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2993Y1 - 광도체의 종속접속 구조 - Google Patents

광도체의 종속접속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2993Y1
KR850002993Y1 KR2019850013535U KR850013535U KR850002993Y1 KR 850002993 Y1 KR850002993 Y1 KR 850002993Y1 KR 2019850013535 U KR2019850013535 U KR 2019850013535U KR 850013535 U KR850013535 U KR 850013535U KR 850002993 Y1 KR850002993 Y1 KR 8500029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conductor
optical conductor
core portion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35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리게이
Original Assignee
모리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게이 filed Critical 모리게이
Priority to KR20198500135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29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29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9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광도체의 종속접속 구조
제1도는 제1a도, 제1b도각각 본 고안의 실시에 사용하는 광도체의 1예를 표시하는 외관도.
제2도 내지 제4도는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1-103: 광도체 10a : 수광끝단면
10b : 출광끝단면 11 : 석영코어
12 : 석영클래드층 20 : 광도체케이블
본 고안은 예를들어 프레넬 렌즈등을 사용하여 접속한 태양광에너지를 직경이 광도체 케이블에 효율 좋게 도입하기 위한 광도체의 종속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태양광 에너지의 효과적 이용에 대하여 이미 착안하여 여러 종류의 제안을 한바 있으나, 태양광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는 당연원 것이지만, 태양광 에너지를 광에 너지로 하여, 즉, 전기 또는 열등의 다른 형태의 에너지로 변환하지 않고, 이용하는 것이다.
본 출원인은 이와 같은 관점에 입각하여 태양광 에너지를 프레넬 렌즈등을 이용하여 집속하여 광도체 케이블에 도입하고, 이 광도체케이블을 통하여 조명을 필요로 하는 장소에 도입하여 조명에 제공하는 것을 제안 하였다. 이때에 광도체 케이블은 가격이나 작업성 등을 고려하면, 될 수 있으면 작은 직경으로 하는 것이 유리한 것이나, 광도체 케이블에 광 에너지를 효율 좋게도 입하기 위하여는 광 에너지를 광도체케이블의 직경과 같거나 또는 그 이하로 집속하지 아니하면 안되고, 큰 구경의 렌즈계를 사용하여 태양의 상의 직경을 1mmψ 정도의 소정의 개구 각이하로 받아드리는 것은 곤란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 한다.
제1a도, 제1b도는 각각 본 고안의 실시에 사용하는 광도체의 외관도, 제2도는 측단면도 이고, 광도체(10)는 도시와 같이 석영코어부(11)와 이 석영 코어부(11)를 피복하는 석영클래드층부(12)로 된다. 이 광도체(10)의 한쪽의 끝단부 (수광끝단면)(10a)에 도시하지 않은 프레넬 렌즈등의 광학계에 의하여 집속된 광에너지 L을 입사하면, 석영 코어부(11)의 직경(a)와 석영 클래드층부(b)의 직경의 비가 어느 정하여진 때의 값인 경우에, 경험에 의하면 b/a3의 인때(그 이외의 태도 생각하였으나 미경험), 석영 코어부(11)에 입사된 광에너지는 이 석영 코어부(11)를 진행하고, 석영 클래드층부(12)에 입사된 광에너지는 이 석영 클래드층부(12)에 의하여 중심부에 향하여 굴절되고, 최종적으로는 석여 코어부(11)를 진행하여, 광도체(10)의 다른쪽의 끝단부(출광끝단면)(10b)에 있어서는 대부분의 광에너지가 석영 코어부(11)에서 방출된다. 따라서 이 광도체(10)의 출광 끝단면(10b) 측에 있어서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석영코 어부(11)와 동심으로 이 석영 코어부(11)의 끝단면과 동일한 직경 또는 이 석영 코어부(11)의 끝단면 보다 약간 큰 직경의 광도체 케이블(20)을 접속 하면, 렌즈계에 의하여 집속한 태양광 에너지는 비교적 넓은 수광면적을 갖는 광도체(10)에 도입되어, 이 광도체(10)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집속 되어서 작은 직경의 광도체케이블(20)에 도입된다.
제3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이고, 이 실시예는 상기에서와 같이 구성된 광도체를 2개(101, 102) 종속접속하여, 수광끝단면(10a)의 면적을 크게 한 것이므로 이와 같이 하면, 도시하지 않은 렌즈계에 의하여 집속된 태양광 에너지를 더욱 효율 좋게 광도체내에 도입 할 수 있어, 렌즈계의 설계가 좋아지는 잇점이 있다.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 하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이 실시예는 전술한 같이하여 구성된 광도체를 3개(101, 102, 103) 종속접속한 것이며, 이와 같이 하면, 제2도에 표시한 실시예와 같이 광도체의 수광끝단면(10a)의 면적을 크게할 수가 있고, 더우기 광도체(20)의 직경을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한 실시예에 비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작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제4도에는 편의적으로 3개의 광도체를 종속 접속한 예를 표시한 것이나, 필요에 따라서 4개 이상의 광도체를 사용하여 수광끝단면(10a)의 면적을 크게하여 출광 끝단면(10b)의 면적을작게 할 수 있는 것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간단하고 또한 값이 싼 구성에 의하여, 집속광을 효과적으로 직경이 작은 광도체 케이블에 도입할 수가 있고, 따라서 직경이 작은 광도체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공사비가 싸지고, 또한 광도체 케이블의 배선 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잇점이 있다.

