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2763Y1 - 테이프 레코오더 - Google Patents

테이프 레코오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2763Y1
KR850002763Y1 KR2019830001922U KR830001922U KR850002763Y1 KR 850002763 Y1 KR850002763 Y1 KR 850002763Y1 KR 2019830001922 U KR2019830001922 U KR 2019830001922U KR 830001922 U KR830001922 U KR 830001922U KR 850002763 Y1 KR850002763 Y1 KR 8500027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ssis
head
main chassis
tape recorder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19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사오 고다무
게사오 신도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사바 쇼오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사바 쇼오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Priority to KR20198300019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27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27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7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이프 레코오더
제1도는 본 고안에 대한 가동부재취부기구가 적용되는 카세트태이프 레코오더를 나타낸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카세트태이프 레코오더에서 분리된 주샤시의 평면도.
제3(a)도 및 제3(b)도는 각각 본 고안에 관한 태이프 레코오더의 가동부재 취부기구의 1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및 정면도.
제4도, 제5도는 동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제6도, 제7도는 각각 재생조작부재와 스프링사이의 연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및 평면도.
본 고안은 플라스틱으로 형성한 가동부재를 가지는 태이프 레코오더의 가동부재 취부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샤시에 대한 헤드샤시 및 핀치레버에 설치한 태이프 레코오더의 가동부재 취부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카세트태이프 레코오더에 있어서, 주샤시 및 여러기구 부품들을 금속재료로 만들어져있다. 그러나 주샤시 및 복잡한 구조의 여러기구 부품들을 하나의 유니트로 형성하는 것은 어렵다. 그러므로 다수의 부품들이 조합되어 설치되고 있지만 다수의 취부부재들이 이를위해 필요하며, 더우기 그 제작공정이 복잡하였다. 여기서 기구부품들을 확실하게 설치하기 위해 예를들어 스냅링(snap ring)의 사용이 필요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스냅링의 부착과 제거를 위해 특히 스냅링 제거기(remover)가 필요하였다. 그러므로 이렇게 제조된 태이프 레코오더는 사이즈가 더크게되고, 무게가 더 나가며, 값이 더 비싼 등등의 문제점을 갖게된다.
근래 카세트태이프 레코오더를 콤팩트하고 저렴하게 만들도록 하기 위하여 종래의 금속재료대신에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샤시 및샤시위에 설치된 각종의 기구부품을 성형 제작하는 시도들이 행해져 왔다. 만약 샤시 및 기구부품들이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면, 테이프 레코오더는 콤팩트하고, 가벨우며, 저렴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더우기 테이프 레코오더 기구부품중 가동부재가 동작될 때 생기는 것과 같은 특유한 진동소리나 충격소리를 흡수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각 기구부품들 또는 메카니즘의 동작을 원활하게하고 부품수를 최소로하여 태이프 레코오더가 한층 더 콤팩트하고 저렴하며 가볍도록 하는것이 요망되고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샤시 및 각종기구부품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조합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테이프 레코오더의 주샤시에 탑재될 헤드샤시 및 핀치레버를 별개의 취부부재없이 부착시킬 수 있고, 부품수를 최소로하고, 