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2136Y1 - 전자 스위칭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스위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2136Y1
KR850002136Y1 KR2019850010569U KR850010569U KR850002136Y1 KR 850002136 Y1 KR850002136 Y1 KR 850002136Y1 KR 2019850010569 U KR2019850010569 U KR 2019850010569U KR 850010569 U KR850010569 U KR 850010569U KR 850002136 Y1 KR850002136 Y1 KR 8500021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terminal
switching
switching device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05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지 우에다
기요시 미야모도
Original Assignee
다데이시 덴기 가부시기가이샤
다데이시 다까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10000911A external-priority patent/KR830005775A/ko
Application filed by 다데이시 덴기 가부시기가이샤, 다데이시 다까오 filed Critical 다데이시 덴기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20198500105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21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21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136Y1/ko

Links

Landscapes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 스위칭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로서 직류 전원에 접속되는 단일 광 결합기를 사용한 전자 스위칭장치에 대한 개략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교류 전원에 접속되는 단일 광 결합기를 사용한 전자 스위칭 장치에 대한 개략 회로도.
제3도는 제1도 및 제2도의 회로에서 사용될 수 있는 극성스위칭 회로의 개략도.
제4도는 제1도 및 제2도의 회로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극성 스위칭 회로의 개략도.
제5도는 제2도의 회로에서 사용될 수 있는 출력회로의 개략도.
제6도는 제2도의 회로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전압 조절기의 회로도.
제7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교류 전원에 접속되는 한쌍의 광 결합기를 사용한 전자 스위칭 장치의 개략 회로도.
제8도는 제7도의 회로에 사용될 수 있는 검파회로의 개략도.
제9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한쌍의 외부단자를 갖는 전자 스위칭 장치의 개략 회로도.
제10도는 제9도의 실시예를 변형시킨 전자 스위칭 장치의 회로도.
제11도는 제2도의 실시예를 변형례로서, 교류전원에 접속되는 한쌍의 공 결합기를 사용한 전자 스위칭 장치의 개략 회로도.
본 고안은 물체의 존재나 부재를 감지하고 그 물체에 연결된 부하의 부하전류를 스위칭 하기 위한 전자 스위칭 장치, 특히 정상적인 개방 및 단락 스위칭 동작을 교번적으로 항할 수 있도록 한 개선된 스위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스위칭 장치, 예를들면 근접(proximity)스위치 또는 광전 스위치는 한쌍의 출력회로를 포함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는데 그 한쌍의 출력회로는 정상적인 개방, 단락 스위칭 동작모드에 각각 대응하고 부하와의 교번접속을 위한 각 출력단자를 갖는다. 그러한 종래의 스위칭 장치는 한쌍의 출력회로를 사용하기 때문에, 값이 비싸고 비교적 부피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전자 스위칭 장치로는 수동 기계조작 스위치를 작동시킴으로써 스위칭 동작모드를 정상적인 개방 또는 단락 스위칭 동작모드로 절환할 수 있도록 스위칭장치의 하우징 위에 수동기계조작 스위치를 배치한 것도 잘 알려져 있다. 그런데, 그러한 스위칭 장치는 수동기계 조작 스위치가 일반적으로 기계적 접점을 사용하기 때문에 접촉신뢰도가 낮다는 단점이 있다. 더우기, 전자 스위칭 장치의 크기가 작으면 수동조작 스위치는 그 장치와 관련된 설치 방식에 있어서 제한이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제1목적은 비 기계적스위칭 구조로 되어 있고 정상적인 개방, 단락 스위칭 동작의 이중기능을 갖는 전자 스위칭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제2목적은 크기가 작고 경제적인 소형 전자 스위칭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자3목적은 다수의 전력 단자를 구비하고, 예정된 방식으로 전력단자에 전원을 연결함으로써 스위칭장치가 예정된 스위칭 동작 모드에 자동적으로 절환되는 전자 스위칭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장치에 외부 전원과 부하를 접속하기 위한 외부단자 수단 검파신호를 유지시키기 위한 검파회로 수단 검파 신호의 한 극성을 예정된 극성으로 스위칭하여 스위치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극성 스위칭 수단, 그리고 스위치 신호에 응답하여 장치에 연결된 부하를 스위치하는 출력회로 수단을 구비하는 전자 스위칭 장치가 제공된다. 위에서 말한 극성 스위칭 장치는 상기 외부 단자장치에 연결된 제1투광 소자 및 상기 검파회로와 출력회로 사이에 삽입된 제1수광 소자를 포함하는 광결합기를 구비하여, 이에 의행서 제1투광 소자가 구동될때 신호의 극성은 제1투광 소자에 결합된 제1수광수자에 의해 예정된 극성으로 자동적으로 스위치된다.
