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6841A - 전화 배전후레임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전화 배전후레임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6841A
KR850006841A KR1019850000876A KR850000876A KR850006841A KR 850006841 A KR850006841 A KR 850006841A KR 1019850000876 A KR1019850000876 A KR 1019850000876A KR 850000876 A KR850000876 A KR 850000876A KR 850006841 A KR850006841 A KR 850006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ember
block
bus bar
groun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0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4343B1 (ko
Inventor
제이. 언거 존 (외 1)
Original Assignee
존 에이취. 포트우드
리라이언스 일렉트릭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 에이취. 포트우드, 리라이언스 일렉트릭 컴퍼니 filed Critical 존 에이취. 포트우드
Publication of KR850006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6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3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4Distribution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1Protection against environment
    • H04Q1/116Protection against environment lightning or EMI protection, e.g. shielding or groun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4Distribution frames
    • H04Q1/142Terminal blocks for distribution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20Testing circuits or apparatus; Circuits or apparatus for detecting, indicating, or signalling faults or trou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Structure Of Telephone Exchanges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화 배전후레임 연결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연결기장치 22 : 후레임부재
24 : 모듀울블럭(Module Block)
25 : 보호모듀울 26 : 시험부블럭
28 : 장치부블럭 30 : 클램프(Clamp)
31 : 케이블(Cable) 34 : 공면벽부
39 : 상부 41 : 하부
42, 44 : 가장자리 48 : 악세스판넬(Access Panel)
50, 52 : 구멍 54, 56, 58, 60 : 단자부
70, 74 : 제1,2스트리프(strip)
76 : 표면가장자리 78 : 凸부
80 : 凹부 82 : 제2채널
90 : 인지형부분 92 : T형부재
98, 100, 102 : 단자 104 : 제1모선바아(Bar)
107 : 슬롯(Slot) 108 : 전도로드
110, 112, 116, 118 ; 납땜부
114 : 제2모선바아 130 : 전도체연결장치
131 ; 케이블 132 : 제1링크(Link)
132 ; 제1연결편 132 ; 제2연결편
142 : U형 슬롯 146 : 접지탭(Tab)
150 : 제2링크 160 : 잠금탭
162, 164 : 제1,2, 잠금슬롯
170 : 융기대 172 : 스롯
173, 175, 178 : 구멍 174, 180 : 스크류
181 : 작은판 186 : 탭
187 : 가장자리 188 : 보조슬롯
190 : 사이로스(Silos) 192 : 반원형돌출부

Claims (19)

  1. 내부교환장치에 도입선로를 연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전화 배전후레임상에 모듈울부(部)와 시험부 및 장치부를 설치하기 위한 전기적인 전도체물질 및 후레임 접지로 이루어진 후레임부재, 하나의 개구측면을 가지는 폐쇄부를 이루도록 후레임부재에 상기 각부를 설치하기 위한 장치, 상기개구측면을 덮기 위한 악세스판넬, 상기 각 부(部)의 폐쇄부 내부에 위치한 다수의 접지단자, 상기 접지단자에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하기 위한 단일접지모선바아, 상기 후레임접지로 부터 고립되고 후레임접지 및 선택된 제2 접지중의 하나에 상기 단일접지모선바아를 연결하기 위한 접지선택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배전후레임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듀울부는 전기적인 비전도 재질로 되어 있으며, 상기 폐쇄부의 바깥쪽으로 회로 접지를 수행하기 위하여 돌출된 단일 접지모선바아의 부분을 갖추어 예정된 표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정렬되어 있는 상기 모듀울부와 후레임부재, 상기 후레임부재로 부터 돌출된 부분에 단일접지모선바아를 전기적으로 고립시키기 위한 돌출된 부분을 갖춘 상기 모듀울부의 관통되는 개구부, 선택된 비접지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를 자유스럽게 받아 들이고 상기 후레임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2링크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움직이면서 돌출부분에 있는 상기 단일 접지모선바아에 연결된 전기적인 전도체 링크를 갖춘 접지 선택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배전후레임 연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부 및 장치부는 상기 폐쇄부의 전면측면을 한정하기 위하여 나란한 상태로 상기 후레임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모듀울부는 전면측면에서 통상적으로 수직으로 있는 폐쇄부의 왼쪽측방을 한정하기 위하여 상기 전면측면의 한 가장자리에 연결되는 가장자리를 가진 제1위치와 상기 정면측면에 서로 떨어져 평행한 상기 폐쇄부의 뒷측면을 한정하기 위하여 왼쪽측방에 수직으로 있으며 상기 제1 위치에 완전하게 일치한 벽부, 상기 뒷측면과 동일한 넓이로 덮어있는 부분을 가지는 후레임부재, 상기 폐쇄부 뒷측방을 한정하기 위하여 단일접지모선바아를 받기 위한 상기 후레임부재와 폐쇄부에 있는 개구부, 