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2775A - 테니스 라켓 - Google Patents

테니스 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2775A
KR850002775A KR1019840005539A KR840005539A KR850002775A KR 850002775 A KR850002775 A KR 850002775A KR 1019840005539 A KR1019840005539 A KR 1019840005539A KR 840005539 A KR840005539 A KR 840005539A KR 850002775 A KR850002775 A KR 850002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nis racket
shaft
shell
grip
grip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5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담 귄터
Original Assignee
울리히 하이트 에르빈 셈링거
푸마-스포르츠 슈화부리켄 루돌프 다쓸러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리히 하이트 에르빈 셈링거, 푸마-스포르츠 슈화부리켄 루돌프 다쓸러 카게 filed Critical 울리히 하이트 에르빈 셈링거
Publication of KR850002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77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9/00Stringed rackets, e.g. for tennis
    • A63B49/02Frames
    • A63B49/08Frames with special construction of the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22Adjustable handles
    • A63B60/28Adjustable handles with adjustable lengt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54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with means for damping vib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니스 라켓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테니스 라켓의 분해도. 제2도는 테니스 라켓의 핸드그립의 횡단면도. 제3도는 테니스 라켓의 핸드그립의 부분 종단면도. 제4도, 제5도는 수개의 셀(Shell) 부분들로 구성된 그립슬리브의 플러그 부재의 도시도.

Claims (34)

