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083Y1 - 위치결정 조정기구 - Google Patents

위치결정 조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0083Y1
KR860000083Y1 KR2019820007330U KR820007330U KR860000083Y1 KR 860000083 Y1 KR860000083 Y1 KR 860000083Y1 KR 2019820007330 U KR2019820007330 U KR 2019820007330U KR 820007330 U KR820007330 U KR 820007330U KR 860000083 Y1 KR860000083 Y1 KR 8600000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member
link
pin
adjustment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73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1549U (ko
Inventor
마사노리 시부야
Original Assignee
혼다기껭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가와시마 기요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기껭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가와시마 기요시 filed Critical 혼다기껭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15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5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00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0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위치결정 조정기구
제1도는 요동식 삼륜차의 개략측면도.
제2도는 요동죠인트의 재단평면도.
제3도는 요동죠인트의 중요부분을 표시하는 종단 정면도.
제4도는 제2도의 4-4선 단면도.
제5도는 제2도의 5-5선 단면도.
제6도는 록기구의 저면도.
제7도는 가동부재의 종단측면도.
제8도는 (a)-(d)는 조정량을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삼륜차 10 : 죠인트
14 : 고정부재인 상부 케이스 15 : 지지축
30 : 링크기구 50 : 가동부재(브래키트)
60 : 조정핀 61 : 조정핀의 다각형 두부
62 : 가요성 금속편
본 고안은 고정부재에 대한 가동부재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위치결정 조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가동부재를 고정부재에 부착하여서 가동부재를 설정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경우, 각 부재의 치수의 오차 등에 의하여 조정이 필요하게 되고 또 가동부재가 단일체가 아니고 그 이상의 부재로서 구성되는 것이며 이러한 복수의 가동부재의 치수의 오차 등에 의하여 더욱 더 조정이 필요하게 된다.
특히 가동부재인 브래키트가 링크기구인 경우에는 정확하게 설정위치에 위치하도록 조정하지 않으면 안되고, 그런고로 지극히 정밀도가 높은 조립작업이 필요하게 되며 종래에 있어서는 오로지 부재치수 정밀도와 조립작업의 정밀도에 의존하여 왔다.
따라서 대단히 고도의 정밀도로서 조립하지 않아도 단계적인 미(微)조정이 가능하며 아울러 간단한 기구로서 고정부재에 가동부재(브래키트)를 조립 부착하여서 설정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조정기구가 바람직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요망에 부응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하는 바는 다단계적으로 미 조정하여 가동부재를 위치 결정할 수 있고 아울러 간단한 기구로서 이상의 것을 행할수 있는 위치결정 조정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으로 하는바는 고정부재에 여유를 두고 결합되고 가동부재와 당접하는 핀의 두부를 편심된 다각형으로 형성하고, 이 핀을 회전시켜서 다각형상 두부에 당접하는 가동부재의 위치결정의 조정이 자유롭게 하고, 특히 핀의 다각형상 두부의 각 변과 가동부재를 당접시키므로서 다단계적으로 미조정할 수가 있는 위치결정용 조정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다음에 본 고안을 채용한 알맞는 실시예로서 요동식 삼륜차의 요동 죠인트의 파아킹록 장치를 구성하는 링크기구와 함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 구성을 자세히 설명코저 한다.
제1도는 요동식 삼륜차의 개략 측면도이고, 제2도는 요동 죠인트의 재단평면도, 제3도는 요동 죠인트의 주요부분을 표시하는 종단정면도, 제4도는 제2도의 4-4선 단면도이다.
