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2996Y1 - 광도체케이블의 접속구 - Google Patents

광도체케이블의 접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2996Y1
KR850002996Y1 KR2019850013536U KR850013536U KR850002996Y1 KR 850002996 Y1 KR850002996 Y1 KR 850002996Y1 KR 2019850013536 U KR2019850013536 U KR 2019850013536U KR 850013536 U KR850013536 U KR 850013536U KR 850002996 Y1 KR850002996 Y1 KR 8500029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onductor
optical
cable
conductor cable
conduc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35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리게이
Original Assignee
모리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20000695A external-priority patent/KR830009500A/ko
Application filed by 모리게이 filed Critical 모리게이
Priority to KR20198500135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29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29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9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16Holders, macro size fixtures for mechanically holding or positioning fibres, e.g. on an optical benc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47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with means preventing fibre end damage, e.g. recessed fibre surfaces
    • G02B6/3849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with means preventing fibre end damage, e.g. recessed fibre surfaces using mechanical protective elements, e.g. caps, hoods, sealing membra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Fibers, Optical Fiber Cores, And Optical Fiber Bund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광도체케이블의 접속구
제1도는 본 출원인이 이미 제안한 광도체 케이블의 단면구조의 1예를 나타내는 도시.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광도체 케이블의 접속구로 접속하는 방법의 1작업 공정을 표시하는 구성도.
제3도는 접속후의 구성도.
제4도는 제3도에서의 Ⅳ-Ⅳ선단면도.
제5도는 제3도에서의 Ⅴ-Ⅴ선단면도.
제6도는 제3도에서의 Ⅵ-Ⅵ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의 광도체케이블 101∼10n: 광도체
20 : 제2의 광도체케이블 201∼20n: 광도체
30 : 접속구 31,32 : 접속구편
311∼31n,321∼32n: 홈
본 고안은 직경이 상이한 다수본의 광도체로 구성되는 광도체케이블과 직경이 같은 복수본의 광도체로 되는 광도체케이블을 효율 좋게, 즉, 광전달손실이 적게 접속할 수 있는 광도체케이블의 접속구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태양광 에너지의 효과적인 이용에 대하여 이미 착안하고, 여러 종류의 제안을 한 것이나, 태양광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이용 하기 위하여서는 당연한 것으로서, 태양광 에너지를 광에너지로서 즉, 전기 또는 열등의 다른 형태의 에너지로 변환하지 아니하고,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며, 본 출원인은 이러한 관점에서 태양광 에너지를 집속 하에 광도체 케이블 내에 도입하고 이 광도체 케이블을 통하여 조명을 필요로 하는 장소로 유도 하여 조명에 제공하는 것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또한, 그 일환으로서 렌즈 등에 집속된 태양광 에너지를 효율 좋게 광도체 케이블 내에 도입하기 위하여 제1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광도체의 실제 장착 효율이 높은 광도체 케이블에 대하여 제한하였다.
제2도는 본 출원인이 이미 제안한 상기 광도체 케이블의 1예를 나타내고 단면도이고, (일본국 특원소 55-128384)도시 에서와 같이 직경이 상이한 다수본 의 광도체(1)내지 (9)를 사용하여 광도체 케이블 내에 있어서의 광도체의 실제 장착효율을 높이게 한 것이다. 즉, 종래의 광도체 케이블은 7심(芯) 케이블의 경우 제1도에 있어서 7본의 광도체(1)를 도시와 같이 배섭하여 광도체케이블을 구성 하였으나, 이 경우 각 광도체(1)사이에 간격이생기고, 이들 광도체(1),(1-)의 단면적의 합계가 이들 광도체(1),(1-)를 포함하는 외접원(0)의 면적에 비하여 매우 작아서, 약 78%이었다.
그런데 프레넬렌즈(Fresnel lens)등 적당한 광학계를 사용하여 태양광을 집속 하고 광도체케이블에 도입 하는, 경우, 가장 효율적으로는 태양상의 크기를 광도체 케이블의 단면에 있어서의 광도체(1),(1--)를 포함하는 원(0)과 동일하게 하는 것이나, 광도체(1),(1--)만으로서 케이블 단면을 구성하면 상기 에서와 같은 간격이 커지고, 예를 들어, 태양상을 가장 효과적으로 결상하게 하였다하여 도광도체(1),(1-)간의 간격에 들어온 빛은 광도체 케이블 내를 전송 하는 것은 아니므로, 광도체케이블 내의 태양광 에너지의 도입효율은 78%가 상한이고 그리 좋은 효율의 것은 아니었다.
