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2715A - 전자회로를 사용한 계기용 신호 발생기 - Google Patents

전자회로를 사용한 계기용 신호 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2715A
KR850002715A KR1019840005737A KR840005737A KR850002715A KR 850002715 A KR850002715 A KR 850002715A KR 1019840005737 A KR1019840005737 A KR 1019840005737A KR 840005737 A KR840005737 A KR 840005737A KR 850002715 A KR850002715 A KR 850002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pulse
output
generator
signal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5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만 루트가르디스 코르넬리우스 리바에이 디르크 (외 1)
Original Assignee
더블유 제이. 바움
인터내쇼날 스탠다드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BE2/60207A external-priority patent/BE897771A/nl
Application filed by 더블유 제이. 바움, 인터내쇼날 스탠다드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filed Critical 더블유 제이. 바움
Publication of KR850002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71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4/00Generating pulses having essentially a finite slope or stepped portions
    • H03K4/02Generating pulses having essentially a finite slope or stepped portions having stepped portions, e.g. staircase wavefo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2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 H03K3/353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ternal or external positive feedback
    • H03K3/356Bistable circuits
    • H03K3/356104Bistable circuits using 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mplifier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 Manipulation Of Pulses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 Stabilization Of Oscillater, Synchronisation, Frequency Synthesizers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Stereo-Broadcasting Methods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Control Of Charge By Means Of Generator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Mechanical Treatment Of Semiconductor (AREA)
  • Reduction Or Emphasis Of Bandwidth Of Signals (AREA)
  • Logic Circuit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Testing Of Coin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Networks Using Active El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회로를 사용한 계기용 신호 발생기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펄스 발생기 MSG를 나타낸 회로도. 제2도는 각기 제1도의 단지 PW 및 BSO에서 발생하는 파형 PW 및 BSO를 도시한 파형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1도의 비교기 CO를 더욱 상세하게 나타낸 비교기 회로도.

Claims (16)