요동식 삼륜차(1)는 전부차체(2)와 후부차체(3)로 차체가 분할되고 전부차체(2)의 후하부와 후부차체(3)의 주요부분을 이루는 리어프레임(4) 사이는 요동죠인트(10)로서 연결되고 이 죠인트(10)의 전단에 설치된 부착 보스부(11),(11)를 핀(5)에 의하여 전부차체(2)에 장착하고 전부차체(2)의 시이트포스트(6)에 마련한 쿠숀유닛(7)의 하단에 죠인트(10)의 후부상에 돌설한 부착보스부(12)가 핀(8)에 의하여 장착된다. 이러한 요동죠인트(10)의 케이스는 하부 케이스(13)와 고정부재인 상부 케이스(14)의 중합 접합체로서 이루어지며, 전술한 리어프레임(4)에 기부를 고정한 지지축(15)을 요동죠인트(10)의 중앙부에 베어링 등을 계재하여서 전후 방향으로 끼워꽂고 이것에 의하여 죠인트(10)는 지지축(15)을 지지점으로 하여 요동이 자유자재가 되고 또한 전술한 핀(5)을 지지점으로 하여 스윙이 자유자재가 된다. 따라서 전부차체(2)는 후부차체(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스윙하면서 요동할 수가 있다. 또한 지지축(15)은 나이트 헐트댐퍼(16)에 의하여 상술한 요동의 완충이 이루어지고 있다.
요동죠인트(10)내의 앞부분 내지는 일측방에 형성한 공간(S)에는 파아킹록 연동기구를 수납하고 그 파아킹록 연동기구는 차륜의 록을 행하는 조작케이블(20)과 차체의 요동록을 행하는 링크기구(3)로서 구성되고 공간(S)는 덮개(17)에 의하여 개폐가 자유롭게 되어있고, 그 덮개(17)에는 캡(18)을 그로미트(gro-mmet)에 의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하고 있다.
조작케이블(20)은 공간(S)의 측방 하부 전후 방향에 지지 삽통되고 그 조작케이블(20)은 이너(21)와 아우터(22)로 구분하되 이너(21)는 아우터(22)내를 전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너(21)는 로드(23)에 의하여 연결되고 그 로드(23)에 후단부를 나합한 파이프(24)의 플란지(24a)와 그 파이프에 여유있게 맞추어진 지름이 큰 파이프재로 된 인디케이터(25) 사이에는 코일스프링(26)이 계장되고 파이프(24)의 전단부 둘레에는 링(27)을 고착한다. 이러한 조작케이블(20)은 삼륜차(1)의 전후 방향에 길게 연설되고, 그 이너(21)의 전단은 핸들(9)의 중앙부 밑에 설치한 록 조작레버(28)에 연결되고 후단은 뒷바퀴의 파아킹 브레이크의 브레이크아암(29)에 연결되었으며 상술한 레버(28)를 잡아 일으키면 뒷바퀴의 록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요동죠인트(10)의 공간(S)의 전부에는 링크기구(30)를 배설하고 제1의 링크(31) 선단을 상기한 인디케이터(25) 전면과 링(27) 후면 사이에 걸게하고, 그 제1의 링크(31)는 기부에 세워 꽂아 고착한 축(32)을 개재하여 제2의 링크(33)와 일체화되고 그 제2의 링크(33)의 선단에는 체인링크(34)를 요동이 자유롭게 장착한다. 또한 상기한 축(32)은 고정부재(14)로부터 수직으로 내려져 횡설한 후술하는 가동부재인 브래키트(50)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그 가동부재(50)의 후부에는 핀(35)에 의하여 스톱퍼플(36)이 회전이 자유롭게 횡설된다.
핀(35)은 고정부재(14) 상부 내벽에 압입되고 또한 그 하단부에는 직경이 작은부분(35a)을 갖추어 그직경이 작은부분(35a)을 가동부재(50)의 작은구멍(50a)에 감합하고, 핀(35)에 의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 지지되는 스톱퍼플(36)은 기부가 죠인트(10) 본체의 정방으로 이은듯이 하여 전단부를 지지축(15) 전단방향에 있도록 한 아암상태의 부재이다.
스톱퍼플(36)의 선단에는 체인링크(34)의 후단을 요동이 자유롭게 장착하고 선부후단 즉, 지지축(15)의전단면으로의 대향부에는 평면 삼각형상의 치부(36a)를 돌설한다.