본 고안의 그밖의 목적 및 장점은 첨부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설명을 통해 명확해질 것이다.
제1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로서 직류 3전자 스위칭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스위칭 장치는 검파회로(1), 수광소자(3 S)를 포함하는 극성 스위칭 회로(2), 출력회로(4), 투광소자(3P), 전원단자(51) 및 (52), 출력단자(53), 공통접지단자(54)로 구성된다.
검파회로(1)은 이 장치로 감지될 물체이 존재 여부를 감지하여 출력단자(1 C)에서 검파신호를 유기시키기 위한 검파 회로장치를 제공한다. 검파 회로란 그 출력이 물체의 접근에 따라 변화하는 발진회로를 포함하는 근접 스위칭형 검파회로와, 그 출력이 광원으로부터 물체에 의해 반사되는 광비입의 입사에 따라 변경되는 수광회로를 포함하는 광전자 스위치 검파회로 등과 같은 통상의 검파회로이다. 제8도에서, 제1도의 검파회로의 예로서 잘 알려진 근접스위치용 검파회로(10)이 도시되어 있다. 검파회로(10)는 검파코일(11)을 갖는 발진회로, 발진회로로 부터 유기된 출력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신호 처리회로, 정상 저 출력단자(10c), 정상 고 출력단자(10d)를 구비한다. 검파회로(10)는 정상적으로 단자(10c)에서는 저 출력을 그리고 단자(10d)에서는 고 출력을 유기시킨다. 물체가 검파코일(11)에 접근할때, 발진회로의 출력이 변화하므로, 검파회로(10)는 단자(10c)에서는 고 출력을 그리고 단자(10d)에서는 저 출력을 유기시킨다. 따라서 검파신호는 단자(10c) 또는 (10d)에 나타난다. 제1도의 검파회로(1)이 검파회로(10)으로 표시되면, 출력단자(10c) 또는 (10d)는 출력단자(1c)를 나타내고, (10a)와 (10b)는 단자(1a)와 (1b)를나 타낸다.
제1도의 극성스위칭 회로(2)는 단자(1c)로 부터 발생된 검파신호의 극성을 입력단자(2f)를 통해 예정된 극성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극성 스위칭 장치와 투광소자(3p)로 형성된다. 투광소자(3p)와 수광소자(3s)는 단일광 결합기를 형성하도록 단일 패키지에 내장된다. 투광소자 또는 광원(3p)는 발광 다이오드등을 사용하고, 수광수자 또는 광검출기(3s)는 광트랜지스터등을 사용한다. 즉, 광원(3p)가 구동되면, 광 검출기(3s)도 역시 광원(3p)로 부터 투사되는 광비임에 의해 구동된다.
제3도에서는 극성스위칭 회로(2)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광 검출기(3s)가 구동되지 않는 한, 트랜지스터(25) 및 (26)을 턴언 시키도록 검출기(3s)를 통해 충분히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트랜지스터(22)는 트랜지스터(21)을 활성화 시키도록 작동되지만 트랜지스터(23) 및 (24)는 턴 오프된다. 그때 입력단자(2f)를 통해 출력단자(21)에 인가되는 검파신호는 다이오드(28)을 통해 출력단자(2a)에 인가하기 위해 트랜지스터(21)에 의해 반전된다. 반대로, 광검출기(3s)가 같은 것을 턴온 시키기 위해 구동된다면, 트랜지스터(25) 및 (26)이 턴온되어서, 그에 따라 트랜지스터(22)가 트랜지스터(21)은 차단시키기 위해 턴오프 되지만 트랜지스터(23) 및 (24)는 활성화된다. 그때, 입력단자(2f)를 통해 트랜지스터(23)에 인가된 검파신호는 두번 반전되어 다이오드(27)을 통해 출력단자(2a)에 인가된다. 다시 말하면, 단자(2f)에 인가된 검파신호는 반전되지 않고 단자(2a)에 인가된다. 따라서, 광검출기(3s)가 구동되지 않으면, 단자(2a)에 인가된 검파신호는 반전되고 그 반전에 검파신호는 단자(2a)에 나타난다. 검출기(3s)가 구동되면, 검파신호는 반전되지 않고 단자(2a)에 나타난다.