  1. 경사 구간을 가진 펄스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신호 발생기에 있어서, 제1신호(BS+)를 펄스들 사이의 시간 간격에 발생시키기 위해 채택되었으며 제2신호(BS-)에 대한 진폭이 검출기회로(C0)에 의해 검출될 수 있고 이러한 진폭에 응하여 리미팅회로(S4)에 의해 기준치로 제한될 수 있는 발생기회로(BSG)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회로를 사용한 계기용 신호 발생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기(BSG)가 한편으로는 비교기회로(CO)로 구성된 상기 검출기회로와 연결되어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비교기회로로 제어되는 상기 리미팅회로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신호가 상기 비교기회로에 인가 될때 상기 제1신호(BS+)의 펄스주기 및 상호펄스시간 간격은 상기 비교기회로(CO)가 리미팅회로(S4)를 제어한 결과로서 검출되며 이러한 리미팅회로(S4)는 상기 진폭을 상호펄스 시간 간격의 기준값으로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회로를 사용한 계기용 신호 발생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기 회로(BSG)가 제1 게이팅회로(S3)를 통해 상기 발생기 출력으로 결합되어 있는데 이 발생기 출력은 상기 리미팅회로를 구성하는 제2게이팅회로(S4)를 통해 기준값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S3) 및 제2(S4) 게이트 회로는 상기 비교기회로(CO)의 보상용 출력(CR,CR)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1 게이티회로(S3)는 펄스주기 동안만 상기 신호들의 통과를 허용하고 상기 제2 게이팅회로(S4)는 발생기 출력(MNTC)를 상호펄스 시간 간격에서 기준값으로 제한 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자회로를 사용한 계기용 신호 발생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기(BSG)는 상기 제1 (BS+) 및 제2(BS-)신호가 각기 인가되는 한쌍의 제1변조기 입력(BS+, BS1-)과, 상기 제1(PDM1) 및 제2(PDM 2) 펄스파가 인가되는 한쌍의 제2변조기 입력(PDM1, PDM2)과, 상기 변조기출력(BSO)과 결합되어 있는 변조기 출력과, 제3(S1) 및 제(S2) 게이팅회로를 통해 각기 상기 변조기 출력(BSO)에 결합된 상기 제1 변조기 입력(BS+,BS-)과 상기 제3(S1)및 제4(S2) 게이팅회로의 제어입력을 구성하는 상기 제2변조기 입력(PDM1, PDM2)를 가진 변조기회로(CO)와 마찬가지로 만대편에 제1(PDM1) 및 제2(PDM2) 펄스파를 발생시키는 펄스 소오스(PS, LSIC)를 포함ㅎ며 상기제1(BS+) 및 제2(BS-)신호에 의해 변조되는 펄스파(BSO)가 상기 변조기 출력(BSO)에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자회로를 사용한 계기용 신호 발생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대편의 제1(PDM1) 및 제2(PDM2) 펄스파는 펄스밀도 변조형펄스파이며 상기발생기 출력(MNTC)이 변조된 펄스파를 변조된 사인파로 변형시키는 저역통과 필터를 포함한 필터장치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회로를 사용한 계기용 신호 발생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장치가 상기 사인판의 통과를 허용하며 이것의 저주파 영역에서의 출력량을 제한하는 대역 통과 필터(BPF)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회로를 사용한 계기용 신호 발생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 영역이 음성주파수 영역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회로를 사용한 계기용 신호 발생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BS+)및 제2(BS-)신호가 상기 기준값에 대한 상호 반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회로를 사용한 계기용 신호 발생기.
  9. 내용 없음.
  10. 제7항 및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된 사인파(BSO)가 전송통신을 위한 계기용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회로를 사용한 계기용 신호 발생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기 회로는 직각펄스파(PW)를 발생하는 펄스 소오스(PS)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직각 펄스파(PW)의 포락선은 기준값의 다른측에 확장하며 상기 펄스 소오스(PS)를 이 직각 펄스파(PW)가 인가되는 연산증폭기(OA1)의 비 반전 입력에 연결하고 상기 연산증폭기의 출력은 직류 소오스(V+, V-)의 극사이에서 직렬 접속되어 있는 제1(CS1) 및 제2(CS2)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직류소오스의 접합점은 상기 연산증폭기 (OA1)의 반전입력과 그리고 캐패시터(C)면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캐패시터(C)의 다른 면은 기준값에 접속 되어있고 상기 제1신호(BS+)는 상기 접합점에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회로를 사용한 계기용 신호 발생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점은 단일 이득을 갖는 제2연산 증폭기(OA2)의 비반전 입력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연산증폭기(OA2)의 출력은 상기 제2신호(BS-)가 발생되는 반전하는 제3연산증폭기(OA3)의 출력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회로를 사용한 계기용 신호 발생기.
  13. 제3항 및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게이트회로는 상호 결합된 두개의 PMOS 및 NMOS트랜지스터로서 이루어진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회로를 사용한 계기용 신호 발생기.
  14. 제1 및 제2 입력과 그리고 보상용 제1 및 제2 출력을 갖는 비교기회로에 있어서, 상기 제1(BS+)및 제2(BS-) 입력은 제1(NM8) 및 제2(NM9)게이팅회로에 의해 폐루위프에 결합된 제1 (INV1) 및 제2(INV2)인버어터의 제1(I1) 및 제2(I2)와 연결되어 있으며 직류 소오소는 게이팅장치(PM7,NM7)를 통해 상기 인버어터에 의해 결합되어 있고 상기 보상용 출력(CR,CR)은 인버어터 출력(O2,O1)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회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인버어터(INV1,INV2)는 PMOS 트랜지스터 (PM5,PM6)와 NMOS트랜지스터(NM5,NM6)를 포함하는데, 상기 트랜지스터들의 공통 접속된 드레인 전극과 마찬가지로 게이트 전극도 공통 접속되어 있으며 각기 인버어터 입력(I1, I2) 및 출력(O1,O2)을 구성하고 있고 PMOS트랜지스터(PM5,PM6)의 소오스전극과 NMOS트랜지스터의 소오스전극은 게이팅장치를 구성하는 제3(PM5) 및 제4(NM7)게이트 회로에 의해 상기 직류 소오스의 각극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게이팅회로는 상기 제3 및 제4 게이트회로가 아닐때와 바이스-버샤일때 통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회로.
  16. 한쌍의 제1 및 제2 입력과 하나의 출력을 갖는 변조기회로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1 입력(BS+, BS-)은 제1(S1) 및 제2(S2)게이트에 의해 상기 출력(BSO)와 연결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제2입력은 상기 제1(S1) 및 제2(S2) 게이트의 각 제어입력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회로.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40005737A 1983-09-19 1984-09-19 전자회로를 사용한 계기용 신호 발생기 KR8500027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BE2-60207 1983-09-19
BE2/60207A BE897771A (nl) 1983-09-19 1983-09-19 Elektronische ketens en signaalgenerator die daarvan gebruik maak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2715A true KR850002715A (ko) 1985-05-15

Family

ID=3865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5737A KR850002715A (ko) 1983-09-19 1984-09-19 전자회로를 사용한 계기용 신호 발생기

Country Status (23)