Claims (2)

  1. 석영코어부(11)와 석영 코어부(11)를 피복하는 석영 클래드층부(12)로된 공지의 광도체(10)를 사용하여 집속광을 광도체케이블(20)에 도입하기 위한 광도체의 종속접속 구조로서, 집속광의 직경과 같거나 또는 약간 큰 직경의 수광끝단면(10a)을 가진 광도체(10)의 출광 끝단면(10b)에, 광도체(10)의 석영코어부(11)의 직경과 같거나 또는 약간 큰 직경을 가진 광도체 케이블(20)을 석영 코어부(11)와 동심으로 접속시켜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도체의 종속 접속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광도체는, 집속광의 직경과 같거나 또는 약간 큰 직경의 수광 끝단면(10a)을 가진 제1의 광도체(101)와, 제1의 광도체(101)의 석영 코어부의 다른쪽 끝단면의 직경과 같거나 또는 약간 큰 직경을 가진 제2의 광도체(102)로 되고, 제1의 광도체(101)의 석영 코어부의 다른쪽 끝단면과 제2의 광도체(102)의 석영 코어부의 끝단면을 동심으로 접속하며, 제2의 광도체(102)의 다른쪽 끝단면에 제2의 광도체(102)의 석영 코어부의 직경과 같거나 또는 약간큰 직경의 끝단면을 가지는 광도체 케이블(20)을 동심으로 접속시켜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도체의 종속접속 구조
KR2019850013535U 1982-02-17 1985-10-17 광도체의 종속접속 구조 KR8500029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3535U KR850002993Y1 (ko) 1982-02-17 1985-10-17 광도체의 종속접속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20000694 1982-02-17
KR2019850013535U KR850002993Y1 (ko) 1982-02-17 1985-10-17 광도체의 종속접속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20000694 Division 1982-02-17 1982-02-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2993Y1 true KR850002993Y1 (ko) 1985-12-12

Family

ID=26627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3535U KR850002993Y1 (ko) 1982-02-17 1985-10-17 광도체의 종속접속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299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30009505A (ko) 태양광 수집장치
EP0216470A3 (en) Connecting section for optical fiber cable
EP0065986A1 (en) Lightpipe network with optical devices for distribut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US4523257A (en) Artificial light source device
US4540237A (en) Coupling element for coupling light into and out of an optical fiber
KR850002993Y1 (ko) 광도체의 종속접속 구조
KR890004151B1 (ko) 광도체의 연결구조
US4828348A (en) Fiber optic telescope
GB2116742A (en) Apparatus for th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of light radiation
JPS57158604A (en) Light beam converting adaptor
KR850002996Y1 (ko) 광도체케이블의 접속구
JPS5831567B2 (ja) 太陽光収集用光カツプラ−
JPS5546703A (en) Photo multiple distributor
JPS6017090B2 (ja) 光導体ケ−ブルの接続方法
JP2687723B2 (ja) 多芯光ロータリージョイント
JPS5958407A (ja) 光フアイバ−装置
JPS57169713A (en) Optical connector
JP3131044B2 (ja) 光導波路デバイス
KR880000880B1 (ko) 광도체 케이블의 수광부 집적구조
DE3582680D1 (de) Metallfreies lichtwellenleiterkabel mit einer kabelseele.
JPS6069608A (ja) 光分岐装置
KR850001559B1 (ko) 태양광 수집장치
JPS57125909A (en) Optical distributing circuit
JPH0342642B2 (ko)
JPH04596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8712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