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3235A - 저항선 인장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저항선 인장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3235A
KR850003235A KR1019840006705A KR840006705A KR850003235A KR 850003235 A KR850003235 A KR 850003235A KR 1019840006705 A KR1019840006705 A KR 1019840006705A KR 840006705 A KR840006705 A KR 840006705A KR 850003235 A KR850003235 A KR 850003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ance wire
tension
length
post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6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이 왓킨스 데니스
Original Assignee
데일·엘·라스무센
에어 센서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일·엘·라스무센, 에어 센서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데일·엘·라스무센
Publication of KR850003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323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68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thermal eff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ension Adjustment In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저항선 인장장치 및 그 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 및 방법에 의해 가상(phantom)으로 나타낸 부속회로판으로 조립시킨 기단감지기(are mass sensor),
제2도는 제1도의 기단감지기위 탄성포스트(resilient posts) 사이에 있는 저항선을 인장하기 위해 본 발명을 구체화한 인장장치.
제6도는 탄성포스트의 다른 하나에 인장저항선을 부착시켜 그 저항선을 결착시키는 3단계를 나타낸 제4도 장치의 단편개략도.

Claims (10)

  1. 한쌍의 탄성포스트에 미리 정한 장력에 의해 저항선을 부착시켜 사용하는 인장장치에 있어서, 요구되는 위치와 평면방향에서 상기의 한쌍의 탄성포스트(resilient posts)를 유지시키는 유지수단과, 상기 탄성포스트에 부착시킨 저항선의 직선길이를 얻기 위하여 거의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상기 저항선을 가진 수프울(spool)을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상기의 미리 정해진 장력보다 더 크게 상기 수프울의 회전항력(rotational drag)을 가하는 브레이크수단(brake)과 저항선의 상기 연속적인 길이에 장력을 가하고 상기의 미리 정해진 장력을 가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인장수단(tensioning means) 및 상기 저항선에 부착시킨 상기 포스트와 거의 공평면인 저항선의 상기 길이를 위치시키기 위하여 상기의 연속적인 저항선을 안내하는 안내 수단을 구성시킴을 특징으로하는 서항선 인장장치.
  2. 포스트 지지부재(post support member)에 부착된 거의 평행한 한쌍의 탄성 포스트의 저항선 지지단부에 미리 정해진 장력하에 있는 저항선 길이를 얻기 위하여 거의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상기 저항선을 가진 수프울(spool)을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는 스핀들(spindle)과, 상기의 미리 정한 장력보다 크게 상기수프울상에 회전항력을 가하는 브레이크와, 상기 수프울에서 이어진 상기의 연속적인 저항선의 일부에 상기 장력을 가하며 연속적인 저항선의 이어진 부분과 결합하여 거의 수직 평면에서 축운동으로 지지되고 상기의 미리 정한 장력에 가한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균형추를 가진 중력작동 인장암(gravity-actuated tension arm)과 저항선의 상기 길이를 부착하는 소요의 위치와 평면방향에서 상기의 한쌍의 탄성포스트를 위치시키는 상기 포스트 지지부재를 이탈할 수 있게 유지하며, 상기 탄성포스트에 거의 수평으로 저항선의 상기 길이를 위치시키는 와이어인덱스(wire index)를 가지며, 또 상기 지지부재를 유지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조절하는 호울더(holder)를 가지며, 저항선의 상기 길이에 대하여 상기 저항선 지지단부를 선택적으로 길이방향의 위치를 설정시키는 리테이너(retainer)와 상기 연속적인 저항선의 상기 이어진 부분을 선택적으로 클램프하는 상기 포스트 각각의 외측에 저항선 클램프 하나가 위치되는 이탈 가능한 항쌍의 저항선 클램프와, 상기 탄성 포스트에 거의 공평면으로 저항선의 상기 길이를 위치시키는 와이어가이드(wire guide) 및 상기 연속적인 저항선의 상기 이어진 부분에 장력을 측정하는 장력게이지를 구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암에는 저항선 연결단부와 축점(pivot point)을 가진 중량단부를 갖고 있어 상기 중량단부는 상기 조절 가능한 중량을 지지하고 상기 조절 가능한 중량은 상기의 미리 정한 장력을 고정하기 위한 상기 인장암의 상기 중량단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균형추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선 인장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암의 상기 저항선 연결단부가 연속 저항선의 상기 이어진 부분과 연결할 수 있는 회전 가능한 아이들러 시이브(idler sheave)를 지지하여 상기의 미리 정한 장력 상기 연속 저항선의 이어진 부분에 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선 인장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가이드(wire guide)가 연속 저항선의 상기 이어진 부분과 연결할 수 있고, 상기 탄성포스트에 거의 공평면으로 부착된 회전 가능한 아이들러 시이브임을 특징으로 한 저항선 인장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지지부재의 상기 호울더(holder)는 고정된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에 활동할 수 있게 부착된 제2부재를 가지며, 상기 제2부재는 상기 포스트 지지부재를 이탈할 수 있게 유지하는 수단을 구성하여 저항선의 상기 길이에 거의 평행하게 하나의 통로에 따라 상기 포스트 지지부재에 부착시킨 상기 탄성포스트를 이동시켜 활동할 수 있게 하고 또 상기 제1부재는 상기 제2부재에 대해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선 인장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인덱스(wire index)는 상기 제1부재에 대하여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선 인장장치.
  8. 거의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저항선을 가진 수프울에서 얻어지는 저항선의 길이를 미리 정해진 장력하에서 한쌍의 탄성포스트에 부착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프울은 회전할 수 있게 설치시켜 상기 연속적인 저항선의 일부분이 상기 수프울에서 이어지게 하고, 상기의 미리 정해진 장력보다 크게 상기 스프울에 회전항력(drag)을 가하며, 상기의 미리 정해진 장력을 상기 저항선의 이어진 부분에 가하여 상기 회전항력이 상기 수프울에 가하여지고 상기 저항선의 이어진 부분의 자유단을 고정시켜 유지하고, 상기 저항선의 이어진 부분에 거의 수형하여 또 거의 공평면인 한쌍의 탄성 포스트를 유지시키고, 상기 저항선의 이어진 부분의 상기 자유단 방향으로 상기 탄성포스트중 하나에 상기 저항선의 이어진 부분을 부착시킨 다음 상기 저항선의 이어진 부분을 상기 탄성 포스트의 다른 하나에 부착시켜 상기 포스트 사이에 저항선의 길이를 형성하여 상기 저항선의 이어진 부분에 상기의 미리 정한 장령을 가하여 부착시키고, 상기 저항선의 이어진 부분을 상기 탄성포스트의 각각에 부착시킨 다음 저항선의 상기 길이를 상기 저항선의 이어진 부분의 나머지 부분을 절단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선의 인장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선의 이어진 부분의 상기 자유단부를 상기 탄성포스트의 첫째 포스트에 상기 저항선의 이어진 부분을 부착시키기 전에 클램프(clamp)에 의해 이탈할 수 있게 유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선의 인장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프울 방향의 상기 저항선의 이어진 부분이 클램프(clamp)에 의해 이탈할 수 있게 유지시킨 다음 상기 저항선의 이어진 부분을 상기 탄성포스트의 첫째 포스트에 부착시키고 상기 클램프가 저항선의 상기 길이를 절단할 때 상기 저항선의 이어진 부분을 유지시킴으로써 새로운 자유단부가 상기 클램프에 의해 형성 유지되어 또 다른 한쌍의 탄성포스트에 저항선의 그 다음 길이를 부착시키는 준비를 함을 특징으로 한 저항선의 인장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40006705A 1983-10-27 1984-10-27 저항선 인장장치 및 그 방법 KR8500032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4636383A 1983-10-27 1983-10-27
US546363 1983-10-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3235A true KR850003235A (ko) 1985-06-13

