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2299Y1 - 객차 화장실 오물 자동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객차 화장실 오물 자동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2299Y1
KR850002299Y1 KR2019820010475U KR820010475U KR850002299Y1 KR 850002299 Y1 KR850002299 Y1 KR 850002299Y1 KR 2019820010475 U KR2019820010475 U KR 2019820010475U KR 820010475 U KR820010475 U KR 820010475U KR 850002299 Y1 KR850002299 Y1 KR 8500022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opening
contact
suction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104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3071U (ko
Inventor
한윤구
Original Assignee
대우중공업주식회사
윤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중공업주식회사, 윤영석 filed Critical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200104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2299Y1/ko
Publication of KR8400030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30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22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2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5/00Sanitation
    • B61D35/005Toilet facilities
    • B61D35/007Toilet facilities comprising toilet waste receiving, treatment, storage, disposal or remov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anitation devices
    • B60R15/04Toilet facil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객차 화장실 오물 자동처리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브레이크 스위치의 장착 및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대차의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 설명하기 위하여 기존객차 화장실 배관에 본 고안의 장치를 적용시킨 배관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부품동결 방지를 위한 부품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고압수 분사각도 및 순환 안내판을 도시한 개략도.
제6도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자동연동 제어장치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개폐막판 6 : 실린더
13 : 약품용기 14, 15 : 분사기
16 : 분사용 수도관
본 고안은 객차 화장실의 오물을 위생적으로 자동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객차 화장실의 오물을 그대로 외부에 방출되도록 하고 있었기 때문에 역간 선로상에는 물론 정거시 정거장 플랫트홈 앞의 선로상에 오물이 떨어져 쌓여서 그 사후 처리 및 환경 오염등에 따른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화장실 오물을 소독제 및 부식제와 혼합하여 일정시간 동안 소독 및 부식처리한 후 분사기에 의해 고압수로 분쇄처리하여 방출하되 정거장 구내에서는 물론 정거시에는 그 방출을 제한하도록 하여 화장실 오물을 위생적으로 자동 처리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일반적인 객차 화장실변기(1)의 하부에 설치된 호퍼슈트(2)내에 개폐막판(3)을 베어링(4)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고, 개폐막판(3)의 일단에 일체로 연장설치된 막판봉(5)을 수압실린더(6)의 피스톤(7)에 돌설된 시프톤롯드(7')에 연결봉(8)으로써 연결하여 실린더(6)의 작동에 의해 개폐막판(3)을 개폐하도록 되어 있으며, 피스톤(7)의 저면과 실린더(6) 사이에는 탄발스프링(9)이 개장되어 있다.
호퍼슈트(2)의 일측 외벽에는 후술하는 자동제어 회로에 의하여 일정시간 동안 막판봉(5)을 흡인하여 개폐막판(3)이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흡인전자석(HM)이 설치되어 있다.
물탱크(WT)에서 변기(1)에 이르는 변기수도관(10)의 도중에는 승객이 용무를 마치고 밟는 폐달(11)에 의해 개방되며 상시에는 폐쇄되는 제어수변(12)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어수변(12)과 변기(1) 사이에는 소독제와 부식제를 혼입시키기 위한 약품용기(13)가 도립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호퍼슈트(2)의 상단벽 양측에는 모우터펌프(MP)에 분사기 전자변(NM)을 개재하여 연결된 분사기(14), (15)가 돌출설치되어 고압수를 호퍼슈트(2)내로 분사토록 되어 있으며, 모우터펌프(MP)와 분사기(14), (15)를 잇는 분사용 수도관(16)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르모 동절기에 동파를 방지하기 위하여 단열재(17)로 피복되어 있다.