Country Link
EP (1) EP0145038B1 (ko)
JP (1) JPS60172813A (ko)
KR (1) KR850002715A (ko)
AT (1) ATE48213T1 (ko)
AU (1) AU567581B2 (ko)
BR (1) BR8404597A (ko)
CA (1) CA1250350A (ko)
DD (1) DD233899A5 (ko)
DE (1) DE3480582D1 (ko)
EG (1) EG16354A (ko)
ES (1) ES8603127A1 (ko)
FI (1) FI843641L (ko)
HU (1) HU201630B (ko)
MA (1) MA20231A1 (ko)
MX (1) MX156601A (ko)
NO (1) NO843682L (ko)
NZ (1) NZ209462A (ko)
PL (1) PL249650A1 (ko)
PT (1) PT79223B (ko)
SU (1) SU1351526A3 (ko)
TR (1) TR22172A (ko)
YU (1) YU160584A (ko)
ZA (1) ZA8470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024947T2 (de) * 1990-05-11 1996-08-08 Alcatel Nv Impedanz-Synthese durch vielfache Schleife, die filternde Mittel verwendet
EP0455893B1 (en) * 1990-05-11 1995-02-01 Alcatel N.V. Telecommunication line circuit
DE4216577C1 (ko) * 1992-05-20 1993-05-06 Bosch Telecom Oeffentliche Vermittlungstechnik Gmbh, 6236 Eschborn, De
US5452345A (en) * 1994-01-21 1995-09-19 Advanced Micro Devices Metering signal level control circuit
EP0829997B1 (en) * 1996-08-30 2003-06-25 STMicroelectronics S.r.l. Circuit for generating a metering signal in a communication system
JP2001501405A (ja) * 1996-10-02 2001-01-30 エリクソン オーストリア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遠隔供給回路構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99699B (de) * 1967-06-21 1969-07-24 Siemens Ag Generator zur Erzeugung von trapezfoermigen Spannungen
GB2103041B (en) * 1981-07-24 1984-10-24 Int Standard Electric Corp Waveform generator
US4485317A (en) * 1981-10-02 1984-11-27 Fairchild Camera & Instrument Corp. Dynamic TTL input comparator for CMOS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T79223B (en) 1986-08-22
EP0145038A3 (en) 1986-03-19
FI843641A0 (fi) 1984-09-18
ES536074A0 (es) 1985-11-01
MX156601A (es) 1988-09-14
YU160584A (en) 1987-10-31
EP0145038B1 (en) 1989-11-23
DE3480582D1 (en) 1989-12-28
EP0145038A2 (en) 1985-06-19
HU201630B (en) 1990-11-28
HUT38480A (en) 1986-05-28
PL249650A1 (en) 1985-08-13
FI843641L (fi) 1985-03-20
PT79223A (en) 1984-10-01
MA20231A1 (fr) 1985-04-01
TR22172A (tr) 1986-07-29
SU1351526A3 (ru) 1987-11-07
ES8603127A1 (es) 1985-11-01
ZA847073B (en) 1985-04-24
NZ209462A (en) 1988-02-29
DD233899A5 (de) 1986-03-12
AU567581B2 (en) 1987-11-26
JPS60172813A (ja) 1985-09-06
BR8404597A (pt) 1985-08-06
CA1250350A (en) 1989-02-21
EG16354A (en) 1989-03-30
ATE48213T1 (de) 1989-12-15
NO843682L (no) 1985-03-20
AU3299784A (en) 1985-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40000112A (ko) 펄스폭 변조 신호 증폭기
GB1293320A (en) Gated power supply for sonic cleaners
GB1373978A (en) Integrating scale
KR850002715A (ko) 전자회로를 사용한 계기용 신호 발생기
GB1241924A (en) Electro-medical apparatus
KR900019364A (ko) 적분기 회로
KR880000880A (ko) 비 교 기
KR890007490A (ko) 발진기 회로
KR870011751A (ko) 주파수 감지기용 잡음 면역 회로
DE60238000D1 (de) CMOS-Inverterschaltung
GB1146894A (en) Electric circuit using field-effect transistors
SE7701810L (sv) Utbrottgrindpulsgenrator
KR840005942A (ko) 전류 감지 회로
SU692068A1 (ru) Ключевой фазовый детектор
GB1144549A (en) Pulse modulation system
SU390653A1 (ru) Усилитель постоянного тока
SU1107252A1 (ru) Перестраиваемый RC-генератор
SU718892A1 (ru) Генератор импульсов
JPS543452A (en) Phase inversion circuit
JPS5597092A (en) Electronic circuit
SU1534437A1 (ru) Релейно-импульсный стабилизатор посто нного напр жени
SU1573536A1 (ru) Устройство стабилизации амплитуды колебаний управл емого авто-генератора
GB1207271A (en) Improvements in chopper stabilized amplifiers
SU1170421A1 (ru) Компаратор напр жени
SU492886A1 (ru) Широтно-импульсное множ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