Family

ID=24180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6705A KR850003235A (ko) 1983-10-27 1984-10-27 저항선 인장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850003235A (ko)
AU (1) AU577066B2 (ko)
BR (1) BR8405475A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69342A (en) * 1949-03-22 1951-09-25 Gen Electric High-speed wire tension device
GB1036452A (en) * 1962-02-05 1966-07-20 Kanthal Ab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a method and device for unwinding wire
DE2933116A1 (de) * 1979-08-16 1981-02-26 Rico Ges Fuer Microelektronik Einrichtung zur messung des atemluftstromes von patient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8405475A (pt) 1985-09-03
AU3467884A (en) 1985-05-02
AU577066B2 (en) 198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477212T1 (de) Kabelaufwickeleinrichtung.
ATE29471T1 (de) Vorrichtung zum abwickeln von draht von einer spule.
KR850003235A (ko) 저항선 인장장치 및 그 방법
DE3472602D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nsioning resistive wire
ATE27076T1 (de) Spulenwickeleinrichtung.
DE60000005T2 (de) Anker für sicherheitsleitung
US2887281A (en) Reel holder and strip guide
US20020096553A1 (en) Wire bonding spool system
US5908362A (en) Tensioning device for stringing sports racquets having a string guide for maintaining constant string line of action to string gripper
US4044985A (en) Candle making apparatus
US3143807A (en) Pendulum drawing device
US2516969A (en) Cable quide and clamp
CN113788360B (zh) 精密排线装置
FR2616139B1 (fr) Devidoir a reglage automatique de la tension du fil
CN220583743U (zh) 一种弧状件弹性伸缩寿命测试装置
US1227978A (en) Drafting apparatus.
CN216749589U (zh) 绕线包胶机
JPS6026300B2 (ja) ワイヤボンデイング装置
CN113524310B (zh) 一种网状天线索段裁剪装置及使用方法
US4594784A (en) Apparatus for drawing an ellipse using a piece of string
SU57266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змерени силы сцеплени между фольгой и подложкой
CN114300260A (zh) 绕线包胶机
JPS6139414A (ja) 布線装置
JPH0444325Y2 (ko)
KR880004147A (ko) 섬유 밴드 또는 플리스의 균일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