제4도에서는 제3도의 회로의 변형으로서 다른 극성 스위칭 회로(20)가 도시되어 있다. 그 회로(20)는 각각 정상저출력단자(100c)와 정상 고 출력단자(100d)에 접속되는 두개의 입력단자(20f) 및 (20g)를 포함한다. 단자(100c)의 고 출력은 회로(100)에서 유기된 검파신호를 나타낸다. 한편, 단자(100d)의 저출력은 회로(100)에서 유기된 반전 검파신호를 나타낸다. 예를들어 제8도의 검파회로(10)는 회로(100)으로 사용되는데, 여기서 단자(10a), (10b), (10c) 및 (10d)는 각각 단자(100), (100b), (100c) 및 (100d)에 대응한다. 검파회로(100)은 회로(10)으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광검출기(3s)가 트랜지스터(31) 및 (32)를 턴온시키기 위해 구동되면, 트랜지스터(33)는 턴 오프된다. 이어서, 단자(100c)에서의 검파신호는 다이오드(35)를 통해 출력단자(200a)로 향하게 된다. 검출기(3s)가 구동되지 않으면, 트랜지스터(31) 및 (32)는 턴 오프되고 트랜지스터(33)는 턴온된다. 다음에 단자(100d)에서의 검파신호는 다이오드(34)를 통해 단자(20a)로 향한다.
제4도의 전체 회로는 제1도의 회로(1) 및 (2)에 대한 검파 및 극성 스위칭회로로써 사용될 수 있는데, 여기서 단자(100a), (100b), (20e), (20a) 및 (20d)는 각각 단자 (1a), (1b), (2e), (2a) 및 (2d)를 나타난다. 제3도 및 제4도의 회로는 본 발명의 스위칭 장치의 부피를 감소시키기 위해 IC칩(chip)으로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검출기(3s)의 단자(20c) 및 (20b)가 통상 전력단자(20d) 도는 (20e)에 접속되므로 IC칩의 총 접속 단자의 수는 최소로 될 수 있다.
다시 제1도 참조하면, 검파회로(1)로 부터 유기된 검파신호는 회로(2)에 의해 반전되고, 그 회로의 광검출기(35)는 구동되지 않는다. 검파회로(1)이 단자(1c)에서 고출력을 정상적으로 발생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경우, 단자(2a)에서 회로(2)의 출력은 검출기(3s)가 구동되지 않는 시간동안에는 정상적으로, 낮고 검출기(35)과 구동되는 시간동안에는 정상적으로 높다. 입력단자(4c)에 인가되 입력신호에 응당하여, 출력단자(53)과 (54)사이에 접속된 스위칭 소자가 도통되게 하도록 출력신호(4)는 전력 출력회로를 제공한다. 그러한 전력 출력회로는 잘 알려져 있으므로, 출력신호(4)는 단지 제1도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스위칭 소자로서의 NPN전력 트랜지스터(40)는 회로(4)내부의 관련 내부회로 구성요소(제1도에 도시안됨)에 접속된다. 출력단자(53) 및 (54)는 부하(61) 및 직류 전원(60)에 직렬로 접속된다.
따라서, 단자(4c)에 인가된 고입력에 응답하여 스위칭트랜지스터(40)이 턴온되도록 회로(4)가 설계되면 단자(2a)에서의 고출력은 부하(61)가 회로(4)에 의해 온으로 절환되도록 한다. 또한, 만일 회로(1)이 고출력을 정상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설계되고 검출기(3s)가 구동되면, 부하(61)은 정상적으로 턴온된다. 단자(51)이 광원(3p)를 통해 각각의 전력입자단자(1a), (2e) 및 (4b)에 접속되기 때문에, 단자(51)이 직류원(60)에 접속될때 일정한 전력이 회로(1), (24), (4)에 의해 단자(1a), (2e), (4b)를 통해 소모되기 때문에 광원(3p)이 검출기(35)에 구등영 광비임을 투사시키도록 구등된다. 단자(32)가 직류원(60)에 접속되고 단자(51)가 직유원(60)으로 부터 자유롭게 되면, 광원(3p)는 구동되지 않고 검출기(3s)로 구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만일 직유원(60)이 단자(51)에 접속되면 회로(1)로 부터의 검파신호는 회로(2)에 의해 반전되지 않고 부하(61)은 정상적으로 턴온된다. 만일 직류원(60)이 단자(52)에 접속되면, 검파신호는 회로(2)에 의해 반전되고 부하(61)는 정상적으로 턴오프된다. 그때, 단자(51) 및 (52)는 각각 정상 단락 및 정상개방 전력단자로 지정된다.