상기 측방에 덮어있는 후레임부재의 바깥부분에 인접하여 위치한 상기 접지선택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배전후레임 연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돌출된 부분의 접지모선 바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연결편을 가지는 제1 링크와 상기 제1 연결편에 오른쪽 각도로 꺽어진 부분에 있는 제2 연결편, 상기 제2 연결편을 지지하기 위한 전기적인 비전도 지지부재 및 바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가지는 상기 모듀울부, 상기 지지부재로 부터 분리되어 나란하게 정렬되는 전도 접지탭을 가지는 상기 후레임부재, 상기 접지탭이 있으며 제1링크의 제2연결편을 연결하기 위한 선택적인 위치에 있는 제2링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링크는 제1링크의 제2연결편과 상기 접지탭 및 제2위치 사이에 전기적인 전도행로를 이루기 위하여 위치해 있고, 상기 제2연결편은 상기 접지탭의 위치에 대해서 지지부재로 부터 반대쪽 바깥방향으로 돌출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배전후레임 연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지지부재를 연결하기 위하여 스크류가 체결되는 제1, 2링크에 있는 제1구멍, 상기 제1링크상에 바깥쪽으로 돌출된 잠금탭을 연결하기 위하여 스크류가 체결될 수 있게 상기 접지탭이 맞추어지는 위치 및 구멍을 통하여 상기 제1구멍으로 부터 떨어져 제2링크에 있는 제2구멍 상기 제2 링크가 각각 제1위치 및 제2 위치에 있을때 상기 잠금탭에 각각 맞추어지기 위하여 제2링크 상에 있는 제1, 2 슬롯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배전 후레임 연결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접지단자는 모듀울부의 선택된 단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일접지모선바아는 상기 접지단자의 5개보다 적게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된 다수의 제1 모선바아, 오른쪽 각도로 꺽어져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제1 모선바아 보다 단면적이 더 큰 제2 모선바아, 상기 제2 모선바아에 상기 제1모선바아를 연결하는 장치, 상기 제2 모선바아와 비슷한 면적을 가지며 오른쪽 각도로 꺽어져 위치하고 상기 폐쇄부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단일접지모선바아의 일부분을 제3모선바아, 상기 제2 모선바아에 일치하여 상기 제3 모선바아를 연결하기 위한 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배전후레임 연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모선바아에 제1모선바아를 연결하는 장치는 제1모선바아의 각각을 끼우기 위하여 상기 제2모선바아에 있는 다수의 슬롯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배전후레임 연결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제2모선바아에 제2모선바아를 연결하는 장치는 제2,3모선바아의 다른부분의 단면적 반을 끼우기 위해 상기 제2,3모선바아에 각각의 한쌍의 삽입슬롯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배전후레임 연결장치.
  9. 제1항에 잇어서, 상기 악세스판넬은 상기 한쪽 개구측방의 곡면가장자리 부분에 대하여 평평한 상태로 있는 상기 악세스판넬의 공면끝부에 안전하게 결합하여 이동하기 위한 판넬 안정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배전후레임 연결장치.
  10. 내부교환장치체도 입선로를 연결하기 위한 전화 배전 후레임 연결장치에 있어서, 모듀울부, 시험부 및 장치부로 형성된 각각의 블럭, 전화 배전후레임에 상기 각각의 블럭을 설치하기 위한 후레임부재, 연결장치를 이루도록 상기 후레임부재에 상기 각각의 블럭을 설치하기 위한 고정장치, 상기 연결장치의 전면 측방에 함께 위치한 상기 시험부 블럭과 장치부블럭, 가각의 블럭은 서로 분리되어 수리 혹은 교체를 위해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모듀울부 블럭과 후레임 부재에 상기 시험부 블럭과 장치부 블럭을 설치하기 위한 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배전후레임 연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각각의 길이의 주조각부분을 통한 정렬의 상태로 인접측면을 부착하기 위하여 상기 시험부블럭과 장치부블럭의 인접 측면상에 작용하는 凸, 凹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배전후레임 연결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에는 상기 장치부블럭에 접촉한 측면반대의 측면상에 인접하여 위치해 있는 상기 모듀울부 블럭의 가장자리에 관계하는 상기 시험부 블럭의 밖으로 굽험짐을 방지하기 위한 안정장치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전화 배전 후레임 연결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장치는 인접한 상기 모듈부 블럭의 부분과 시험부블럭상에 각각 위치해 있는 탭과 슬롯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배전후레임 연결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탭 및 슬롯장치는 상기 시험 부블럭의 가장자리면을 따라 중앙에 위치하여 바깥으로 돌출된 탭과 상기 인접한 가장자리에 한정되는 상기 모듀울부 블럭의 벽을 따라 중앙에 위치해 있는 긴 슬롯, 상기 긴 슬롯 사이에 끼워지는 적당한 크기의 탭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부블럭은 상기 모듀울부블럭 가장자리의 전체길이를 덮고있는 바깥으로 돌출된 부분으로 부터 떨어져 간격을 두고 상기 바깥으로 돌출된 부분 아래에 측면 가장자리 부분에서 형성되어 바깥으로 돌출된 탭, 상기 모듀울부 블럭 가장자리로 부터 내부에 일치하는 양만큼 상기 모듀울부 블럭에 위치하는 보조슬롯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듀울부블럭은 상기 전면측면에 분리되어 평행한 폐쇄부의 뒷측면에 한정되는 뒷벽부, 상기 뒷측면을 덮고 있는 뒷면을 갖춘 상기 후레임부재, 미리 설정된 정렬에 모듀울부 블럭과 후레임 부재를 부착하기 위하여 상기 뒷측면과 후레임부재의 뒷면상에 있는 정렬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것.