구성이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한 테이프 레코오더의 소형 경량화 및 저가격화에 기여할 수 있는 테이프 레코오더의 가동부재 취부기구를 제공하고저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한양상에 따르면, 샤시의 표면을 따라 조작부재를 밀어넣는 동작에 연동해서 비조작위치로부터 조작위치로 이동가능토록 샤시위에 취부된 제1의 가동부재(헤드샤시)와, 상기 샤시의 표면을 따라 비조작위치로부터 조작위치로 회동가능하게 취부된 제2의 가동부재(핀치레버)를 구비한 테이프 레코오더의 가동부재 취부기구로서, 상기 제1및 제2의 가동부재에 각각 설치되고 제1및 제2의 가동부재가 비조작위치에 있을 때 샤시표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제2 가동부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호 계합되어 있는 제1및 제2의 위치 규제부재와, 상기 제1및 제2의 가동부재사이에서 결합되고 제1의 가동부재가 조작위치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2의 가동부재에 조작위치 방향의 회전편의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을 설치한 것으로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1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레코오더의 기본구성을 나타낸것이다. 도면번호(11)은 카세트테이프 레코오더의 주샤시를 나타낸것으로 합성수지재료로 형성되어있다. 주샤시(11)의 앞쪽(도면의 아랫쪽)에는 카세트테이프 레코오더를 조작 또는 비조작의 소정동작상태로 가져가기 위한 다수의 조작부재 (13), (15), (16), (17), (18) 및 (19)로 구성된 조작부재 어셈블리(12)가 있다. 어셈블리(12)는 제1도의 화살표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배열되어있다. 부호(13)은 정지 및 이젝트 조작부재이다. 이를 조작함으로써 카세트테이프 레코오더의 소정동작상태가 정지되거나 또는 테이프카세트를 끄집어내는 작용을 하는 이젝트기구(14)를 동작시킨다. 또한(15)는 테이프 레코오더를 녹음상태에 있도록하는 녹음조작 부재이다. 이 부분이 동작될 때 이의 일측단에 형성된 대체로 L자형의 돌기편(151)(제2도)에 의해 재생조작부재(16)도 연동하여 동시에 조작되도록 구성된다. (17) 및 (18)은 각각 되감기 및 조송조작 부재이다. (18)는 녹음 또는 재생의 동작상태를 일시 정지시키기 위한 포오즈(pause) 조작부재이다.
상기 주샤시(11)의 상면에는 금속재로 만들어져 주샤시(11) 위에서 쉽게 움직이게한 헤드샤시(20)(제1가동부재)가 설치된다. 이 헤드샤시(20)에는 나중에 설명되겠지만 주샤시(11)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계합돌출부(51)(안내부재)에 끼워지도록한 절결부(53) 및 (54)가 형성되어있다. 헤드샤시(20)는 재생조작부재(16)의 동작과 연동관계하에서 재생조작부재(16)의 조작방향에 대응하여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되어있다. 헤드샤시(20)의 소정부분에는 합성수지재료 로형성 된취부부재(21)가 부착된다. 이 취부부재(21) 위에 녹음 및 재생헤드(22), 소거헤드(23), 테이프정지 검출레버(24)와 스프링(25)이 설치되어있다. 스프링(25)은 뒤에 설명되겠지만 헤드샤시(20)와 재생조작부재(16)가 연동관계를 갖도록 제공한다. 또한, 취부부재(21) 위에는 헤드샤시(20)의 평면에 대해솟아올라와 있는 두갈래의 협지부(211)와 그 옆에 또하나의 협지부(212)가 형성되어있다. 협지부(211)의 각각은 녹음 및 재생헤드에 연결되는 도선(26), (27)을 끼워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취부부재(21)의 좌측단에는 얇은 탄성편(213)이 형성되고, 주샤시(11)에는 얇은 탄성편(213)과 계합자재하게 설정된 계합편(111)이 일체로형성된다. 녹음 및 재생헤드(22)는 도면에서 점선에의 해표시 된도선(26), (27)을 통해 도시되지 않은 녹음 및 재생회로에 연결된다.
표시된 헤드샤시(20)의 우측에 헤드샤시(20)의 움직임에 따라 회동축(28)(안내부재)을 중심으로 반대방향 A, B으로 회전하거나 움직일 수 있고 역시합성수지재료로 만들어진 핀치레버(pinch lever)(29)(제2가동부재)가 설치되어있다. 핀치레버(29)의 일단에는 핀치 로울러(31)가 제공되며 핀치레버(29)가 화살표 방향A로 회전할 때 이 핀치로울러(31)에는 캡스턴(30)에 압압되고, 캡스턴(30)은 후술되는 플라이휘일(44) 과동축으로 설치되어있다.
주샤시(11)의 뒷면(도면의 상면)에는 사용하는 테이프카세트에 구비된 오소거 방지용 풀(pawl)의 유무를 탐지하는 합성수지 재료로만들어진 오소거 방지기구(32)가 설치되어 있어 녹음조작부재(15)의 동작을 제한한다. 또한 번호(33)과 (34)는 각각가이드핀을 나타내고, (35) 및 (36)은 좌측 및 우측리일대를 나타내며, 은 모터를 도시하고있다.