반대로, 단자(51) 및 (52)는 각각 정상 개방 및 단락전력단자로 동작하도록 회로(1), (2), (4)가 설계되면, 부하(61)은 직류원(60)은 의해 단자(51)에 직류 전력을 공급할때는 부하(61)가 정상적으로 턴오프되지만 단자(52)에 직류전력을 공급할때는 부하(61)가 정상적으로 처 턴온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단자(51) 또는 (52)에 교번적으로 전력공급선을 연결함으로써, 이 전자 스위칭 장치는 단자(53)에 연결된 부하에 대해 정상적으로 개방 또는 단락 스위칭작용을 행한다. 제1도는 스위칭 장치가 3선형이라 하더라도, 그 장치는 직렬 접속된 부하와 직류전원이 회로(4)의 출력을 단자(4b)에 접촉하고 또 어떤 보조회로를 포함함으로써 단자(54)와 단자(51) 또는 (52)양단에 접속되게끔 2선형으로 변형될 수도 있다.
제2도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직류전원(62)와 직렬로 접속된 교류부하(63)를 스위칭하기 위한 교류 2선 전자 스위칭 장치의 회로를 도시한다. 그 장치는 제1도 장치의 회로와 같은 구조와 기능을 갖는 검파회로(1)과 극성스위칭 회로(2)를 포함한다. 제1도는 이러한 회로(1) 및 (2)의 상술한 바와같은 변경은 또한 제2도의 회로(1) 및 (2)에 이용될 수도 있다. 제2도의 스위칭 장치는 또한 출력회로(41), 전압 조절기(5), 레지스터(6), 제너다이오드(7), 광원(3) 및 한쌍의 정류회로(8), (9)를 포함한다.
제5도는 제2도 출력회로의 상세도인데, 다이리스터(41a) 및 트랜지스터(41f)를 포함한다. 전력 입력단자(41b)와 (41d)에는 각각 정(正)직류 전력이 공급된다. 입력단자(41c)로 부터 트랜지스터(41f)를 통해 다이리스터(41a)의 게이트에서 정의 고전압을 수신할때, 다이리스터(41a)는 턴온되어 다이리스터를 통해 전류가 흐른다. 제6도에는, 단자(5b)에서 입력된 직류전력을 조절하고 단자(5b)에서 일정하게 조절된 직류전력을 공급하는 전압 조절기(5)를 상세히 도시한다. 제5도와 제6도의 상술한 회로(41) 및 (5)는 다른 종래의 회로가 제2도 회로에 적용될 수 있다는 예를 든 것에 불과함을 이해하여야 한다.
다시 제2도를 살펴보면, 레지스터(6) 및 제너 다이오드(7)는 정상상태에서 광원(3p)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조절하기 위해 삽입된다.
직류접속된 교류 전원(62)과 부하(63)이 정류회로(8)의 한쌍의 단자(8a)와 (8b)에 결합될 때, 광원(3p)이 광검출기(38)를 턴온 시키기 위해 구동되며, 이에 따라 검파회로(1)로 부터 발생된 검파신호는 제3도에 도시한 것처럼 극성 스위칭회로(2)에서 두번반전, 즉 반전되지 않는다. 예를들면 검파회로(1)이 정상적으로 고출력을 발생하도록 설계되면, 고입력은 정상적으로 단자(41a)에 인가되고 부하전류는 정상적으로 다이리스터(41c), 제너 다이오드(7), 정류회로(8), 부하(63) 및 교류전원(62)를 통해 정상적으로 흐른다. 단자(8a) 및 (8b)는 정상적으로 단락스위칭 동작모드를 제공한다. 한편, 전원(62) 및 (63)은 한쌍의 단자(9a) 및 (9b)에 결합될때, 광원(3p)는 구동되지 않으며, 그로인해 검파회로(1)에서 발생된 검파신호는 회로(2)에서 반전되고 저 입력은 정상적으로 단자(41c)에 인가된다. 이어서, 다이리스터(41a)는 점호되지 않고 부하(63)를 턴온하기 위한 어떤 충분한 부하전류가 직렬 접속부하(63), 정류회로(9) 및 다이리스터(41a)를 통해 흐르지 않는다. 단자(9a) 및 (9b)는 정상개방 스위칭 동작모드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장치는 2개의 별도 쌍의 정상단락 전력단자(8a-8b, 또는 9a-9b)와 정상 개방전력단자(9a-9b, 또는 8a-8b)를 갖는데, 여기서 스위칭장치는 직렬접속 부하와 전원을 두개의 별도쌍의 전력단자중 한 단자에 교대로 연결함으로써 정상 단락 또는 정상개방 스위칭 동작모드를 절환된다.