분사기(14), (15)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고압수를 각각 대각선방향 및 개폐막판(3)의 중앙을 향하여 분사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호퍼슈트(2)의 내측벽에는 분사기(14)의 분사류를 호퍼슈트(2)내에서 회류시켜 오물을 분쇄하여 미랍화하기 위한 순환안내판(18)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모우터펌프(MP)의 흡입단을 주전자변(MM)을 개재하여 물탱크(WT)에 연결되어 있으며, 토출단은 분사기전자변(NM)과 개방전자변(OM) 및 폐쇄전자변(CM)을 개재하여 각각 분사기(14), (15)와 수압실린더(6)의 양측 포트(6'), (6'')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압실린더(6)의 포트(6'), (6'')는 폐쇄전자변(CM)과 개방전자변(OM)을 개재하여 변기수도관(10)에 연결되어 있다. (제3도 참조)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모우터펌프(MP)와 분사기전자변(NM), 개방전자변(OM), 폐쇄전자변(CM) 및 주전자변(MM)을 포함하는 전자변반(20)과 제어수변(12), 실린더(6) 및 후술하는 제어회로가 포함되는 제어장치(21)등은 동절기에 동파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화장실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개폐막판(3)의 이면에는 전열히이터(CH)가 착설되어 있다.
또한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객차의 대차(19)에는 열차가 정거중일 때 또는 출발하여 정거장 구내를 벗어나기 전에는 개폐막판(3)이 개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대차의 제동장치에 의해 온, 오프작동되는 제동 검지용스위치(BS)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 본 고안의 작동을 제6도에 도시한 자동제어장치와 관련하여 설명한다.
자동제어장치는 제6도의 점선내에 표시된 통상적인 지연회로(C)를 응용한 것으로서 호퍼슈트(2)내의 개폐막판(3)을 20번주기로 개폐토록 작동하되 열차가 정거중이거나 정거장 구내 또는 도심구간에 있을 경우에는 개방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열차가 차량기기등에서 출발할시 전원스위치(S1)와 스위치(S2)를 ON으로 하여 자동제어 회로에 전원을 공급시키면, 폐쇄전자변(CM)이 여자되어 개방되고, 작용계전기(AR)가 여자되어 그 여자접점(ARa)이 게이트단에 연결된 사이리스터(SCR4)가 도통되므로 흡인전자석(HM)과 흡인계전기(HR)가 여자됨과 동시에 무여자접점(ARb)이 게이트단에 연결된 사이리스터(SCR5)가 OFF되므로 개방전자변(OM)이 폐쇄되며, 이와 동시에 폐쇄전자변(CM)이 개방되어 전원공급과 동시에 개방된 주전자변(MM)과 폐쇄전자변(CM)을 통해 수압실린더(6)의 상부포트(6')로 고압수가 유입되어 피스톤(7)을 입하하므로 연결봉(8)을 개재하여 피스톤(7)에 연결된 개폐막판(3)은 호퍼슈트(2)를 폐쇄하며, 이때 막판봉(5)은 흡인전자석(HM)에 의해 흡인되므로 개폐막판(3)은 폐쇄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상기 흡인계전기(HR)가 여자되어 있으므로 그 여자접점(HRa)이 ON으로 되어 지연회로에 전원이 공급되기 시작하며, 주행중에는 브레이크 계전기(BR)는 소자된 상태이므로 전환계전기(CR)도 소자되고 그 무여자접점(R)이 ON으로 되어 저항(R2)과 콘덴서(C2)가 지연회로에 접속된다.
이 상태에서 승객이 용무를 마치고 폐달(11)을 밟으면 제어수변(12)이 개방되어 세척수가 변기수도관(10)을 통해 변기(1)내로 흘러들어가며, 약품용기(13)내의 소독제와 부식제가 세척수에 혼입되어 세척수에 의하여 개폐막판(3)상에 떨어진 오물을 소독 및 부식시킨다.
이때 상기 저항(R2)과 콘덴서(C2)의 충전시간인 20분 동안은 단일접합 트랜시스터(UJT1), (UJT2)와 사이리스타(SCR1)가 동작하지 않으므로 주계전기(MR)가 소자된 상태로 유지되어 개폐막판(3)상의 오물은 20분간 소독 및 부식이 진행된다.