제2도는 제1도의 카세트테이프 레코오더의 주샤시(11) 하면에 설치된 각종기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것이다. 상기 녹음, 태생, 되감기 및 조송조작부재(15)-(18)는 각조작부재(15)-(18)와 대체로 직각으로 교차하게 설치된 록킹 플레이트(38)에 의해서 각각의 조작위치에서 계합되며, 각 조작부재(15)-(18)와의 결합으로 화살표방향 C←→D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스위치 슬리이더(39)는 록킹 플레이트(38)와 대체로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15)-(18)의 조작부재와 계합되어 양쪽방향 E←→F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조작부재를 동작위치로 하면, 스위치 슬라이더(39)는 E방향으로 움직여서 모우터(37)의 전원공급용 스위치(40)를 턴 온시킨다.
더우기 재생조작부재 및 되감기 조작부재(16) 및 (17) 각각은 대체로 V자형 굽혀진 코일스프링(41)에 의해 도면의 아래쪽으로 편의력을 받는다. 녹음조작부재(15)는 다른 조작부재(16), (17) 및 (18)이 부재(15)의 조작에 앞서 동작중에 있을 때 합성수지 재품의 오녹음 방지기구(42)의 후단부에 의해 조작불가능하게된다. 또한 테이프주행의 정지를 탐지하는 테이프정지 검출레버(24)는 다음에 설명될 합성수지제품의 제2도에 도시한 주샤시(11)의 우측하단에 설치된 자동정지기구(43)를 구동하도록 배치되어있다. 도면중 번호(44)는 회전풀리(45)와 벨트(46)을 통해 모터(37)에 연결된 플라이휘일을 나타낸 것으로 모터(37)의 회전력이 플라이휘일(44)에 전달되도록 한다.
제3(a)도 및 제3(b)도는 각각 상술한 헤드샤시(20)를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금속재료 로만들어진 헤드샤시(20)는 약 L자형으로 형성되고, 헤드샤시(20)의 후단부(201)와 전단각부(202)에는 각각 대체로형의 결합부분으로 작용하는 절결부(53) 및 (54)가 형성된다. 절결부(53) 및 (54)는 각각 주샤시(11)에 일체로 형성되고 정면에서 볼 때 각각 T자형으로 형성되어 안내부재로서 작용하는 계합돌출부(51) 및 (52)에 끼이게되며, 고로 헤드샤시(20)는 화살표방향 G←→H로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다. 절결부(54)의 가장 안쪽부분에는 상기 계합돌출부(52)의 두부(521)가 삽입될 만큼의 크기를 갖는 확대절결부분(541)이 형성된다. 따라서 헤드샤시(20)는 상기 확대절결부분(541) 내로 이에대응한 계합돌출부(52)의 두부를 삽입하는 과정을 취함으로써 주샤시(11)에 장착된다.
더우기 헤드샤시(20)에는 제3(a)도의 하단부에 도시되고, 전술된 바와 같은 치부부재(21)가 덮어씌어져있다. 헤드샤시(20)의 측단각부(203)를 커버하는 취부부재(21) 위에 돌출부(55)가 형성되어 있고, 돌출부(55)의 선단부에는 위치조정부재로서 동작하는 절곡계 지편(551)(제1위치규제부재)이 형성된다.