  1. 팽팽하게 당겨진 타격면을 둘러싸고 있는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의 한쪽이 길이방향 리브형의 위치고정부재를 갖운 그립셀이 설치되어 있는 측으로 바뀌고, 내벽의 상기 위치 고정부재는 축에 대해 내측으로 향하는 동시에 그 축에 의지하고 있는 라켓 특히, 테니스라켓에 있어서, 하나의 그립쉘 또는 서로 집합된 몇개의 쉘부분으로 구성된 그립쉘(9)의 내벽(20,21)과 축(3)의 양쪽 축표면(29)사이 또는 내벽(21,21) 및/또는 위치고정부재(27,27˝)에 스프링부재(32,36,42,42´)가 구비 또는 설치되어 있거나 또는 위치고정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스프링부재로서 발전되어 있음으로서 그립쉘(9)이 탄력있게 그러나 틈이 없이 축(3)을 고정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서로를 향해 마주보고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여러부분으로 분리되어 있는 길이방향 리브(27˝)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립쉘(9)이 축(3)상으로 밀쳐질때 상기 길이방향리브(27˝)가 내부응력하에서 축(3)에 측면으로 의지하고, 상기 길이방향리브(27˝)사이 그리고 각각의 내벽(20,21)과 내벽(20,21) 반대쪽 축표면(29)사사의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부재(32,36)를 갖춘 적어도 하나의 위치고정부재(27´)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 단부모서리 또는 단부표면(28´) 또는 이들의 일부는 내벽(20,21)의 축표면(29)의 거리(y)보다 내벽(20,21)으로 부터 큰 거리(x)를 가짐으로서 그립쉘(9)이 축(3)상으로 밀쳐질때 스프링부재(32,36) 및/또는 그립쉘의 벽(38에서 41)이 탄성변형하는 반면, 그 단부모서리(28´) 또는 단부표면(28´) 또는 그 일부와 함께 내부응력하에서 스프링부재(32,36)가 대응하는 축표면(29)에 의지하여 스프링부재(32,36)가 탄력있게 외측으로 편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라켓.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스프링부재(32,36)를 갖춘 위치고정부재(27´)는 축(3)에 측면으로 의지하고 있는 길이방향리브(27˝)에 측면으로 밀접하게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테니스라켓.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스프링부재가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으로 유연하게 발전된 부분을 갖추고 있어 내벽(20,21)으로 부터 그 단부모서리(28´) 또는 단부표면(28´)까지의 거리(x)가 내벽(20,21)으로 부터 축표면(29)까지의 거리(y)보다 크게되도록 하나의 위치고정부재(27´)가 길이방향거리리브 또는 일부 길이방향거리리브(127´)로 발전되어 있으며, 나머지 단부모서리 또는 단부표면(28´)의 거리는 거리(y)보다 큰 거리에서 해당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테니스라켓.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스프링부재가 단부측면이 유연한 설상체(32)로서 발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테니스라켓.
  6. 제5항에 있어서, 유연한 설상체(32)의 길이가 위치고정 부재(27´,127´) 길이의 약60%에 달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테니스라켓.
  7.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스프링부재가 내측을 향해 휘어있는 유연한 아치형리브(36)로서 발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테니스라켓.
  8. 제4항에서 제7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스프링부재(32,36) 상부그립(38)의 벽에 스프링부재(32,36)의 길이와 폭에 거의 알맞는 리세스(33)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테니스라켓.
  9. 제8항에 있어서, 스프링부재(32,36)의 리브높이가 위치고정부재(27´,127´)의 비탄성부의 높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라켓.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스프링부재(32,36)는 리세스(33)에 의해 절삭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라켓.
  11. 제10항에 있어서, 스프링부재(32,36)는 적어도 외측으로 편향중에는 리세스(33)에 접촉하는 코부분(34)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라켓.
  12. 제1항에서 제11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위치고정 부재(27´127´)가 축표면(29)에 수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라켓.
  13. 제1항에서 제11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위치고정 부재(27´127´) 또는 최소한 스프링부재(32,36)의 적어도 일부가 축표면(29)에 대각선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라켓.
  14. 제1항에서 제1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내벽(20,21)과 축표면(29)사이에 개별적인 부재로서 발전된 스프링부재(42,42´)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라켓.
  15. 제14항에 있어서, 개개의 스프링부재(42,42´)가 Y자형 이음판 또는 이음판부로서 발전되어 있으며 각각의 경우 유연부재로 발전된 두개의 인접한 가지는 축표면(29) 또는 내벽(20,21)에 의지되어 있고, 세번째 가지는 내벽(20,21) 또는 축표면(29)에 의위치고정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라켓.
  16. 제14항에 있어서, 축표면(29) 및/또는 내벽(20,21)으로 향한 스프링부재(42,42´)가 몇개의 특히 대각선으로 대칭분산된 특히 삼지구조의 다리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테니스라켓.
  17. 제14항에서 제16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스프링 부재(42)가 홈-및-설상체접속형으로서 내벽(20,21)의 이음판(44)에 밀쳐지거나 또는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라켓.
  18. 제14항에서 제16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스프링 부재(42,42´)가 축(3) 또는 내벽(20,21)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라켓.
  19. 제1항에서 제18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그립쉘(9)이 적어도 두개의 동일한 또는 필수적으로 동일한 쉘부분(7,8)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라켓.
  20. 제19항에 있어서, 개개의 스프링 부재(42,42´)의 삽입후 쉘부분(7,8)이 견고하게 특히 분리되지 않도록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라켓.
  21. 제20항에 있어서, 접속주형 및/또는 잠금부재 및/또는 마찰-잠금부재에 의해 쉘부분(7,8)이 견고하게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라켓.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쉘부분(7,8)이 서로간에 적어도 일부 아교접착 및/또는 초음파밀봉 및/또는 열밀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라켓.
  23. 제1항에서 제22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그립쉘(9)을 형성하는 쉘부분(7,8)의 단면 및 두께는 그립쉘(9)이 축(3)상에 밀쳐질 때 내벽(20,21)이 서로 멀어지고 그 사이의 측벽(40,41)이 내측을 향해 당겨짐으로서 그립쉘(9)이 그 최종형상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라켓.
  24. 제1항에서 제2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그립쉘(9)이 그립스트립(11)으로 감겨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라켓.
  25. 제1항에서 제2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그립쉘(9)이 축(3)에서 미끄러질 수 있으며, 길이방향의 여러 위치에서 잠겨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라켓.
  26. 제25항에 있어서, 스프링부재(32,36,42,42´)의 적어도 한쪽이 미끄럼부재로 발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라켓.
  27. 제1항에서 제26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또 하나의 다른 스프링부재(47)가 축(3)에 그립쉘(9)을 잠그기 위한 잠금부재로서 발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라켓.
  28. 제27항에 있어서, 그립쉘(9)이 축(3)상에서 몇 ㎝정도 미끄러질 수 있으나 스프링부재(47) 때문에 축(3)을 벗어나도록 당겨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라켓.
  29. 제1항에서 제28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한쪽이 축(3)에 그리고 다른 한쪽이 그립쉘(9)에 접속된 조절장치(6)에 의해 그립쉘(9)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라켓.
  30. 제29항에 있어서, 조절장치가 축(3)에 끼워진 조절나사(6)로 구성되며, 조절나사(6)는 그립쉘(3)에 설치되어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는 없으나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라켓.
  31. 제30항에 있어서, 조절나사(6)의 둘레에 홈(14)이 형성되의 있어 주형 또는 삽입된 벽부분(16)이 적어도 두개의 쉘부분(7,8)으로 구성된 그립쉘(9)과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라켓.
  32. 제30항에 있어서, 조절나사(6)의 둘레에 그립쉘(9) 벽(16)에 대응하는 홈형 리세스에 접속되는 칼라(12 또는 13)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라켓.
  33. 제28항에서 제32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축끝(4)부분의 가능한 면위치 따라서 가장 극단적인 위치에서 서로 마주보는 적어도 두개의 스프링부재(32,36,42,4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라켓.
  34. 제1항에서 제3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스프링부재(32,36,42,42´)가 축표면(29)의 측면모서리 부분에서 양쪽측면(20,21)의 각 측면에서 적어도 두개의 연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라켓.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40005539A 1983-09-07 1984-09-07 테니스 라켓 KR8500027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33332289 DE3332289A1 (de) 1983-09-07 1983-09-07 Ballschlaeger, insbesondere tennisschlaeger
DEP3332289,9 1983-09-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2775A true KR850002775A (ko) 1985-05-20