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위치는 상기 후레임부재의 덮고 있는 부분과 상기 모듀울부 블럭의 뒷측면 각각에 다수의 정렬하는 구멍들, 다수의 전도체를 부착하기 위한 각각의 구멍들을 정렬하고 상기 후레임 부재의 구멍들을 연결하기 위한 돌출된 공면을 갖춘 모듀울부블럭의 뒷벽부에 있는 상기 구멍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후레임 부재는 상기 폐쇄부의 상, 하부를 한정하기 위하여 상기 뒷부분으로 부터 연장되는 한쌍의 벽을 가지고, 상기 후레임 부재에 장치부 블럭과 시험부블럭을 설치하는 고정부재는 상기 장치부블럭의 설정된 부분을 가진 후레임부재의 상, 하부에 연결하기 위한 장치와 상기 시험부블럭의 상, 하 가장자리 각각을 연장하기 위하여 후레임부재의 상, 하부에 형성된 연장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장부는 시험부블럭을 설치하기 위한 돌출된 탭장치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후레임 부재에 장치부, 시험부 및 모듀울부를 설치하기 위한 장치는 총괄적으로 상기 연결기장치와 한쪽에 개방된 측면을 가지며 상기 한쪽에 개방된 측면을 덮기 위한 악세스판넬로 이루어진 페쇄부, 상기 개방된 측면의 공면가장자리에 대하여 평평한 상태로 상기 악세스판넬의 공면 끝부분을 안전하게 움직이게 하는 판넬 안전장치로 한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50000876A 1984-03-21 1985-02-13 전화 배전후레임 연결장치 KR8900043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9176584A 1984-03-21 1984-03-21
US591765 1984-03-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6841A true KR850006841A (ko) 1985-10-16
KR890004343B1 KR890004343B1 (ko) 1989-10-31

Family

ID=24367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0876A KR890004343B1 (ko) 1984-03-21 1985-02-13 전화 배전후레임 연결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161755A3 (ko)
JP (1) JPS60219889A (ko)
KR (1) KR890004343B1 (ko)
CA (1) CA1247224A (ko)
MX (1) MX15791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98313A (en) * 1986-11-17 1988-06-08 British Telecomm Telecommunications switching system
DE4015689C2 (de) * 1990-05-16 1994-03-10 Elco Europ Gmbh Vorrichtung zur Halterung elektrotechnischer, insbesondere nachrichtentechnischer Bauteile
DE19711102C2 (de) * 1997-03-08 1998-12-17 Krone Ag Vorrichtung zur Potentialführung von geschirmten Kabeln in Verteilereinrichtungen der Telekommunikations- und Datentechnik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35463A (en) * 1968-12-13 1970-10-20 Felice Trucco Section strip for use particularly in telephone equipment
US3760328A (en) * 1972-04-19 1973-09-18 Gte Automatic Electric Lab Inc Telephone type electrical connectors
US4037910A (en) * 1976-09-13 1977-07-26 Reliable Electric Company Telephone distribution frame connect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157911A (es) 1988-12-20
KR890004343B1 (ko) 1989-10-31
JPS60219889A (ja) 1985-11-02
EP0161755A3 (en) 1987-09-23
CA1247224A (en) 1988-12-20
EP0161755A2 (en) 1985-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5399A (en) Combination outlet strip
US5595507A (en) Mounting bracket and ground bar for a connector block
KR900003571B1 (ko) 케이블 결속단자대
CA2568170C (en) Modular current distributor for high currents
KR950034903A (ko) 전기 터미널 및 커플링 커넥터
EP0365617A1 (en) Terminating insulated conductors
DE102005014467A1 (de) Elektrisches Verbindergehäuse
KR880009863A (ko) 슬랩형 잭 모듈
CA1333409C (en) Protective plug for connector or disconnector banks
PL180704B1 (pl) Modul laczówki elektrycznej z dostepem dla ochronnika i próbnika PL PL
KR100595343B1 (ko) 저전압 전기 큐비클의 업그레이드가능 피더기능부
CA2175949A1 (en) Mounting bracket for connector block
US4789344A (en) Plug-in connector module for a removable control unit of a motor control center
CA2207367A1 (en) Wire barrier for electrical panel board
CN115051186A (zh) 取电插头、插接箱和母线输电系统
CN1201444C (zh) 电连接器
KR850006841A (ko) 전화 배전후레임 연결장치
US4808116A (en) Telephone distribution frame connector assembly
US7092244B2 (en) Connection or distributing device for electrical installation equipment
US5342209A (en) Connector strip assembly with ground connection
US5452175A (en) Construction of a panel
JP2791320B2 (ja) 先行アースのための接触体
CA2089461C (en) Circuit board connector
JP3660553B2 (ja) 配電盤
JP3284157B2 (ja) 分電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10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