한편, 핀치 로울러(31)가 붙은 핀치레버(29)는 제3(a)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약 L자형으로 형성된다. 핀치레버(29)은 주샤시(11)에 일체로 형성된 회동축(28)에 끼워 맞춰지고 이를 중심으로 화살표방향 A 및 B로 회전할 수 있게된다. 핀치레버(29)의 일단부에는 계지단(291)이 형성되며, 이 계지단(291)에 스프링(58)의 일단이 계지되어있다. 스프링(58)은 그 중심이 헤드샤시(20) 위의 취부부재(21) 위에 형성된 원통형 돌출부(56) 주위에 감겨져있으며, 그 다른단부는 동일한 취부부재위에 형성된 또 다른 절곡계지편(57)에 계지되어있다. 스프링(58)에 의해서 핀치레버(29)에 화살표 A방향의 회동 편의력이 부여된다. 또한 핀치레버(29)의 일단에 헤드샤시(20)를 향해 연장된 계합편(292)(제2위치규제부재)이 형성되어있다. 이 계합편(292)은 돌출부(55)의 절곡계지편(551)과 함께 핀치레버(29)의 위치를 규제하는 부재로 작용한다. 절곡계지편(551)은 회동축(28) 주위로 계합편(292)의 회동을 가로막는 수직부분과, 회동축(28)을 따라 계합편(292)이 미끄러져 이탈됨을 가로막는 수평부분을 갖는다.
따라서, 핀치레버(29)의 시계방향 회전은 계합편(292)이 절곡계지편(551)의 수직부분과 맞닿는 위치까지로 제한된다. 그러므로 제1도의 재생조작부재(16)가 조작되지 않았을 때, 즉 헤드샤시(20)가 제3(a)도에 도시한 위치에 놓여져 있을 때, 핀치로울러(31)는 절곡개지편(551)에 의해 캡스턴(30)으로 부터 분리상태로 놓여진다.
더우기, 절곡계지편(551)은 핀치레버(29)의 회동을 규제하도록 할 뿐만아니라 핀치레버(29)가 회동축(28)을 따라 화살표 Ⅰ(제3(b)도) 방향으로 벗겨져 이탈되지않도록 한다. 즉 회동축(28)으로 부터 핀치레버(29)가 분리되도록 힘을 받을 때, 핀치레버(29)의 계합편(292)은 절곡계지편(551)의 수평부분과 계합되어 그와 같은 분리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통상 동작상태에서 핀치레버(29)의 수직부분, 즉 주샤시(11)로부터 핀치 로울러(31)의 높이는 절곡계지편(551)에 의해 한정된다.
이제부터 주샤시(11)에 헤드샤시(20)와 핀치레버(29)를 장착하는 과정을 설명하겠다. 먼저, 헤드샤시(20)에는 그 전단각부와 후단부(202) 및 (201)가 계합돌출부(52) 및 (51)와 맞춰져 고정되도록 주샤시(11)위에 인가되고 그 다음화살표 G방향으로 충분히 이동시킨다. 이후에, 핀치레버(29)가 회동축(28) 위에 장착되어지는데 이 과정에서, 계합편(292)과 핀치레버(29)의 상측단부(591)는 취부부재(21) 위의 절곡 계지편(551)과 주샤시(11)에 형성된 투공(60)의 모서리(113)와 교차하지 않고 취부된다. 상측단부(591)는 핀치레버(29)의 크랭크모양의 돌기(59) 위에 형성되고, 모서리(113)의 저면과 맞물리게 된다. 그후, 스프링(58)이 그 연결상태가 유지되도록 취부부재(21)와 핀치레버(29) 사이에 결합된다.
헤드샤시(20)가 제4도에 도시한 위치로 가게될 때 (재생조작부재(16)의 조작상태), 핀치레버(20)는 스프링(58)의 편의력에 의해 화살표 A로 표시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핀치로울러(31)가 캡스턴(30)에 대면해서 눌려지며, 그렇게하여 헤드샤시(20)와 핀치 로울러(31)은 재생조작부재(16)의 조작에 따른 동작위치로 가게 된다. 또한 화살표 G방향으로의 헤드샤시(20)의 후방이동은 헤드샤시(20)의 우측면에 형성된 계합편(204)이 가이드 핀(34)에 접하는 위치까지 제한된다는 것도 유의해야한다.