제7도를 다시 살펴보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전자직류 3선 스위칭 장치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 스위칭 장치는 한쌍의 광 결합기(3p-3s) 및 (4p-4s)를 사용한다. 감파회로(101)는 정상 저출력단자(101a) 및 고출력단자(101b)를 갖추고 있다. 제8도에 도시된 검파회로(10)는 회로(101)도 사용될 수 있다. 광검출기(3s) 및 (4s)는 NPN전력스위칭 트랜지스터(42a)를 갖는 스위칭 전력회로(42)의 입력단자(42c)에 접속되므로, 검파기(3s)를 구동시킬 때는 트랜지스터(42a)는 정상적으로 턴 오프되고 또는 검파기(4s)를 구동시킬때는 트랜지스터(42a)가 정상적으로 턴온된다. 스위칭 전력회로(42)는 필요하다면 다른 통상의 스위칭회로로 대체될 수 있다. 회로(101) 및 (42)는 단자(101c) 및 (42b)를 통해 일정한직류 전력을 소모시키도록 설계된다. 직류 전원(60) 및 부하(61)가 제7도에 도시된 것처럼 제1전력단자(55)에 연결되면, 전동원(3p)는 광검출기(3s)를 구동시키게끔 구동되어서, 고로인해 단자(55)와 (57)양단에 접속된 부하(61)가 정상적으로 턴오프 된다. 직류전원(60)과 부하(61)이 제2전력단자(56)에 연결되면, 광원(4p)는 광검출기(4s)를 구동시키도록 구동되어서, 그로인해 단자(56)과 (57)양단에 접속된 부하(61)가 정상적으로 턴온된다. 따리서, 단자(55) 및 (56)은 각각 정상 개방 및 정상단락 스위칭 동작모드로서 이용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전자 스위칭 장치는 직류원(60)을 단자(55) 및 (56)중 한단자에 간단히 접속함으로써 정 상단락 및 개방스위칭 모드로 세트된다. 전자스위칭 장치는 그러한 방식으로 변경되어 제9도에 제시한 바와같이 회로(101)가 검출기(3s) 및 (4s)의 콜렉터에 공동 접속되는 단일출력단자를 가지며 회로(42)는 검출기(3s) 및 (4s)의 각 에미터에 접속된 한쌍의 입력단자를 갖는다.
제9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직류 2선 전자 스위칭 장치의 개략적인 회로를 도시한 것이다. 그 스위칭 장치는 직렬 접속된부하(61)과 직류원(60)을 양방향 접속하기 위한 한쌍의 전력단자(91)과 (92)가 제공되어 있다. 정류회로(93)는 직류원(60)이 단자(91)과 (92)에 양단에 양방향으로 접속될 수도 있다. 검파회로(102)는 검출기(3s) 및 (4s)가 인가하기 위해 정상적으로 저출력을 발생하도록 설계된다. 출력회로(43)는 정입력단자(43c)와 부입력 단자(43d)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스위칭 전력 트랜지스터(43a)는 단자(43c)에 인가된 고입력에 의해 턴온되거나 단자(43d)에 인가된 고 입력에 의해 턴오프된다. 제너 다이오드(43b)는 트랜지스터(43a)에 직렬로 접속되어서 트랜지스터(43a)가 턴온될 경우에도 충분한 전력이 회로(102)에 공급될 수 있다. 직류원(60)의 정 전력이 부하(61)를 통해 단자(91)에 공급될 때 광원(3p)가 구동되고 회로(102)로 부터 발생된 출력이 단자(43c)에 인가된다. 이어서, 트랜지스터(43a)는 정상적으로 턴 오프되지만 고 레벨에서의 검파신호가 검파회로(102)로 부터 유기될 때에는 턴온된다. 따라서, 스위칭 장치는 부하(61)에 대해 정상 개방스위칭 동작을 행한다. 직류원(60)이 단자(92)에 정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단자(91)과 (92)양단에 역으로 접속되면, 광원(4p)는 구동되고 회로(102)로 부터 발생된 출력은 부단자(43d)에 인가된다. 이어서, 트랜지스터(43a)는 정상적으로는 턴온되지만 회로(102)로 부터 검파신호를 수신할 경우에는 턴오프된다. 따라서, 스위칭 장치는 정상 단락 스위칭동작모드를 제공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스위칭 장치는 직류원(60)을 단자(91)과 (92)에 접속하는 방향에 따라서 정상 단락 또는 정상 개방 스위칭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만일 필요하다면, 보호회로가 제2도에 도시한 것처럼 직렵접속된 저항과 광원(3p 또는 4p)이 분로저항으로서 제너다이오드와 병렬로 접속되게끔 광원(3p) 및 (4p)에 삽입될 수도 있다.