이 치부(36a)는 지지축(15) 전단면에 고착한 부채모양의 스톱퍼프레이트(40)의 전단 외주면에 형성한 방사상태의 홈(40a)에 걸린다.
이러한 스톱퍼프레이트(40)는 지지축(15)의 전단면에 돌설한 나사부(41)에 그 밑부분을 삽통 지지한 윗편에 확개하듯이 부채꼴 모양을 이루고 상술한 나사부(41)에는 다시 너트(42)를 나착하여서 고착한다.
또 제2도에 표시한 상태는 요동 록상태에 있으며 스톱퍼플(36)이 치부(36a)가 스톱퍼프레이트(40)의 홈(40a)에 걸렸을때에 상기한 제2의 링크(33) 및 체인링크(34)가 평면 대략 일직선상에 있도록 하기 위한 맞댐부분(36b)을 스톱퍼플(36)의 전부 선단 근체에 돌설하고 이 맞댐부분(36b)은 제2의 링크(33)의 측면에 맞닿으며 이에 의하여 제2의 링크(33)의 또다른 새로운 회전운동은 저지되는 것이다.
이상으로서 구성되는 파아킹록 장치의 작동은 케이블(20)의 이너(21)를 전방으로 잡아당기는 것으로서 이루어지고 링크기구(30)의 각각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치부(36a)와 홈부(40a)가 걸리게 된다. 이때에 제2의 링크(33)와 체인링크(34)가 서로 일직선상에 있으면 지지축(15)의 축방향 및 축둘레에 외력이 작용하는 순간 지지축(15)의 선단에 착설된 스톱퍼프레이트(40)의 홈(40a)에 맞물려있는 치부(36a)를 통하여 스톱퍼플(36)에 전달되는 순간 이 스톱퍼플(36)은 핀(35)을 지점으로 하여 요동함과 동시에, 체인링크(34)도 그 체인링크(34)와 제2링크(33) 사이의 연결핀(번호없음)을 지점으로 하여 요동함으로, 가동부재(50)와 제2링크(34)의 요동이 저지된다.
이와같이 지지축(15)의 축방향 및 축둘레에 작용하는 외력을 스톱퍼플(36)과 체인링크(34)의 요동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흡수되기 때문에 이너(21)로의 반력전달이 없으므로 차륜의 록작동이나 이너(21)의 인장에 끼치는 영향을 방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제2의 링크(33)와 체인링크(34)가 요동 록상태에 있어서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각 구성부재를 배설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각 링크기구(30)와 가동부재(50)와의 조립작업은 극히 높은 정밀도를 유지하여 행하지 않으면 안된다.
다음에 본 고안에 관한 위치결정 조정기구를 제5도 내지 제8도에 따라 기술코저 한다.
제5도는 제2도중 5-5선 단면도, 제6도는 요동 록기구의 저면도, 제7도는 가동부재의 종단측면도, 제8도는 의 (a) 내지 (d)는 조정량을 단계적으로 표시한 정면도이다.
가동부재(50)는 그 후부와 중간부의 두 군데에서 보울트(51),(52)에 의해서 고정부재(14)로부터 수직으로 내리워 지지된다. 보울트(51),(52)를 삽통하는 구멍(50b),(50d)의 지름은 미리 보울트의 지름보다도 크게 형성한다.
이러한 가동부재(50)의 전단부에는 전방에 개구하는 평면이형의 홈(50d)을 형성하고, 이 홈(50d)은 후술하는 조정핀(60)의 다각형상 두부(61)가 회전이 자유롭게 적당히 폭을 넓게 형성한다.
조정핀(60)은 그 다각형상 두부(61)를 편심시켜 그 편심두부(61)는 도시에서는 육각형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두부(61)를 가동부재(50)의 홈(50d)에 가도록 한 상태로 고정부재(14) 내에서 그 상부가 여유있게 합쳐진 상태를 유지하며 끼워지고 있다.