Family

ID=6208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5539A KR850002775A (ko) 1983-09-07 1984-09-07 테니스 라켓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850002775A (ko)
CA (1) CA1242468A (ko)
DE (1) DE33322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9203249L (sv) * 1992-11-03 1994-05-04 Christer Dahlstroem Ergonomiskt handta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32808A (ko) * 1969-05-09 1969-10-16
DE2106800A1 (de) * 1970-02-16 1971-09-02 Schnell, Erhard, Dr , Wächter, HeI mut, Dr , Innsbruck (Osterreich) Ballschlager, insbesondere Tennis schläger
US3674267A (en) * 1970-07-08 1972-07-04 Bancroft Racket Co Adjustable grip for an elongated handle of a game device
DE3324145A1 (de) * 1983-07-05 1985-01-17 Puma-Sportschuhfabriken Rudolf Dassler Kg, 8522 Herzogenaurach Griff fuer einen ballschlaeger, insbesondere tennisschlae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332289C2 (ko) 1988-12-29
DE3332289A1 (de) 1985-03-28
CA1242468A (en) 1988-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908074D0 (en) Joining element for cavity spacers of insulated glassplates
DE69403931D1 (de) Thermoplastische Elastomere mit verbesserten Niedrigtemperatureigenschaften
DE3688226T2 (de) Elastomere zusammensetzungen.
US4537399A (en) Grip for a racket, especially a tennis racket
KR850002775A (ko) 테니스 라켓
ATE44299T1 (de) Bausatz zur erstellung von mauerwerken.
ATE369519T1 (de) Schlauch
GR3033014T3 (en) Connecting device for profiled driving elements
ES504385A0 (es) Procedimiento para la formacion de un terreno de deportes o de juego y maquina para la realizacion de dicho procedimien-to
DE69707544D1 (de) Fugenabdeckung für Oberflächenbeschichtung
ATE163730T1 (de) Rolladenkasten
DE3369545D1 (en) Device for holding a wing in position
FR2392637A1 (fr) Cadres pour photographies ou similaires
IT1267023B1 (it) Canaletta per la conduttura di cavi elettrici o simili con coperchio del tipo cosi' detto avvolgente.
ATE81301T1 (de) Spielzeug-bauelement-system.
FR2440718A1 (fr) Perfectionnements aux cadres-presentoirs
KR950001623Y1 (ko) 조립식 창문
JPS6268021U (ko)
KR830002629Y1 (ko) T.v수상기의 채널 표시필름 삽지구
ATE16619T1 (de) Plattenfoermiges verkleidungsprofil.
JP4309742B2 (ja) 目地構造
KR820000049Y1 (ko) 콘트롤 놉(knob)
KR950027421A (ko) 광 커넥터
KR800001788Y1 (ko) 합성수지제 창틀의 접합고정장치
PT1052750E (pt) Canal para a colocacao de cab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