제10도에서는, 제9도 실시예의 변형으로서 전자 스위칭 장치의 개략적 회로가 도시되어 있다. 한쌍의 광원(3p) 및 (4p)는 각각 정류회로(94)의 한쌍의 아암(arm)에 삽입되어 정류기로 쓰인다. 그 스위칭 장치의 동작은 제9도 장치의 동작과 유사하다.
제9도는 제10도의 각 스위칭장치는 단지 2개의 접속단자를 가지며 정상 개방 또는 정상 단락 스위칭 동작모드로 간단히 절환될 수 있으므로, 극히 작은 소형 스위칭 장치의 경우에 유리하다.
제11도에는, 제2도 실시예의 변형으로서 교류 2선 전자 스위칭장치의 개략적 회로가 도시되어 있다. 검파회로(103)는 단자(103)에서는 정상적으로 저 출력을 발생하고 단자(103d)에서는 정상적으로 고출력을 발생하도록 설계된다. 예를들면, 회로(103)는 제8도의 검파회로일수도 있다. 스위칭 전력회로(44)는 다이리스터(44a)를 포함하는데, 이 다이리스터(44a)는 입력단자(44c)에 인가된 고 입력에 의해 턴온 되도록 되어 있다. 회로(44)는 제5도에 도시된 회로이다. 참고번호(5)는 제5도에 도시된 전압 조절기이다. 제2도의 참고번호와 같은 참고번호는 제2도의 것과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다이오드(14), (15), (16) 및 (17)는 각 정류회로(8) 또는 (9)를 통해 흐르는 전류가 조절기(5)를 통해 흐르는 작은 전류로 분할되고 스위칭 게이트(SCR)(44a)를 통해 흐르는 부하 전류와 어떤 역 전류가 다이오드(14)내지 (17)중 어느것을 통해 흐르지 않도록 설계된다. 실제로, 전압 조절기(5)를 통해 회로(103)가 (44)로 흐르는 회로 전류는 수 밀리암페어의 크기이므로, 각 광원(3p) 및 (4p)는 과전류 보호 회로가 전혀 필요치 않다.