이러한 조정핀(60)은 실시예에서는 도시한 바와같이 고정부재(14)에 그 아래편으로 부터 끼워지며, 그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가동부재(50)의 홈(50d) 주연에는 가요성의 금속편(62)을 용접하여 고착하고, 그 금속편(62)은 그 가요성에 의해서 밑부분이 휘어지기 쉬우며, 또 앞부분이 조정핀(60)의 두부(61) 하단면으로 부터 당접하여, 그 조정핀(60)이 탈락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고, 또한 이미 기술한 바와같이 절곡이 자유로운 가요성체이기 때문에 후술하는 위치결정 조정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여기서 편심한 다각형상 두부(61)를 갖춘 조정핀(60)의 단계적 조정량을 제8도에 따라서 설명하면은 도시한 바와같이 두부(61)는 육각형이고 따라서 각 6변은 편심량이 최대인 변(ℓ1)과 그 변(ℓ1)의 대변인 편심량이 최소인 변(ℓ4)과 변(ℓ1)과 인접하는 두번째 편심량이 큰 변(ℓ2)(ℓ2)과 상술한 변(ℓ4)과 인접하는 세번째 편심량이 큰 변(ℓ3),(ℓ3)으로서 이루어지고 (a) 내지 (b)와 같이 가동부재(70)에 대한 4단계의 위치결정 미조정을 행할수가 있다.
즉, 제8도 (a)와 같이 편심량이 최소인 변(ℓ4)이 가동부재(70)에 당접한 상태가 조정핀(60)의 중심 0둘레의 회전각 0°라고 하면 조정핀(60)을 반시계 방향으로 60° 회전한 상태는 제8도 (b)이며, 120° 회전한 상태는 제8도 (c) 및 180℃ 회전한 상태는 제8도 (d)와 같으며 각각 조정량이 다른 대소 4단계의 조정을 행할수가 있다.
또한 조정핀(60)의 회전 조정작업은 그 조정핀(60) 자체가 이미 기술한 바와같이 고정부재에 대하여 여유있게 맞추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직접 손으로 회전하거나 혹은 스퍼너 등의 공구로 행하여도 좋고 또 두부에 임의의 요홈을 설치하여 그 요홈에 걸리는 각 렌치 등의 공구로 행하여도 좋은것은 물론이다. 또한 두부(61)는 실시예에서는 6각형으로 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요는 가동부재(70)에 면 접촉하는 변을 가진 어떠한 다각형이라도 좋다.
이상과 같이하여 가동부재(50)의 홈(50d)내에 임하는 조정핀(60)의 편심된 다각형상 두부(61)를 회전시켜 링크기구(30)를 구성하는 제2의 링크(33)의 체인링크(34)가 대략 일직선상이 되도록 위치결정 조정을 행한다.
가동부재(50)는 그 후를과 중간부에 설치한 구멍(50b)(50c)이 각각 보울트(51),(52)보다도 지름이 크며 또한 고정부재(14)에 압입되어 수직으로 내려진 핀(35)의 하단의 작은 지름부(35a)에 끼워서 합청지는 작은구멍(50a)을 후부에 가깝게 지니고 있기 때문에 조정핀(60)의 회동에 의하여 그 두부(61)의 각 변에 안내되어서 작은구멍(50a)을 지지점으로 하여 요동한다. 이때에 제1의 링크(31)와 제2링크(33)를 일체화 한축(32)은 가동부재(50)의 앞쪽 가깝게 회전이 자유로히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부재(50)의 요동에 수반하여 링크기구(30)도 요동한다.
이러한 조정작업에 의하여 제2의 링크(33)와 체인링크(34)가 일직선상이 되면 금속편(62)을 절곡하여 조정보울트(60)의 두부(61) 하면에 누르는듯이 당접시켜 각 보울트(51),(52)를 나착하여 가동부재(50)를 고정부재(14)에 일체화하여 고정되게 착설한다.