이제 핀치레버(29)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조작부재(16)가 비조작생태로되고 핀치레버(29)를 끌어낼 목적으로 화살표 B방향으로 회동되었다고 가정하자. 그러나 그 회동은 핀치레버(29)의 상측단부(591)가 주샤시(11)에 형성된 투공(60)의 모서리(113)의 저면에 당접하는 위치로 제한된다. 따라서 이 위치에서, 핀치 레버(29)의 계합편(292)의 취부부재(21)의 절곡계지편(551)과도 계합 가능한 상태이기 때문에 핀치레버(29)가 회동축(28)에서 꺼내어질 수 없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제 재생조작부재(16)와 헤드샤시(20), 헤드샤시(20) 위에 부착된 취부부재(21)와의 연동관계를 설명하겠다. 제6도에 도시한바와 같이, 취부부재(21)에는 하향으로 돌출된 핀(205)이 설치되어있다. 주샤시(11)와 재생조작부재(16)에는 각각 개구(112) 및 (161)가 형성되어있고, 이 개구를 통해 돌출핀(205)이 삽입된다. 주샤시(11)의 개구(112)는 헤드샤시(20)의 슬라이딩 운동을 방해하지 않게끔 크기로 정해진다. 취부부재(21) 위에는 스프링(25)이 감겨진 돌출부(62)와, 스프링(25)의 일단(252)이 결합되어 정지되는 계지부(61)가 형성되어있다. 재생부재(16)에는 스프링(25)의 다른일단(251)이 계지되어지는 절결된 계지부(63)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도시한바와 같은 스프링(25)은 돌출부(62) 주위에 감겨지고, 스프링의 일단(252)이 계지부(61)에결합되므로써 취부부재(21)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스프링(25)의 타단(251)은 화살표 M 방향으로의 편의력이 주어지는 한 재생조작부재(16)의 절결된 계지부(63)와 결합된다.
또한 스프링(25)의 상기 타단(251)에 가해진 편의력에 의해서, 돌출핀(205)은 제7도에 보인바와 같이 개구(161)의 단면에 대항하여 당접된다. 그러므로 주샤시(11)의 각각 반대편에 설치된 헤드샤시(20)와 재생부재(16)는 상술한 상호연등관계를 갖게 된다. 제7도에서는 스프링(25)의 타단(251)이 재생조작부재(16)의 절결된 계지부(33)에 계지되어 있는 상태와 돌출핀(205)도 또한 개구(161)의 일단면과 결합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와 같은 상태로 유지된 재생조작부재(16)가 화살표 K방향으로 조작될 때, 취부부재(21) 및 스프링(25)을 통해 재생조작부재(16)와 결합된 헤드샤시(20)도 또한 동일방향으로 움직인다. 재생조작부재(16)가 그 조작위치에서 록킹플레이트(38)에 의해 고정될 때, 헤드샤시(20) 역시 그 해당위치에서 정지된다. 이 상태에서 헤드샤시(20)의 전방이등이 가이드핀(34)에 의해서 제한되기 때문에, 돌출핀(205)은 개구(161)의 일단면으로부터 약간 떨어져 위치한다는 것을 유의해야한다. 재생조작부재(16)가 록크된 상태에서 정지 및 이젝트조작부재(13) 등의 조작에 의해 록크가 해재되었을 때, 재생조작부재(16)는 스프링(41)의 편의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며 그와동시에 헤드샤시(20)도 개구(161)의 단면과 돌출핀(205)의 결합으로인해 원래의 위치 로돌아온다. 이때 헤드샤시(20)는 제3(a)도에 도시된 위치의 비조작상태로 있게 된다. 이 위치에서, 헤드샤시(20)의 절결부(53) 및 (54)가 각각 주샤시(11)의 계합돌출바(51) 및 (52)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헤드샤시(20)는 주샤시(11)의 계합돌출부(51), (52)에 헤드샤시의 절결부(53), (54)를 끼워맞춤으로써 주샤시(11) 위에 취부된다. 핀치레버(29)는 절곡계지편(551)과 계합편(292)을 맞물림으로써 샤시(11) 위에 취부된다. 헤드샤시(20)과 핀치레버(29)는 재생조작부재(16)의 조작에 반응하여 스프링(58)에 의해 연동관계를 가지고 해당조작위치로 이동한다.