20분이 경과하면 단일접합 트랜지스터(UJT1), (UJT2)가 도통되고, 사이리스타(SCR1)의 게이트가트리거되어 사이리스트(SCR1)가 도통되며, 제동검지용 스위치(BS)의 상시접점(BS1)을 통해 주계전기(MR)에 전류가 공급되어 주계전기(MR)가 여자된다.
주계전기(MR)가 여자되면, 그 여자접점(MRa)에 각각 게이트단이 접속된 사이리스타(SCR2), (SCR3)가 도통되어 모우터펌프(MP)가 구동되고, 분사기 전가변(NM)이 개방되어 물탱크(WT)에서 주전자변(MM)을 통해 모우터펌프(MP)로써 압송되는 고압수가 분사용 수도관(16)을 통해 분사기(14), (15)에서 분사되어 호퍼슈트(2)내의 오물을 미립자로 분쇄처리한다.
이때 주계전기(MR)의 무여자접점(MRb)에 게이트가 접속된 사이리스타(SCR6)가 OFF되고 폐쇄전자변(CM)은 폐쇄되어 실린더(6)의 상부포트(6')측에의 고압수 공급은 차단되고, 주계전기(MR)가 여자된 상태에서는 그 무여자접점(MRb)에 직렬로접속된 작용계전기(AR)에 전원은 차단되지만 병렬로 접속된 콘덴서(C8)의 방전에 의해 약6초간 여자가 계속되어 흡인전자석(HM)과 흡인계전기(HR)는 여자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개폐막판(3)은 폐쇄상태가 계속된다.
6초후 작용계전기(AR)가 소자되면 흡인전자석(HM)이 소자되고 그 무여자접점(ARb)에 게이트가 접속된 사이리스타(SCR5)가 도통되어 개방전자변(OM)이 개방되고, 모우터펌프(MP)에서 압송되는 고압수가 실린더(6)의 하부포트(6'')로 공급되어 피스톤(7)을 상승시키므로 호퍼슈트(2)를 폐쇄하고 있던 개폐막판(3)을 개방시킨다.
이때 분사기전자변(NM)도 계속 개방되어 있으므로 분사기(14), (15)를 통해 고압수가 계속 분사되어 호퍼슈트(2)내의 오물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것이다.
또한 작용계전기(AR)가 소자됨과 동시에 흡인계전기(HR)이 소자되고 주계전기(MR)는 전원이 차단되지만 콘덴서(C6)의 방전시간인 약 2초간 계속 여자되어 개폐막판(3)은 그동안 개방상태로 유지되므로 호퍼슈트(2)내의 오물은 완전히 분산처리된다.
여기서 콘덴서(C6)의 방전전류는 다이오드(D2)에 의해 역류되는 것이 방지된다.
2초후 주계전기(MR)가 소자되면 폐쇄전자변(CM)이 개방되고 고압수가 실린더(6)의 상부포트로 공급되어 피스톤(7)이 압하되므로 호퍼슈트(2)내의 개폐막판(3)은 폐쇄상태로 된다.
이와 동시에 상술한 바와 같이 작용계전기(AR)와 흡인계전기(HR) 및 흡인전자석(HM)이 여자되고, 저항(R1)과 콘덴서(C2)에 의한 20분주기의 작용이 반복되는것이다.
그런데 열차가 정거장구내 또는 선로상에 정거하고 잇는 경우에는 제동검지용 스위치(BS)의 접점(BS2)이 ON 으로 되고 브레이크 계전기(BR)가 여자되어, 전환계전기(CR)가 여자되며 그 여자접점(N)이 접속되어 저항(R1)과 콘덴서(C1)가 지약회로에 접속되어 저항(R1)과 콘덴서(C1)의 충전시간인 3분간(이는 통상적인 열차의 역구내 정거시간에 해당됨)은 단일접속 트랜지스터(UJT1), (UJT2) 및 사이리스타(SCR1)가 동작되지 않게 된다.