일본국 특원소 55-128384호의 발명은, 상기에서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된 것이나,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광도체(1),(1--) 간격내에 직경이 작은 광도체(2)내지 (9)을 배설하게한 것이므로, 예를 들어, 광도체(1)의 직경을 1mm로 하면 광도체 (2)의 직경은 약 0.352mm, 광도체(3)의 직경은 약 0.17mm, 광도체(4)의 직경은 약 0.156mm, 광도체(5)의 직경은 약 0.102mm, 광도체(6)의 직경은 약 0.062mm, 광도체(7)의 직경은 약 0.062mm로 되고 광도체 (2)는 6본, 광도체 (3)은 12본, 광도체(4)는 6본, 광도체(5)는 18본, 광도체 (6)는 30본, 광도체 (7)은 18본, 배설되는 것이므로 광도첼(1),(1--)의 공간 간격에 광도체(2),(2--)를 배설한 때의 광도체의 합계 단면적이 원(0)의 면적에 대하여 점하는 비율은 약 86%로 되고, 광도체(1),(1--)만의 경우에 비하여 매우 개선되는 것이다.
이하, 이와같은 계산에 의하면, 광도체(2) 및 (3)을 배설하는 경우에는 약 89.8%, 광도체(2),(3) 및 (4)를 배설하는 경우에는 약 91.5%, 광도체(2),(3).(4) 및 (5)를 배설하는 경우에는 약 95.4%로 되어서, 광도체(1),(1--)만의 경우에 비하여 현저하게 개선되며, 더우기 광도체(8),(9)등을 배설하는 것에 의하여 더욱 개선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직경이 상이한 다수본의 광도체를 사용하여 광도체 케이블을 구성 하면 광도체의 실제 장착효율이 높아지고, 따라서 이 광도체 케이블의 에너지도입 효율을 높일 수가 있으나, 상기 광도체케이블은 직경이 작은 광도체 케이블 다수본을 필요로 하고, 이로 인하여 제작비가 높아지며, 또한 장거리에 걸쳐서 배설한 경우, 가느다란 광도체가 절손되기 쉬운 등의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와 같은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된 것으로서, 상기에서와 같은 실제 장착효율이 높은 광도체 케이블을 광 에너지 도입 끝단부에 사용하여 이 광도체 케이블(이하 "제1의 광도체케이블"이라 한다)내에 효율 좋게 광에너지를 도입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제1의 광도체케이블을 상기 에서와 같이 가느다란 광도체를 사용하지 아니하는 표준 제품으로서 제2의 광도체 케이블에 접속하여, 상기 에서와 같이하여 제1의 광도체 케이블에효율 좋게 도입한 광에너지를 값싸고 또한 절손 사고등이 적은 제2의 광도체 케이블을 통하여 원하는 장도에 전송하게 하고, 또한, 상기 제1의 광도체케이블과 제2의 광도체케이블의 접속 개소에서의 광에너지의 전달 손실을 적게하게 한 것이다.
제2도는 본 고안의 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1작업 공정도로서, 도면중, (10)은 제1의광도체케이블, (20)은 제2의 광도체케이블, (30)은 접속구이고, 이접속구(30)는 도시에서와 같이 (31)과 (32)의 접속구편으로 분할가능하고, 각 접속구편(31),(32)의 대향하는 면에는 각각 대향하여 V자형의 홈(311∼31n) 및 (321∼32n)가 다수개 설치되어 있다.
