh Conveyor roller lubricating device
US3684059A (en) * 1970-04-20 1972-08-15 Jack L Stoner Chain lubricating apparatus
US3672468A (en) * 1970-08-03 1972-06-27 John D Schuster Lubricating idler for roller chains or the like
NO129163B (ko) * 1971-07-15 1974-03-04 N Tharaldsen
US3762504A (en) * 1972-06-29 1973-10-02 J Banyas Lubrication system for endless chain conveyors
US3869023A (en) * 1973-01-22 1975-03-04 Madison Kipp Corp Mechanical lubricating device and method
US3895690A (en) * 1974-03-12 1975-07-22 Madison Kipp Corp Lubricator assembly with automatic reset
US4009764A (en) * 1974-05-22 1977-03-01 Hafner Henry F Lubricating apparatus for conveyor chains
DE2436582A1 (de) * 1974-07-30 1976-02-19 Torwegge Maschf F Abschmiervorrichtung fuer transportketten
US4024930A (en) * 1975-10-03 1977-05-24 Madison-Kipp Corporation Lubricating device and method
US4089295A (en) * 1976-02-02 1978-05-16 Madison-Kipp Corporation Spray coater device
DE2612390C2 (de) * 1976-03-24 1984-08-16 Deutsche Babcock Ag, 4200 Oberhausen Tauchschmierung
US4085821A (en) * 1976-09-07 1978-04-25 Madison-Kipp Corporation Lubrication system
US4159046A (en) * 1977-08-29 1979-06-26 C. L. Frost & Son, Inc. Chain lubrication apparatus and method
JPS54272A (en) * 1978-04-27 1979-01-05 Tokyo Electric Co Ltd Dust coll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7180518A (en) 1982-11-06
US4401188A (en) 1983-08-30
KR830010331A (ko) 1983-12-30
CA1181018A (en) 1985-01-15
EP0063446A1 (en) 1982-10-27
BR8201945A (pt) 1983-03-08
AU8191782A (en) 1982-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20691C (en) Airless spray pump system and method for spraying a binder solution with suspended particles
CN109210356B (zh) 用于滚子链的润滑系统和配备有该润滑系统的传送组件
US6371137B1 (en) Tank cleaning apparatus
US4334596A (en) Hydraulic fluid-operated railway track lubricating apparatus
KR860000356B1 (ko) 콘베이어 체인 주유장치
JPH08507132A (ja) 建物の内部を洗浄するための装置、及びこの装置と関連した分配弁
US4085821A (en) Lubrication system
CN1118714A (zh) 液体混合装置
US2787403A (en) Pumping apparatus
CA1082112A (en) Lubrication pump
CN204953185U (zh) 一种高压无气喷涂机
CN110906146B (zh) 一种汽车贯通轴配件内壁润滑油涂覆保养设备
CN108361361B (zh) 一种自动润滑装置及应用该自动润滑装置的工程机械
US2561785A (en) Lubricating apparatus
US1731774A (en) Fluid-pressure pump
CN214790429U (zh) 一种龙门吊整机润滑装置
US2038125A (en) Power pump head
US5709536A (en) Hydro mechanical packingless pump and liquid spray system
US1117052A (en) Measuring-pump.
US1853602A (en) Lubricant supply pump
RU2119609C1 (ru) Гидромехан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мазки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консистентной смазкой
US4441442A (en) Self-oiling portable bag-closing sewing machine with pump
US4413957A (en) Portable, hand held, high pressure pump
KR20050037028A (ko) 그리스 펌프
US2239920A (en) Lubricating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