3분후 단일접속 트랜지스터(UJT1), (UJT2) 및 사이리스타(SCR1)가 도통되면, 제동중이지 않을 경우에는 주계전기(MR)이 여자되지만, 이 경우는 제동중이므로 브레이크 계전기(BR)의 무여자접점(BRb)이 OFF되므로 주계전기(MR)은 여자되지 않는다.
다음 제동이 해제되어 제동검지용 스위치(BS)의 접점(BS1)이 ON으로 되드라도 브레이크 계전기(BR)는 콘덴서(C7)의 방전시간인 1분간 계속 여자되어 그 무여자접점(BRb)이 OFF 상태를 유지하므로 아직 주계전기(MR)는 여자되지 않는다.
열차가 다시 출발하여 1부후 정거장구내를 벗어나면 브레이크 계전기(BR)가 소자되고 이에 따라 그 무여자접점(BRb)이 ON으로 되므로 주계전기(MR)는 비로서 여자되어 상술한 정상작동이 이루어진다.
다음 주계전기(MR)가 여자됨에 따라 무여자접점(BRb)에 직렬접속된 작용 계전기(AR)은 다시 콘덴서(C8)의 방전시간인 6초후 소자되며 이에 따라 흡인계전기(HR)가 소자되어 전환계전기(CR)는 소자되고 그 무여자접점(R)에 의해 저항(R2)과 콘덴서(C2)가 지연회로(C)에 접속되어 다시 20분주기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제6도에 있어서 스위치(S3)는 개폐막관(3)의 뒷면에 부착된 동결방지용 전열히이터(CH)의 전원스위치로서, 동절기에만 ON으로 하는 것이며, 저항(R10)과 콘덴서(C9)는 회로양단의 서어지(Surge)를 흡수하기 위한 회로보호용 소자이다.
또한 상기 자동제어회로가 기능고장을 일으켰을 경우에는 전원스위치(S1)를 OFF로 하면 자동제어작동을 이루어지지 않으나, 실린더(6)내의 탄발스프링(9)의 탄력과 개폐막판(3)의 자중에 의하여 개폐막판(3)은 개방상태로 유지되므로, 통상적인 객차 화장실과 같이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승객의 사용에는 지장이 없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객차 화장실의 오물을 일정주기 동안 소독제와 부식제로 소독 및 부식처리한 후 고압수로 분산처리하여 방출하되 정거장구내 또는 정거시에는 그 방출을 제한하였으므로 종래 객차 화장실 오물처리에 따른 제반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매우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통상의 객차 화장실변기(1) 하부의 호퍽슈트(2)내에 실린더(6)에 의해 호퍼슈트(2)를 개폐하는 개폐막판(3)을 설치하고, 개폐막판(3)의 배면에는 동결방지용 전열히이터(CH)를 설치하며, 물탱크(WT)로부터 변기(1)에 이르는 변기수도관(10)의 도중에 소독제와 부식제를 수용하는 약품용기(13)를 설치하고, 모우터펌프(MP)로부터의 고압수를 분사하는 분사기(14), (15)를 호퍼슈트(2) 상부 벽면에 내부로 돌출설치하며, 모우터펌프(MP)와 분사기(14), (15)를 잇는 분사용 수도관(16)의 도중에 분사기 전자변(NM)을 설치하고 모우터펌프(MP)와 실린더(6) 사이에는 개폐막판 개방 및 폐쇄용 전자변(OM), (CM)을 설치하며, 호퍼슈트(2)의 일측벽 외부에는 개폐막판(3)을 개방위치로 일정시간 유지하기 위한 흡인전자석(HM)을 설치하고, 개폐막판(3)을 소정주기 간격으로 개폐시키되 열차정거시에는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자동제어장치를 설치하여서된 객차화장실 오물자동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제어장치는, 통상적인 지연회로(C)와 모우터펌프(MP), 분사기 전자변(NM), 흡인전자석(HM), 흡인계전기(HR), 전환계전기(CR), 작용계전기(AR), 개방전자변(OM) 폐쇄전자변(CM), 주전자변(MM), 전열히이터(CH)를 전원에 병렬로 접속하되, 지연회로(C)는 흡인계전기(HR)의 여자접점(HRa)을 개재하여 접속하고, 지연회로(C)에는 제동검지용 스위치(BS)를 개재하여 주계전기(MR)와 브레이크 계전기(BR)를 접속하며, 지연회로(C)의 저항(R1)과 콘덴서(C1)는 전환계전기(CR)의 여자접점(N)에 저항(R2)과 콘덴서(C2)는 무여자접점(R)에 각각 접속하고, 모우터펌프(MP)와 분사기 전자변(NM)은 주계전기(MR)의 여자접점(MRa)에 작용계전기(AR)와 폐쇄전자변(CM)은 무여자접점(MRb)에 접속하며, 흡인전자석(HM)과 흡인계전기(HR)는 작용계전기(AR)의 여자접점(ARa)에 개방전자변(OM)은 무여자접점(ARb)에 접속하고, 전환계전기(CR)는 흡인계전기(HR) 및 브레0이크 계전기(BR)의 여자접점(HRa), (BRa)에 직렬 접속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차화장실 오물자동 처리장치.