이상에 의하여 조정핀(60)의 다각형상 두부(61)는 가동부재(50)의 홈(50d)과 면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보울트(51),(52)가 풀려서 링크기구(30)로부터 케이블(20)의 인장에 의한 반발력이 가동부재(50)에 작용하여도 두부(61)의 변의 면 접촉에 의해서 요동 록의 확실한 결합 및 해제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가동부재(50)를 편심한 다각형상두부(61)를 갖춘 조정핀(60)에 의하여 고정부재(14)에 대한 단계적인 위치결정 미조정을 할수 있고, 그리고 조정핀(60)의 두부(61)는 다각형이기 때문에 각 변과 가동부재가 서로 확실하게 접촉하게 되어 그러므로서 이러한 변과의 면 접촉으로 가동부재를 지지할 수가 있다.
또한 조정핀(60) 자체에는 나사부를 각설하지 않기 때문에 그 회전은 지극히 용이하며 보울트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 일어나는 지나친 조임 등의 결점은 일체 없는 것이다.
이상 기술한 바와같이 명확한 것처럼 본 고안에 의하면 고정부재에 대한 가동부재의 위치결정을 다단계적으로 미조정할 수가 있고, 그러면서도 그 조정작업이 지극히 용이하며 아울러 확실하게 행할수 있는 실용성이 높은 위치결정 조정기구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더 나아가 본 고안에 의하면 이상의 것을 간단한 기구로서 설정위치에 위치결정 조정을 할수 있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같은 특별한 장점과 더불어 실용성이 풍부한 위치결정 조정기구를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1)

  1. 고정부재(14) 상에서 위치조절 이동이 자유로운 가동부재(50)의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결정 조정기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4)에 회전이 자유롭게 끼워넣은 조정핀(60)을 비치하고, 이 조정핀(60)의 두부(61)를 중심이 조정핀(6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편심된 다각형으로 형성되었으며, 상기 가동부재(50)의 홈(50d)이 조정핀(60)이 두부(61)의 옆모서리와 자유롭게 당접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조정기구.
KR2019820007330U 1981-09-16 1982-09-16 위치결정 조정기구 KR86000008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1137441U JPS5844140U (ja) 1981-09-16 1981-09-16 位置決め調整機構
JP137441 1981-09-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549U KR840001549U (ko) 1984-05-17
KR860000083Y1 true KR860000083Y1 (ko) 1986-02-12

Family

ID=29930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7330U KR860000083Y1 (ko) 1981-09-16 1982-09-16 위치결정 조정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844140U (ko)
KR (1) KR860000083Y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89158A (en) * 1977-09-19 1978-08-05 Yokogawa Hokushin Electric Corp Device for monitoring safety limit of crane with boo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844140U (ja) 1983-03-24
KR840001549U (ko) 1984-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26361Y2 (ko)
US6282977B1 (en) Tilt adjusting-type steering apparatus
JPS628712A (ja) 調節可能な背もたれを持つ座席用の継手金具
US4363499A (en) Tiltable steering mechanism for automobiles
KR860000083Y1 (ko) 위치결정 조정기구
US4142228A (en) Vehicle lamp casing optical axis adjusting mechanism
JP3673390B2 (ja) バネバランサ構造
JPS6410849B2 (ko)
JPH031655Y2 (ko)
JP3467819B2 (ja) 産業車輛における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変速操作装置
JPH0242511Y2 (ko)
JPH0229031Y2 (ko)
JPS6233984B2 (ko)
JPS6131536Y2 (ko)
JPH08159134A (ja) 締結装置
JP6935698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6972760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S6018968Y2 (ja) ト−シヨンバ−のアンカ−機構
JPH079695Y2 (ja) 位置調整装置
JPH0422900Y2 (ko)
JP2554863Y2 (ja) スプリングイニシャル調整装置
JPS6213911Y2 (ko)
JPH0524980Y2 (ko)
JP2577494B2 (ja) ドライブチェーンアジャスタ装置
JPS6218123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