제1의 광도체케이블(10)은,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경이 상이한 다수본의 광도체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도시 하지 아니한 끝단부에 있어서, 상기에서와 같이 하여 효율좋게 태양광에너지가 도입되며, 출광끝단부는 제2도는 (101)(10n)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경이 작은 광도체를 임의 본수로 조합하여 가장 직경이 큰 광도체와 거의 같은 직경으로 하거나 (다만, 이 경우, 제1의 광도체케이블(10)의 가장 직경이 큰 광도체와 제2의광도체케이블(20)의 광도체의 직경이 동등한 것으로 한다), 혹은 제1도의 광도체케이블(10)의 광도체를 임의 본수로 조합하여 제2의 광도체케이블 (20)의 광도체의 직경과 거의 같게 하여서(다만, 이 경우, 제2도의 광도체케이블(20)의 광도체의 직경은 제1의 광도체 케이블(10)의 각 광도체(101∼10n)와 제2의 광도체 케이블(20)의 각 광도체(201∼20n)를, 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구편(31)의각홈(311∼31n)에 각각 대향하여 배설 하고, 그 후, 접속구편(32)을 그 홈(321∼32n)이 접속구편(31)의 각홈(311∼31n)과 각각 대향하게 하여 덮어서, 양접속구편(31)과 (32)를 임의 주지의 고정붙임수단에 의하여 고정한다. (제3도 참조)
이와 같이 하면, 각광도체(101∼10n) 및 (201∼20n)은 그의 직경이 모두 같게 되고, 이들을 상기에서와 같이 하여 접속구의 홈(311∼31n) 및 (321∼32n)으로서 협착고정하게 하면, 각 광도체(101∼10n) 및 (201∼20n)는 이들의 홈에 의하여 그 위치가 규제되어 중심이 맞게끔 하여 접속되며, 따라서 제1의 광도체케이블(10)에서 전송 되어오는 광 에너지는 효율 좋게 제2의 광도체케이블(20)에 전달할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제4도에 제3도에서의 Ⅳ-Ⅳ선 단면도, 제5도에 제3도에서의 Ⅴ-Ⅴ선 단면도, 제6도에 제3도에서의 Ⅵ-Ⅵ선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상의 설명으로 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접속된 태양광 에너지를 효율 좋게 광도체 케이블 내에 도입할수가 있으며, 이와 같이 하여 효율 좋게 광도체 케이블 내에 도입된 태양광 에너지를 구조가 간단 하면서 접합 효율이 좋은 접속구를 사용하여 값싸고 전달손실이 적은 표준화할 수 있는 다른 광도체케이블에 전달하고, 이 다른 광도체 케이블을 통하여 효율좋게 임의의 원하는 장소로 전달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직경이 상이한 다수본의 광도체로 되는 제1의 광도체 케이블(10)과 직경이 동등한 복수본의 광도체로 되는 제2의 광도체 케이블(20)의 접속구로서, 제1의 광도체케이블(10)의 단면에 있어서, 다수본의 광도체케이블을 임의 본수 조합하여 제2의 광도체케이블(20)의 광도체의 직경과 거의 같게하고, 이와같이 하여 거의 동일 직경으로 형성된 각 광도체를 각각 따로따로보호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2의 케이블(20)의 각 광도체를 제1의 케이블(10)의 각광도체의 단면에 대향시켜 고정하여 보호 지지하는 복수 개의 홈(311∼31n),(321∼32n)을 각각 가지는 접속구편(31),(32)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도체 케이블의 접속구(30).
KR2019850013536U 1982-02-17 1985-02-17 광도체케이블의 접속구 KR8500029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3536U KR850002996Y1 (ko) 1982-02-17 1985-02-17 광도체케이블의 접속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20000695A KR830009500A (ko) 1982-02-17 1982-02-17 광도체 케이블의 접속방법
KR2019850013536U KR850002996Y1 (ko) 1982-02-17 1985-02-17 광도체케이블의 접속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20000695A Division KR830009500A (ko) 1982-02-17 1982-02-17 광도체 케이블의 접속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2996Y1 true KR850002996Y1 (ko) 1985-12-12

Family

ID=26627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3536U KR850002996Y1 (ko) 1982-02-17 1985-02-17 광도체케이블의 접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299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3380453D1 (en) Optical fibre termination method, terminal, splice, and connector therefor
AU587376B2 (en) Splice case for optical fibre cable
KR830009505A (ko) 태양광 수집장치
AU567795B2 (en) Telecommunication optical fiber submarine cable
ES289639U (es) Junta para cables de aislamiento extruido
AU554322B2 (en) Manufacturing an optical fibre cable
AU571084B2 (en) Improvements to submarine optical fibre cables for telecommunications
AU6643886A (en) Connector for optical fiber cables
NO161466C (no) Optisk fiber for elektriske kabler.
FR2377047A1 (fr) Connecteur rotatif pour fibre optique
DE3586290D1 (de) Optisches kabel.
AU559047B2 (en) Optical fibre cables
AU573017B2 (en) Submarine cable line for optical fibre telecommunications
ATE31849T1 (de) Verbinden von bewehrten seekabeln.
ES545173A0 (es) Perfeccionamientos en dispositivos de junta para cables sub-marinos de telecomunicaciones con fibras opticas
ATE91197T1 (de) Verbindungsstueck.
KR890003111B1 (ko) 광분기 및 스위칭 장치
KR850002996Y1 (ko) 광도체케이블의 접속구
ATE44626T1 (de) Verbindungsaufbau fuer oberirdische leitungen, die optische fibern enthalten.
JPS5528055A (en) Solar light collector
KR890004151B1 (ko) 광도체의 연결구조
EP0226274A3 (en) Multicore optical fiber with optical connectors
MX9603044A (es) Dispositivo para la union de dos cables electricos aereos.
JPS6017090B2 (ja) 光導体ケ−ブルの接続方法
DE3782023T2 (de) Schneidklemmenverbinder fuer monoleitungskab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8712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