KR2019820010475U 1982-12-28 1982-12-28 객차 화장실 오물 자동처리장치 KR8500022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10475U KR850002299Y1 (ko) 1982-12-28 1982-12-28 객차 화장실 오물 자동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10475U KR850002299Y1 (ko) 1982-12-28 1982-12-28 객차 화장실 오물 자동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3071U KR840003071U (ko) 1984-07-20
KR850002299Y1 true KR850002299Y1 (ko) 1985-10-15

Family

ID=72147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10475U KR850002299Y1 (ko) 1982-12-28 1982-12-28 객차 화장실 오물 자동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229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3071U (ko) 1984-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17782A (en) Electrolytic liquid purification process and apparatus
KR960001237B1 (ko) 화장실 좌변기용 좌판의 자동세척방법 및 그 장치
JPH05321310A (ja) 真空トイレット系
EP0014196A4 (en) ENVIRONMENTALLY FRIENDLY TOILET.
JP2647555B2 (ja) 水を用いる家庭用器具のための安全装置
EP1019586B1 (de) Vorrichtung zum automatischen auslösen eines spülungsvorganges bei urinalen oder ähnlichen sanitärtechnischen einrichtungen
KR850002299Y1 (ko) 객차 화장실 오물 자동처리장치
JP2014070374A (ja) 男性用循環式水洗トイレ
US4156297A (en) Sewage treatment apparatus
GB2320942A (en) Waste water recovery system for buildings
US4032995A (en)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human waste
US2732069A (en) henderson
KR20200018102A (ko) 동결방지 시스템이 구비된 세차장치
US3536196A (en) Waste treatment and storage system
JP3639877B2 (ja) 小便器洗浄装置
US1949044A (en) Water softening apparatus
GB1186343A (en) Improvements relating to the Cleansing of Tanks
DE2514223A1 (de) Toilettenanlage fuer fahrzeuge
CN212954407U (zh) 一种磁性吸附式生活垃圾渗滤液处理装置
KR200174992Y1 (ko) 화장실 오물처리장치의 동파 방지시스템
JP3237189B2 (ja) 排水圧送トイレ
US3446356A (en) Waste disposal system
KR200358085Y1 (ko) 자가발전 및 상용전원겸용 세륜기
CN214823176U (zh) 一种门禁式车辆抑尘自动控制系统
JPH1147745A (ja) 軟水器における排水工程の制御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