결국, 본 고안의 가동부재취부기구는 별개의 취부부재를 요하지 않고 더 적은수의 기구부품을 가지고 쉽게 제작될 수 있다. 편치 로울러(31)는 취부부재(21)의 절곡계지편(551)과 투공(60)의 모서리(113)에서의 계합으로 회동축(28)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되었다. 더우기, 주샤시(11)로부터 녹음 재생헤드(22) 및 핀치로울러(31)의 수직높이가 동일한 취부부재(21)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크기의 오차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정밀도 및 녹음 또는 재생특성을 재선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은 예를들어 헤드샤시 및 핀치레버의 취부에서 뿐만아니라, 조송 및 되감기등을 위한 아이들러(idler)에 관하여 구동레버, 조작레버 및 조작레버의 취부에 응용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라 제1및 제2 가동부재는 별개의 취부부재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테이프 레코오더의 샤시위에 신뢰성 있게 취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테이프 레코오더의 제1 및 제2 가동부재 취부기구는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제조하기 쉬우며, 필요부품수도 적고, 집약되고 가벼우며 저렴한 유니트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Claims (1)

  1. 안내부재(51, 52)와 회동축(28)을 구비한 주샤시(11)와, 안내부재(51, 52)와의 결합에 의해 주샤시(11)위에서 미끄러져움직일 수 있게 취부된 제1가동부재(20)와, 상기 회동축(28) 주위로 주샤시(11) 위에서 회동가능하게 취부된 제2가동부재(29)를 구비한 카세트테이프 레코오더의 상기 제1및 제2 가동부재취부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1과 제2가동부재(20), (29)에 각각 설치되고 제1및 제2의 가동부재가 비조작위치에 있을 때 상기 주샤시(11) 표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제2 가동부재(29)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호계합되어 있는 제1과 제2위치 규제부재(551), (292)와, 상기 제1과 제2 가동부재(20), (29) 사이에서 결합되고 제1가동부재(20)가 조작위치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2 가동부재(29)에 조작위치방향의 회전편의력을 부여하는 스프링(58)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테이프 레코오더.
KR2019830001922U 1980-01-30 1983-03-05 테이프 레코오더 KR8500027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1922U KR850002763Y1 (ko) 1980-01-30 1983-03-05 테이프 레코오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0379 1980-01-30
KR2019830001922U KR850002763Y1 (ko) 1980-01-30 1983-03-05 테이프 레코오더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0379 Division 1980-01-30 1980-01-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2763Y1 true KR850002763Y1 (ko) 1985-11-21

Family

ID=26626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1922U KR850002763Y1 (ko) 1980-01-30 1983-03-05 테이프 레코오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276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27883A (en) Supporting mechanism for magnetic tape recorder
US4330805A (en) Tape recorder
US4342055A (en) Automatic reverse tape recorder
US4287542A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KR850002763Y1 (ko) 테이프 레코오더
US4206488A (en) Miniature cassette tape recorder
US5115362A (en) Cassette changer for tape player
JPS6020177Y2 (ja) テ−プレコ−ダの連結機構
EP0166602B1 (en) Auto reverse tap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3869718A (en) Interlock means responsive to track selection
JPH0237132Y2 (ko)
JPS5923239Y2 (ja) テ−プレコ−ダの可動部材摺動機構
US4404607A (en) Magnetic reproducing apparatus
KR840001729Y1 (ko) 테이프 레코오더
GB1578293A (en) Head support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playback apparatus
JPS5839565Y2 (ja) テ−プレコ−ダ
JP3072739B2 (ja) 操作レバー装置
JP3130161B2 (ja) テーププレーヤ
JPS5931790B2 (ja) カセツトテ−プレコ−ダにおける巻戻し早送り装置
JPH0749640Y2 (ja) テープレコーダの録音/再生切換えスイッチ駆動装置
JPS6034122Y2 (ja) ヘツドシヤ−シの位置決め機構
GB2067336A (en) Mechanism for mounting first and second movable members of a tape recorder
JPS596526Y2 (ja) テ−プレコ−ダの誤消去防止用軸支装置
JPS596527Y2 (ja) 誤消去防止機構
JPS6127820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