제2도에서는, 전류 제한 저항(6)의 제너 다이오드(7)로 구성되는 과전류 보호회로가 광원(3p)와 접속된다. 광원(3p)이 실제로 광비임을 방사하기 위해 약 3V r.m.s로 공급되어야만 하고 제너다이오드(7)를 통해 흐르는 부하 전류가 약 수백 밀리암페어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비교적 큰 전압 강하가 제너 다이오드(7)양단에 생기게 된다. 이러한 강하는 부하(63)에 인가된 전압의 실질적인 강하를 일으키며 실제로는 불리하다. 더우기, 대용량의 제너 다이오드로 부터 방사된 칼로리량은 크로, 관련 회로 구성요소에는 불리하다. 한편, 제11도에서, 다이도드(14) 또는 (15)양단에 각각의 전압강하는 상당히 작은데, 그 이유는 다이리스터(44a)가 턴온될때 부하(63)를 통해 흐르는 부하전류는 다이오드(14) 또는 (15)를 통해 순방향으로 흐르기 때문이다. 또한, 제11도의 스위칭 장치는 큰 부피를 요하는 제2도의 제너 다이오드(7)과 같은 대 용량의 다이오드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스위칭 장치가 소형화될 수 있고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직렬 접속된 부하(63)과 전원(62)이 단자(8a)와 (8b)양단에 접속될때, 광결합기(3p-3s)가 구동되고 다이리스터(44a)가 정상적으로 턴 오프된다. 전원(62)가 단자(9a)와 (9b)사이에서 인가되면, 광 결합기(4p-4s)가 구동되고 다이리스터(44a)가 턴온된다. 따라서, 단자(8a) 및 (8b)는 정상개방 스위칭 동작모드를 위한 것이고, 단자(9a) 및 (9b)는 정상 단락 스위칭 동작 모드를 위한 것이다. 그 회로(103), (44), (5)는 전술한 실시예의 도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위의 설명은 단순히 본 고안을 예시한 것에 불과하며 부속 청구의 범위로 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분야의 숙련 기술자에 의해 여러가지로 변형 및 수정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1)

  1. 스위칭 장치를 전력공급용 외부전원과 스위칭용 부하에 접속하기 위한 외부단자 수단(51, 52, 53, 54)과, 검파신호를 유지시키기 위한 검파회로 수단(1)과, 검파신호의 한 극성을 예정된 극성으로 스위칭하여 스위치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검파회로 수단에 접속된 극성 스위칭 수단(2)과, 상기 스위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외부단자 수단에 결속된 상기 부하를 스위칭하기 위하여 상기 극성 스위칭수단에 접속된 출력회로 수단(4)를 구비한 것으로서, 상기 회부 단자 수단에 상기 극성 스위칭 수단이 접속된 제1투광 소자(3p) 및 상기 검파회로 수단과 출력회로 수단 사이에 삽입된 제1수광소자(3s)를 가진 광결합기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1투광소자가 구동될때, 상기 검파신호의 극성이 상기 제1수광소자에 의해 상기 예정된 극성으로 스위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스위칭장치.
KR2019850010569U 1981-03-19 1985-08-19 전자 스위칭 장치 KR8500021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0569U KR850002136Y1 (ko) 1981-03-19 1985-08-19 전자 스위칭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0911A KR830005775A (ko) 1981-03-19 1981-03-19 전자 스위칭 장치
KR2019850010569U KR850002136Y1 (ko) 1981-03-19 1985-08-19 전자 스위칭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0911A Division KR830005775A (ko) 1981-03-19 1981-03-19 전자 스위칭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2136Y1 true KR850002136Y1 (ko) 1985-09-25

Family

ID=26627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0569U KR850002136Y1 (ko) 1981-03-19 1985-08-19 전자 스위칭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213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69641A (en) AC Responsive led pilot light circuitry
US4419586A (en) Solid-state relay and regulator
US5057694A (en) Optoelectronic relay circuit having charging path formed by a switching transistor and a rectifying diode
KR900001583B1 (ko) 광학적 물체검지장치
KR840004280A (ko) 표시 구동장치
KR900000945A (ko) 고상 릴레이
KR950014016B1 (ko) 쌍방향 스위치회로
EP0066180A2 (en) Optically coupled bidirectional transceiver
US4543497A (en) Electronic monitoring system with selective signal inversion
US4414478A (en) Electronic switching device
KR850002136Y1 (ko) 전자 스위칭 장치
US6424136B1 (en) Current indicator for fault assessments of loop circuit integrity while providing circuit isolation
KR920007247A (ko) 광결합검출장치
KR930007082A (ko) 고체 릴레이
US4521693A (en) Electro-optical solid-state SPDT relay switch
JPS5944809B2 (ja) 光電スイッチ
JP2812874B2 (ja) 光結合素子
US4675542A (en) Circuit arrangement for monitoring a thyristor
US4412140A (en) Circuit for reducing current to light emitting diode of optically coupled driver
SU1140243A1 (ru) Ключ переменного тока
SU1317421A1 (ru) Устройство электропитани
JPH04167616A (ja) 光電スイッチの投光回路
JPS61198918A (ja) 無接点検出スイッチ用集積回路
SU1205296A1 (ru) Импульсный оптоэлектронный логический элемент
KR910001074Y1 (ko) 전압검출에 의한 전류증폭겸 펄스제어방식 스위칭 전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009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