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816Y1 - 소변기용 자동 급수전 - Google Patents

소변기용 자동 급수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816Y1
KR850001816Y1 KR2019830004598U KR830004598U KR850001816Y1 KR 850001816 Y1 KR850001816 Y1 KR 850001816Y1 KR 2019830004598 U KR2019830004598 U KR 2019830004598U KR 830004598 U KR830004598 U KR 830004598U KR 850001816 Y1 KR850001816 Y1 KR 8500018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magnet
water
solenoid
water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45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7382U (ko
Inventor
김광성
Original Assignee
한림전자공업주식회사
김용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림전자공업주식회사, 김용락 filed Critical 한림전자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300045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1816Y1/ko
Publication of KR8400073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73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8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8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소변기용 자동 급수전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분해사시도.
제2(a)도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에 있어서 배수관이 폐쇄된 상태의 종단면도.
제2(b)도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에 있어서 배수관이 개통된 상태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경사면 2 : 배수구
3 : 솔레노이드 작동자 4 : 고무패킹
5 : 중공부 6 : 전자석
8 : 도선관 9 : 수로
11 : 전자석수납관 14 : 급수전
15 : 급수실 16 : 배수관
본 고안은 사용자가 변기에 접근하였을 때 광센서에 의하여 자동으로 급수되는 자동급수전에 있어서, 급수전의 급수 및 단수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 소변기용 자동급수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급수전은 광센서에 의하여 작동되고 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고 오작동이 빈발하고 있으며 한편 세면기용으로는 부적합하므로 고안이 목적하는 바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공중이 사용하는 소변기의 경우에는 사용 후 변기를 수세하지 아니하는 경우가 흔하므로 청결을 유지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기존의 급수전은 구조가 복잡하고 생산 원가가 높아서 일반적으로 보급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공지의 광센서에 의해서 작동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급수전을 간편한 구조의 저렴한 생산원가로 공급함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구조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광센서에 의해 작동되며 도선관(8)과 수로(9)가 개설된 수도관에 전자석 수납관(11)을 연설하고 그 내부에 솔레노이드 작동자(3)가 유삽된 전자선을 나사식 불임한 솔레노이드 밸브에 있어서 하부에는 테이퍼형으로 경사면(1)이 형성되고 배수구(2)가 복수로 개설된 솔레노이드 작동자(3)의 하단부에 고무패킹(4)을 관착하여 전자석(6)의 중공부(5) 내에 유삽하고, 그 하방에는 이와 부합하여 내부에 급수실(15)이 요설되고 배수관(16)이 관설된 급수전(14)을 전자석(6) 하부에 나사식 불임한 구조이다.
미설명부호 7, 7' 및 12, 13은 나선부이고, 10은 수도관, 17은 전자석 수납관 18은 배수관 노출구, 91는 도선, 20은 소변기, 21은 감지소 자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수도관(10)을 상수도관에 연결하고 도선(19)을 통하여 전자석(6)에 전원을 입력한 다음에 사용자가 소변기(20) 앞으로 접근하게 되면 감지소자(21)에서 발생하는 적외선에 의하여 감지되어 전자석(6)이 작동하고 전자석(6) 내부에 상하로 개구되어 있는 솔레노이드 작동자(3)가 전자석(6)에 인자되어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솔레노이드 작동자(3)의 하단부에 관착되어 있는 고무패킹(4)은 배수관(16) 상단부를 패쇄하고 있다가 개통시키게 되고 수로(9)와 중공부(15)를 통하여 급수되는 급수는 솔레노이드 작동자(3)에 복수로 상하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배수구(2)를 따라 급수전(14)에 요설되어 있는 급수실(15)을 거쳐 배수관(16)으로 배수하게 되는 것이다. 작동자(3)는 그 본래의 기능외에 급수로로서의 역활을 겸하고 있으므로, 배수전 전체의 구조가 그만큼 간단화 되어 조립과정이 쉬워진다.
따라서 솔레노이드 작동자(3)의 하부에 테이퍼의 경사면(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개의 배수구(2)로 배수되는 세척수는 급수실(15)에 충만되어 있다가 사용자가 소변기(20)에 접근하면 급수되므로 항상 청결하고 위생적인 상태로 소변기(20)를 유지할 수 있으며 사용이 끝나고 소변기(20)로 부터 사용자가 위치를 이탈하게 되면 적외선 감지가 해소되어 솔레노이드 작동자(3)는 원상복귀 되면서 배수관(16)의 상단부를 폐쇄하여 급수를 차단하게 되므로 인위적으로 수도콕크를 조작하는 번거로움이 없을 뿐만 아니라 관리소홀로 인한 용수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다른 고안과의 상호관계 1983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3726호

Claims (1)

  1. 광센서에 의해 작동되며 도선관(8)과 수로(9)가 개설된 수도관에 전자석 수납관(11)을 연설하고 그 내부에 솔레노이드 작동자(3)가 유삽된 전자석을 나사식 붙임한 솔레노이드 밸브에 있어서 하부에는 테이퍼형으로 경사면(1)이 형성되고 개수구(2)가 복수로 개설된 솔레노이드 작동자(3)의 하단부에 고무패킹(4)을 관찰하여 전자석(6)의 중공부(5) 내에 유삽하고, 그 하방에는 이와 부합하여 내부에 급수실(15)이 요설되고 배수관(16)이 관설된 급수전(14)을 전자석(6) 하부에 나사식 붙한임 소변기용 자동 급수전.
KR2019830004598U 1983-05-26 1983-05-26 소변기용 자동 급수전 KR8500018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4598U KR850001816Y1 (ko) 1983-05-26 1983-05-26 소변기용 자동 급수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4598U KR850001816Y1 (ko) 1983-05-26 1983-05-26 소변기용 자동 급수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7382U KR840007382U (ko) 1984-12-20
KR850001816Y1 true KR850001816Y1 (ko) 1985-08-28

Family

ID=19230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4598U KR850001816Y1 (ko) 1983-05-26 1983-05-26 소변기용 자동 급수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181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7382U (ko) 1984-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35428A (en) Combination toilet and urinal
US4777676A (en) Sanitary appliances with an indirect outlet and hidden drainage mechanism
KR100901186B1 (ko) 세척보울과 물탱크 사이에 역류방지 체크밸브를 갖는양변기
KR850001816Y1 (ko) 소변기용 자동 급수전
KR100225965B1 (ko)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KR920008183B1 (ko) 수세식 양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US5920920A (en) Straight trap toilet apparatus
KR100498243B1 (ko) 무수소변기용 방취장치
KR101401231B1 (ko) 세면기 배수장치
JP3930947B2 (ja) 小便所
JPH05148875A (ja) 洗面化粧台
KR820001339Y1 (ko) 변받이가 달린 수세변기
CN213508786U (zh) 防臭快冲下水管
EP0202308B1 (en) Sanitary appliances with an indirect outlet and hidden drainage mechanism
KR790001554Y1 (ko) 변기의 세척수 자동 공급장치
KR200399352Y1 (ko) 양변기
KR940007053Y1 (ko) 부동수도전
KR890005379Y1 (ko) 좌변기용 물 탱크
KR200262328Y1 (ko) 욕조용 배수트랩
KR200165276Y1 (ko) 절수용 세면기
JPS6214207Y2 (ko)
KR200146306Y1 (ko) 소변기의 배수장치
KR950006529Y1 (ko) 온수세정기의 역류방지기
KR20000055744A (ko) 자동대소변기와 수도꼭지의 밸브
KR790001968Y1 (ko) 수세변기의 급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1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8812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